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438B1 -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438B1
KR101145438B1 KR1020110139079A KR20110139079A KR101145438B1 KR 101145438 B1 KR101145438 B1 KR 101145438B1 KR 1020110139079 A KR1020110139079 A KR 1020110139079A KR 20110139079 A KR20110139079 A KR 20110139079A KR 101145438 B1 KR101145438 B1 KR 101145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evacuation
information
fire
evacu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순
Original Assignee
최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순 filed Critical 최두순
Priority to KR102011013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피정보안내장치를 통해 건물의 각 층별 또는 층간별 현재 위치에 대하여 해당 화재가 발생한 위치의 상대정보를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건축물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설정된 대피로에 대응하여 각 층별 또는 층간별 이동방향을 알려줌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시각장애인에게도 정확한 상대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상대정보를 단문 또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대피자들의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위급상황시 대피를 유도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Evacu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with impartation function of fire located and evacuation}
본 발명은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주는 안내등을 포함하는 대피정보안내장치를 통해 화재발생위치 및 그에 따른 대피방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대피정보안내장치를 통해 건물의 각 층별 또는 층간별 현재 위치에 대하여 해당 화재가 발생한 위치의 상대정보를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대피자가 비상구 등의 대피로의 선택을 직접 선택할 수 있게 하여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건물 및 숙박시설이나 지하철 및 지하상가 등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의 경우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비상구가 설치되고, 이러한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판이나 알림등이 해당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건물의 대형화와 고층화 및 복합화로 인해 다양한 화재 감지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운영 및 관리되고 있으며,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건물 내의 각 위치에 온도나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중앙관제실 및 통제실에서 화재감지센서의 동작을 확인하여 화재발생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CCTV 등의 감시 카메라를 각 위치에 설치하여 화재발생시, 해당 위치의 상태를 중앙관제실 및 통제실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재감지시스템은 화재감지 및 그에 따른 경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건물 내의 사람들에게는 단순히 화재가 발생된 것을 알리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다양하고 복잡하게 지어진 건물에서 사람들이 좀 더 안전한 장소로 부상없이 빠르게 대피하는 것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재감지시스템에서도 알림판이나 안내등은 단순히 비상구나 대피로만 알려주게 되므로, 해당 건축물에 다수의 비상구나 대피로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곳에 대피자들이 집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화재가 아닌 다른 요소들(충돌, 밀침 등)로 인해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특별한 구조를 갖는 건축물의 경우, 일반적인 대피 상식과는 다른 대피방법을 선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건축물의 구조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대피자들이 안내등 만을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대피로가 오히려 비상구를 찾는데 어려움을 주게 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건축물에 설치된 비상계단이 지상까지 이어져 설치되지 아니하고 중간의 층들까지만 있도록 구성된 경우, 이러한 구조를 모르는 대피자들은 해당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상층부로 대피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하층부로 이동하게 되어 대피가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옥상 등에 헬기착륙장이 구비된 건축물의 경우에는 지상보다는 옥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보다 안전할 수 있으나, 대피자들이 이러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없었다.
