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008B1 -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008B1
KR101204008B1 KR1020100012384A KR20100012384A KR101204008B1 KR 101204008 B1 KR101204008 B1 KR 101204008B1 KR 1020100012384 A KR1020100012384 A KR 1020100012384A KR 20100012384 A KR20100012384 A KR 20100012384A KR 101204008 B1 KR101204008 B1 KR 101204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uilding
identification number
unit
extinguish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767A (ko
Inventor
허선회
Original Assignee
허선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선회 filed Critical 허선회
Priority to KR102010001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0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건물에서 층별 및 호수별로 각각 구분되어 설치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건물의 층별 및 호수별로 구비되며, 제어부에서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화매체가 분사되는 노즐부와; 노즐부와 연통되며 소화매체가 일정 압력하에 충진되는 하우징, 하우징과 노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밸브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를 가지는 소화매체 방출부와; 건물의 관리자 각각에게 지급되며, 위치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와; 관리자 단말기와 상호 위치정보 및 관리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화재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소화매체가 분출되도록 하여 자동 소화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화재 발생장소로부터 최단거리에 위치한 관리자의 단말기를 위치정보 획득부를 통해 추적하여 송/수신부를 통해 화재 발생경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를 자동적으로 감시하고, 이를 진압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염, 열기 또는 독성가스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와 연동되어 설치되는 화재경보장치를 통해 화재 사실을 경보음(비상벨)으로 알리게 된다. 또한, 화재감지센서에 연동하도록 설치되는 소화장치가 작동하여 소화매체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발생 지역에 대한 소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화재 발생 경보음이 발생하면, 이를 듣고 건물의 관리자가 화재 발생을 인지한 뒤 화재발생 장소를 탐색하여 현장을 찾아서, 화재 발생여부, 소화여부 등을 확인하고, 미소화된 상태에서는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람들을 대피시키고, 소화전 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소화작업 등을 수행하여 화재발생에 대처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종래에는 화재 발생 경보음(비상벨소리)을 듣고 관리자가 화재발생 사실을 인지하고, 건물 내의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안내방송이나, 대피 안내 등의 하게 되는데, 관리자가 화재 발생 경보음을 듣지 못할 경우, 화재의 진압을 자동 소화장치에 의존해야 하고, 만일 자동 소화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 커다란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발생시 작동되는 소화장치의 고장유무를 수동적으로 검사함으로써 불편함이 있었으며, 미처 고장여부를 파악하지 못한 채 화재발생시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화장치가 작동된 후 어느 장소의 소화장치가 작동되었는지가 파악하기 힘들어서 소화장치의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였으며, 화재가 발생한 장소(건물의 층수, 호실 등)를 초기에 파악하기가 쉽지 않고, 화재 사실을 최단거리 내에 위치한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지 못하여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가 발생된 장소를 정확히 판단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사실을 화재발생장소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한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관리자가 신속하게 현장에 접근하여 화재를 진압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은, 건물에서 층별 및 호수별로 각각 구분되어 설치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건물의 층별 및 호수별로 구비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화매체가 분사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와 연통되며 소화매체가 일정 압력하에 충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노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상기 밸브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를 가지는 소화매체 방출부와; 상기 건물의 관리자들에게 지급된 관리자 단말기들과 상호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소화매체가 분출되도록 하여 자동 소화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화재 발생장소별로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만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화재 발생경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재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층 및 호수와 매칭되는 화재 감지 식별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소화매체 방출부는 상기 화재 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식별번호가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화재 감지부의 화재 감지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소화매체 방출부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관리자의 단말기로 화재 발생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소화매체 방출부는 소화매체의 충진압력을 검지하는 충진압력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진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인 소화매체 방출부의 방출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화재감지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건물의 층 및 호수 식별번호를 판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건물의 각 층별 호수별로 설치되며, 상기 화재 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카메라 식별번호가 부여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화재 감지부의 화재 감지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카메라 식별번호의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좋다.
