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974B1 -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974B1
KR102296974B1 KR1020190106467A KR20190106467A KR102296974B1 KR 102296974 B1 KR102296974 B1 KR 102296974B1 KR 1020190106467 A KR1020190106467 A KR 1020190106467A KR 20190106467 A KR20190106467 A KR 20190106467A KR 102296974 B1 KR102296974 B1 KR 102296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larm signal
management server
notification
fire hyd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128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102019010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9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0Monitoring of the annunciator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은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소화전 발신기 또는 화재 감지센서의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소화전 발신기 또는 상기 화재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전송받는 소화전 수신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전 수신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소화전 수신기와 상기 관리 서버 사이에서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통신 중계하는 IoT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FIRE HYDRANT BASED IoT FIRE ALARM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재 상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주자가 외출 등으로 외부에 있을 때에도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화재 상황에 따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실내에는 벽체에 콘센트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콘센트는 누전 또는 기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화재 발생 시 즉각적으로 주변에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기가 어려우며, 또한 초기 진화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형 화재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을 포함한 공동주택 등에서의 화재 발생 위험에 대처하고 정확하고 신속한 화재 경보 알림은 필수적이다. 화재 경보 및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하고 있으며 종래의 홈 기기나 화재 수신기를 이용한 경보 방법은 화재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재 발생 신호에 대해 경종 또는 램프 점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화재를 알리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화재 발생 통보는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좀 더 입주자에게 지능적이고 효과적인 화재 발생 경고 알림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외부 소음의 각 세대 내 인입을 차단하고자 최근 건축 방음 기술의 발달로 그 차단 수준이 높아 주거 환경 질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으나, 이는 공간 형태상 각 세대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특징과 함께 화재 발생 시 피난 안전성 측면에서 화재 발생 인지를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 발생 시 피난 안전성 측면에서 화재 인지 지연 문제점을 해소해야 하며, 한편으로 소음 차단 및 밀폐 공간이 특징인 공동주택에서 정확한 화재 발생 및 화재 위치 정보를 입주자에게 전달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대피를 유도해야 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0184호(발명의 명칭: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알림장치, 등록일자: 2017.03.21)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입주자가 외출 등으로 외부에 있을 때에도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소화전 수신기에 IoT 통신 모듈을 추가 부착함으로써 입주자 단말기를 통해 화재 상황에 따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은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소화전 발신기의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소화전 발신기로부터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전송받는 소화전 수신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전 수신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소화전 수신기와 상기 관리 서버 사이에서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통신 중계하는 IoT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IoT 통신 모듈은 상기 소화전 수신기의 통신 라인을 따서 상기 통신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을 알림 서비스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일정 주기로 상기 무선 통신망을 점검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 점검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일정 주기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IoT 통신 모듈에 싱크(Syn)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싱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oT 통신 모듈로부터 애크(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망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무선 통신망을 점검하라는 점검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oT 통신 모듈은 소방 점검 시 상기 소화전 수신기와 통신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해제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소방 점검 관련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소방 점검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소방 점검이 있는 것으로 판단 시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해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소방 점검 시 상기 알림 서비스의 해제 설정이 안 되어 있는 경우, 지금 경보는 소방 점검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은 상기 소화전 발신기에 구비된 태그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 후 실행되거나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 바로 실행되어 알림 서비스 등록을 위한 등록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등록 페이지에 입력되는 사용자 등록 정보를 토대로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화재 상황 알림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등록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그는 QR 코드, 바코드, RFID, NF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주자가 외출 등으로 외부에 있을 때에도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소화전 수신기에 IoT 통신 모듈을 추가 부착함으로써 입주자 단말기를 통해 화재 상황에 따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종 울림의 인지가 불가능한 청각장애인과 같은 경종 사각지대에 있는 입주자도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점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재 상황 알림 서비스에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를 '입주자'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입주자 단말기'로, '사용자 등록 정보'는 '입주자 등록 정보'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 및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님은 자명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100)은 소화전 발신기(110), 소화전 수신기(120), IoT 통신 모듈(130), 무선 통신망(140), 및 관리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전 발신기(110)는 소화전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화재 감지센서에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화전 발신기(110)는 경보음을 발생하여 주위에 화재 사실을 알릴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화재 경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 서버(150)를 통해 화재 상황을 화재 발생 건물 내 해당 입주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화전 발신기(110)는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장판에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누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장판을 사이에 두고 백 커버 및 상기 누름 스위치에 대향하도록 투시창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시창은 외부로 노출되는 프런트 커버와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화재 발생 시 상기 투시창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이탈시키거나 또는 깨트린 후 상기 누름 스위치의 버튼을 눌러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는 