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146B1 -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146B1
KR102110146B1 KR1020180140894A KR20180140894A KR102110146B1 KR 102110146 B1 KR102110146 B1 KR 102110146B1 KR 1020180140894 A KR1020180140894 A KR 1020180140894A KR 20180140894 A KR20180140894 A KR 20180140894A KR 102110146 B1 KR102110146 B1 KR 10211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ion device
fire detection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준
Original Assignee
윤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준 filed Critical 윤성준
Priority to KR102018014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 G08B26/001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 G08B26/003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replying the identity and the state of the sens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장치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응하는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최초로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장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위치의 아직 화재를 감지하지 못한 화재감지장치로 화재발생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c) 화재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화재발생신호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 및 감지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METHOD FOR CONFIGURING COMMUNICATION BETWEEN FIRE DETECTION DEVICE AND SESING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건물 내에 화재감지장치간에 통신방식을 무선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재감지장치간에 통신을 무선 방식으로 구현하고, 배선 공사 없이 손쉬운 설치 및 변경이 가능한 화재감지장치의 설치 방법을 통해 설치비용 및 통신의 효율성을 높이는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행 소방 법상 소방설비 및 화재감지장치는 건축물의 건축 중 필수가 아닌 건축이 완료되는 시점 전에 설치가 완료 되면 된다.
그래서, 대부분 건물을 건축 할 때 소방을 우선으로 하지 못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건축시점에는 배선이 먼저 설치 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여, 화재감지장치가 설치될 수 없는 건축 중인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시 화재발생 인지 부족과 관리의 어려움으로 대형 인명 피해나 큰 사고가 일어나기 쉽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중인 건물의 화재감지장치의 설치함에 있어서, 무선화재감지장치 간의 통신 반경 안에 동일 층 또는 다른 층에 부착 함으로써 기존의 유선 방식인 화재감지기와 달리 원하는 위치에 설치가 용이하며 건축물의 건축 진행에 따라 쉽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장치간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모든 화재감지장치의 경보를 울리게 하여 다른 위치의 사람들도 대피할 있게 화재가 발생 했음을 인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중인 건물의 내부에서는 모바일 통신 중계기가 없는 상황과 인터넷이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도 고려하여 무선화재감지장치의 통신 범위 안에 있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화재가 발생 했음을 공사현장 외부 상황실과 외부 관리자에게 휴대용 단말기 또는 고정형 단말기로 이를 알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장치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응하는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최초로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장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위치의 아직 화재를 감지하지 못한 화재감지장치로 화재발생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c) 화재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화재발생신호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 및 감지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면 감지된 화재에 기초하여 화재발생신호를 생성 후 서버로 전달하거나,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화재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세이렌,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장치;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고, 아직 화재를 감지하지 못한 사기 화재감지장치로 화재발생신호를 전달하고, 화재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생성 후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서버; 및 서버로부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화재발생신호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 감지시간을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설이 완료되지 않은 건설중인 현장에 쉽고 빠르게 설치가 가능하며 건축물의 진행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 설치 할 수 있는 장치로써, 건축물의 완공 전 화재를 감지하고 예방함으로써 좀 더 안전한 건설 현장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화재의 발생 위치 화재의 상황 등의 정보를 쉽게 파악하여 화재 발생시 사람에 대한 대피 경로 화재진압의 경로 등의 계획을 수립할 수 있어 좀더 빠르고 안전하게 대피 및 화재 진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라, 모든 사용자의 단말기에 추가적인 화재 대피 경로를 알려줄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화재 감지 및 경고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서버(10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1)은 서버(100), 복수의 화재감지장치(200), 게이트웨이(201), 수동조작기(202)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이때, 각 장치들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화재감지장치(200)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응하는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고, 아직 화재를 감지하지 못한 화재감지장치(200)로 화재발생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화재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화재발생신호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 및 감지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뜻하며, 재난 경보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300)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뜻하게 된다.
