KR20230125995A -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995A
KR20230125995A KR1020220022927A KR20220022927A KR20230125995A KR 20230125995 A KR20230125995 A KR 20230125995A KR 1020220022927 A KR1020220022927 A KR 1020220022927A KR 20220022927 A KR20220022927 A KR 20220022927A KR 20230125995 A KR20230125995 A KR 20230125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worker
sensor
wearing
computer 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남호
김양열
Original Assignee
(주) 엑스인터넷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엑스인터넷정보 filed Critical (주) 엑스인터넷정보
Priority to KR1020220022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995A/ko
Publication of KR2023012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99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4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personal data, e.g. biometric data, records or prefere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50Safety; Security of things, users, data or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석서버(400)가 통신모듈(300)을 이용하여 카메라(100)를 통해 취득한 작업장 영상(101)과 착용센서(200)의 검출결과값(201)을 전송받아 분석하여 개별 작업자 단위로 필요한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및 적절하게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별 작업자의 ID(501)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ID카드(5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안전보호구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Safety Gear Monitoring System based on Computer Vision and IoT sensor}
본 발명은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석서버(400)가 통신모듈(300)을 이용하여 카메라(100)를 통해 취득한 작업장 영상(101)과 착용센서(200)의 검출결과값(201)을 전송받아 분석하여 개별 작업자 단위로 필요한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및 적절하게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별 작업자의 ID(501)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ID카드(5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안전보호구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산업재해와 시민재해로 인한 사망사고 발생이 사회적 문제로 지적됨에 따라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은 사업주나 법인 또는 기관이 실질적으로 지배ㆍ운영ㆍ관리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종사자의 안전ㆍ보건상 유해 또는 위험을 방지할 의무가 있고, 사업주나 법인 또는 기관에게 제3자에게 도급, 용역, 위탁 등을 행한 경우 제3자의 종사자에 대한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를 부담시키고,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에게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를 위반하여 중대산업재해에 이르게 한 경우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등을 처벌하고, 법인 또는 기관의 경영책임자 등이 처벌 대상이 되는 위반행위를 하면 그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그 법인 또는 기관에 대해서도 벌금형을 부과하며,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에게 생산ㆍ제조ㆍ판매ㆍ유통 중인 원료나 제조물의 설계, 제조, 관리상의 결함이나 공중이용시설 또는 공중교통수단의 설계, 설치, 관리상의 결함으로 인한 그 이용자 등의 생명, 신체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조치를 하는 등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를 부담시키며,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이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를 위반하여 중대시민재해에 이르게 한 경우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등을 처벌하고, 법인 또는 기관의 경영책임자 등이 처벌 대상이 되는 행위를 하면 그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그 법인 또는 기관에 대해서도 벌금형을 부과하며,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이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이 법에서 정한 의무를 위반하여 중대재해를 발생하게 한 경우, 해당 사업주, 법인 또는 기관은 중대재해로 손해를 입은 사람에 대하여 그 손해액의 5배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배상책임을 지고, 정부는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대책을 수립ㆍ시행하도록 하고, 사업주, 법인 및 기관에 대하여 중대재해 예방사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상황을 반기별로 국회 소관상임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2021년 1월 26일 제정되어 2022년 1월 27일 시행됨에 따라 산업재해가 다발하는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고용노동부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등의 관련 법령에 따라 작업의 종류에 따라 안전모(201), 안전화(202), 안전대(203), 보안경(204), 안전장갑(205), 보안면(206), 방진마스크(207), 방독마스크(208), 귀덮개(209) 또는 귀마개, 보호복(210) 등의 안전보호구를 지정하고, 사업주가 지급한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근로자에게는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주요 안전장구인 안전모, 안전화 및 안전대를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 또는 근로자가 감전되거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작업을 수행하는 근로자는 안전모를 착용하여야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장내에 낙하물에 의한 재해 위험이 있는 작업,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2미터 이상인 작업장에서 추락재해의 위험이 있는 작업, 활선작업에 있어서 감전의 위험이 있는 작업, 건물의 해체작업, 항만하역 작업시 물체의 비래 또는 낙하에 의한 재해 위험이 있는 작업, 벌목*집재*운재 작업시 물체의 전도 또는 전락 등에 의한 재해 위험이 있는 작업, 교량에서 궤도 또는 관련설비의 보수*점검시 추락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가 없는 장소에서의 작업 등에는 안전모의 착용을 의무화 하고 있다
물체의 낙하*충격, 물체에의 끼임, 감전 또는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을 수행하는 근로자는 안전화를 착용하여야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 벌목*집재*운재 작업시 물체의 전도 또는 전락등에 의한 재해 위험이 있는 작업, 화물의 낙하로 인한 충격으로 발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는 작업, 인체에 대전된 정전기로 인하여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작업(대전방지 겸용 안전화), 활선작업에 있어 감전의 위험이 있는 작업(절연겸용 안전화), 기계*기구 등에 의하여 발이 끼일 우려가 있는 작업 등에는 안전화의 착용을 의무화 하고 있다.