특정 시스템의 경우, 해당 건축물에 상주하는 사람들이 휴대하는 단말기나 안내문구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등을 통해, 다양한 비상구나 대피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화재발생 등과 같이 자신의 생명이 위급한 상황에서 대피자들이 이러한 정보를 일일이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대피정보안내장치를 통해 건물의 각 층별 또는 층간별 현재 위치에 대하여, 해당 화재가 발생한 위치의 상대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대피자가 화재발생지역으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건축물의 구조를 매우 잘 아는 대피자들의 경우, 현재 위치에 대하여 해당 화재가 발생한 위치의 상대정보를 통해 대피자가 직접 보다 효율적인 대피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한 곳의 대피로에 대피자들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해당 건축물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설정된 대피로에 대응하여 각 층별 또는 층간별 이동방향을 알려줌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은,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입력모듈; 상기 감지신호입력모듈로 수신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해당 화재의 발생위치 및 규모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결과 및 대피정보에 기초하여 대피이동경로를 결정하는 감지신호판단모듈; 상기 감지신호판단모듈에서 결정된 대피이동경로에 대응하여 대피를 위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제어모듈; 및 각 층 및 층간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제어모듈에서 생성된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출력하는 대피정보안내모듈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피정보안내모듈은,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상층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상부이동표시부;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하층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하부이동표시부;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상층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상부차단표시부; 및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하층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하부차단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피정보안내모듈은, 해당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을 표시하는 화재발생위치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성/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정보안내모듈은, 해당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단문 또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형태로 출력하는 문자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방법은, a) 감지센서로부터 연기발생 및 화재발생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을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된 층에 기초하여, 각 층 및 층간에 대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의 상대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의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설정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에 대응하여, 각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출력하는 대피정보출력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대피정보안내장치를 통해 건물의 각 층별 또는 층간별 현재 위치에 대하여, 해당 화재가 발생한 위치의 상대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대피자가 화재발생지역으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해당 건축물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설정된 대피로에 대응하여 각 층별 또는 층간별 이동방향을 알려줌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음성/음향 출력부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도 정확한 상대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문자출력부를 이용하여 해당 상대정보를 단문 또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대피자들이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위급상황시 대피를 유도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대피정보안내장치가 특정 상황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계 'S40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장치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대피정보안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대피정보안내장치에 설치된 제어모듈 또는 대피정보안내장치의 동작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원격화재감시센터 등의 구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피정보안내장치(100)는 경고표시부(110) 및 이동표시부(120)를 포함한다.
경고표시부(110)는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경고표시부(11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이미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고표시부(110)가 형성된 대피정보안내장치(100)가 벽면에 설치된 경우, 좌측방향(대피로 방향)으로 이동하면 비상구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동표시부(120)는 현재 위치와 해당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에 대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 중 현재 위치에서의 대피정보에 대응하여, 현재 위치에서 해당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된 층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재발생표시와, 현재 위치에서 해당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대피방향표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표시부(120)는 제1 표시구(121), 제2 표시구(122) 및 제3 표시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구(121)는 상층방향에서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발생표시 또는 상층방향으로 대피하도록 유도하는 대피방향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표시구(121)는 3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색 LED는 녹색, 적색 및 주홍색을 표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표시구(121)에 제1 설정색(예를 들어, 녹색)이 점등되면 해당 방향으로 대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건물의 하층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1 표시구(121)는 제1 설정색을 점등하여 대피자가 상층부로 대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표시구(121)는 제2 설정색(예를 들어, 적색)을 점등하여, 해당 층에 인접한 층에서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층이 5층인 경우, 바로 윗층인 6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이면, 제1 표시구(121)는 제2 설정색을 점등하여 위급상황임을 알리고 윗층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표시구(121)는 제3 설정색(예를 들어, 주홍색)을 점등하여, 해당 층에 인접하지 않은 층에서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층이 5층인 경우, 7층 이상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이면, 제1 표시구(121)는 제3 설정색을 점등하여 대피자가 곧 바로 하층으로 이동하거나, 6층을 이용하여 다른 대피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구(121)의 점등은 화재발생 직후(예를 들어, 주홍색)와 화재발생 후 일정시간 경과된 시점(예를 들어, 적색)을 구분하여 점등함으로써, 화재규모 및 경과시간에 따라 위험도를 구분하여 알려줄 수도 있다.
제2 표시구(122)는 현재 층에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표시구(122)는 현재 층에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된 경우, 제2 설정색을 점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표시구(122)는 현재 층에서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1 설정색을 점등할 수 있다.
