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224A - 피난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난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224A
KR20220109224A KR1020210012623A KR20210012623A KR20220109224A KR 20220109224 A KR20220109224 A KR 20220109224A KR 1020210012623 A KR1020210012623 A KR 1020210012623A KR 20210012623 A KR20210012623 A KR 20210012623A KR 20220109224 A KR20220109224 A KR 20220109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vacuation route
motion
control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298B1 (ko
Inventor
김기열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스앤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1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2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난로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는, 피난로를 안내하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전자식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피난로를 안내하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일정 거리 범위 내의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동작 감지부에 의해 사람의 동작이 감지되면 피난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음성 출력부, 상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음성 출력부, 상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난로 안내 장치{GUIDANCE APPARATUS OF EVACUATION ROUTE}
본 발명은 피난로를 안내하는 피난로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전자식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성으로 피난로를 안내하는 피난로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크기가 커지고 다양해지면서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지 시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건물의 화재로 인해 많은 인명 손실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건물에서의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대피자는 화재 발생에 따른 건물의 유도등 또는 소리, 건물 구조의 지각하여 스스로 최종 탈출구를 찾아 탈출해야 한다. 이러한 건물을 탈출하는 과정에서 대피자는 탈출구로의 최단 거리가 아닌 화재가 발생한 위치의 정확한 인지 없이 가장 가까운 통로 또는 층계로 이동하려고 하여 화재가 발생한 건물 내에서 지체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런 경우, 화재 발생에 따른 즉각적인 피해보다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독 가스 등의 질식사에 의한 피해가 더욱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탈출을 위해서는 화재가 발생한 초기에 탈출을 시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화재의 발생 상태가 진전되더라도 최적의 경로로 유도하게 된다면 많은 대피자가 탈출에 성공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화재 피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유도등이나 피난로 안내도 등은 불길 또는 연기에 의해 그 기능을 잃고, 대피자는 탈출구를 찾는데 더욱 어려워져 옥외의 탈출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건물에 상주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피난로에 대한 숙지가 요구되나 종래의 유도등만으로는 피난로 숙지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특히 종래의 유도등이나 피날로 안내도 등은 시각 장애인의 피난로 숙지에는 전혀 도움이 될 수 없다.
공개실용신안 20-1992-0004538(1992.03.26.)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둡거나 연기 등에 의해 시야가 흐려진 상태에서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피난로 안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 장애인이 쉽게 인지하고 피난로를 숙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피난로 안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는, 피난로를 안내하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전자식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피난로를 안내하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일정 거리 범위 내의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동작 감지부에 의해 사람의 동작이 감지되면 피난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음성 출력부, 상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음성 출력부, 상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정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보이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투명한 재질의 창으로 덮이되,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창은 방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전력을 상시로 공급하는 상시 공급부; 및 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상시 공급부에 의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감지부의 감지와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피난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는 어둡거나 연기 등에 의해 시야가 흐려진 상태에서도 쉽게 인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는 시각 장애인이 쉽게 인지하고 피난로를 숙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난로 안내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가 제공된 피난로 안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피난로 안내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난로 안내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난로 안내 장치(100)는 상시 및 비상시에 피난로를 안내한다. 피난로 안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음성 출력부(120), 동작 감지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전원부(160), 저장부(150) 및 하우징(17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피난로를 안내하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시각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식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LED(Light Emitting Diodes)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자식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100)는 전자식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해 시각적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어둡거나 연기로 인해 시야에 제한이 있는 상태에서도 보다 쉽게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다.
음성 출력부(120)는 피난로를 안내하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청각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20)는 일반적인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 및 음성 출력부(120)에서 출력하는 피난로 안내 정보는 현재 위치로부터 각 비상구까지의 경로 전체를 설명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10) 및 음성 출력부(120)에서 출력하는 피난로 안내 정보는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비상구까지의 경로 전체를 설명하는 정보일 수 있다.
