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490B1 -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490B1
KR101221490B1 KR1020110025629A KR20110025629A KR101221490B1 KR 101221490 B1 KR101221490 B1 KR 101221490B1 KR 1020110025629 A KR1020110025629 A KR 1020110025629A KR 20110025629 A KR20110025629 A KR 20110025629A KR 101221490 B1 KR101221490 B1 KR 101221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voice
memor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089A (ko
Inventor
안정승
송문석
Original Assignee
송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문석 filed Critical 송문석
Priority to KR102011002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49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은, 화재 감지센서 모듈이 구비되는 센서부,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메모리 접속부, 상기 제1메모리 접속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부, 상기 제1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음성 신호로 송출하기 위한 제1음성 송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통제실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송신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긴급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통제실로 전송하고, 대피 정보를 제1음성 송출부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1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건물 내부의 화재 또는 방범 취약 위치에 다수개 배치되는 감지 단말기; 및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2메모리 접속부, 상기 제2메모리 접속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부,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음성 신호로 송출하기 위한 제2음성 송출부, 상기 무선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에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 신호를 상기 제2음성 송출부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2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건물 내부의 중앙 통제실에 배치되는 통제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Sound guidance system using radio communication for emergency}
본 발명은 긴급 상황을 알리는 음성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위치에 적합하도록 음성 안내를 통하여 대피를 유도함과 동시에 무선통신으로 통제실에 긴급 상황을 알려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재 경보 시스템은 각 지역에 화재감지센서를 설치하고, 화재발생시 화재경보장치로 알려주면, 화재경보장치는 화재경보를 울리고, 각종 피난 유도등과 비상조명등 등을 제어하여 건물 내의 사람들이 대피하도록 유도한다. 즉 종래의 화재 경보 시스템은, 화재 발생시, 감지기에서 화재시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또는 연소 생성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경보장치로 전송하면, 화재경보장치에서 화재의 발생을 사이렌과 같은 경보음을 통하여 알려준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 육안에 의한 화재 감시의 한계로 인해 열 센서에 의한 감지 시스템, 연기 센서에 의한 감지 시스템, 영상을 통한 감지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재 경보 시스템은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인명 및 재산 피해 없이 대피하도록 안내하기 위해서 화재 발생에 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이 필수적이다. 종래의 화재 경보 시스템에서는 화재발생시 건물 전체 경보 시스템이 발동하여 건물 전체에 알람이 울리는데 어느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그리고 어떤 경로로 대피해야하는지는 통제소에서의 관계자에 의한 방송 시스템을 통한 방송으로 안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화재 발생시 실 상황에 맞는 음성 메시지를 송출함으로써,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화재 발생 상황을 통제실로 전송하여 보다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재에 의한 긴급 상황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방범 시스템에도 적용되어, 외부인의 무단 침입에 대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 감지센서 모듈이 구비되는 센서부,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메모리 접속부, 상기 제1메모리 접속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부, 상기 제1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음성 신호로 송출하기 위한 제1음성 송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통제실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송신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긴급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통제실로 전송하고, 대피 정보를 제1음성 송출부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1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건물 내부의 화재 또는 방범 취약 위치에 다수개 배치되는 감지 단말기; 및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2메모리 접속부, 상기 제2메모리 접속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부,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음성 신호로 송출하기 위한 제2음성 송출부, 상기 무선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에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 신호를 상기 제2음성 송출부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2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건물 내부의 중앙 통제실에 배치되는 통제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기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수신부로 전송되는 정보에는, 상기 감지 단말기의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제실 단말기는, 다수의 상기 감지 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유 식별 코드에 의하여 감지 단말기를 식별하여 순차적으로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말기는, 침입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무단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통제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은, 화재 발생시 상황에 맞는 긴급 상황을 음성 메시지로 안내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통제실로 전송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건물 내부의 여러 곳에서 화재 발생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도 고유 식별 코드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음성 메시지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에 의한 긴급 상황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방범 시스템에도 적용되어, 외부인의 무단 침입에 대하여도 무선통신을 이용한 음성으로 안내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에 대한 감지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에 대한 통제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2의 감지 단말기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에 대한 감지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에 대한 통제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은, 건물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을 감시하는 감지 단말기(10)와 상기 감지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긴급 상황을 통제하기 위한 통제 단말기(2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감지 단말기(10)는 건물 내부에 화재나 외부로부터의 무단 침입을 감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화재나 방범 등이 취약한 위치의 건물 내외부에 설치되며, 건물 전체에 대하여 다수개 설치된다. 이때, 각 감지 단말기(10)에는 해당 감지 단말기(10)를 판별하기 위한 고유 식별 코드가 부여된다. 감지 단말기(10)는 긴급 상황의 발생을 감시함과 동시에 이러한 정보를 통제실로 전송하고, 건물 내부의 거주자들에게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통제 단말기(20)는 상기 감지 단말기(10)로부터 긴급 상황의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확인하여 신속히 대응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건물의 중앙 통제실에 설치된다. 특히, 감지 단말기(10)와 통제 단말기(2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각 감지 단말기(10)에서 감지되는 긴급 상황의 정보가 중앙 통제실의 통제 단말기(20)로 전송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은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용 건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건물에 적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감지 단말기(10)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20), 외부로부터 음성 안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메모리 접속부(130),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40),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정보를 음성 신호로 송출하기 위한 음성 송출부(150), 센서부(120)에서 감지되는 화재에 대한 정보를 통제실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송신부(160) 및 상기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부(11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감지 단말기(10)에 있어서, 센서부(120)는 건물에 발생하는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센서(121)와 상기 센서(121)를 구동하기 위한 센서 모듈(12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센서부(120)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열 또는 연기 감지 센서(121)와 그 모듈(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20)는 중앙처리부(110)에 연결되어 제어되며,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그 신호가 중앙처리부(110)로 전송된다.