또한, 건물의 주 전원공급이 화재로 인하여 차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엑추에이터, 밸브, 충진압력센서, 제어부 및 화재 감지부로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건물의 각 층별 호수별로 설치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화재 감지부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대피경보 메시지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들과 상호 위치정보를 송/수신하여 관리자 단말기들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화재 발생장소로부터 최단거리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기를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를 통해 추적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화재 발생경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에 따르면, 건물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화재가 발생된 특정 구역에서만 소화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어느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된 해당 구역에서만 소화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효과적으로 화재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일련의 소화매체 방출부 중 어느 소화매체 방출부에서 소화매체가 소진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소화매체가 충진되는 소정의 충진압력을 감지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소화매체가 충진되는 소화매체 방출부의 수리 또는 교환 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신속하게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비상상황이 발생되어도 안정적으로 구동되어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 발생시 발생장소 즉, 구역별로 미리 매칭되어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만 화재 발생 경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화재 발생 경보 신호를 전달받은 관리자가 신속하게 담당 구역으로 가서 현장으로 확인하고, 화재 발생 현장을 수습할 수 있게 되며, 관리자들이 서로 화재 발생 확인작업을 미루는 일이 생기지 않게 됨으로써, 정확하고 체계적인 화재 감시 관리체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역별 관리자가 현장에 즉시 도착할 수 있도록 감시 관리 체계를 유지함으로써, 화재 발생에 대해서 신속하체 대처하여 인명피해는 물론 물적 피해를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오작동 등에 대해서도 바로 판단하여 상황을 수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위치정보 획득부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구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관리자의 단말기를 추적하여, 그 가장 가까운 관리자 단말기로도 화재 발생 경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화재 발생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관리자가 현장에 가장 빠르게 현장에 도착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1b는 도 1a의 소화매체 방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건물의 자동 화재감지 및 진압시스템이 건물에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소화매체 방출부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도 1b,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은, 화재감지부(120), 제어부(110), 노즐부(130), 소화매체 방출부(130), 위치정보 획득부(170), 송/수신부(175)를 구비한다.
상기 화재감지부(120)는 건물(10)의 각 층별 호수별로 복수개(121,122,...)가 구비되어, 각 건물의 층별 호수별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화재시 연기가 발생되면 연기에 의해 수광부에서의 수광량이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하여, 수광되는 수광량이 소정의 값(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열을 감지하는 방법은 화재시 발생되는 열을 온도센서로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소정 온도(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110)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화염을 감지하는 방법은 화재시 불꽃 즉, 화염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또는 적외선의 변화가 일정량 이상인 경우 제어부(110)에서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이와 같이 화재 감시부(120)에서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 감지부(120) 및 소화매체 방출부(130)를 제어한다.
상기 노즐부(140)는 복수개의 노즐(141,142,...)로 구성되어 제어부(110)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화매체 방출부(130)로부터 방출되는 소화매체가 최종적으로 방출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매체 방출부(130)는 건물의 각층별 각 호수별로 또는 구획되어 나뉘어진 구역별로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131,132,...) 구비되며, 소화매체가 일정한 충진압력하에 충진되는 충진부(미도시)가 구비되는 하우징(131d, 132d,...), 충진부와 노즐부(140) 간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131b,132b,...) 및 밸브(131b,132b,...)를 개폐 구동하는 엑추에이터(131a,132a,...)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화매체 방출부(130)는 건물 각 층의 호수별 또는 구역별 천정측에 위치하며, 그 설치 또는 교체의 편의상 벽면 쪽이나 바닥 쪽에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에 의하여 엑추에이터(131a,132a,...)가 구동되어 밸브(131b,132b,...)가 개방되고, 충진부에 충진되어 있는 소화매체가 충진압력에 의해 노즐부(140)를 통해 최종적으로 외부로 분사되어 소화시키게 된다.