화재 발생 시 상기 소화전 발신기(110)로부터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는 복수의 소화전 발신기(110)로부터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는 상기 소화전 발신기(110)와 연동하거나 별도로 운영되는 화재 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동일 건물의 각 층에 소화전 발신기(110)가 한 대씩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는 상기 각 층에 설치된 소화전 발신기(110) 각각으로부터 화재 발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는 중앙에서 화재 경보 신호를 수집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IoT 통신 모듈(130)은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의 일측에 장착되거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IoT 통신 모듈(130)은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의 전기 및 통신 라인을 따서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와 전기 및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와 상기 관리 서버(150) 사이에서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통신 중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oT 통신 모듈(130)은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별도의 배터리를 탑재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중계를 위해, 상기 IoT 통신 모듈(130)은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의 통신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수신하고, LTE(Long-Term Evolution)나 와이파이 등을 포함한 무선 통신망(140)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150)에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oT 통신 모듈(130)은 평상시에는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150)에 전송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하지만, 소방 점검 시에는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와 통신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IoT 통신 모듈(130)은 소방 점검 시에 발생하는 화재 경보 신호의 경우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화재 경보 신호가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에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와 통신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IoT 통신 모듈(130)은 소방 점검 시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와 통신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해제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131)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상시에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131)를 온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IoT 통신 모듈(130)이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소방 점검 시에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131)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IoT 통신 모듈(130)이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와 통신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해제할 수 있다.
다만, 소방 점검 시 상기 알림 서비스의 해제 설정이 안 되어 있는 경우, 즉 상기 온/오프 스위치(131)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관리 서버(150)를 통해 지금 경보는 소방 점검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해당 입주자 단말기(도 2의 220 참조)에게 통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140)은 상기 IoT 통신 모듈(130)과 상기 관리 서버(150) 사이에서 케이블을 대신하여 무선(전파)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선 통신망(140)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망(140)이 상기 IoT 통신 모듈(130)과 상기 관리 서버(15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 통신망이 그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 서버(150)는 상기 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상기 IoT 통신 모듈(130)로부터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는 상기 소화전 발신기(110)의 고유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관리 서버(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해당 입주자 등록 정보를 매칭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입주자 등록 정보를 토대로 해당 입주자 단말기(220)에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을 알림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50)는 소방서 및/또는 출동 경비업체와 연계하는 방재 서버(미도시)에게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을 알림 서비스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화재가 자체적으로 진압되기 어려운 경우에도 신속하게 화재 상황에 대처하여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관리 서버(150)는 장난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상기 방재 서버에 전송할 때, 화재 현장의 담당자(관리자)의 연락처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재 서버에서는 상기 관리 서버(150)로부터 상기 화재 현장의 담당자 연락처를 전송받아 담당자 연락처로 연락을 취하여 실제 화재 상황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장난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50)는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이 종료되면 화재 상황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해당 입주자 단말기(220)에 통보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자 단말기(310)에 의해 입력된 소방 점검 관련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소방 점검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관리 서버(150)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310)로부터 상기 소방 점검 관련 스케줄 정보를 미리 수신한 후 해당 날짜 및 시간과 일치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그 체크 결과를 바탕으로 소방 점검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방 점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리 서버(150)는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자동으로 해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리 서버(150)는 해당 입주자 단말기(220)에 알림 서비스가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달리, 상기 관리 서버(150)는 소방 점검 시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310)에 알림 서비스 차단 관련 명령을 직접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해당 입주자 단말기(220)에 알리 서비스가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수동으로 해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 서버(150)는 일정 주기로 상기 무선 통신망(140)을 점검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140)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기(310)에 점검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 서버(150)는 일정 주기로 상기 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상기 IoT 통신 모듈(130)에 싱크(Syn)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싱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oT 통신 모듈(130)로부터 애크(Ack)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50)는 상기 애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망(140)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310)에 상기 무선 통신망(140)을 점검하라는 점검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50)는 해당 입주자 단말기(220)에 상기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입주자 등록 정보를 토대로 입주자 등록을 사전에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해당 입주자는 상기 입주자 단말기(220)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소화전 발신기(110)에 구비된 태그, 예컨대 QR 코드(420)를 촬영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420)는 상기 소화전 발신기(110)에 부착되거나 인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주자 단말기(22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410)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설치되어 있으면 바로 실행하고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설치를 위해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QR 코드(420)는 상기 IoT 통신 모듈(130)에 부착되거나 인쇄될 수도 있다.
