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184B1 - 대피로 통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피로 통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184B1
KR102014184B1 KR1020180033188A KR20180033188A KR102014184B1 KR 102014184 B1 KR102014184 B1 KR 102014184B1 KR 1020180033188 A KR1020180033188 A KR 1020180033188A KR 20180033188 A KR20180033188 A KR 20180033188A KR 102014184 B1 KR102014184 B1 KR 102014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ire
evacuation route
rou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송우승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filed Critical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180033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피로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감지부를 통해 화재상황을 감지하고 화재지점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얻어진 정보를 기초로 대피로를 설정하고, 상황에 따라 대안경로를 마련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사람들을 대피시킬 수 있다. 대피로를 안내하는 안내부는 온도에 따라 상이한 빛을 발하므로, 안내부의 색깔만으로 대략적인 온도를 예상케 해주고 대피로를 선택함에 있어 비상상황에 처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게 된다.

Description

대피로 통제 시스템{EMERGENCY EXIT ROUT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대피로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는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다만 예기치 못하게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그 상황 또는 장소에 따라 재산상 피해 및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건물 등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발생지점에서 벗어나지 못해 인명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화재연기로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고 숨을 제대로 쉴 수 없는 경우 및 화재지점을 경유하지 않고 대피할 수 있는 대안경로를 찾지 못하는 경우 등 충분히 사고를 회피할 수 있음에도 대피로 통제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건물 내부에 비상구의 위치를 지시해주는 비상등은 대부분 배치되어 있고, 이는 인광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도 어두운 곳에서 비상구의 위치를 지시해줄 수 있으나, 정확한 대피로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부족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대피로를 변경하는 기능 등 부가적인 기능의 부재로 인해 실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로를 통제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8897호(2016.04.0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재발생 시 화재지점을 파악하고 화재가 발생한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빠르고 안전한 대피로를 제공하는 대피로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 개의 센서들을 구비하여 각 지점에서 온도 또는 화재연기의 정도를 비교하여 대피로를 설정하는 대피로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재로 인해 연기가 발생해도 안내부의 방향지시부로 인해 대피로를 빠르게 시각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대피로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상황을 감지하고 화재지점을 파악하는 감지부,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대피로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설정된 대피로에 따라 빛을 발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화재연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외부출입구지점까지 최단거리로 대피로를 설정하는, 대피로 통제 시스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화재연기를 측정할 수 있는 화재연기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대피로 통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센서 및 화재연기감지센서는 복수 개가 배치되는, 대피로 통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된 대피로의 일정부분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일정부분을 회피하고도 대피로가 설정될 수 있는 경우 일정부분을 회피하도록 대피로를 설정하고, 측정된 온도의 비교값이 기 설정된 범위 내라면 제어부는 외부출입구지점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온도센서 측으로 대피로를 설정하는, 대피로 통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부는 기 정해진 온도범위에 따라 상이한 색으로 빛을 발하는, 대피로 통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부는 대피로의 방향을 지시해주는 방향지시부를 포함하는, 대피로 통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 제어부 및 안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전원부는 비상상황 시에도 기 정해진 시간 이상 작동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대피로 통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빠르고 안전한 대피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피로를 설정함에 있어서, 여러 지점의 온도센서 및 화재연기센서를 통해 대피자에게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재지점으로부터 외부출입구지점까지 생성되는 대피로와 화재지점이 아닌 지점으로부터 외부출입구지점까지 생성되는 대피로가 안내부를 통해 상이한 색으로 빛을 발하므로, 화재진압을 위해 소방관이 투입될 때 용이하게 진입로를 파악할 수 있고 대피자들은 화재지점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대피로 통제 시스템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대피로 통제 시스템의 제어부가 대피로를 설정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일측", "타측", "상부", "하부"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대피로 통제 시스템이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대피로 통제 시스템(10)은 감지부(100), 제어부(200), 안내부(300) 및 전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00)는 화재상황을 감지하고 화재지점을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감지부(100)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기초로 대피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안내부(300)는 제어부(200)로부터 설정된 대피로를 빛을 발하는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원부(400)는 화재나 지진 등 비상상황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일정시간이상 감지부(100), 제어부(200) 및 안내부(300)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감지부(100)는 온도센서 및 화재연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00)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 및 복수 개의 화재연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00)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각 센서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고, 센서가 배치된 위치에 따라 화재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감지부(100)를 통해 얻어진 정보는 제어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화재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람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외부출입구지점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점에서 외부출입구지점까지 안내부(300)를 통해 대피로를 안내될 수 있다.
