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774B1 -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774B1
KR101250774B1 KR1020110040707A KR20110040707A KR101250774B1 KR 101250774 B1 KR101250774 B1 KR 101250774B1 KR 1020110040707 A KR1020110040707 A KR 1020110040707A KR 20110040707 A KR20110040707 A KR 20110040707A KR 101250774 B1 KR101250774 B1 KR 101250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system
monitoring device
danger zone
person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386A (ko
Inventor
윤영기
Original Assignee
윤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기 filed Critical 윤영기
Publication of KR2012009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험지역 감시장치는, 위험 지역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탑재되며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경고음이 저장되어 있는 내부 메모리; 관리시스템과의 신호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부a;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경고음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부a를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 측으로 상기 사람의 접근 사실을 통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출입하는 것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Apparatus for alarming dangerous zone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작업자 또는 비승인 인원이 위험 지역에서 안전사고를 당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 곳곳에는 위험 지역이 산재하여 있으며, 승인되지 않은 인원이나 일반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서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산업 현장의 안전 사고에 의한 산재보상금 등의 간접손실액은 2007년 기준 16조 2천억원에 이르며, 산업재해자는 9만여명이 넘는다. 따라서 시설보안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과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기존의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설비로는 위험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는 펜스나 출입 통제를 알리는 안내문 등이 전부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방심하는 사이 위험 지역에 진입할 수도 있으며, 더군다나 위험 지역에 출입한 것을 관리자는 즉각 알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접근할 경우 위험 지역임을 다양한 신호로 알려주고, 즉각적으로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험지역 감시장치는, 위험 지역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탑재되며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경고음이 저장되어 있는 내부 메모리; 관리시스템과의 신호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부a;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경고음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부a를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 측으로 상기 사람의 접근 사실을 통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 메모리를 인식하는 메모리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슬롯에서 상기 외부 메모리가 인식되면,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경고음을 상기 내부 메모리에 복사할 수 있다.
또한, 출입카드를 인식하는 카드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출입카드가 기 설정된 출입이 허용된 출입카드인 것이 확인되면 상기 경고음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로부터 상기 사람의 접근 사실을 통보 받는 상기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시스템은, 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와의 신호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부b; 상기 통신부b를 통해 상기 사람의 접근 사실을 통보 받으면 문자메시지를 생성하는 문자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문자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를 기 지정된 휴대단말 측으로 전송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 또는 비승인 인원이 위험 지역에 접근할 시 경광등이나 경고음으로 위험 지역임을 알림으로써 경각심을 일깨워 줄 수가 있다.
또한 작업자 또는 비승인 인원이 위험 지역에 접근하였다는 사실을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위험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안전 관리 시스템의 위험지역 감시장치와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는 웹 기반의 관리자 전용프로그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안전 관리 시스템의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와 관리시스템(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은 위험지역 감시장치(100) 및 관리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는 공사 현장이나 공장 등, 산업 현장 곳곳에 산재하고 있는 위험 지역 인근에 설치된다. 이러한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는 본체(105), 인체감지센서(110), 제어부a(150), 스피커(125), 내부 메모리(135), 경광등(130), 통신부a(145), 스위치(120), 카드인식부(115) 및 메모리 슬롯(140)을 포함한다.
본체(105)는 위험 지역에 설치되어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의 다른 구성들이 탑재될 수 있는 기본적인 골격이다. 이러한 본체(105)는 기둥이나 볼라드 형상일 수도 있으며, 실시하기에 따라 벽이나 펜스 등에 고정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즉,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며 앵커 볼트 체결로 지지되는 등 설치와 해체가 간편한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체감지센서(110)는 본체(105)에 탑재되며 사람이 접근하는지 감지한다. 즉, 작업자나 비승인 인원이 위험 지역임을 알거나 알지 못한 상태로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경우 이를 인식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a(150)는 인체감지센서(110)에서 사람이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면, 내부 메모리(135)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 형태의 경고음을 로딩하여 스피커(125)를 통해 출력한다. 즉 접근하고 있는 곳이 위험 지역이므로 경고음을 울려 주의를 주는 것이다. 따라서 위험 지역임을 알지 못하고 접근한 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줌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해줄 수가 있다.
그러나 공사 현장이나 공장 등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스피커(125)를 통해 출력되는 경고음이 잘 들리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a(150)는 경광등(130)을 작동시켜 조명을 비춰줌으로써 접근 지역이 위험한 곳임을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도 있다.