이때, 건물(10) 전체 중에서 화재가 발생한 구역을 판단하고, 화재가 발생된 구역에만 소화 작업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재 감지부(120)는 각 층별 구역별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일련의 화재 감지 식별번호가 부여되고, 소화매체 방출부(130)에는 화재 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일련의 방출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의 각 호수 즉, 구역에는 각각 예를 들어 A 내지 X의 구역번호가 부여되며, 각 구역에 설치되는 화재 감지부(120)에는 a 내지 x의 화재 감지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또한, 각 구역에 설치되는 소화매체 방출부(130)에는 각각 a1 내지 x1의 방출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따라서, 건물(10)의 각 구역 중에서 화재 감지 식별번호 b가 부여된 화재 감지부(122)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하고, 제어부(110)는 화재 감지 식별번호 b와 매칭되는 구역의 식별번호 B를 판단함으로써 현재 어느 층의 어느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화재 감지 식별번호 b와 매칭되는 방출 식별번호 b1을 판단하여 방출 식별번호 b1에 해당되는 소화매체 방출부(132)의 엑추에이터(132a)만을 구동하여 해당 구역에서만 소화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건물(10)의 어느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된 해당 구역에서만 소화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효과적으로 화재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일련의 소화매체 방출부(130) 중 어느 소화매체 방출부(132)에서 소화매체가 소진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어 소화매체가 충진되는 하우징(132d)의 교환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역에는 일련의 화재 감시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카메라 식별번호 a2 내지 x2가 부여되는 카메라부(150)가 각 구역마다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110)는 화재 감지 식별번호 b와 매칭되는 카메라 식별번호 b2를 가지는 카메라부(152)를 구동하여 화재발생 구역의 내부를 촬영하고, 송/수신부(175)를 통해서 관리자 단말기(210) 또는 관리실(220)로 전송한다.
또한, 소화매체 방출부(130)는 하우징(131d,132d,...)의 내에 소화매체가 충진되는 소정의 충진압력을 감지하는 충진압력 센서부(131c,132c,...)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소화매체의 방출은 하우징(131d,132d,...) 내의 충진압력에 의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충진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화재 발생시 소화매체가 충분히 방출되지 못하여 소화작업이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10)는 충진압력 센서부(131c,132c,...)로부터 수신되는 충진압력이 기저장된 충진 기준압력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하우징이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여 이의 교환 또는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충진압력 센서부(131c,132c,...)는 해당 소화매체 방출부(130)의 방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부(110)는 수신된 방출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화재감지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이와 매칭되는 건물 구역의 식별번호를 판단하여 건물의 어느 구역의 소화매체 방출부(130)가 고장난 것인지 자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물(10)의 각 구역별(A,B,C,...)로 관리자 단말기들(210)의 식별번호(1,2,3,...n)가 미리 매칭되어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210)는 건물의 관리자의 수에 따라 또는 관리 구역(A,B,C...)의 수에 따라서 다수의 관리자 말기(211,212,...)가 구비되며,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211,212,...)는 건물의 구역별로 매칭되는 식별번호가 주어진다. 예를 들어, 건물의 구역(A)에 대해서는 식별번호(1,2,3)를 가지는 단말기들이 매칭되고, 구역(B)에 대해서는 식별번호(4,5,6)을 가지는 단말기가 매칭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화재 감지부(120)로부터 전달된 화재 발생신호를 판단한 결과,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구역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그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식별번호에 매칭되는 식별번호를 가지는 관리자 단말기로만 화재 발생 경고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명의 관리자들 중에서 화재 발생장소(구역) 별로 미리 설정된 담당 관리자들에게만 화재 발생정보가 전달됨으로써, 화재 발생정보를 수신받은 관리자는 담당 구역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반드시 신속하게 화재 발생장소로 이동하여 확인하고, 현장의 화재를 진압하거나 수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정보 획득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170)는 송/수신부(175)를 통해 건물의 관리자 단말기(2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받아서, 관리자 단말기(211,212,...)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211,212)는 GPS 송수신용 단말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175)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며, 단말기들의 위치정보를 수신함은 물론,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10) 및 관리실(22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정보 획득부(170)에서 획득된 단말기들(211,212,...) 