높이 또는 깊이 2m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근로자는 안전대를 착용하여야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가 2미터 이상인 장소에서 작업시 추락방지를 위한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곤란한 작업, 높이가 2미터 이상인 작업발판의 끝이나 개구부 작업시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난간 등을 설치하기가 곤란하거나 임시로 안전난간 등을 해체하여야 하는 작업, 궤도작업차량 작업시 작업자가 떨어질 위험이 있는 부위에 안전난간이 없는 장소에서의 작업 등에는 안전대의 착용을 의무화 하고 있다.
건설분야를 예를 들어서 살펴보면 고용노동부는 건설관련 세부직종 코드를 철근원, 철골공, 경량철골공, 비계 및 콘크리트공, 석공, 조적원, 목공, 미장원, 방수원, 배관원, 단열원, 바닥재시공원, 유리부착원, 도배원, 건물도장원, 기타 건축완성 관련직, 건설기계운전원, 광원, 채석원 및 석재가공원, 점화, 발파 및 화약관리원, 기타 토목공사 및 채굴 관련직, 건설 및 광업관련 단순노무자 등으로 세분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대한건설협회는 개별직종별 노임단가를 통해 세부 직종을 작업반장, 보통인부, 특별인부, 조력공, 제도사, 비계공, 형틀목공, 철근공, 철공, 철판공, 철골공, 용접공, 콘크리트공, 보링공, 착암공, 화약취급공, 할석공, 포설공, 포장공, 잠수부, 조적공, 견출공, 건축목공, 창호공, 유리공, 방수공, 미장공, 타일공, 도장공, 내장공, 도배공, 연마공, 석공, 줄눈공, 판넬조립공, 지붕잇기공, 벌목부, 조경공, 배관공 등을 포함해 126개 세부 직종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대규모 사업장의 경우는 수백명 이상의 작업자가 동일 작업장에서 수십 종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하여 살펴본 바와 같은 법제도의 정비, 고용노동부와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규제기관의 지속적인 관리감독 강화 등에도 불구하고, 최근 삼표산업의 채석장에서 발생한 매몰사고 현대산업개발의 건축현장에서 발생한 붕괴사고 등과 같이 크고 작은 산업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각종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황에 따라 최근에는 컴퓨터 비전을 비롯한 인공지능 기술, IoT 센서 등을 비롯한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 및 장치 개발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들 기술 및 장치를 활용한 효율적인 산업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문헌1] KR 10-1872314 B1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2018.06.22. [문헌2] KR 10-2151987 B1 ((주)영신디엔씨), 2020.08.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세부 직종은 물론 및 수행 작업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안전보호구 관련 규정 준수여부에 대한 관리는 전통적으로 관리자(인적자원)을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나, 안전관련 규정의 세분화 및 산업재해에 대한 처벌규정 강화 등을 고려할 때 컴퓨터 비전을 비롯한 인공지능 기술, IoT 센서 등을 비롯한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분석서버(400)가 컴퓨터 비전 기술, 보다 구체적으로 다중객체검출 기술을 이용하여 카메라(100)로 취득한 작업장 영상(101)과 착용센서(200)의 검출결과값(201)을 통신모듈(300)을 통해 전송받아 분석하여 개별 작업자 단위로 필요한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및 적절하게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개별 작업자의 ID(501)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ID카드(5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안전보호구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부 직종 및 수행 작업의 종류에 따라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100)를 통해 취득한 작업장 영상(101)과 착용센서(200)의 검출결과값(201)을 전송받아 분석하여 개별 작업자 단위로 필요한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및 적절하게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ID카드(5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안전보호구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부 직종 및 수행 작업의 종류에 따라 어떠한 안전보호구가 필요한지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개별 작업자 단위로 해당 세부 직종 및 수행 작업에 필요한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및 적정하게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산업현장의 안전관리의 효율성을 크게 증진시킴은 물론 개별 작업자(근로자) 단위로 필요로 하는 안전보호구를 적정하게 착용시킴으로써 각종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최소화 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의 개념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1, 청구범위 등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작업자를 포함한 작업장의 영상(101)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100), 개별 안전보호구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해당 안전보호구를 적절하게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착용센서(200), 작업자가 착용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안전보호구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101)과 상기 착용센서(200)의 검출결과값(201)을 수신하고 분석서버(4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300), 상기 통신모듈(3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101)과 검출결과값(201)을 분석하는 분석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용센서(200) 및 통신모듈(300)과 접촉하여 해당 작업자의 ID(501)와 그 작업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전보호구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는 ID카드(50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분석서버(400)는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101)에서 작업자와 안전장구를 검출하여 개별 작업자가 해당 안전장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착용센서(200)의 검출결과값(201)을 기준으로 개별 안전장구에 대한 적정 착용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100)는 