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320A -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 - Google Patents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320A
KR20220055320A KR1020200139631A KR20200139631A KR20220055320A KR 20220055320 A KR20220055320 A KR 20220055320A KR 1020200139631 A KR1020200139631 A KR 1020200139631A KR 20200139631 A KR20200139631 A KR 20200139631A KR 20220055320 A KR20220055320 A KR 20220055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alarm
information
centr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300B1 (ko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riority to KR102020013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3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자가 화재 경보장치의 작동을 원격 조절 가능하여, 소방시설 점검 소요되는 시간 및 필요 인원을 최소화 가능한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와, 이러한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이용한 원격점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화재 상황을 알리는 화재 경보부;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화재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화재 경보부를 작동시키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중앙서버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경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관리자 단말; 을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와, 관리자 단말을 작동시켜 상기 화재 감지부를 작동시키는 화재 감지부 작동단계;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화재가 감지될 시 작동하는 상기 화재 경보부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1 화재경보 점검단계; 상기 화재 경보부를 구성하는 상기 비상방송부, 상기 부저부, 상기 지구경종부, 상기 주경종부를 개별적으로 작동시켜 각각의 경보부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제2 화재경보 점검단계; 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Firefighting facility remote inspection device, Firefighting facility remote inspection method}
본 발명은 관리자가 화재 경보장치의 작동을 원격 조절 가능하여, 소방시설 점검 소요되는 시간 및 필요 인원을 최소화 가능한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와, 이러한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이용한 원격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공동주택으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 점검하여 위급상황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 제어를 위한 제어유닛에 탑재된 보드들이 고열에 노출된 상태로 열화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면서 제어 및 자료 처리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위급상황을 감지하여 통보하기 위한 소화장치; 사용자 위치정보를 통보받아 저장하며, 상기 소화장치에서 통보한 위급상황에 따라 대피상황을 통보하며, 자가 점검을 통보받아 자가점검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소방시설점검관리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위치정보를 상기 소방시설점검관리서비스 제공 서버로 통보하며, 상기 소방시설점검관리서비스 제공 서버 에서 통보한 대피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소방시설에 대한 자가 점검을 상기 소방시설점검관리서비스 제공 서버로 통보하기 위한 다중이용업소 단말기; 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점검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공동주택으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 점검하여 위급상황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 상기 화재를 진화하는 소화부; 상기 화재감지부 및 소화부의 구동을 점검하는 단말부; 및 상기 화재감지부 및 소화부에 대한 상기 단말부의 점검 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단말부에 상기 화재감지부 및 소화부의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부, 내부에 진화수가 구비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상기 진화수를 상기 몸체부의 하측 방 향으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 방향에 위치되고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하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진화수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원통 형상의 마개부; 를 포함하는 소방 점검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754232 B1 (2017년07월19일) KR 10-2019-0047982 A (2019년05월09일) KR 10-1643317 B1 (2016년08월10일) KR 10-1979756 B1 (2019년05월17일)
본 발명은 관리자가 화재 경보장치의 작동을 원격 조절 가능하여, 소방시설 점검 소요되는 시간 및 필요 인원을 최소화 가능한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와, 이러한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이용한 원격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00); 화재 상황을 알리는 화재 경보부(200);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경보 제어부(310); 무선/유선 통신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받으며, 상기 경보 제어부(310)를 통해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원격 제어부(320); 상기 원격 제어부(320)와 통신하며 상기 중앙서버(300)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상기 화재 경보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관리자 단말(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00); 화재 상황을 알리는 화재 경보부(200);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화재 경보부(200)를 작동시키는 중앙서버(300); 상기 중앙서버(300)와 통신하며 상기 중앙서버(300)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상기 화재 경보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관리자 단말(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중앙서버(300)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400)과 통신하며, 상기 중앙서버(300)와 상기 관리자 단말(4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소화 작업을 진행하는 소화부(500); 를 부가한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상기 관리자 단말(400)을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100)를 화재가 감지된 상태로 만드는 화재 감지부 작동단계(S110); 