상기 입주자 단말기(2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410)이 실행되면 알림 서비스 등록을 위한 등록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등록 페이지에 입주자 등록 정보(예: 아파트 단지명, 동, 호수, 이름 등)가 입력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410)이 상기 입력된 입주자 등록 정보를 토대로 상기 관리 서버(150)와 연동하여 화재 상황 알림 서비스를 위한 입주자 등록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410)은 상기 입주자 단말기(220)의 조작에 의해서 실행되어 상기 등록 페이지를 상기 입주자 단말기(220)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등록 페이지에 입력된 입주자 등록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5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50)는 상기 입주자 단말기(220)로부터 상기 입주자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서비스 대상자로서 등록하고, 그 등록 결과를 상기 입주자 단말기(2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410)은 상기 등록 결과를 바탕으로 화재 상황 알림 서비스에 정상 등록된 것으로 처리하고 상기 입주자 단말기(220)의 화면을 통해 정상 등록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태그로서 QR 코드를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코드, RFID, NFC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도 5는 도 1의 관리 서버(15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관리 서버(150)는 신호 수신부(510), 매칭 검색부(520), 알림 서비스부(530), 통신망 점검부(540), 알림 설정부(550) 및 제어부(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510)는 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IoT 통신 모듈(130)로부터 화재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는 상기 소화전 발신기(110)의 고유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매칭 검색부(520)는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해당 입주자 등록 정보를 매칭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서비스부(530)는 상기 매칭 검색부(520)에 의해 검색된 입주자 등록 정보를 토대로 해당 입주자 단말기에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을 알림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서비스부(530)는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이 종료되면 화재 상황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해당 입주자 단말기에 통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 점검부(540)는 일정 주기로 상기 무선 통신망(140)을 점검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140)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점검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망 점검부(540)는 일정 주기로 상기 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상기 IoT 통신 모듈(130)에 싱크(Syn)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싱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oT 통신 모듈(130)로부터 애크(Ack)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망 점검부(540)는 상기 애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망(140)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무선 통신망(140)을 점검하라는 점검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설정부(550)는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소방 점검 관련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소방 점검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소방 점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자동으로 해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알림 설정부(550)는 해당 입주자 단말기에 알림 서비스가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60)는 상기 관리 서버(150), 즉 상기 신호 수신부(510), 상기 매칭 검색부(520), 상기 알림 서비스부(530), 상기 통신망 점검부(540), 상기 알림 설정부(55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IoT 원격 화재 알림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될 수 있고, 하기의 단계들도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하기에 설명하는 각 단계 및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0)에서 소화전 수신기(120)는 화재 발생 시 소화전 발신기(110)로부터 화재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20)에서 IoT 통신 모듈(130)은 상기 소화전 수신기(120)의 통신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화재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30)에서 상기 IoT 통신 모듈(130)은 와이파이 등을 포함한 무선 통신망(140)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150)에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40)에서 상기 관리 서버(150)는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입주자 등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매칭 검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50)에서 상기 관리 서버(150)는 상기 해당 입주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입주자 단말기에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을 알림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점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10)에서 관리 서버(150)는 일정 주기로 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IoT 통신 모듈(130)에 싱크(Syn)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720)에서 상기 관리 서버(150)는 상기 싱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oT 통신 모듈(130)로부터 애크(Ack)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애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730의 "아니오" 방향), 단계(740)에서 상기 관리 서버(150)는 상기 무선 통신망(140)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750)에서 상기 관리 서버(15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무선 통신망(140)을 점검하라는 점검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애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730의 "예" 방향), 단계(710)으로 리턴하여 상기 IoT 통신 모듈(130)에 상기 싱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재 상황 알림 서비스에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단계(810)에서 해당 입주자는 입주자 단말기(220)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소화전 발신기(110)에 구비된 QR 코드(420)를 촬영하여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820)에서 상기 입주자 단말기(22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410)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410)이 설치되어 있으면 바로 실행하고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설치를 위해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830)에서 상기 입주자 단말기(2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410)을 실행하여 알림 서비스 등록을 위한 등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840)에서 해당 입주자는 상기 입주자 단말기(220)의 입력 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등록 페이지에 입주자 정보(입주자 등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850)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410)은 상기 등록 페이지에 입력된 입주자 정보를 토대로 관리 서버(150)와 연동하여 화재 상황 알림 서비스를 위한 입주자 등록을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소화전 발신기