각각의 위치정보는 제어부(11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화재 감지부(120)로부터 전달된 화재 발생신호를 판단한 결과,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구역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그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식별번호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기를 찾아내어,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기로도 화재 발생 경고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명의 관리자들 중에서 화재 발생장소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관리자에게도 화재 발생정보가 전달됨으로써, 화재 발생정보를 수신받은 관리자는 책임감을 가지고 신속하게 화재 발생장소로 이동하여 확인하고, 현장의 화재를 진압하거나 수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에 의하여, 건물의 어느 구역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된 해당 구역에서만 소화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화재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일련의 소화매체 방출부(130) 중에서 어느 소화매체 방출부에서 소화매체가 소진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소화매체가 충진되는 하우징의 교환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장소(구역)별 관리자의 관리 단말기들로만 화재 경보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관리체계가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유지됨으로써, 화재 발생시 이를 관리자별로 미루지 않고 본인의 구역을 철저하게 감시 및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담당 관리자가 신속하게 화재현장에 도착하여 화재 상황을 파악하여 소화, 인명대피 등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 현장(구역)으로부터 가장 인근에 위치한 관리자를 찾아내어, 해당 관리자에게도 화재 경보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화재 현장에서 가까이에 위치한 관리자가 가장 신속하게 화재현장에 도착하여 화재 상황을 파악하여 소화, 인명대피 등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 발생시 상기한 바와 같은 소화작업이 수동으로도 조작될 수 있도록 각 건물의 구역에는 메뉴얼의 입력부(1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물의 화재 발생시 해당 건물에서 사람들을 신속하게 대피시키도록 경보부(165,스피커 포함)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피커는 건물의 각 층마다, 각 구역마다 설치됨으로써 화재 발생상황을 건물의 곳곳에 있는 사람들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부(120), 소화매체 방출부(130), 제어부(110), 경보부(165), 입력부(160), 카메라부(150), 위치정보 획득부(170), 송/수신부(175)는 정전, 화재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비상 상황 발생시 배터리와 같은 보조전원 공급부(190)에 의해 보조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비상상황이 발생되어도 안정적으로 구동되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의 소화매체로서 플루오르화 케톤이 사용된다. 플루오르화 케톤(CF₃CF₂(O)CF(CF₃)₂)은 케톤의 분자에서 탄소원자를 불소로 치환하여 생성된 것으로 무색무취의 성질을 가지며, 불소가 안정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전기가 통하지 않고 화재현장에 분사되었을 때 불과 또는 연기와 접촉함과 동시에 빠르게 증발하기 때문에 소화매체로서 유용하다. 미국 "3M"사에서 개발된 제품인 방화액 노벡1230(Fire Protection Fluid Novec 1230)이 사용될 수 있다. 노벡1230은 미국소방안전협회 NFPA(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에 청정소화액으로 인정받았으며, "FK5-1-12"이라는 명칭으로 정식 등록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화매체 방출부는 하우징, 밸브,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통상적으로 건물에 많이 설치되어 비상이 천정에서 물을 분사하여 진화하도록 하는 스프링쿨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프링쿨러는 화재 감지부(120)에서의 화재감지 신호와 동시에 동작 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10)에서는 화재 발생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어되어 동작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프링쿨러의 경우에는 그 소화매체로서 물이 사용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건물의 각 층별 구역별로 구분된 건물의 구역별 일련의 식별번호, 구역별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화재 감지부(120)의 화재감지 식별번호, 화재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소화매체 방출부(130)의 방출 식별번호 및 화재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카메라부(150)의 카메라 식별번호가 저장된다(S110).
화재 감지부(120)는 실시간으로 화재가 발생되는지를 감시하며(S120), 화재가 발생된 경우 화재발생 신호를 제어부(110)로 송신하고 제어부(110)는 신호 송출한 화재 감지부(120)의 화재감지 식별번호를 판단한다(S130).
제어부(110)는 판단된 화재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방출 식별번호를 가지는 소화매체 방출부(130)의 엑츄에이터(130a)를 구동하여 밸브(130b)가 개방되게 함으로써 소화매체가 노즐부(140)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된 구역으로 분사되도록 하며, 또한 화재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카메라 식별번호를 가지는 카메라부(150)를 구동하여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내부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상한다(S140).
이와 함께 위치정보 획득부(170)는 송/수신부(175)를 통해 건물 내에 있는 관리자 단말기들(211,212,...)과 통신을 통해 단말기들 즉, 관리자들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단말기들(211,212,...)의 위치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S180).
그리고 제어부(110)는 화재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구역 식별번호 및 관리자 단말기 식별번호를 각각 판단하고(S150), 상기 단계 S150에서 판단된 구역 식별번호, 화재감지 식별번호 및 화재발생 경보 신호를 송/수신부(175)를 통해 화재 구역 식별변호와 매칭된 관리자 단말기들로 전송한다(S155).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재가 발생된 구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된 단말기로도 상기 단계 S150에서 판단된 구역 식별번호, 화재감지 식별번호 및 화재발생 경보 신호를 전송한다(S190).
그리고 나서, 건물에 구비된 경보부 즉, 스피커들을 통해서 경고신호(방송)를 출력함으로써 건물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S170).