작업장의 내부 또는 작업장을 조망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작업장내에 위치하는 작업자(근로자)와 안전보호구 등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CCTV용 카메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촬영 영상(101)은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그 흑백, RGB, 열화상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사양에 따라 해상도 등을 달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착용센서(200)는 안전모, 안전화, 안전대, 보안경, 안전장갑, 보안면, 방진마스크, 방독마스크, 귀덮개 또는 귀마개, 보호복 등의 안전보호구에 설치되어 해당 안전보호구를 작업자가 적정하게 착용하였는지를 검출하는 것으로 차량용 안전벨트의 경우와 같이 체결구 간의 결합 여부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도전로를 형성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신체에의 밀착정도를 신체와 접촉하는 면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측정하거나 해당 면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통하여 그 적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경우 착용센서의 검출결과값은 도전로 형성에 따른 전류값, 전압값 또는 저항값(또는 정전용량, 임피던스)또는 이들 값의 변동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분석서버(400)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 클라우드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통신모듈(300)은 LTE,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ID카드(500)는 출입증, 교통카드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FID나 NFC 방식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석서버(400)가 개별 작업자의 ID와 시간단위로 수행하는 작업의 종류 및 그 작업의 수행에 필요한 안전보호구의 종류*수량 정보(502)를 포함하는 안전DB부(401)를 포함하며, 통신모듈(300)은 해당 통신모듈의 위치 정보(503)와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작업자의 ID(501)와 안전보호구의 종류*수량 정보(502)를 분석서버(400)에 추가로 전송하며, 분석서버(400)는 통신모듈로부터 송신받은 위치정보(503)를 활용하여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101)에서 검출한 작업자를 개별 작업자 ID와 매칭시키고 안전DB부(401)와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작업자의 ID(501) 및 안전보호구의 종류*수량에 관한 정보(502)를 비교하여 개별 작업자가 필요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안전DB부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세부 직종 및 수행 작업에 따라 매우 상세하게 규정되어 있는 안전규정에 따라 필요로 하는 안전보호구를 개별 작업자(작업자 ID) 및 해당 업무 수행시간 등을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화일을 포함하는 저장매체로 구성될 수 있고, 안전보호구의 종류*수량 정보(502)는 산업안전보건법을 비롯하여 각종 세부 직종 및 수행업무의 종류에 대응하는 규정에 따라 정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모(201), 안전화(202), 안전대(203), 보안경(204), 안전장갑(205), 보안면(206), 방진마스크(207), 방독마스크(208), 귀덮개(209), 보호복(2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안전보호구를 포함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장의 출입구(601)에 설치되어 작업자 및 관리자가 식별 가능한 신호를 표출하는 표출부(6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카메라(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작업장 출입구(601)의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분석서버(400)는 상기 출입구(601)를 출입하는 작업자에 대하여 필요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표출부(6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상기 표출부(600)은 음향신호, 시각신호를 표출하는 장치나 차단봉(바) 등과 같이 구동하는 방식의 기계구조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센서(200)가 해당 안전보호구를 착용한 작업자의 생체신호(211)를 측정하며, 그 생체신호(211)는 체온, 호흡수, 심박수, 혈압, 산소포화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해당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착용센서(200)는 비접촉 레이더 센서 또는 비접촉 광학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비접촉 레이더 센서의 경우 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CW(Continuous Wave), FMCW(Frequency Modulated CW), SFCW(Stepped Frequency CW), UWB(Ultrawideband)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변조 전달 방법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안전보호구에 설치되는 경고부(700)를 가로 포함하며, 상기 분석서버(400)는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았거나 적정하게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에 대한 경고신호를 해당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보호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300)로 전송하고 상기 경고부(700)는 진동신호, 전기자극, 음향신호, 광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100)가 고부(107)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석서버(400)는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았거나 적정하게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에 대한 경고신호를 해당 작업자의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100)로 전송하고 상기 경고부(107)는 음향신호, 광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고부(700, 107)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나 그 위치에 따라 제공하는 경고신호의 종류를 달리하여 구성한 사례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DB부(401)가 행 작업의 종류에 따른 직종별 최소 작업인원의 수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통신모듈(300)이 용센서(200)의 검출결과값과 함께 해당 안전보호구를 착용한 작업자의 ID(501)을 추가로 분석서버(400)에 전송하며, 분석서버(400)가메라(100)가 촬영한 영상(101)에서 검출한 개별 작업자의 ID(501)와 안전DB부(401)의 정보를 비교하여 수행 작업의 종류에 따른 직종별 최소 작업인원의 수가 준수되고 있는지를 판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별 작업자 단위의 안전보호구 착용 여부 뿐만 아니라 단위 수행업무 단위로 필요로 하는 직종별 최소 인원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측면에 있어서 유용성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 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작업자를 포함한 작업장의 영상(101)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100);