메모리 접속부(130)는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에 대한 경보와 대피 경로 등의 안내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USB 드라이버(13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지 단말기(10)는 건물 내외부의 여러 곳에 설치될 수 있는데, 각 감지 단말기(10)가 설치되는 위치마다 대피 경로를 서로 달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감지 단말기(10)마다 각 감지 단말기(10)가 설치된 위치에서 가장 적합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음성 안내 정보가 입력되며, 이를 위하여 감지 단말기(10)에는 외부에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모리 접속부(130)가 별도로 구비된다. 또한, 안내 정보는 음성 메시지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피자는 음성 안내 정보에 따라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음성 안내 정보는 TTS(Text To Speech)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가장 적합한 대피 경로를 기록한 문자 파일을 음성 파일로 변환하고, 변환된 다수개의 음성 파일을 USB 메모리(131) 등에 저장한 후, 음성 파일 형태로 USB 드라이버(132)를 통하여 각각의 해당 감지 단말기(10)에 입력하게 된다.
메모리부(140)는 상기 메모리 접속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송출부(150)는 건물 내부의 거주자들에게 비상 상황을 알리고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센서부(120)를 통하여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음성 안내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여, 거주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음성 송출부(150)는 저장된 음성 파일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코덱(151),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152),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스피커(153) 등으로 구성된다.
무선송신부(160)는 센서부(120)를 통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에 대한 긴급 상황을 중앙통제실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정보 전송 모듈(Transmitter Module, 161)과 안테나(162)가 구비된다. 이때, 무선 송신부(160)를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로는 화재 발생 정보와 함께 해당 감지 단말기(10)의 고유 식별 코드가 함께 전송되어, 통제 단말기(20)에서 어느 위치의 감지 단말기(10)에서 화재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처리부(110)는 센서부(120), 메모리 접속부(130), 메모리부(140), 음성 송출부(150) 및 무선송신부(16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유닛(CPU)이다. 즉, 메모리 접속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안내 정보를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센서부(120)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음성 안내 정보를 음성 송출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한다. 또한, 센서부(120)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정보를 감지 단말기(10)의 고유 식별 코드와 함께 무선송신부(160)를 통하여 통제 단말기(2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감지 단말기(10)는 단말기가 설치된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음성 안내 방송을 통하여 주변의 거주자들에게 신속하고 안전한 경로로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무선 통신으로 화재 발생 사실을 통제실로 알림으로써,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통제 단말기(20)는 외부로부터 음성 안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메모리 접속부(230),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40),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음성 신호로 송출하기 위한 음성 송출부(250), 감지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부(260) 및 상기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부(2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접속부(230), 메모리부(240) 및 음성 송출부(250)는, 감지 단말기(10)의 메모리 접속부(130), 메모리부(140) 및 음성 송출부(15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통제 단말기(20)에서 입력, 저장 및 송출되는 음성 정보 내용을 감지 단말기(10)의 음성 정보 내용과 달리한다. 즉, 통제 단말기(20)에서는 화재 발생 위치와 대응 정보를 통제실 근무자에게 음성 정보로 알려주게 된다. 이를 위하여 메모리부(250)에는 화재 발생시의 초기 대응 방안, 긴급 조치 사항, 처리 지침 등을 포함하는 대응 정보가 저장되고, 화재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이러한 대응 정보를 음성 정보로 안내한다. 여기서, 화재 발생 위치는 전송되는 감지 단말기(10)의 고유 식별 코드를 분석하여 판단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고유 식별 코드에 따른 감지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와 음성 코딩 정보가 미리 설정 및 입력된다. 또한, 화재 발생에 따른 대응 정보는 화재 발생 시기와 상황에 적절한 정보가 메모리 입력부(230)로 입력되어, 메모리부(240)에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부(240)에는 대응 정보와 함께 통제실에서의 가장 적절한 대피 정보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음성 송출부(250)에서는 화재 발생시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대응 정보, 대피 정보를 통제실 근무자에게 안내한다.