한편 해당 지역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경고음이나 경광등(130) 작동에 의해 위험 지역인 것을 인지하였더라도, 위험 상황에서 제대로 대처를 하지 못하여 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즉각적인 사고 수습이 이루어진다면 큰 화를 면할 수도 있겠지만, 기존에는 위험 지역의 상황을 다른 지역에서 알아차리는 것이 쉽지가 않았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현장을 관리하는 통제실 등에 설치된 관리시스템(200) 측과 유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처리하는 통신부a(145)를 포함한다. 통신부a(145)는 RS232C 통신, TCP/IP LAN 통신 또는 1Km 이내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400Mhz 대역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관리시스템(20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즉, 제어부a(150)는 인체감지센서(110)에서 사람의 접근을 인지하였을 경우 통신부a(145)를 통해 사람이 접근하였다는 신호를 관리시스템(200) 측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a(150)는 위험지역 감시장치(100)가 어느 위치에 설치되었는지를 알릴 수 있는 고유코드를 함께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리시스템(200)에서는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로부터 위험 지역에 사람이 접근하였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이나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즉각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시스템(200)에 대한 설명은 이후 다시 하도록 한다.
한편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는 접근한 사람이 누를 수 있는 스위치(120)를 더 포함한다. 즉,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의 본연의 목적은 위험 지역임을 모르고 접근한 사용자에게 경고를 알리는 것이다. 하지만 승인된 작업자가 본연의 업무를 위해 접근한 상황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속적으로 경고음이 울리고 경광등(130)이 작동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승인된 작업자가 스위치(120)를 누를 경우 제어부a(150)는 경고음의 출력과 경광등(130)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스위치(120) 외에도 승인된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출입카드를 이용하여 경고음의 출력과 경광등(130)의 작동을 중단할 수도 있다. 즉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에 설치된 카드인식부(115)에 작업자가 소지한 출입카드를 근접시키면, 카드인식부(115)는 출입카드의 고유ID를 인식하며, 제어부a(150)는 카드인식부(115)에서 인식된 고유ID가 기 설정된 출입이 허용된 출입카드인지 판단하며, 출입이 허용된 출입카드로 판단되었을 경우 경고음의 출력과 경광등(130)의 작동을 중단하는 것이다.
물론 제어부a(150)는 스위치(120)의 누름 또는 출입이 허용된 출입카드가 인식되었다는 정보를 통신부a(145)와 연계하여 관리시스템(200)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시스템(200)에서 승인된 자가 위험 지역에 출입하는 것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는 외부 메모리를 인식하는 메모리 슬롯(140)을 더 포함한다. 즉, 위험지역 감시장치(100)가 설치되는 곳의 특성에 따라 경고음이 달라질 수도 있고, 출입이 승인되는 출입카드가 달라질 수도 있는 등 상황에 따라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의 작동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메모리(135)에 저장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부a(150)의 작동을 소프트웨어 적으로 업데이트(펌웨어 업데이트)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업데이트 작업은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의 외부에 마련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단말과 케이블 연결을 하여 수행토록 할 수도 있지만, 업데이트해야 할 경고음이나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는 외부 메모리를 메모리 슬롯(140)에 접속시킴으로써, 이를 인식한 제어부a(150)가 자동으로 업데이트 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오디오 파일 형태로 경고음이 저장되어 있는 SD 메모리 등의 외부 메모리를 메모리 슬롯(140)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어부a(150)가 외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고음을 로딩하여 스피커(125)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에는 인체감지센서(110) 이외에도 온도, 습도, 가스 등의 상황을 인지하는 다른 센서들이 더 탑재될 수도 있으며, 각 센서들에서 감지한 상황에 따라 제어부a(150)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는 조명등(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위험 지역을 밝혀줄 수 있도록 하여 야간에 접근하는 자에게 시야를 확보해줄 수도 있다.
관리시스템(200)은 통신부b(205), 제어부b(225), 경고 발생부(210), 화면 출력부(215), 문자메시지 생성부(230), 문자메시지 전송부(235) 및 출입기록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b(205)는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와의 신호 송수신을 처리한다. 즉,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에서 위험 지역에 사람이 접근하였다는 정보를 송신하면, 통신부b(205)에서 이를 수신한다.
제어부b(225)는 통신부b(205)를 통해 위험지역 감시장치(100) 인근에 사람이 접근하였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경고 발생부(210)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b(225)는 화면 출력부(215)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신호를 보낸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의 위치를 출력하도록 한다. 경고음 발생이나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의 위치 표시는 관리시스템(200)과 연계된 별도의 관리자 단말(250)을 통해서 출력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관리시스템(200)이 설치된 통제실에 근무하는 관리자는 위험 지역에 사람이 접근하였음을 확인하여 즉각적으로 대처를 할 수가 있다.
하지만 관리시스템(200)이 설치된 통제실에 항상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위험 지역에 사람이 접근한 것을 알지 못하여 초동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관리시스템(200)은 문자메시지 생성부(230) 및 문자메시지 전송부(235)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어부b(225)는 통신부b(205)를 통해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에 사람이 근접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면, 이에 대한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문자메시지 생성부(230)를 제어한다.