    개별 안전보호구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해당 안전보호구를 적절하게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착용센서(200);
    작업자가 착용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안전보호구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101)과 상기 착용센서(200)의 검출결과값(201)을 수신하고 분석서버(4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300);
    상기 통신모듈(3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101)과 검출결과값(201)을 분석하는 분석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용센서(200) 및 통신모듈(300)과 접촉하여 해당 작업자의 ID(501)와 그 작업자가 착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전보호구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는 ID카드(50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분석서버(400)는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101)에서 작업자와 안전장구를 검출하여 개별 작업자가 해당 안전장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착용센서(200)의 검출결과값(201)을 기준으로 개별 안전장구에 대한 적정 착용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2.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서버(400)는 개별 작업자의 ID와 시간단위로 수행하는 작업의 종류 및 그 작업의 수행에 필요한 안전보호구의 종류*수량 정보(502)를 포함하는 안전DB부(401)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300)은 해당 통신모듈의 위치 정보(503)와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작업자의 ID(501)와 안전보호구의 종류*수량 정보(502)를 분석서버(400)에 추가로 전송하며,
    상기 분석서버(400)는 통신모듈로부터 송신받은 위치정보(503)를 활용하여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101)에서 검출한 작업자를 개별 작업자 ID와 매칭시키고 안전DB부(401)와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작업자의 ID(501) 및 안전보호구의 종류*수량에 관한 정보(502)를 비교하여 개별 작업자가 필요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3. 상기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보호구는 안전모(201), 안전화(202), 안전대(203), 보안경(204), 안전장갑(205), 보안면(206), 방진마스크(207), 방독마스크(208), 귀덮개(209), 보호복(210)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4. 상기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작업장의 출입구(601)에 설치되어 작업자 및 관리자가 식별 가능한 신호를 표출하는 표출부(6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작업장 출입구(601)의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분석서버(400)는 상기 출입구(601)를 출입하는 작업자에 대하여 필요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표출부(6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5. 상기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센서(200)는 해당 안전보호구를 착용한 작업자의 생체신호(211)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6. 상기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211)는 체온, 호흡수, 심박수, 혈압, 산소포화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7. 상기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착용센서(200)는 비접촉 레이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8. 상기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비접촉 레이더 센서는 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CW(Continuous Wave), FMCW(Frequency Modulated CW), SFCW(Stepped Frequency CW), UWB(Ultrawideband)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변조 전달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9. 상기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착용센서(200)는 비접촉 광학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10. 상기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안전보호구에 설치되는 경고부(700)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분석서버(400)는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았거나 적정하게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에 대한 경고신호를 해당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보호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300)로 전송하고
    상기 경고부(700)는 진동신호, 전기자극, 음향신호, 광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11. 상기 청구항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00)는 경고부(107)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석서버(400)는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았거나 적정하게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에 대한 경고신호를 해당 작업자의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100)로 전송하고