제3 표시구(123)는 하층방향에서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발생표시 또는 하층방향으로의 대피하도록 유도하는 대피방향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표시구(123)에 제1 설정색(예를 들어, 녹색)이 점등되면 해당 방향으로 대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건물의 상층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3 표시구(123)는 제1 설정색을 점등하여 대피자가 하층부로 대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3 표시구(123)는 제2 설정색(예를 들어, 적색)을 점등하여, 해당 층에 인접한 층에서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층이 5층인 경우, 바로 아래층인 4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이면, 제3 표시구(123)는 제2 설정색을 점등하여 위급상황임을 알리고 아래층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3 표시구(123)는 제3 설정색(예를 들어, 주홍색)을 점등하여, 해당 층에 인접하지 않은 층에서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층이 5층인 경우, 3층 이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이면, 제3 표시구(123)는 제3 설정색을 점등하여 대피자가 곧바로 상층으로 이동하거나, 4층을 이용하여 다른 대피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피정보안내장치(110)는 상태표시부(130) 및 안내스피커(14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표시부(130)는 현재 상태가 안전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안전표시구(131), 현재 연기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연기발생표시구(132) 및 현재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발생표시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표시구(131)는 평소에 녹색으로 점등될 수 있고, 연기발생표시구(132)는 연기가 발생되면 주홍색이 점등될 수 있고, 화재발생표시구(133)는 화재가 발생되면 적색이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표시구(131), 연기발생표시구(132) 및 화재발생표시구(133) 중 적어도 하나는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안내스피커(140)는 시각장애인에게 위급상황임을 알리는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스피커(140)는 상층방향으로의 이동유도 및 하층방향으로의 이동유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해당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대피정보안내장치(100)의 적어도 일측에는 대피정보를 단문 또는 문자 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대피정보안내장치가 특정 상황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대피정보안내장치(100)는 인접한 상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하여 제1 표시구(121)가 적색으로 점등될 수 있고, 하층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제3 표시구(123)가 녹색으로 점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피정보안내장치(100)는 인접하지 않은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하여 제3 표시구(123)가 주홍색으로 점등될 수 있고, 상층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제1 표시구(121)가 녹색으로 점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피정보안내장치(100)는 현재 층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하여 제2 표시구(122)가 적색으로 점등될 수 있고,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제1 표시구(121) 및 제3 표시구(123)가 녹색으로 점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대피정보안내시스템(200)은 감지센서(210), 감지신호입력모듈(220), 감지신호판단모듈(230), 출력제어모듈(240) 및 대피정보안내모듈(250)을 포함한다.
감지센서(210)는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센서(210)는 열감지센서 및 연기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감지센서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신호입력모듈(220)은 감지센서(210)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신호입력모듈(220)은 감지센서(21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신호판단모듈(230)은 감지신호입력모듈(220)로 수신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해당 화재의 발생위치 및 규모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결과 및 대피정보에 기초하여 대피이동경로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신호판단모듈(230)은 해당 감지신호를 전송한 감지센서(210)의 식별자 또는 전송라인을 통해 해당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210)는 감지신호와 더불어 자신의 식별자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신호판단모듈(230)은 해당 연기 또는 화재를 감지한 감지센서(210)의 개수를 확인하여 해당 연기 발생규모 또는 화재 발생규모를 확인할 수 있다.