특히, 경고 방송시 화재가 발생되는 건물의 층수 및 구역에 대한 정보를 함께 방송함으로써, 사람들이 건물의 어느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알 수 있어서, 자신들의 위치에 따라서 안전한 대피경로를 찾아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소화매체 방출부(130)의 수리 또는 교환시기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화재 발생시 소화매체 방출부(130)에서 소화매체가 그 충진압력에 의하여 방출될 때 필요한 충진 기준압력이 미리 저장되고(S310), 건물의 각 구역별 식별번호, 구역별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화재 감지부(120)의 화재감지 식별번호 및 화재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소화매체 방출부(130)의 방출 식별번호가 미리 저장된다(S320).
소화매체 방출부(130)의 소화매체가 충진되는 하우징(130d)의 충진압력을 검지하고(S330), 제어부(110)는 검지된 충진압력과 기저장된 충진 기준압력을 비교하여(S340), 검지된 충진압력이 기저장된 충진 기준압력 이하인 경우 해당 소화매체 방출부(130)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소화매체 방출부(130)의 방출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화재감지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화재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구역 식별번호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S350).
제어부(110)는 판단된 구역 식별번호 및 해당 소화매체 방출부(130)의 고장 내역을 경보부(165)를 통하여 경고한다(S360).
이로써, 건물의 각 구역에 구비되는 소화매체 방출부(130)가 정상적인 상태인지 검지하기 위하여 검시원이 수동으로 검지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그 고장 또는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S320 단계에서 구역의 식별번호 및 구역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소화매체 방출부(130)의 방출 식별번호만을 저장하고, S350 단계에서 소화매체 방출부(130)의 방출 식별번호로부터 직접 매칭되는 구역 식별번호를 판단하는 것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부(140) 및 화재감지부(120)가 건물의 각각의 구역에 구비되고 소화매체 방출부(130)와 별개의 제어부(110)에서 화재를 판단하여 소화작업이 진행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소화매체 방출부에 직접 노즐부, 화재 감지부 및 제어부가 구비되어 소화작업이 진행되게 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이와 달리 소화매체 방출부에 직접 노즐부 및 충격센서가 구비되어 화재가 발생된 지점에 소화매체 방출부를 투척하면 그 충격센서에 의하여 일정한 충력압이 감지되면 노즐부에서 소화매체가 분사되게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제어부 120..화재 감지부
130..소화매체 방출부 140..노즐부
150..카메라부 160..입력부
165..경보부 170..위치정보 획득부
175..송/수신부 190..보조전원공급부
210..관리자 단말기

Claims (8)

  1. 건물에서 층별 및 호수별로 각각 구분되어 설치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건물의 층별 및 호수별로 구비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화매체가 분사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와 연통되며 소화매체가 일정 압력하에 충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노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상기 밸브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를 가지는 소화매체 방출부와;
    상기 건물의 관리자들에게 지급된 관리자 단말기들과 상호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소화매체가 분출되도록 하여 자동 소화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화재 발생장소별로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만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화재 발생경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들과 상호 위치정보를 송/수신하여 관리자 단말기들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화재 발생장소로부터 최단거리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기를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를 통해 추적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화재 발생경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층 및 호수와 매칭되는 화재 감지 식별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소화매체 방출부는 상기 화재 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식별번호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화재 감지부의 화재 감지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소화매체 방출부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관리자의 단말기로 화재 발생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매체 방출부는 소화매체의 충진압력을 검지하는 충진압력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진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인 소화매체 방출부의 방출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화재감지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건물의 층 및 호수 식별번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각 층별 호수별로 설치되며, 상기 화재 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카메라 식별번호가 부여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화재 감지부의 화재 감지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카메라 식별번호의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건물의 주 전원공급이 화재로 인하여 차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엑추에이터, 밸브, 충진압력센서, 제어부 및 화재 감지부로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각 층별 호수별로 설치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화재 감지부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대피경보 메시지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8. 삭제
KR1020100012384A 2010-02-10 2010-02-10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KR101204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384A KR101204008B1 (ko) 2010-02-10 2010-02-10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384A KR101204008B1 (ko) 2010-02-10 2010-02-10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767A KR20110092767A (ko) 2011-08-18