상기 화재 감지부(100) 작동 시 나타나는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1 화재경보 점검단계(S120); 상기 관리자 단말(400)를 통해 상기 화재 경보부(200)를 작동시키는 화재 경보부 작동단계(S130); 상기 화재 경보부(200)를 구성하는 상기 비상방송부(210), 상기 부저부(200), 상기 지구경종부(230), 상기 주경종부(240)의 개별적인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제2 화재경보 점검단계(S1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소방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유무를 판단하는 화재 발생유무 판단부(330);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센서 위치정보 파악부(34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방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정보가 송신되는 대상을 결정하는 송신대상 결정부(35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방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와 상기 센서 위치정보 파악부(340)에서 수신되는 센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영역을 파악하는 화재 발생영역 파악부(36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방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 발생영역 파악부(360)에서 파악된 화재 발생영역을 기반으로 탈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탈출 경로 생성부(370); 를 포함한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재 발생유무 판단 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에서 화재 정보를 수신받는 화재정보 수신단계(S210); 화재정보를 송신한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정보 및 건물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화재가 감지된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관계를 파악하며, 파악된 위치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유무를 결정하는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0); 상기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화재발생 정보를 송신하는 화재 발생정보 송신단계(S2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원격으로 화재 경보부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소방점검에 필요한 인원 및 소방점검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원격으로 소화부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소방점검 과정에서 소화부의 상태 또한 점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재 감지부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감지부의 오작동을 확인 가능하므로, 화재 감지부 오작동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영역을 파악 후 이를 주거민에게 제공 가능하므로, 주거민들을 화재상황에서 안정적으로 대피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파악된 화재 발생영역을 기반으로 최적의 탈출경로를 생성한 후 이를 주거민에게 제공 가능하므로, 화재 발생으로 공황에 빠진 주거민들의 대피를 보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의 경보 제어부와 원격 제어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인 소방시설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인 소방 시스템의 화재 발생유무 판단부와 송신대상 결정부 구성을 구체화한 블록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소방 시스템의 화재 발생유무 판단부 화재 발생유무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인 소방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재 발생유무 판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의 경보 제어부 및 원격 제어부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00); 화재 상황을 알리는 화재 경보부(200);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화재 경보부(200)를 작동시키는 중앙서버(300); 상기 중앙서버(300)와 통신하며 상기 중앙서버(300)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상기 화재 경보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관리자 단말(400); 을 포함한다.
종래의 소방점검은 소방시설관리사 1명과 보조인력 2명이 한 개의 팀으로 이루어졌으며, 소방시설관리사가 화재수신기에 배치되고 보조인력이 소방점검대상물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 배치되어, 보조인력이 감지기 또는 발신기를 조작하여 화재경보신호를 발생시키면, 화재수신기에 배치된 소방시설관리사가 경보신호를 제어하여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인 작동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방법은 소방점검 시 많은 인력을 필요할 뿐만 아니라, 소방점검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원격 제어를 통하여 소방점검을 진행 가능한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화재 감지부(100)와 화재 경보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원격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최소화된 인원으로 보다 신속하게 소방점검을 진행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2)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부(100)는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 센서(1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 센서(111)는 불꽃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화염감지 센서(111A); 연기로 화재를 감지하는 연기감지 센서(111B);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는 콘센트가 위치되는 제1 영역, 가스레인지가 위치되는 제2 영역, 창문이 형성되는 제3 영역에 위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화재 경보부(200)는 소리로 화재 상황을 알리는 비상방송부(210); 부저부(220); 지구경종부(230); 주경종부(2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1-5에 있어서, 비상방송부(210)는 녹화된 방송 정보가 저장되어 음성저장부(211); 상기 음성저장부(221) 상에 저장된 방송 정보를 음성으로 송출하는 제1 송출부(212); 를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부저부(220)는 저장되어 있는 소리를 송출하는 제2 송출부(221); 상기 제2 송출부(221)를 작동시키는 버튼부(222); 를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경보 제어부(3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관리자 단말(400)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받으며 상기 경보 제어부(310)를 통해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원격 제어부(320); 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 감지부(100)는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는 다양한 화재감지 센서(11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경보부(200)는 