안내부(300)는 방향지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큰 건물의 경우 사람들이 건물의 구조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 빛에 의해 안내되는 곳의 방향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위급상황 시 사람들의 판단력과 인지능력이 평소보다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방향지시부가 존재함으로써, 사람들이 화재에 가까워 지도록 안내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300)는 기 정해진 온도범위에 따라 상이한 색으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지점으로부터 외부출입구지점까지 생성되는 대피로와 화재지점이 아니지만 화재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외부 출입구 지점까지 생성되는 대피로를 표시함에 있어서, 사람들에게 상이한 색으로 안내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대피하려는 사람들에게는 화재지점을 시각적으로 인지시켜 별도의 사고(思考)없이도 화재지점 등 위험한 지역을 회피하여 대피하는 것을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불길이 번지는 경우 불길이 번지는 경로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소방관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시스템 내부로 들어오는 경우 어떠한 경로로 진화할 것인지 판단 내리는데 즉각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안내부(300)는 내열성이 뛰어난 커버로 보호되어 화재가 거세지더라도 정상작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빛을 내는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이 뛰어난 LED가 될 수 있다.
전원부(400)는 전지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자체의 전력으로 인해 상술한 감지부(100), 제어부(200) 및 안내부(300)를 정상작동 하도록 만들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대피로 통제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대피로 통제 시스템은 화재상황을 감지하고 화재지점을 파악하는 단계(S10), 대피로를 설정하는 단계(S20), 대피로를 안내하는 단계(S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는 각 단계가 반드시 차례로 실행되는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각 단계들이 실행될 때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한 범위 내의 다른 작업 등이 각 단계의 사이에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통제 시스템의 제어부가 대피로를 설정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지부가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지점을 파악하면 제어부(200)는 대피로를 설정하게 될 수 있다.
대피로를 설정함에 있어서,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값들을 비교하여 온도센서가 배치된 각 지점으로부터 외부출입구지점까지의 범위에서 최단거리로 대피로를 설정할 수 있다.
대피로가 설정된 후 기 설정된 온도보다 온도가 높은 부분이 있는지 판단한다. 대피로 통제 시스템(10)은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기 설정된 온도보다 어디가 더 높은 온도가 측정되는지 판단이 가능하다. 이 때 기 설정된 온도란, 사람이 대피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온도일 수 있으며, 연소되고 있는 재료 등 연소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피로 중 일정부분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다면 불가피하게 사람들에게 원래 설정되었던 대피로대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일정부분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200)는 그 일정부분을 회피하고도 대피로를 설정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가 감지된 일정부분을 회피하고서는 대피로를 설정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람들에게 불가피하게 대피로를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가 감지된 일정부분을 회피하고서도 대피로를 설정할 수 있는 경우는 그 부분을 회피하여 대피로를 재설정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설정된 대피로가 사람들에게 안내되게 된다.
또한, 측정된 온도의 비교값이 기 설정된 범위 내라면 제어부(200)는 외부출입구지점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온도센서 측으로 대피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란 센서의 오차범위일 수도 있고,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정도가 비슷한 온도범위일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임의대로 혹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각 지점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비교했을 때 기 설정된 범위 내라면 어느 경로로 사람들이 대피하더라도 불길이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비슷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된 온도의 비교값이 기 설정된 범위 내라면 외부출입구지점에 더 빨리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대피로 통제 시스템
100: 감지부
200: 제어부
300: 안내부
S10: 화재상황을 감지하고 화재지점을 파악하는 단계
S20: 제어부가 대피로를 설정하는 단계
S30: 안내부를 통해 대피로가 안내되는 단계

Claims (7)

  1. 화재상황을 감지하고 화재지점을 파악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대피로를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대피로에 따라 빛을 발하는 안내부; 및
    상기 감지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안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화재연기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안내부 위치에서 외부출입구지점까지 가장 안전한 최단거리로 대피로를 설정하고,
    상기 감지부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화재연기를 측정할 수 있는 화재연기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화재연기 감지센서는 복수 개가 배치되고,
    설정된 대피로의 일정부분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부분을 회피하고도 대피로가 설정될 수 있는 경우 상기 일정부분을 회피하도록 대피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의 상호 비교값이 기 설정된 범위 내라면, 설정된 대피로의 일정부분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출입구지점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온도센서 측으로 대피로를 설정하고,
    상기 안내부는 화재상황에서도 작동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내열성의 커버로 보호되고,
    상기 안내부는 위험 지역을 회피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기 정해진 온도범위에 따라 상이한 색으로 빛을 발하고,
    상기 빛은 LED에 의해 발광되며,
    상기 안내부는 대피로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지시해주는 방향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전지를 포함함으로써 비상상황 시에도 기 정해진 시간 이상 작동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 가능한, 대피로 통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33188A 2018-03-22 2018-03-22 대피로 통제 시스템 KR102014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188A KR102014184B1 (ko) 2018-03-22 2018-03-22 대피로 통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188A KR102014184B1 (ko) 2018-03-22 2018-03-22 대피로 통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184B1 true KR102014184B1 (ko) 2019-08-26