120: 소화전 수신기
130: IoT 통신 모듈
131: 온/오프 스위치
140: 무선 통신망
150: 관리 서버
210: DB
220: 입주자 단말기
310: 관리자 단말기
410: App
420: QR 코드
510: 신호 수신부
520: 매칭 검색부
530: 알림 서비스부
540: 통신망 점검부
550: 알림 설정부
560: 제어부

Claims (9)

  1.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소화전 발신기 또는 화재 감지센서의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상기 소화전 발신기 또는 상기 화재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전송받는 소화전 수신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전 수신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소화전 수신기와 상기 관리 서버 사이에서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통신 중계하는 IoT 통신 모듈; 및
    상기 소화전 발신기 또는 상기 IoT 통신 모듈에 구비된 태그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 후 실행되거나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 바로 실행되어 알림 서비스 등록을 위한 등록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등록 페이지에 입력되는 사용자 등록 정보를 토대로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화재 상황 알림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등록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IoT 통신 모듈은 평상시에는 상기 소화전 수신기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방 점검 시에는 상기 소화전 수신기와 통신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해제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소방 점검 관련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날짜 및 시간과 일치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그 체크 결과를 바탕으로 소방 점검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소방 점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의 알림 서비스를 해제 설정하되, 소방 점검 시 상기 알림 서비스의 해제 설정이 안 되어 있는 경우, 지금 경보는 소방 점검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사전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공동 주택, 오피스, 상가, 기숙사, 공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물에 거주하는 입주자나 상기 건물에서 근로하는 근로자 또는 상기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자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통신 모듈은
    상기 소화전 수신기의 통신 라인을 따서 상기 통신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화재 경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을 알림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일정 주기로 상기 무선 통신망을 점검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점검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일정 주기로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IoT 통신 모듈에 싱크(Syn)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싱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oT 통신 모듈로부터 애크(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망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무선 통신망을 점검하라는 점검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QR 코드, 바코드, RFID, NF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소방서 및 출동 경비업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하는 방재 서버에게 상기 화재 경보 신호에 따른 화재 상황을 알림 서비스로 제공하되, 장난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화재 현장의 담당자(관리자)의 연락처도 함께 상기 방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KR1020190106467A 2019-08-29 2019-08-29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KR102296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467A KR102296974B1 (ko) 2019-08-29 2019-08-29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467A KR102296974B1 (ko) 2019-08-29 2019-08-29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128A KR20210026128A (ko) 2021-03-10
KR102296974B1 true KR102296974B1 (ko) 2021-08-31

Family

ID=7514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467A KR102296974B1 (ko) 2019-08-29 2019-08-29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794B1 (ko) 2021-11-22 2023-05-12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소방 소화전 안전관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30652A (ja) * 2014-06-06 2015-12-21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設備
KR101980088B1 (ko) * 2018-07-23 2019-08-28 (주)일신이앤에프 모바일 시스템을 이용한 소방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851B1 (ko) * 2017-10-11 2019-09-23 박영진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30652A (ja) * 2014-06-06 2015-12-21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設備
KR101980088B1 (ko) * 2018-07-23 2019-08-28 (주)일신이앤에프 모바일 시스템을 이용한 소방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794B1 (ko) 2021-11-22 2023-05-12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소방 소화전 안전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128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495B2 (en) Home automation system deployment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255773B2 (en) Security system providing a localized humanly-perceivable alert for identifying a facility to emergency personnel
KR101955973B1 (ko) 연동경보형 화재감지기와 LoRa망을 이용한 원격 화재감지 시스템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CA2919254A1 (en) User management of a response to a system alarm event
KR101292304B1 (ko)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US10861308B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response time
KR101930155B1 (ko)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KR101774897B1 (ko) 화재 신호의 휴대폰 통보 및 화재수신반의 리셋 시스템
KR102110146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CN109286516A (zh) 用于建立替换通信路径的系统和方法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102296974B1 (ko)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KR20210044595A (ko)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CA3142134C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response time
CN108922109A (zh) 一种基于nb-iot技术的消防报警系统
KR101063915B1 (ko) 사고예방 시스템 및 사고예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US20170018163A1 (en) Method for triggering of the emergency responding system by using human scream
KR101693215B1 (ko) 자가 설치 및 운용 가능한 무인경비시스템을 위한 통합센서관제장치 및 방법
JP2020144933A (ja) 火災報知システム
KR20150102536A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
CN107185143B (zh) 消防控制系统
KR102085401B1 (ko)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