동작 감지부(130)는 피난로 안내 장치(100)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의 사람의 동작을 감지한다. 동작 감지부(130)는 적외선 센서 또는 고주파 센서 등 사람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동작 감지부(130)는 동작 감지 여부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음성 출력부(120)를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동작 감지부(130)에 의해 사람의 동작이 감지되면 피난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음성 출력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반해, 제어부(140)는 동작 감지부(130)에 의해 사람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피난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지 않도록 음성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피난로 안내 정보 음성이 지속적으로 출력됨에 의한 소음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람, 특히 시각 장애인이 피난로 안내 장치(100)에 접근하게 되는 경우마다 피난로 안내 정보가 청각적으로 출력됨으로써 피난로 안내 정보를 숙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동작 감지부(130)의 감지와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피난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메모리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벌성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음성 출력부(120)에 출력되는 화상 및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는 제어부(140)에 의해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된 후 디스플레이부(110) 및 음성 출력부(120)로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HDD 또는 SSD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6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10), 음성 출력부(120), 동작 감지부(130) 및 제어부(140) 등 피난로 안내 장치(100)에 포함되는 전력이 요구되는 구성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60)는 상술한 각 구성에 직접 연결되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제어부(140)를 통해 그 외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부(160)는 상시 공급부(161) 및 비상 공급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시 공급부(161)는 피난로 안내 장치(100)의 각 구성에 상시로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시 공급부(161)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피난로 안내 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비상 공급부(162)는 충전 가능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하우징(170)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상 공급부(162)는 상시 공급부(161)로부터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상시 공급부(16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비상 공급부(162)는 상시 공급부(161)로부터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충전된 배터리의 전력을 피난로 안내 장치(100)의 각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 공급부(162)의 배터리 충전 동작 및 전력 공급 동작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100)는 비상 공급부(162)가 제공됨으로써, 화재 등의 재난에 의해 상시 전력의 공급이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피난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하우징(17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70)의 내부 공간에는 디스플레이부(110), 음성 출력부(120), 동작 감지부(130), 제어부(140) 및 전원부(160) 등의 피난로 안내 장치(100)의 구성이 설치된다.
하우징(170)의 정면의 중앙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이 보이도록 형성된 개구는 투명한 창(171)으로 가려질 수 있다. 하우징(170)의 하우징(170)의 창의 외측 영역에는 동작 감지부(130)가 외부의 사람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홀 또한 투명한 창(172)으로 가려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70) 및 창(171, 172)은 방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70)은 방화 철재(steel)로 제공되고, 창(171, 172)은 방화 강화 유리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70) 내부의 구성들은 하우징(170) 및 창(171, 172)에 의해 화재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하우징(170)은 정면이 보이도록 벽면에 매립되거나, 못이나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가 제공된 피난로 안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피난로 안내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난로 안내 시스템(10)은 피난로 안내 장치(100a) 및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난로 안내 장치(100a)는 도 1의 피난로 안내 장치(100)가 포함하는 구성 외에 통신부(18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난로 안내 장치(100a)는 복수개가 설치 대상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피난로 안내 장치(100a)의 제어부(140a)는 상시 및 비상시에 서로 다른 정보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a) 및 음성 출력부(120a)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80a)는 화재 감지부(20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화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80a)를 통해 화재 감지부(200)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어부(140a)는 도 1 및 도 2의 피난로 안내 장치(100)의 경우와 같이, 해당 피난로 안내 장치(100a)가 설치된 현 위치로부터 각 비상구까지의 전체 경로를 설명하는 정보 또는 해당 피난로 안내 장치(100a)가 설치된 현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비상구까지의 전체 경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a) 및 음성 출력부(120a)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통신부(180a)를 통해 화재 감지부(200)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가 전달된 경우, 제어부(140a)는 해당 피난로 안내 장치(100a)가 설치된 현 위치로부터 가장 인접한 비상구까지의 경로 상의 다른 피난로 안내 장치(100a) 및 비상구 중에서 가장 인접한 피난로 안내 장치(100a)나 비상구까지의 경로를 설명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a) 및 음성 출력부(120a)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피난로 안내 장치(100a)가 설치된 현 위치로부터 가장 인접한 비상구 까지의 경로 상의 다른 피난로 안내 장치(100a) 및 비상구 중에서 가장 인접한 피난로 안내 장치(100a)나 비상구가 해당 피난로 안내 장치(100a)를 바라본 상태에서 우측으로 15m 떨어진 곳에 위치되고, 통신부(180a)를 통해 화재 감지부(200)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가 전달된 경우, 제어부(140a)는, 우측을 가리키는 화살표 및 거리를 나타내는 15m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a)를 제어하고, “이 음성이 들리는 방향을 바라본 상태에서 우측으로 15m 이동하세요”와 같은 음성을 동작 감지부(130a)에 의해 동작이 감지되면 출력하도록 음성 출력부(120a)를 제어할 수 있다.