화재감지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면 감지된 화재에 기초하여 화재발생신호를 생성 후 서버(100)로 전달하거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화재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세이렌이나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가동하여 사람들에게 화재를 알리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때, 복수로 존재하는 화재감지장치(200)는 게이트웨이(201)를 통해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서버(100)를 거치지 않고 게이트웨이(201)를 거쳐 화재발생신호를 다른 화재감지장치(200)로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화재감지장치(200)는 수동조작기(202)와 연결되어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화재감지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관리자가 수동조작기(202)를 통해 조작할 수 있는 옵션으로 원하는 화재감지장치(200)를 ON/OFF 하거나, 화재 경보를 위한 사이렌이나 경고등을 수동으로 ON/OFF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서버(100)로부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화재에 대한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되는 재난 경보 메시지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정보를 텍스트나 사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대피경로 등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3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관리자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3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부 사용자 단말(300)은 관리자의 권한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관리자 권한을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300)의 경우, 재난 경보 메시지뿐만 아니라 화재 지역의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으며, 화재감지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된다.
이때, 화재정보는 화재감지장치(200)가 생성하게 되는데, 화재가 일어난 시각, 온도, 강도 및 불이 번지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뜻할 수 있다.
서버(100)는 서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화재감지장치(200)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면, 화재감지장치(200)가 생성한 화재정보를 추가로 수신하게 된다.
또한, 화재정보는 최초로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장치(200)를 화재의 진원지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화재감지장치(200)가 추가로 화재를 감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불이 번지는 경로를 산출하고, 복수의 화재감지장치(200)가 각각 감지하는 불의 온도와 강도에 기초하여, 소화(消火)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더 산출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통신망은 서버(100)를 포함하는 각 장치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은 각 장치들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을 제공하는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서버(100)와 각 장치들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각각의 장치들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을 구성하기 위한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1)이 설치되는 구역에 대한 정보나, 화재나 오작동으로 인해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1)이 작동한 로그(log), 사용자 단말(300)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구역에 대한 정보, 시스템이 작동한 로그, 사용자 단말(300)의 정보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CB모듈(210), 통신모듈(220), 안테나(221), 감지모듈(230) 및 경고모듈(240)을 포함한다.
PCB모듈(210)은 화재감지장치(2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 혹은 메모리, 배터리 및 AC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PCB모듈(210)을 통해 화재감지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하게 되는데, 감지모듈(230)로 감지된 화재에 기초하여 화재발생신호 및 화재정보를 생성하고, 경고모듈(240)을 통해 구역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에게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모듈(220)은 앞서 서술한 서버(100)의 통신모듈(110)과 유사하게, 통신망과 연동하여 게이트웨이(201)를 거쳐 서버(100)와 각 장치들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220)은 각각의 장치들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22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220)은 화재감지장치(200)에 구비된 안테나(221)를 통해 타 장치들간의 통신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감지모듈(230)은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 모듈,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모듈,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 막지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경고모듈(240)은 화재감지장치(200)가 설치된 구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에 대한 경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렌 소리와 같은 음향적인 경고를 위한 스피커 모듈과 붉은색과 같은 시각적인 경고를 위한 경고등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장치(200)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다(S310).
이때, 최초로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장치(200)로부터 실시간으로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되,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화재발생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까지 지속되지 않으면, 화재가 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는 화재감지장치(200)가 외부요인이나 고장에 의해 오작동되었음을 판단하게 되는 것으로, 이후 단계(S320) 이후의 단계를 진행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추가 실시예로 단계(S310)는 화재감지장치(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된 CCTV가 생성하는 화재 영상을 서버(100)가 화재발생신호와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나 관리자가 화재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아직 화재를 감지 못한 화재감지장치(200)로 화재발생신호를 전달한다(S320).
만약, 건물 내부나 넓은 구역 등과 같은 넓은 구역을 내에 화재 감지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복수의 화재감지장치(200)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320) 이전,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1)은 복수의 화재감지장치(200)가 구비되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화재감지장치(200)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직접 연결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서버(100)를 거치지 않고,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화재감지장치(200)로 화재발생신호를 먼저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화재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재난 경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S330).