소리로 화재 상황을 알리는 비상방송부(210), 부저부(220), 지구경종부(230), 주경종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관리자 단말(400)과 WiFi, 인터넷, LTE 등 다양한 통신방법으로 통신하는 통신부(380)와,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경보 제어부(310)와, 상기 통신부(380)에서 수신되는 명령에 의해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원격 제어부(32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관리자 단말(400)은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조절 가능한 앱이 설치되어, 센서관리부(410)에서 상기 화재 감지부(100)의 작동을 조절하고, 경보관리부(420)에서 상기 화재 경보부(200)를 구성하는 상기 비상방송부(210), 부저부(220), 지구경종부(230), 주경종부(240)의 작동을 조절 가능하므로,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400)의 센서관리부(410)와 경보관리부(420)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소방점검을 진행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400)은 관리자가 정보를 입력 가능하고, 상기 중앙서버(300)와 통신하여 원격 제어부(320)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상기 화재 경보부(200) 작동을 원격제어 가능하면 충분하므로, PC,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다양한 스마트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는 빌딩, 아파트, 학교 등의 다양한 건물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화재감지 센서(110)의 설치 위치는 화재 발생이 많이 일어나는 콘센트, 가스레인지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권장하며, 이 외에도 건물이 여러 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경우 벽면을 타고 올라오는 화재 상황을 감지하기 위하여 창문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400)과 통신하며, 상기 중앙서버(300)와 상기 관리자 단말(4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소화 작업을 진행하는 소화부(5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500)는 소화전, 스프링클러, 물분무기, 포소화장치, 이산화탄소소화장치, 할로겐소화장치, 분말소화장치, 배연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소방점검은 화재감지 센서(110)와 화재 경보부(200)의 점검뿐만이 아니라 소화장치의 점검 또한 포함하며, 이러한 소화설비의 점검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400)의 소화관리부(43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소화부(500)는 소화전, 스프링클러, 물분무기, 포소화장치, 이산화탄소소화장치, 할로겐소화장치, 분말소화장치, 배연장치 등의 다양한 소화장치를 포함하므로, 상기 관리자 단말(400)의 상기 소화관리부(430)를 통하여 각각의 소화장치의 작동을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소화관리부(430)를 통하여 관리자가 입력하는 명령은 상기 원격 제어부(320)로 전달되며, 상기 원격 제어부(320)는 상기 소화부(5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화장치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예 3-1) 실시예 1-1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400)을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100)를 화재가 감지된 상태로 만드는 화재 감지부 작동단계(S110); 상기 화재 감지부(100) 작동 시 나타나는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1 화재경보 점검단계(S120); 상기 관리자 단말(400)를 통해 상기 화재 경보부(200)를 작동시키는 화재 경보부 작동단계(S130); 상기 화재 경보부(200)를 구성하는 상기 비상방송부(210), 상기 부저부(200), 상기 지구경종부(230), 상기 주경종부(240)의 개별적인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제2 화재경보 점검단계(S140); 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이용한 소방시설 원격점검은, 상기 화재 감지부 작동단계(S110)에서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400)을 조작하여 상기 화재 감지부(100)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1 화재경보 점검단계(S120)에서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확인하여,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의 작동상태와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와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연결상태를 파악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경우 화재상황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경보장치와 연결되므로, 상기 제2 화재경보 점검단계(S130)에서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상기 비상방송부(210), 부저부(220), 지구경정부(230), 주경종부(240)를 개별적으로 작동시켜, 각각의 경보장치 작동상태를 파악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1 화재경보 점검단계(S120)는 상기 화재 감지부 작동단계(S110) 이후에 이루어지며, 상기 화재 감지부(100)가 작동되며 상기 화재 경보부(200)가 소리로 화재 발생상황을 알리는지를 확인하며, 화재 경보부(200)가 작동할 시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화재경보 점검단계(S130)를 수행하는 제1 경보 작동유무 파악단계(S121)와, 화재 경보부(200)가 작동되지 않을 시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화재 감지부(100)와 화재 경보부(200)의 연결부 또는 통신부를 수리하는 제1 점검단계(S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화재경보 점검단계(S140)는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상기 비상방송부(210), 부저부(220), 지구경정부(230), 주경종부(240) 각각의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제2 경보 작동유무 파악단계(S141)와, 상기 제2 경보 작동유무 파악단계(S141)에서 작동되지 않는 경보장치가 파악되면, 작동되지 않는 경보장치를 수리하는 제2 점검단계(S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4-1) 실시예 1-1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유무를 판단하는 화재 발생유무 판단부(330);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센서 위치정보 파악부(34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화재 발생유무 판단부(330)는 상기 센서 위치정보 파악부(340)에서 파악된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 정보와, 복수개의 상기 화재 화재감지 센서(11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제1 판단모듈(331); 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화재 발생유무 판단부(330)는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가 설치되는 건물의 구조 정보가 저장되는 구조정보 저장부(332);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와, 상기 센서 위치정보 파악부(340)에서 파악된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 정보와, 상기 구조정보 저장부(332)에 저장된 건물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제2 판단모듈(333); 을 포함한다.