대상 건물의 각 위치에 설치된 피난로 안내 장치(100a)의 제어부(14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 인접한 비상구까지의 경로 상의 가장 인접한 피난로 안내 장치(100a) 또는 비상구까지만을 설명함으로써 화재 등의 긴급한 상황에서 보다 빠르고 직관적으로 비상구까지의 경로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피난로 안내 장치(100a)의 그 외의 구성 및 구조와, 화재 발생시가 아닌 상시에서의 동작을 포함한 기능 등은 도 1의 피난로 안내 장치(1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100, 100a)는 설치 대상 건축물의 다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난로 안내 장치(100, 100a)는 각실, 주통로 및 출입구 등의 설치 대상 건축물의 주 이용자 및 신규 이용자들의 눈에 잘 띌 수 있는 장소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 및 피난로 안내 시스템은 전자식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함으로써 어둡거나 연기 등에 의해 시야가 흐려진 상태에서도 쉽게 인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따른 피난로 안내 장치 및 피난로 안내 시스템은 음성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쉽게 인지하고 피난로를 숙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피난로 안내 시스템 100: 피난로 안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음성 출력부
130: 동작 감지부 140: 제어부
150: 저장부 160: 전원부
170: 하우징 180: 통신부

Claims (3)

  1. 피난로를 안내하는 피난로 안내 장치에 있어서,
    피난로를 안내하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전자식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피난로를 안내하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일정 거리 범위 내의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동작 감지부에 의해 사람의 동작이 감지되면 피난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음성 출력부, 상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음성 출력부, 상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피난로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정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보이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투명한 재질의 창으로 덮이되,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창은 방화 재질로 제공되는 피난로 안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감지부의 감지와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피난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피난로 안내 장치.
KR1020210012623A 2021-01-28 2021-01-28 피난로 안내 시스템 KR102529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623A KR102529298B1 (ko) 2021-01-28 2021-01-28 피난로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623A KR102529298B1 (ko) 2021-01-28 2021-01-28 피난로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224A true KR20220109224A (ko) 2022-08-04
KR102529298B1 KR102529298B1 (ko) 2023-05-08

Family

ID=8283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623A KR102529298B1 (ko) 2021-01-28 2021-01-28 피난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2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38Y1 (ko) 1988-12-29 1992-07-03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구동 유압회로
KR20110008330U (ko) * 2010-02-19 2011-08-25 안성진 피난구 유도등
KR101145438B1 (ko) * 2011-12-21 2012-05-15 최두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1207A (ko) * 2010-12-22 2012-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물 내부의 대피로 음성 안내장치
KR200474972Y1 (ko) * 2014-06-20 2014-11-04 주식회사 레오 안전 식각 유리를 이용한 led 소방 안전유도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38Y1 (ko) 1988-12-29 1992-07-03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구동 유압회로
KR20110008330U (ko) * 2010-02-19 2011-08-25 안성진 피난구 유도등
KR20120071207A (ko) * 2010-12-22 2012-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물 내부의 대피로 음성 안내장치
KR101145438B1 (ko) * 2011-12-21 2012-05-15 최두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200474972Y1 (ko) * 2014-06-20 2014-11-04 주식회사 레오 안전 식각 유리를 이용한 led 소방 안전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298B1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7315B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US20100309004A1 (en) Evacuation system and escape route indicator therefore
US8760304B2 (en) Security barrier with emergency release mechanism
US20090066522A1 (en) Emergency guidance lamp system for guiding to nearest exit in the event of fire
US20090059602A1 (en) Directional evacuation lights
US20160140823A1 (e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KR102580356B1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KR20120029536A (ko) 방화문 자동 제어장치
CN103065415A (zh) 具应急照明功能的应急疏散指引装置
KR101618605B1 (ko) 비상구 위치로 유도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사운드 기반의 비상유도장치
KR102529298B1 (ko) 피난로 안내 시스템
SE536311C2 (sv) Nödutrymningsmodul och nödutrymningssystem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KR101237021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US20190147726A1 (en) Alert sensing device and system
GB2623232A (en) Building security and emergency detection and advisement system
KR102282559B1 (ko)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53935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JPH04175997A (ja) 火災時の避難誘導方法
WO2022043650A1 (en) Safety device, door, fire safety systems, and method of indicating the status of a door, and improving fire safety
CN208077342U (zh) 楼房中火灾逃生辅助装置
KR20220098830A (ko) 지능형 피난유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0311688B1 (en) System for alerting and guiding rescue personnel to a building
KR20210148155A (ko) 이질적인 비상사태 검출 및 대응 성능들을 통합하는 시스템
KR102540487B1 (ko)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