출력제어모듈(240)은 감지신호판단모듈(230)에서 결정된 대피이동경로에 대응하여 대피를 위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제어모듈(240)은 중앙제어반에 포함되어, 해당 건물에 설치된 모든 대피정보안내모듈(250)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출력제어모듈(240)은 각 층별 또는 층간별 보조제어반에 포함되어, 해당 건물에 설치된 각각의 대피정보안내모듈(250)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대피정보안내모듈(250)은 각 층 및 층간에 설치되고 출력제어모듈(240)에서 생성된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대피정보안내모듈(250)은 도 1의 대피정보안내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피정보안내모듈(250)은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상층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상부이동표시부(251),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하층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하부이동표시부(252),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상층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상부차단표시부(253) 및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하층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하부차단표시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이동표시부(251) 및 하부이동표시부(252)는 해당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차단표시부(253) 및 하부차단표시부(254)는 가로방향의 막대바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피정보안내모듈(250)은 해당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을 표시하는 화재발생위치 표시부(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발생위치 표시부(255)는 상층방향 및 하층방향을 지시하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화재발생위치 표시부(255)는 화재가 발생한 층을 직접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피정보안내모듈(250)은 해당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성/음향 출력부(2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음향 출력부(256)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음성 또는 안내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피정보안내모듈(250)은 해당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단문 또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형태로 출력하는 문자출력부(2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출력부(257)는 신속하고 정확한 인식을 위하여 단문 또는 문자 형태로 대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대피정보안내시스템(200)은 기본대피정보 및 설정대피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대피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대피정보저장모듈(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피정보저장모듈은 감지신호판단모듈(230)의 요청에 의해 해당 대피정보를 감지신호판단모듈(2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피정보저장모듈(261)은 기본대피정보 저장부(261) 및 설정대피정보 저장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대피정보 저장부(261)는 화재발생층과 각 층별 및 층간별의 위치에 따른 이동정보, 연기발생경과시간별 대피방향설정정보 및 화재발생경과시간별 대피방향설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기본대피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설정대피정보 저장부(262)는 특정지역 대피정보, 특정계단 대피정보 및 특정지역화재발생시 대피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대피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대피정보 저장부(262)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200)이 설치되는 건물의 구조적 특징 및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설정대피정보를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대피정보안내방법은 대피정보안내시스템의 각 구성 또는 별도의 제어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별도의 제어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모듈은 감지센서로부터 연기발생 및 화재발생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100).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은 수신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어모듈은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시각을 기준으로 경과시간에 따라 대피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수신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을 확인한다(단계 S200).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은 수신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 및 규모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과 감지센서가 유선망으로 연결된 경우, 해당 감지신호가 전송된 라인을 확인하여 해당 연기발생 또는 화재발생을 감지한 감지센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모듈과 감지센서가 무선망으로 연결된 경우, 해당 감지센서는 감지신호와 더불어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전송하여 제어모듈이 해당 연기발생 또는 화재발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확인된 층에 기초하여 각 층 및 층간에 대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의 상대위치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300). 일 실시예에서, 상대위치정보는 해당 건물에 설치된 대피정보안내장치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의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S400). 일 실시예에서, 각 층별 대피정보는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층을 상층, 현재층 및 하층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할 수 있고, 이동방향은 해당 화재가 발생한 층에 대응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층간별 대피정보는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층을 상층 및 하층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할 수 있고, 이동방향은 해당 화재가 발생한 층에 대응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설정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에 대응하여 각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출력하는 대피정보출력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S500). 여기서, 대피정보출력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해당 대피정보출력모듈의 구성 및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 의한 대피정보안내장치(100) 및 대피정보안내모듈(250)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됨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6의 단계 'S40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모듈은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층에 기초하여 각 층 및 층간에 대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을 나타내기 위하여 생성된 상대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단계 S401), 이에 기초한 설정정보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402).
일 실시예에서, 설정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403), 해당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S404). 예를 들어, 설정정보는 해당 건축물의 구조적 특징 및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403), 기본정보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S405). 여기서, 기본정보는 일반적인 대피방법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위치정보에서 상층에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단계 S405), 상층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고 하층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하도록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S406).
다른 예로, 상대위치정보에서 동일층에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단계 S405), 상층방향 및 하층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하도록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S407). 일 실시예에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층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고 하층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하도록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대위치정보에서 동일층에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단계 S405), 하층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하도록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S407).