문자메시지 생성부(230)는 기 저장된 내용의 텍스트열과 통신부b(205)를 통해 수신한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의 고유코드 등의 내용을 조합하여 문자메시지를 생성하며, 문자메시지 전송부(235)는 생성된 문자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미리 지정되어 있는 현장 관리자의 휴대단말(3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시스템(200)이 설치된 통제실에 관리자가 근무하고 있지 않더라도, 위험지역 감시장치(100) 인근에 위치한 현장 관리자에게 즉각 사실을 알려 현장 출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에서 출입카드를 인식시켜 작업자가 출입하였을 경우,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의 제어부a(150)는 통신부a(145)를 통해 카드인식부(115)에서 인식된 출입카드의 고유ID를 관리시스템(200) 측으로 전송하며, 관리시스템(200)의 제어부b(225)는 통신부b(205)를 통해 수신한 출입카드의 고유ID를 출입기록 저장부(240)를 통해 저장매체(245)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위험 지역에 출입한 작업자들의 상황을 데이터화 하여 작업자들의 효율적인 관리도 가능하다.
한편 관리시스템(200)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250)에 설치된 웹 기반의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시스템(200)과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의 상황을 파악하거나, 설정을 바꾸거나, 관련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거나, 출입 기록 등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를 기준으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고 관리시스템(200)에 통보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는 일정한 구역(단위 건설 현장이나 공장 등) 내에 다수 설치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은 하나의 관리시스템(200)에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300)을 소지한 현장 관리자도 다수가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에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였을 경우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당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에서 가장 곳에 위치하고 있는 현장 관리자의 휴대단말(300)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리시스템(200)은 휴대단말(3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GPS 방식 이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로부터 사람이 접근하였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현장 관리자의 휴대단말(300)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는 항상 위험한 상황인 곳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위험한 상황과 안전한 상황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예컨대, 공장에서 특정 기계가 작동하면 주변의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가거나 유해 가스가 방출되어 위험한 상황이 만들어지는 경우이다. 이 경우 해당 기계 인근에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를 설치하여 접근하는 사람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위험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경고음 발생이나 경광등(130) 작동을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경고 발생이 일어나지 않도록 위험지역 감시장치(100)는 추가적인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황에 적절하게 경고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위험지역 감시장치(100)가 온도센서(미도시) 또는 가스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a(150)는 온도가 일정 기준 이상 올라가는지, 또는 유해 가스가 방출되고 있는지를 감시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온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였을 경우에는 위험 상황이기 때문에 사람이 접근할 시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그렇지 아니할 경우에는 위험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이 접근하지 않더라도 경고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에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추가하고, 제어부a(150)의 설정을 변경해줌으로써, 다양한 상황 변화에 따른 작동이 가능하다.
한편,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에서 제어부a(150)를 비롯한 일부구성은 칩 형태로 구현되어 PCB에 장착될 수 있으며, PCB에 마련된 입출력 포트를 통해 나머지 구성들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PCB에 장착(또는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a(145)는 LAN을 이용한 유선통신 방식으로 관리시스템과 정보를 주고 받거나, 또는 400MHz 대역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주고 받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의 통신부a(145)와 관리시스템(200)의 통신부b(205)는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 방식을 활용하여 스크립트를 직접 호출하고 응답하는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의 제어부a(150)는 통신부a(145)를 통해 관리시스템(200) 측으로부터 인증키와 암호형식을 제공 받아 건 별로 적용 처리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위험지역 감시장치(100)가 관리시스템(200)에 초기 접속하였을 시에는 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 받으며, 이를 통해 제어부a(150)는 자동으로 업데이트 처리를 한다.
또, 위험지역 감시장치(100)와 관리시스템(200)은 별도의 중계 장치나 중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직접 통신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위험지역 감시장치
105 : 본체
110 : 인체감지센서
115 : 카드인식부
120 : 스위치
125 : 스피커
130 : 경광등
135 : 내부 메모리
140 : 메모리 슬롯
145 : 통신부a
150 : 제어부a
200 : 관리시스템
205 : 통신부b
210 : 경고 발생부
215 : 화면 출력부
220 : 디스플레이부
225 : 제어부b
230 : 문자메시지 생성부
235 : 문자메시지 전송부
240 : 출입기록 저장부
245 : 저장매체
250 : 관리자 단말
300 : 휴대단말

Claims (4)

  1. 위험 지역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탑재되며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경고음이 저장되어 있는 내부 메모리;
    관리시스템과의 신호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부a;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경고음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부a를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 측으로 상기 사람의 접근 사실을 통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로부터 상기 사람의 접근 사실을 통보 받는 상기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이며,
    상기 관리시스템은,
    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와의 신호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부b;
    상기 통신부b를 통해 상기 사람의 접근 사실을 통보 받으면 문자메시지를 생성하는 문자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문자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를 기 지정된 휴대단말 측으로 전송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사람의 접근을 인지하였을 경우 상기 통신부a를 통해 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가 어느 위치에 설치되었는지를 알릴 수 있는 고유코드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는 온도센서 또는 가스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가 일정 기준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가스감지센서가 유해가스를 감지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는
    외부 메모리를 인식하는 메모리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슬롯에서 상기 외부 메모리가 인식되면,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경고음을 상기 내부 메모리에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지역 감시장치는
    출입카드를 인식하는 카드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출입카드가 기 설정된 출입이 허용된 출입카드인 것이 확인되면 상기 경고음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관리시스템.