KR101204008B1 true KR101204008B1 (ko) 2012-11-23

Family

ID=4492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384A KR101204008B1 (ko) 2010-02-10 2010-02-10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00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36B1 (ko) 2011-08-19 2012-12-27 한국전력공사 전기신호를 이용한 무정전식 소화시스템
KR20170009206A (ko) * 2015-07-16 2017-01-25 임형규 스프링클러 소화장치
KR101895975B1 (ko) 2018-03-14 2018-09-06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와 진압시스템
WO2019117321A1 (ko) * 2017-12-11 2019-06-20 지용화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63033A (ko) 2019-08-08 2020-06-04 최근주 소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8453A (ko) 2020-08-10 2020-08-20 최근주 소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2914A (ko) *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피에스테크 벽면 패널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282559B1 (ko) 2020-10-15 2021-07-27 박기태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18641A (ko) 2020-08-07 2022-02-15 박기태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건물 모니터링 시스템
KR20240050611A (ko) 2022-10-12 2024-04-19 박기태 선택적 가스 센싱을 통한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717B1 (ko) * 2012-02-01 2013-07-31 박우순 소화설비 압력제어 시스템
KR101399475B1 (ko) * 2012-12-28 2014-06-02 주식회사 퓨처테크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KR101711950B1 (ko) 2015-03-24 2017-03-03 주식회사 포드림 화재 발생 장소의 설비 제어 시스템
KR102014184B1 (ko) * 2018-03-22 2019-08-26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대피로 통제 시스템
CN108806174A (zh) * 2018-07-11 2018-11-13 南通理工学院 一种火灾自动报警系统
KR102313201B1 (ko) 2020-11-30 2021-10-18 (주)한길이앤씨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감시시스템
KR102601337B1 (ko) * 2021-02-25 2023-11-10 박경연 건물 층별 소화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건물 층간 독립형 소방시스템
KR102530210B1 (ko) * 2021-05-31 2023-05-08 박길호 하이브리드 소방용 시설물 관리시스템
KR102653364B1 (ko) * 2023-12-12 2024-04-02 주식회사 에스비이엔씨 고층 아파트 화재 시스템의 스프링 쿨러 오동작 방지방법 및 방지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36B1 (ko) 2011-08-19 2012-12-27 한국전력공사 전기신호를 이용한 무정전식 소화시스템
KR20170009206A (ko) * 2015-07-16 2017-01-25 임형규 스프링클러 소화장치
KR101717845B1 (ko) * 2015-07-16 2017-03-17 임형규 스프링클러 소화장치
WO2019117321A1 (ko) * 2017-12-11 2019-06-20 지용화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95975B1 (ko) 2018-03-14 2018-09-06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와 진압시스템
KR20210002914A (ko) *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피에스테크 벽면 패널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306801B1 (ko) * 2019-07-01 2021-09-29 주식회사 피에스테크 벽면 패널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200063033A (ko) 2019-08-08 2020-06-04 최근주 소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8641A (ko) 2020-08-07 2022-02-15 박기태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건물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98453A (ko) 2020-08-10 2020-08-20 최근주 소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82559B1 (ko) 2020-10-15 2021-07-27 박기태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KR20240050611A (ko) 2022-10-12 2024-04-19 박기태 선택적 가스 센싱을 통한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767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008B1 (ko)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KR100637846B1 (ko) 열차 자동 화재진압 장치
KR101792766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KR101725774B1 (ko)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102217555B1 (ko)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CN101485926B (zh) 一种消防烟雾报警与自动喷淋联动系统及其工作方法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KR101563655B1 (ko) 다기능 화재감지기
US7948368B2 (en) Method for evacuating buildings divided into sections
JP2003126286A (ja) 消火システム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810153B1 (ko) 궤도형 스프링클러와 분사형 피난경로 표시 로봇을 이용한 피난 관제 통신 시스템
CN112255957A (zh) 一种消防安防摄像头监控系统
KR10204908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KR20240082290A (ko) 리튬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장치 화재 진압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5005A (ko) 기지국 통신장비 함체내 자동식 소화 장치 및 방법
KR20190121579A (ko)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6608B1 (ko) 통합 화재 처리 장치
KR101166962B1 (ko)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6120035A (ja) ガス系消火設備
KR200466854Y1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KR20240006332A (ko) 이동식 간이 소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