단순히 상기 화재 감지부(100)를 구성하는 하나의 화재감지 센서(110) 작동만으로 화재 발상상황을 판단 시, 다수개의 화재감지 센서(110) 중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 센서(110) 오작동이 발생하면 상기 화재 경보부(200)가 작동되어, 많은 물질적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재 발생유무 판단부(330)가 복수개의 화재감지 센서(110)에서 송신되는 화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정보로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한 후,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 시 상기 화재 경보부(200)와 상기 소화부(50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화재 발생유무무 판단부(330)의 화재 발생유무 판단은, 상기 센서 위치정보 파악부(340)에서 파악되는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정보와, 위치가 파악된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통하여 도출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건물(H) 상에 복수개의 제1 내지 제6 화재감지 센서(S1, S2, S3, S4, S5, S6)가 서로 이격 배치될 경우, 건물(H)상에서 발생한 화염(F)이 제1 센서(S1)가 위치되는 특정 영역에서 시작되었다면, 화염(F)이 확산됨에 따라 인접한 제2 센서(S2), 제4 센서(S4), 제5 센서(S5)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고, 이후 제1 센서(S1)와 제2 센서 및 제5 센서(S5)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어 있는 제3 센서(S3)와 제6 센서(S6)가 작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판단모듈(331)에서 초기 화재 정보가 수신된 화재감지 센서가 작동한 후, 초기 작동하였던 화재감지 센서와 지정된 임의의 영역(A) 안에 위치된 화재감지 센서가 작동하지 않고, 멀리 떨어져 있는 타 화재감지 센서가 작동 시 오작동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 센서가 작동 후 지정된 임의의 영역(A) 안에 위치된 인접한 화재감지 센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화재 정보가 송신되면, 상기 제1 판단모듈(331)에서 화재가 실재로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1 내지 제6 화재감지 센서(S1, S2, S3, S4, S5, S6)가 벽(W)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 경우, 벽(W)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된 제1 센서(S1), 제2 센서(S2), 제4 센서(S4), 제5 센서(S5)와 제3 센서(S3) 및 제6 센서(S6)가 서로 지정된 일정 이상의 시간차를 두지 않고 작동한다면, 상기 제2 판단모듈(333)에서 화재감지 센서가 오작동을 일으킨 것으로 판단하고, 지정된 일정 이상의 시간차를 두고 작동한다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판단모듈(333)에서 벽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센서(S1) 내지 제6 센서(S6)의 위치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위치정보 뿐만이 아니라 건물의 구조 정보 또한 파악할 수 있어야 하므로, 화재감지 센서(110)가 구비되는 건물의 구조 정보는 상기 구조정보 저장부(332)에서 상기 제2 판단모듈(333)로 제공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소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정보가 송신되는 대상을 결정하는 송신대상 결정부(350); 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송신대상 결정부(350)는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단계를 결정하는 화재단계 결정부(351); 화재단계에 따른 화재 정보 송신대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제1 화재대응정보 저장부(352); 상기 화재단계 결정부(351)에서 결정된 화재단계를 상기 제1 화재대응정보 저장부(352)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적용하여 정보 송신대상을 결정하는 송신대상 선택부(353); 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서버(300)는 발생한 화재를 위험도에 따라 복수개의 단계로 분류한 후, 분류된 화재의 단계에 따라 화재 정보가 송신되는 대상을 결정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재의 위험도는 화재가 발생하는 영역이 넓어질수록 높아지므로, 상기 화재단계 결정부(351)에서 동일 건물에 설치된 상기 화염감지 센서(110) 중 소수의 화염감지 센서(110)에서 화재 정보가 송신될 경우 낮은 단계로 파악하고, 다수개의 화염감지 센서(110)에서 화재 정보가 송신될 경우 높은 단계로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파악된 화재단계가 낮을 경우 상기 송신대상 선택부(353)에서 관리자 단말(400)로 화재 정보를 송신하여 대피상황 없이 화재를 진압 가능하게 하고, 파악된 화재단계가 높을 경우 상기 송신대상 선택부(353)에서 관리자 단말(400) 외에도 건물 상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소지한 휴대폰 등의 사용자 단말(600)로 화재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들이 대피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소방서에 비치된 관공서 단말(700)로 화재 정보를 송신하여 화재를 보다 신속하게 진압 가능하게 한 것이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소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와 상기 센서 위치정보 파악부(340)에서 수신되는 센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영역을 파악하는 화재 발생영역 파악부(360); 를 포함한다.