또 다른 예로, 상대위치정보에서 하층에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단계 S405), 하층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층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하도록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단계 S408).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이므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대피정보안내장치
110 : 경교표시부 120 : 이동표시부
121 : 제1 표시구 122 : 제2 표시구
123 : 제3 표시구
200 : 대피정보안내시스템
210 : 감지센서 220 : 감지신호입력모듈
230 : 감지신호판단모듈 240 : 출력제어모듈
250 : 대피정보안내모듈 260 : 대피정보저장모듈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입력모듈;
    상기 감지신호입력모듈로 수신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해당 화재의 발생위치 및 규모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결과 및 대피정보에 기초하여 대피이동경로를 결정하는 감지신호판단모듈;
    상기 감지신호판단모듈에서 결정된 대피이동경로에 대응하여 대피를 위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제어모듈; 및
    각 층 및 층간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제어모듈에서 생성된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출력하는 대피정보안내모듈을 포함하며,
    기본대피정보 및 설정대피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대피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감지신호판단모듈의 요청에 의해 해당 대피정보를 상기 감지신호판단모듈로 전송하는 대피정보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정보안내모듈은,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상층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상부이동표시부;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하층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하부이동표시부;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상층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상부차단표시부; 및
    해당 층 또는 층간에서 하층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하부차단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정보안내모듈은,
    해당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을 표시하는 화재발생위치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정보안내모듈은,
    해당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성/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정보안내모듈은,
    해당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단문 또는 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형태로 출력하는 문자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9. 삭제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정보저장모듈은,
    화재발생층과 각 층별 및 층간별의 위치에 따른 이동정보, 연기발생경과시간별 대피방향설정정보 및 화재발생경과시간별 대피방향설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기본대피정보를 포함하는 기본대피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정보저장모듈은,
    특정지역 대피정보, 특정계단 대피정보 및 특정지역화재발생시 대피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대피정보를 포함하는 설정대피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12. 삭제
  13. a) 감지센서로부터 연기발생 및 화재발생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을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된 층에 기초하여, 각 층 및 층간에 대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의 상대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의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설정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에 대응하여, 각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출력하는 대피정보출력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한 설정정보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2) 상기 설정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방법.
  14. a) 감지센서로부터 연기발생 및 화재발생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을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된 층에 기초하여, 각 층 및 층간에 대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의 상대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의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설정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에 대응하여, 각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출력하는 대피정보출력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한 설정정보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2) 상기 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상대위치정보에서 상층에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층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고 하층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하도록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방법.
  15. a) 감지센서로부터 연기발생 및 화재발생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을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된 층에 기초하여, 각 층 및 층간에 대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의 상대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의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설정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에 대응하여, 각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출력하는 대피정보출력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한 설정정보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2) 상기 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상대위치정보에서 동일층에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층방향 및 하층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하도록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3) 상기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층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고 하층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하도록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방법.
  17. a) 감지센서로부터 연기발생 및 화재발생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을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된 층에 기초하여, 각 층 및 층간에 대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의 상대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의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설정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에 대응하여, 각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출력하는 대피정보출력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한 설정정보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2) 상기 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상대위치정보에서 동일층에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하층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하도록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방법.
  18. a) 감지센서로부터 연기발생 및 화재발생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을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된 층에 기초하여, 각 층 및 층간에 대하여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층의 상대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의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설정된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에 대응하여, 각 층 및 층간 대피정보를 출력하는 대피정보출력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생성된 상대위치정보에 기초한 설정정보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2) 상기 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상대위치정보에서 하층에 연기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하층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층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하도록 각 층별 및 층간별 대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방법.