Family

ID=6780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188A KR102014184B1 (ko) 2018-03-22 2018-03-22 대피로 통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1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652A (ko) * 2019-10-10 2021-04-20 윤성호 대피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CN112927578A (zh) * 2021-01-21 2021-06-08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地铁站通风空调火灾防控的仿真培训监控系统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216A (ja) * 1992-03-24 1993-10-19 Shimizu Corp 避難経路ガイダンスシステム
JPH0685197B2 (ja) * 1986-05-23 1994-10-26 ホーチキ株式会社 火災警報設備の表示装置
KR20060103727A (ko) * 2005-03-28 2006-10-04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JP2008257332A (ja) * 2007-04-02 2008-10-23 Nec Engineering Ltd 避難誘導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方法
KR20080112871A (ko) * 2007-06-22 2008-12-26 (주)에이딕 재해시 대피 방향을 알려주는 대피 유도등
KR20110045893A (ko) * 2009-10-28 2011-05-04 한국 전기안전공사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
KR20110092767A (ko) * 2010-02-10 2011-08-18 허선회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KR20150144529A (ko) * 2014-06-17 2015-12-28 유창경 비상 안내 광고패널 및 비상 안내 시스템
KR101658897B1 (ko) 2014-09-30 2016-09-22 (주)아톰포토 비상 대피로 안내 시스템 및 엘이디 점자 블록
JP2017123008A (ja) * 2016-01-06 2017-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197B2 (ja) * 1986-05-23 1994-10-26 ホーチキ株式会社 火災警報設備の表示装置
JPH05269216A (ja) * 1992-03-24 1993-10-19 Shimizu Corp 避難経路ガイダンスシステム
KR20060103727A (ko) * 2005-03-28 2006-10-04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JP2008257332A (ja) * 2007-04-02 2008-10-23 Nec Engineering Ltd 避難誘導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方法
KR20080112871A (ko) * 2007-06-22 2008-12-26 (주)에이딕 재해시 대피 방향을 알려주는 대피 유도등
KR20110045893A (ko) * 2009-10-28 2011-05-04 한국 전기안전공사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
KR20110092767A (ko) * 2010-02-10 2011-08-18 허선회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KR20150144529A (ko) * 2014-06-17 2015-12-28 유창경 비상 안내 광고패널 및 비상 안내 시스템
KR101658897B1 (ko) 2014-09-30 2016-09-22 (주)아톰포토 비상 대피로 안내 시스템 및 엘이디 점자 블록
JP2017123008A (ja) * 2016-01-06 2017-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652A (ko) * 2019-10-10 2021-04-20 윤성호 대피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296670B1 (ko) * 2019-10-10 2021-09-01 윤성호 대피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CN112927578A (zh) * 2021-01-21 2021-06-08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地铁站通风空调火灾防控的仿真培训监控系统
CN112927578B (zh) * 2021-01-21 2023-03-31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地铁站通风空调火灾防控的仿真培训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6459B2 (e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KR101079735B1 (ko)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US20100309004A1 (en) Evacuation system and escape route indicator therefore
KR100696740B1 (ko)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101145438B1 (ko)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2511A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102014184B1 (ko) 대피로 통제 시스템
CN109785550B (zh) 逃生指示方法、装置、控制系统和存储介质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20200013218A (ko)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535539B1 (ko)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US11466846B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KR20160050552A (ko) 피난유도표시장치
JP6684100B2 (ja) 防災システム
KR102288305B1 (ko)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JP2017038698A (ja) トンネル避難坑内の避難誘導装置
KR101807261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60095359A (ko) 화재 발생시 대피로를 알려주는 비상 안내등
KR101800514B1 (ko) 화재 발생시 사용자 대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어 어셈블리
JP2014170348A (ja) 警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