화재 상황에서의 대처 방법은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가변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화재가 감지되는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영역 파악부(360)에서 화재 발생영역을 파악 가능하게 하였다.
이때, 파악된 화재 발생영역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400)로 송신되어 관리자가 화재상황 파악을 도울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600)로 송신되어 건물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대피를 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공서 단말(700)로 송신되어 소방서의 소화작업을 보조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말로 전달되는 정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다 단순화된 그래픽으로 전달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소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 발생영역 파악부(360)에서 파악된 화재 발생영역을 기반으로 탈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탈출경로 생성부(370); 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화재 상황에서 건물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출경로 생성부(370)에서 상기 화재 발생영역 파악부(360)를 통해 파악되는 화재 발생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탈출 경로를 생성한 후, 상기 관리자 단말(400), 사용자 단말(600), 관공서 단말(700)로 송신하게 하였다.
(실시예 8-1) 실시예 4-1의 소방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재 발생유무 판단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에서 화재 정보를 수신받는 화재정보 수신단계(S210); 화재정보를 송신한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정보 및 건물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화재가 감지된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관계를 파악하며, 파악된 위치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유무를 결정하는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0); 상기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화재발생 정보를 송신하는 화재 발생정보 송신단계(S230); 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인 화재 발생유무 판단 방법은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0)는 화재 정보를 송신한 화재감지 센서(110)가 지정된 임의의 영역(A) 상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1); 를 포함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인 화재 발생유무 판단 방법은 실시예 8-2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위치관계 파악단계(S220)는 화재 정보를 송신한 화재감지 센서(110)가 동일한 공간 상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2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2); 를 포함한다.
상기 소방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발생유무 판단은 상기 화재정보 수신단계(S210)를 통하여 복수개의 화염감지 센서(110)에서 화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1)에서 화재 정보가 수신되는 화염감지 센서(110) 중 두개 이상이 지정된 임의의 영역(A) 상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화재발생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1)에서 지정된 임의의 영역(A) 상에 위치되는 화재감지 센서(110) 중 2개 이상에서 화재 정보가 수신되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2)에서 화재 정보가 수신되는 화재감지 센서(110)가 동일한 공간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화재발생 유무를 최종 판단하는 것이다.
(실시예 9-1) 본 발명인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00); 화재 상황을 알리는 화재 경보부(200);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경보 제어부(310); 무선/유선 통신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받으며, 상기 경보 제어부(310)를 통해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원격 제어부(320); 상기 원격 제어부(320)와 통신하며 상기 중앙서버(300)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상기 화재 경보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관리자 단말(400); 을 포함한다.
소방시설은 건물의 관리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관리자만이 소방시설을 제어하여 점검 및 관리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 스마트장치(핸드폰)과 같은 과리자 단말(400)로부터 정보를 수신 받아,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경보 제어부(310)를 제어 가능한 원격 제어부(320)를 경보 제어부(310)에 연결 하였다.