KR1020110139079A 2011-12-21 2011-12-21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1145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079A KR101145438B1 (ko) 2011-12-21 2011-12-21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079A KR101145438B1 (ko) 2011-12-21 2011-12-21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438B1 true KR101145438B1 (ko) 2012-05-15

Family

ID=4627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079A KR101145438B1 (ko) 2011-12-21 2011-12-21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43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576B1 (ko) 2012-12-27 2014-03-25 주식회사 대림시스템 안전 유도등
KR200472941Y1 (ko) * 2012-12-24 2014-06-03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KR101472488B1 (ko) 2013-07-15 2014-12-17 박임수 피난 유도 알리미 장치 및 시스템
WO2016028035A1 (ko) * 2014-08-21 2016-02-25 윤승식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064774A (ko) 2014-11-28 2016-06-08 (주)매트론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KR20170025436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4735B1 (ko) 2018-03-06 2018-06-07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기구
KR101950722B1 (ko) * 2017-08-28 2019-02-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KR20190142032A (ko) * 2018-06-15 2019-12-26 태원비엠씨(주) 건물 재난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재난 알림 방법
KR20220109224A (ko) * 2021-01-28 2022-08-04 (주)에스앤지코리아 피난로 안내 시스템
KR102560195B1 (ko) * 2023-02-06 2023-07-27 주식회사 해밀엔지니어링종합건설 소방 비상구 유도표시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897U (ko) * 2006-11-01 2008-05-07 김호수 화재시 대피방향표시등
KR20100025308A (ko) * 2008-08-27 2010-03-09 노영섭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방법
KR100971623B1 (ko)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20110008331U (ko) * 2010-02-19 2011-08-25 안성진 피난구 유도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897U (ko) * 2006-11-01 2008-05-07 김호수 화재시 대피방향표시등
KR20100025308A (ko) * 2008-08-27 2010-03-09 노영섭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방법
KR20110008331U (ko) * 2010-02-19 2011-08-25 안성진 피난구 유도등
KR100971623B1 (ko)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41Y1 (ko) * 2012-12-24 2014-06-03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KR101378576B1 (ko) 2012-12-27 2014-03-25 주식회사 대림시스템 안전 유도등
KR101472488B1 (ko) 2013-07-15 2014-12-17 박임수 피난 유도 알리미 장치 및 시스템
WO2016028035A1 (ko) * 2014-08-21 2016-02-25 윤승식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023202A (ko) * 2014-08-21 2016-03-03 윤승식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638397B1 (ko) 2014-08-21 2016-07-13 주식회사 코너스톤즈테크놀로지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064774A (ko) 2014-11-28 2016-06-08 (주)매트론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725802B1 (ko) * 2015-08-28 2017-04-11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5436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0722B1 (ko) * 2017-08-28 2019-02-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KR101864735B1 (ko) 2018-03-06 2018-06-07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기구
KR20190142032A (ko) * 2018-06-15 2019-12-26 태원비엠씨(주) 건물 재난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재난 알림 방법
KR102063919B1 (ko) 2018-06-15 2020-01-08 태원비엠씨(주) 건물 재난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재난 알림 방법
KR20220109224A (ko) * 2021-01-28 2022-08-04 (주)에스앤지코리아 피난로 안내 시스템
KR102529298B1 (ko) 2021-01-28 2023-05-08 (주)에스앤지코리아 피난로 안내 시스템
KR102560195B1 (ko) * 2023-02-06 2023-07-27 주식회사 해밀엔지니어링종합건설 소방 비상구 유도표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438B1 (ko)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1475134B1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US20130120137A1 (en) Person-guiding system for evacuating a building or a building section
US7026947B2 (en) Building emergency path finding systems and method
RU25447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и указатель пути эвакуации для него
US7619538B1 (en) Programmable, directing evacu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101079735B1 (ko)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
KR20200007185A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034387B1 (ko) 화재 발생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NO317973B1 (no) Brannalarm og brannalarmsystem
KR102100411B1 (ko) 비상호출버튼과 화재감지센서와 주차표시등을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KR20200082064A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20170079122A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60050552A (ko) 피난유도표시장치
KR102025382B1 (ko)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102471645B1 (ko) 지능형 비상구 표시등 관리시스템
KR101763448B1 (ko)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KR101668014B1 (ko) 비상통로 방향 안내장치
WO2009017628A2 (en) Programmable, progressive gu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2224389B1 (ko)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102233045B1 (ko)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