    상기 경고부(107)는 음향신호, 광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12. 상기 청구항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DB부(401)는 수행 작업의 종류에 따른 직종별 최소 작업인원의 수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300)은 착용센서(200)의 검출결과값과 함께 해당 안전보호구를 착용한 작업자의 ID(501)을 추가로 분석서버(400)에 전송하며,
    상기 분석서버(400)는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101)에서 검출한 개별 작업자의 ID(501)와 안전DB부(401)의 정보를 비교하여 수행 작업의 종류에 따른 직종별 최소 작업인원의 수가 준수되고 있는지를 판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 안전장구 착용 감시시스템
KR1020220022927A 2022-02-22 2022-02-22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 KR20230125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927A KR20230125995A (ko) 2022-02-22 2022-02-22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927A KR20230125995A (ko) 2022-02-22 2022-02-22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995A true KR20230125995A (ko) 2023-08-29

Family

ID=8780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927A KR20230125995A (ko) 2022-02-22 2022-02-22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9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063B1 (ko) * 2023-09-26 2023-12-27 주식회사 윈스퍼트 환경기초시설 작업자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314B1 (ko) 2016-10-28 2018-06-28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KR102151987B1 (ko) 2018-11-23 2020-09-04 한국과학기술원 프록시 서버에서 프록시 서버 기능을 호스트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로 동적으로 이양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록시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314B1 (ko) 2016-10-28 2018-06-28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KR102151987B1 (ko) 2018-11-23 2020-09-04 한국과학기술원 프록시 서버에서 프록시 서버 기능을 호스트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로 동적으로 이양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록시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063B1 (ko) * 2023-09-26 2023-12-27 주식회사 윈스퍼트 환경기초시설 작업자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54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real-time analysis from multi-modal data fusion for contextual risk identification
KR101671209B1 (ko)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Dong et al. Fatal falls and PFAS us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indings from the NIOSH FACE reports
Shrestha et al. Hard-hat detection for construction safety visualization
Gheisari et al. Using unmanned aerial systems for automated fall hazard monitoring
Benny et al.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nd accident control measures
Costa et al.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safety inspection
KR20230125995A (ko) 컴퓨터 비전 및 IoT 센서 기반의 안전보호구 감시 시스템
Alizadehsalehi et al. UAS-BIM based real-time hazard identification and safety monitoring of construction projects
Fullerton et al. Pro-active-real-time personnel warning system
Karakhan et al. Technology’s role in safety management
Thirumalai et al. Study and analysis of safety management system at granite mining industry using non-conventional machining process
Adekunle et al. Analytical study of casualti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Nigeria with a view to provide remedial measures: case study of Lagos state
KR102534819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 대한 안전 감시를 위한 매뉴얼 제공 및 결과 보고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3104257A2 (de) Verfahren und system zur lageermittlung und einsatzdokumentation bei gefahrguteinsätzen
Choi et al. Developing safety checklists for predicting accidents
Uzun et al. Hierarchy of Control Measures for Common Construction Activities: A Field Study
Eiter et al. Imminent danger:: Characterizing uncertainty in critically hazardous mining situations
Matsimbe et al. Application of the bowtie method in accident analysis: Case of Kaziwiziwi coal mine
Machfudiyanto et al. Development of a Risk-Control Safety Program as an Architectural Contractor Guideline on Flats Project.
DE10201900447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von unsicheren handlungen oder unsicheren situationen während der konstruktion oder reparatur von bauwerken
Davis Memorandum
KR102519626B1 (ko) 송전 및 배전 작업환경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
Terrero et al. Construction industry safety measures
WO20221130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a hazard ev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