이때, 상기 경보 제어부(310)는 주경종, 지구경종, 부저, 비상방송 등을 포함하는 화재 경보부를 구성하는 다양한 장치와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며, 상기 원격 제어부(320)는 상기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경보 제어부(310)를 통해 상기 주경종, 지구경종, 부저, 비상방송을 간접 제어 가능한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원격 제어부(320) 상에는 지정된 관리자 단말(400)을 통해서만 경보 제어부(310)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특정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통신 가능한 원격 제어부(320)와 통신 가능한 단말을 소방시설을 점검하는 특정 관리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400)로 한정하여, 소방시설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관리자 단말(400)을 통하여 관리자가 화재 경보부(200)를 제어할 수 있는 시점을 소방 점검이 필요한 시점, 화재가 발생한 시점으로만 특정하여, 관리자 단말(400)이 있어도 필요한 시점에서만 화재 경보부(200) 작동을 제어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화재 감지부 110 : 화재감지 센서
111A : 화염감지 센서 111B : 연기감지 센서
200 : 화재 경보부 210 : 비상방송부
211 : 음성저장부 212 : 제1 송출부
220 : 부저부 221 : 제2 송출부
222 : 버튼부 230 : 지구경종부
240 : 주경종부
300 : 중앙서버 310 : 경보 제어부
320 : 원격 제어부 330 : 화재 발생유무 판단부
331 : 제1 판단모듈 332 : 구조정보 저장부
333 : 제2 판단모듈 340 : 센서 위치정보 파악부
350 : 송신대상 결정부 351 : 화재단계 결정부
352 : 제1 화재대응경보 저장부 353 : 송신대상 선택부
360 : 화재 발생영역 파악부 370 : 탈출 경로 생성부
400 : 관리자 단말
500 : 소화부
S110 : 화재 감지부 작동단계 S120 : 제1 화재경보 점검단계
S130 : 화재 경보부 작동단계 S140 : 제2 화재경보 점검단계
S210 : 화재정보 수신단계 S220 :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
S221 : 제1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
S222 : 제2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
S230 : 화재 발생정보 송신단계

Claims (9)

  1.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00);
    화재 상황을 알리는 화재 경보부(200);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경보 제어부(310);
    무선/유선 통신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받으며, 상기 경보 제어부(310)를 통해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원격 제어부(320);
    상기 원격 제어부(320)와 통신하며 상기 중앙서버(300)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상기 화재 경보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관리자 단말(400); 을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2.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00);
    화재 상황을 알리는 화재 경보부(200);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화재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화재 경보부(200)를 작동시키는 중앙서버(300);
    상기 중앙서버(300)와 통신하며 상기 중앙서버(300)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100)와 상기 화재 경보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관리자 단말(400); 을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400)과 통신하며, 상기 중앙서버(300)와 상기 관리자 단말(4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소화 작업을 진행하는 소화부(500); 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4. 청구항 2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400)을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100)를 화재가 감지된 상태로 만드는 화재 감지부 작동단계(S110);
    상기 화재 감지부(100) 작동 시 나타나는 상기 화재 경보부(200)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1 화재경보 점검단계(S120);
    상기 관리자 단말(400)를 통해 상기 화재 경보부(200)를 작동시키는 화재 경보부 작동단계(S130);
    상기 화재 경보부(200)를 구성하는 상기 비상방송부(210), 상기 부저부(200), 상기 지구경종부(230), 상기 주경종부(240)의 개별적인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제2 화재경보 점검단계(S140); 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
  5. 청구항 2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유무를 판단하는 화재 발생유무 판단부(330);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센서 위치정보 파악부(340); 를 포함하는 소방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 감지부(10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정보가 송신되는 대상을 결정하는 송신대상 결정부(350); 를 포함하는 소방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에서 수신되는 화재 정보와 상기 센서 위치정보 파악부(340)에서 수신되는 센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영역을 파악하는 화재 발생영역 파악부(360); 를 포함하는 소방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화재 발생영역 파악부(360)에서 파악된 화재 발생영역을 기반으로 탈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탈출 경로 생성부(370); 를 포함하는 소방 시스템.