그리고, 무선수신부(260)는 감지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정보 수신 모듈(Receiver Module, 261)과 안테나(262)가 구비되어, 무선송신부(160)와 함께 무선통신망을 형성한다. 또한, 중앙처리부(210)는 상기 메모리 입력부(230), 메모리부(240), 음성 송출부(250) 및 무선수신부(260)의 구동을 제어하며, 중앙 제어 유닛(CPU)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감지 단말기와 통제 단말기가 무선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신속히 중앙 통제실로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서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를 유도하고, 통제실에서는 신속하고 적절한 초기 대응을 유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감지 단말기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음성 안내 시스템은, 화재 발생뿐만 아니라 외부의 무단 침입에 의한 긴급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단말기(10)에는 센서부(120)가 적외선 센서(123)와 그 모듈(124)로 구성된다. 즉, 외부로부터의 무단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 단말기(10)의 음성 송출부(150)를 통하여 침입자에게 경고하고, 통제실의 관리자에게는 통제 단말기(20)의 음성 송출부(250)를 통하여 위치를 포함하는 침입 정보와 대응 방안을 알리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 메모리부(140,240)에는 해당 상황에 적절한 음성 정보가 저장된다. 무단 침입을 감지하는 센서로는, 화상 또는 적외선 카메라, 열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음성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감지 단말기(10)는 다수개가 설치되는데 동시에 복수개의 감지 단말기(10)에서 긴급 상황이 감지되어 통제 단말기(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제 단말기(20)에서는 함께 전송되는 각 감지 단말기(10)의 고유 식별 코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음성 안내 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음성 안내는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감지 단말기 20 : 통제 단말기
110,210 : 중앙처리부 120,220 : 센서부
130,230 : 메모리 입력부 140,240 : 메모리부
150,250 : 음성송출부 160,260 : 무선송수신부

Claims (4)

  1. 화재 감지센서 모듈이 구비되는 센서부, 외부로부터 감지 단말기의 설치 위치에 따른 대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메모리 접속부, 상기 제1메모리 접속부에서 입력되는 대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부, 상기 제1메모리부에 저장된 대피 정보를 음성 신호로 송출하기 위한 제1음성 송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통제실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송신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긴급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정보와 감지 단말기의 고유 식별 코드를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통제실로 전송하고, 상기 제1메모리부의 대피 정보를 제1음성 송출부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1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건물 내외부의 화재 또는 방범 취약 위치에 다수개 배치되는 감지 단말기; 및
    외부로부터 상기 감지 단말기의 설치 위치에 따른 통제실의 대응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2메모리 접속부, 상기 제2메모리 접속부에서 입력되는 대응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부,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대응 정보를 음성 신호로 송출하기 위한 제2음성 송출부, 상기 무선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에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고유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감지 단말기의 설치 위치에 따른 상기 제2메모리부의 대응 정보를 상기 제2음성 송출부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2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건물 내부의 중앙 통제실에 배치되는 통제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 단말기는,
    다수의 상기 감지 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유 식별 코드에 의하여 감지 단말기를 식별하여 순차적으로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말기는,
    적외선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무단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통제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KR1020110025629A 2011-03-23 2011-03-23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KR10122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629A KR101221490B1 (ko) 2011-03-23 2011-03-23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629A KR101221490B1 (ko) 2011-03-23 2011-03-23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089A KR20120108089A (ko) 2012-10-05
KR101221490B1 true KR101221490B1 (ko) 2013-01-11

Family

ID=4727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629A KR101221490B1 (ko) 2011-03-23 2011-03-23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440B1 (ko) * 2022-06-14 2023-05-10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정보통신을 활용한 작업현장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635A (ko) * 1998-03-02 1999-10-05 박형식 경보시스템
KR20000051230A (ko) * 1999-01-19 2000-08-16 강영규 화재 감시 및 관리장치
KR20020030471A (ko) * 2000-10-18 2002-04-25 정인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시스템 제어방법
KR20040096579A (ko) * 2002-04-15 2004-11-1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635A (ko) * 1998-03-02 1999-10-05 박형식 경보시스템
KR20000051230A (ko) * 1999-01-19 2000-08-16 강영규 화재 감시 및 관리장치
KR20020030471A (ko) * 2000-10-18 2002-04-25 정인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시스템 제어방법
KR20040096579A (ko) * 2002-04-15 2004-11-1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089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207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12135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location based awareness of life safety sensors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07185A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893040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0475222Y1 (ko) 비상 대피 유도 장치
KR101842500B1 (ko) 지능형 화재 감지 시스템
KR20200013218A (ko)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110161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system device tamper detection
KR101573475B1 (ko) 침입감지시스템 및 침입감지방법
US984701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KR100628837B1 (ko) 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221490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KR100632445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 지점 및 대피 경로 모니터링시스템
KR20110007413A (ko) 인공지능형 화재경보 음향장치
US9697700B2 (en) Ambient condition detector with processing of incoming audible commands followed by speech recognition
KR102327158B1 (ko) Cctv 영상을 이용하는 원격 소방관리 시스템
KR20160093448A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KR102296974B1 (ko)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KR20220054029A (ko) 화재 알림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화재 알림 감지 시스템과, 화재 알림 감지 방법
KR20100000620A (ko) 침입감지 장치
KR102378816B1 (ko) 재실 인원수를 고려한 화재 대응 안내 장치 및 방법
JP7114421B2 (ja) 携帯端末、行動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