여기서,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300)이란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1)이 설치된 특정 구역의 사용자의 단말이며, 서버(100)에 해당 단말에 대한 사용 등록을 마친 상태여야 한다.
추가 실시예로, 기 등록되지 않았으나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 화재감지장치(2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300)에도 재난 경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특정 구역에서 사용하는 와이파이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300)이나,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구역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300)을 파악할 수도 있다.
단계(S330) 이후, 화재감지장치(20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서버(100)는 화재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가 화재의 종료를 인식하면, 화재감지장치(200)의 사이렌이나 경고등의 작동을 중지하고, 사용자 단말(300)로 화재가 중지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오작동이나 수동 작동 사고에 의한 작동 등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1)이 작동한 상황을 로그(log)로 남겨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200)에 의해 수행되는 화재 감지 및 경고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발생한 화재를 화재감지장치(200)가 감지하는 단계를 가진다(S410).
일반적으로 화재감지장치(200)는 감지모듈(230)을 통해 화재를 감지하게 되지만, 사용자가 수동조작기(202)를 통해 화재가 났음을 화재감지장치(200)로 인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재를 인식한 화재감지장치(200)는 화재발생신호와 화재정보를 생성하여 서버(100)로 전달하고(S420), 서버(100)에 의해 사이렌 및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여, 사람들에게 경고를 시작한다(S430).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을 소지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도 경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추가 실시예로 특정 구역의 패널(예컨대, 전자간판 등)을 조작하여 사용자에게 화재 경고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만약, 패널과 같은 추가적인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재를 경고하는 경우, 사용자가 비상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화재가 진압되면, 사이렌 및 경고등을 종료한다(S440).
단계(S440)의 경우, 단계(S410)와 같이 수동조작기(202)의 조작을 통해 사이렌 및 경고등을 종료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300)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자의 인터페이스는 감시부(310)와 조작부(320)로 나뉠 수 있다.
감시부(31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1)이 구축된 구역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구역의 화재감지장치(200)가 작동했는지 여부나 각 구역의 화재의 상황을 색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작부(320)는 화재감지장치(200)를 조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관리자가 원하는 구역의 화재감지장치(200)를 ON/OFF하거나 사이렌이나 경고등의 ON/OFF를 조작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장치의 테스트나 점검 등을 조작부(320)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감시부(310)의 획득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가 발생한 구역 내부의 사람들에게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비상 대피 경로를 설정 후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하는 재난 경보 메시지와 함께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
100: 서버 200: 화재감지장치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5)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장치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응하는 화재정보를 포함한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최초로 화재를 감지한 상기 화재감지장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위치의 아직 화재를 감지하지 못한 상기 화재감지장치로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c) 상기 화재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발생신호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 및 감지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정보는
    최초로 화재를 감지한 상기 화재감지장치를 화재의 진원지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화재감지장치가 추가로 화재를 감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불이 번지는 경로를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화재감지장치가 각각 감지하는 불의 온도와 강도에 기초하여 소화(消火)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더 산출하여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a)단계는
    최초로 화재를 감지한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되,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까지 지속되지 않으면, 화재가 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b) 단계 이후를 진행하지 않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서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중 관리자의 권한이 설정된 단말로 상기 화재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화재정보는 화재가 일어난 시각, 온도, 강도 및 불이 번지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된 CCTV가 생성하는 화재 영상을 상기 화재발생신호와 함께 수신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화재감지장치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상기 화재감지장치로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먼저 전달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화재감지장치의 화재 경보를 위한 사이렌이나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 시키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기 등록되지 않았으나,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화재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화재감지장치의 화재 경보를 위한 사이렌이나 경고등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화재가 중지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더 전달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12.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면 감지된 화재에 기초하여 화재정보를 포함한 화재발생신호를 생성 후 서버로 전달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화재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세이렌,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장치;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고, 아직 화재를 감지하지 못한 상기 화재감지장치로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화재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경보 메시지를 생성 후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화재발생신호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 감지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정보는
    최초로 화재를 감지한 상기 화재감지장치를 화재의 진원지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화재감지장치가 추가로 화재를 감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불이 번지는 경로를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화재감지장치가 각각 감지하는 불의 온도와 강도에 기초하여 소화(消火)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더 산출하여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서버는
    최초로 화재를 감지한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되,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까지 지속되지 않으면, 화재가 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아직 화재를 감지하지 못한 상기 화재감지장치로의 상기 화재발생신호 전달 및, 재난 경보 메시지 생성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장치의 세이렌, 경고등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 패널을 더 제공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화재감지장치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일부는 관리자의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관리자의 권한이 부여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화재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시스템.