  9. 청구항 5의 소방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재 발생유무 판단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화재감지 센서(110)에서 화재 정보를 수신받는 화재정보 수신단계(S210);
    화재정보를 송신한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정보 및 건물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화재가 감지된 화재감지 센서(110)의 위치관계를 파악하며, 파악된 위치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유무를 결정하는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0);
    상기 화재 발생유무 판단단계(S22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화재발생 정보를 송신하는 화재 발생정보 송신단계(S230); 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유무 판단 방법.

KR1020200139631A 2020-10-26 2020-10-26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 KR102463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31A KR102463300B1 (ko) 2020-10-26 2020-10-26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31A KR102463300B1 (ko) 2020-10-26 2020-10-26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320A true KR20220055320A (ko) 2022-05-03
KR102463300B1 KR102463300B1 (ko) 2022-11-03

Family

ID=8159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631A KR102463300B1 (ko) 2020-10-26 2020-10-26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30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02B1 (ko) * 2011-03-31 2012-08-20 이호기술단(주)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2014071659A (ja) * 2012-09-28 2014-04-21 Nohmi Bosai Ltd 点検支援システム
KR101527725B1 (ko) * 2014-12-08 2015-06-17 공단소방 주식회사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KR101643317B1 (ko) 2016-03-30 2016-08-10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KR101754232B1 (ko) 2017-01-23 2017-07-19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KR20190047982A (ko) 2017-10-30 2019-05-09 김주만 소방시설점검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979756B1 (ko) 2019-03-05 2019-05-17 조성용 소방 점검 시스템
JP2020013620A (ja) * 2019-10-28 2020-01-23 ホーチキ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の感知器試験システム
KR102110146B1 (ko) * 2018-11-15 2020-05-13 윤성준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02B1 (ko) * 2011-03-31 2012-08-20 이호기술단(주)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2014071659A (ja) * 2012-09-28 2014-04-21 Nohmi Bosai Ltd 点検支援システム
KR101527725B1 (ko) * 2014-12-08 2015-06-17 공단소방 주식회사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KR101643317B1 (ko) 2016-03-30 2016-08-10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KR101754232B1 (ko) 2017-01-23 2017-07-19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KR20190047982A (ko) 2017-10-30 2019-05-09 김주만 소방시설점검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110146B1 (ko) * 2018-11-15 2020-05-13 윤성준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KR101979756B1 (ko) 2019-03-05 2019-05-17 조성용 소방 점검 시스템
JP2020013620A (ja) * 2019-10-28 2020-01-23 ホーチキ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の感知器試験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300B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1224B2 (ja) 火災時現場対応支援システム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101204008B1 (ko)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US202102415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ftware defined fire detection and risk assessment
KR101444395B1 (ko) 비상 대처가 가능한 지능형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583184B1 (ko) 재난 감지 시스템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102133442B1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2464640B1 (ko)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090003938A (ko) 센서 네트워크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피난 장치 및 그 방법
JP2018124954A (ja) 防災システム
KR102088194B1 (ko) IoT 기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한 원격 재난현장의 재난알림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41268B1 (ko) 드론을 이용한 소방 점검 시스템
KR102463300B1 (ko)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 소방시설 원격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원격점검 방법
KR20090080273A (ko) 소방관리용 가스 소화설비 시스템
JP4624772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及び防災監視用操作表示装置
KR102492453B1 (ko) 화재 수신기 및 소화 통합 관제 제어 시스템
KR101527725B1 (ko)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KR101514897B1 (ko) 전력선 통신 및 보조 통신수단을 수반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1931558B1 (ko) 화재 진압 스마트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6193769B2 (ja) 自動火災報知設備
KR102473778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이를 포함하는 비화재보 분석 시스템
KR101682405B1 (ko) 3차원 스캐닝을 이용한 캐넌 관제시스템
KR101176608B1 (ko) 통합 화재 처리 장치
KR20090080282A (ko) 화재 단계별 통지기능을 구비한 소방관리용 가스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