  4. 삭제
KR1020110040707A 2011-02-22 2011-04-29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250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5747 2011-02-22
KR1020110015747 2011-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386A KR20120096386A (ko) 2012-08-30
KR101250774B1 true KR101250774B1 (ko) 2013-04-03

Family

ID=4688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707A KR101250774B1 (ko) 2011-02-22 2011-04-29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7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9771A (zh) * 2013-11-10 2014-02-05 孙生强 一种顶楼防坠楼安全系统
KR101641868B1 (ko) 2016-02-17 2016-07-22 (주)시엠아이코리아 실시간 지역안전 정보관리 시스템
US11328582B1 (en) 2021-07-07 2022-05-10 T-Mobile Usa, Inc. Enhanced hazard detection device configured with security an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KR102498884B1 (ko) 2022-11-04 2023-02-10 주식회사 레딕스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925B1 (ko) * 2014-11-25 2015-01-20 이요훈 스마트 안전 관리 서비스 시스템
CN106297191B (zh) * 2016-11-12 2018-12-04 南华大学 有限空间内生命安全自动监测及预警系统
KR102525456B1 (ko) * 2017-04-25 2023-04-2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제조장비 안전운전 방법 및 시스템
CN112419636A (zh) * 2020-09-28 2021-02-26 辉瑞(山东)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危险区域自动感应识别报警装置
KR102603112B1 (ko) * 2021-08-11 2023-11-15 최종운 스마트 펜스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문화재 안전관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587A (ko) * 2000-05-04 2001-11-14 (주)애니컨트롤 지능형 보안체제 시스템
KR20090098519A (ko) * 2008-03-14 2009-09-17 금병엽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KR100989237B1 (ko) * 2008-12-24 2010-10-20 송문석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 경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587A (ko) * 2000-05-04 2001-11-14 (주)애니컨트롤 지능형 보안체제 시스템
KR20090098519A (ko) * 2008-03-14 2009-09-17 금병엽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KR100989237B1 (ko) * 2008-12-24 2010-10-20 송문석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 경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9771A (zh) * 2013-11-10 2014-02-05 孙生强 一种顶楼防坠楼安全系统
KR101641868B1 (ko) 2016-02-17 2016-07-22 (주)시엠아이코리아 실시간 지역안전 정보관리 시스템
US11328582B1 (en) 2021-07-07 2022-05-10 T-Mobile Usa, Inc. Enhanced hazard detection device configured with security an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KR102498884B1 (ko) 2022-11-04 2023-02-10 주식회사 레딕스 현장 작업자와 화물차 기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386A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774B1 (ko)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80095261A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0779727B1 (ko)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5139B1 (ko)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90108960A (ko) 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20090000241A (ko) 이동형 건설현장 안전 및 인력 관리 시스템
KR102248180B1 (ko) 무선 비상벨과 이를 포함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KR102110146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KR100769562B1 (ko) 감시지역의 비상경보 시스템 및 방법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系统
JP2011095848A (ja) 事故防止監視制御システム
JP2013242642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CA3144056A1 (en) Safety management and building oper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s
JP2008146302A (ja) 作業安全管理及び指示報知システム
KR102250667B1 (ko) 위험지역 접근시 경보발생 시스템
KR20090089142A (ko)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763448B1 (ko)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WO2000068908A1 (en) Surveillance system
KR100863459B1 (ko) 터널안전관리장치
KR101957982B1 (ko) 비콘태그를 이용한 안전활동 스마트 tbm 시스템
CN111223271A (zh) 电力系统防触电保护装置和方法
AU2019340238B2 (e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
KR101221490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KR102581915B1 (ko) 위험 상황 및 화재 상황 감지 또는 발생 시 개별 모바일 기기로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디바이스 및 개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알림 구조를 갖는 서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TWI704268B (zh) 機具警示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