KR1020180140894A 2018-11-15 2018-11-15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KR102110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94A KR102110146B1 (ko) 2018-11-15 2018-11-15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94A KR102110146B1 (ko) 2018-11-15 2018-11-15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146B1 true KR102110146B1 (ko) 2020-05-13

Family

ID=7073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894A KR102110146B1 (ko) 2018-11-15 2018-11-15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1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200B1 (ko) * 2020-08-03 2021-05-1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화재모니터링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07726B1 (ko) * 2021-05-13 2021-10-01 대원포비스 주식회사 근접 통신을 이용한 건물 자동화 시스템
KR102327158B1 (ko) * 2021-02-08 2021-11-15 송석봉 Cctv 영상을 이용하는 원격 소방관리 시스템
KR20220055320A (ko) * 2020-10-26 2022-05-03 김정석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190B1 (ko) * 2016-05-16 2017-02-23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구획 공간을 구비하는 건물 내 통합 화재 관리 방법
KR101831752B1 (ko) * 2016-08-24 2018-02-26 정병찬 화재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KR20180061602A (ko) * 2016-11-30 2018-06-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반고정식 이동형 화재 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190B1 (ko) * 2016-05-16 2017-02-23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구획 공간을 구비하는 건물 내 통합 화재 관리 방법
KR101831752B1 (ko) * 2016-08-24 2018-02-26 정병찬 화재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KR20180061602A (ko) * 2016-11-30 2018-06-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반고정식 이동형 화재 탐지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200B1 (ko) * 2020-08-03 2021-05-1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화재모니터링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55320A (ko) * 2020-10-26 2022-05-03 김정석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
KR102463300B1 (ko) * 2020-10-26 2022-11-03 김정석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
KR102327158B1 (ko) * 2021-02-08 2021-11-15 송석봉 Cctv 영상을 이용하는 원격 소방관리 시스템
KR102307726B1 (ko) * 2021-05-13 2021-10-01 대원포비스 주식회사 근접 통신을 이용한 건물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146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US9721457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CA2890503C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KR10217653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화재경보 시스템
US20230351531A1 (en) Safety management and building oper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s
KR20120096386A (ko)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JPH11252670A (ja) 遠方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センサ端末装置
KR101023800B1 (ko)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KR101763448B1 (ko)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KR102199969B1 (ko) 메쉬 블루투스 통신망을 활용한 스마트 기기 재난 알림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11326007A (zh) 远程监视系统和监视服务器
KR102296974B1 (ko)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KR101666652B1 (ko) 시설물유지관리 및 교통현장 관제시스템
JP7411336B2 (ja) 広域警報システム
US11176799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US20170018163A1 (en) Method for triggering of the emergency responding system by using human scream
CN107185143B (zh) 消防控制系统
US110241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ating monitoring of a security system by a central monitoring station
TW202011361A (zh) 消防資訊整合系統
AU2019340238B2 (e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
KR102266482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
TW201610938A (zh) 大量障礙排除作業系統與方法
CN109644332B (zh) 实况寻呼系统和其使用方法
GB2488750A (en) Alarm apparatus generating data in XML or JSON for communication with external apparatus
KR20200068099A (ko) Iot 중계기 및 led 조명 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재난 안전 대피 및 구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