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021B1 -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021B1
KR101237021B1 KR1020110062239A KR20110062239A KR101237021B1 KR 101237021 B1 KR101237021 B1 KR 101237021B1 KR 1020110062239 A KR1020110062239 A KR 1020110062239A KR 20110062239 A KR20110062239 A KR 20110062239A KR 101237021 B1 KR101237021 B1 KR 101237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voice alarm
detection signal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471A (ko
Inventor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주)씨디에프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디에프아이티 filed Critical (주)씨디에프아이티
Priority to KR102011006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0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유도등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된 열 감지기 또는 연기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 수신부; 소방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도등 장치의 유도안내 음성경보의 출력을 차단하는 음성경보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Fire Voice-Alert Controller for the blind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시 시각장애인이 화재 발생위치가 아닌 방향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에 관련한다.
비상구 유도등 장치는 화재 등의 비상시를 대비하여 지하철이나 지하도, 학교, 병원, 백화점 등과 같이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각종 건물에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각종 건물의 출입구나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구 유도등 장치는 상자형 케이스의 전방에 아크릴판으로 된 표시판이 부착되고 아크릴 표시판에는 화살표나 문자, 도형 등으로 비상구를 나타내는 표지가 인쇄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내부에 광원으로서 램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비상구 유도등 장치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램프가 점등되고 램프의 점등에 의해 표시판에 인쇄된 문자나 도형 등이 환하게 나타나게 되어, 화재 등의 비상시에 있어서 사람들에게 출입구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유도등 장치도 개발되어 스트로보 신호에 따라 고휘도 LED를 점멸하게 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고출력 음성 유도음을 발생하여 청각 장애인이나 시각 장애인이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시각 장애인을 위하여 음성 유도음을 출력하는 유도등 장치가 오히려 시각 장애인을 곤란에 빠뜨리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나의 밀폐된 공간에는 다수의 유도등 장치가 설치되는데,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된 모든 유도등 장치로부터 음성경보가 출력되고, 시각 장애인은 그 중 어느 하나의 음성경보를 출력하는 유도등 장치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해당 유도등 장치에 인접한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시각 장애인은 화재를 피하기는커녕 오히려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접근하는 결과를 낳게 됨으로써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발생시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시각 장애인을 유도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도등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된 열 감지기 또는 연기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 수신부; 소방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도등 장치의 유도안내 음성경보의 출력을 차단하는 음성경보 조절부를 포함하는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도등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된 열 감지기 또는 연기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 수신부; 소방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도등 장치가 접근금지 음성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음성경보 조절부를 포함하는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열 감지기나 연기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소방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며, 유도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연결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에 적용되며, 상기 소방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정하는 단계; 화재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열 감지기나 상기 연기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유도등 장치의 음성경보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경보의 출력을 차단하는 단계; 및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유도등 장치를 제어하지 않아 상기 유도등 장치가 고유의 기능에 의해 음성경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유도등 장치의 음성경보를 제어하여 접근금지 음성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 감지기와 연기 감지기는 상기 유도등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는 상기 유도등 장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시각 장애인은 출력되는 음성경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음성경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100)는 감지신호 수신부(110), 제어부(120), 및 음성경보 조절부(130)로 이루어진다.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100)는 가령 각 구성부분(110)(120)(130)이 칩으로 실장되는 회로기판을 내부에 구비한 케이스로 이루어진 독립적인 장치로 구성되거나, 유도등 장치에 일체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감지신호 수신부(110)
감지신호 수신부(110)는 유도등 장치(200)에 인접하여 설치된 열 감지기(10) 또는 연기 감지기(2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제어부(120)
제어부(120)는 감지신호 수신부(110)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와 소방시스템(30)으로부터 수신한 화재신호를 조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성경보 조절부(130)를 제어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방시스템(30)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감지신호 수신부(11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20)는 열 감지기(10)나 연기 감지기(20)가 설치된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음성경보 조절부(130)를 제어하여 연결된 유도등 장치(200)가 음성경보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소방시스템(30)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였지만, 감지신호 수신부(11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해당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지만 열 감지기(10)나 연기 감지기(20)가 설치된 공간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음성경보 조절부(130)를 제어하지 않으며, 따라서, 유도등 장치(200)는 음성경보 조절부(130)의 제어를 받지 않고 소방시스템(30)으로부터의 화재신호에 대응하여 본래의 음성경보 출력기능을 수행한다.
음성경보 조절부 (130)
음성경보 조절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시 말해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유도등 장치(300)의 음성경보 출력을 차단한다. 반면, 음성경보 조절부(130)가 유도등 장치(300)의 음성 출력을 차단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연히 유도등 장치(300)의 고유의 기능에 의해 음성경보가 출력된다.
이 실시 예와 달리, 음성경보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대신에, 접근금지 음성경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유도등 장치(300)에 접근금지 음성경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음성경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내공간에는 가령 4개의 출입구가 있고, 각 출입구에는 유도등 장치(200, 210, 220, 230)가 설치되며, 각 유도등 장치(200, 210, 220, 230)에 인접하여 본 발명의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가 설치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도등 장치(200)에만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10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열 감지기(10)와 연기 감지기(20)는 각각 유도등 장치(20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데, 가령 이격된 거리는 1~2m 정도이다.
시각 장애인이 실내공간의 중앙에 있고, 화재(50)가 시각 장애인과 유도등 장치(200)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소방시스템(30)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정하고(단계 S31), 화재신호를 수신하였으면, 열 감지기(10)나 연기 감지기(20)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32).
이때, 각 유도등 장치(200, 210, 220, 230)는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같이 소방시스템(30)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한 상태이므로, 각각 음성경보를 출력하려고 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제어부(120)가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각 유도등 장치(200, 210, 220, 230)는 고유의 기능에 의해 음성경보를 출력한다.
반면, 제어부(120)가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20)는 음성출력 조절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단계 S33), 생성된 제어신호를 음성출력 조절부(130)에 전달하며, 음성조절 출력부(130)는 수신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유도등 장치(200)의 음성경보를 제어하여(단계 S34) 음성경보의 출력을 차단한다(단계 S35).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조절 출력부(130)는 음성경보의 차단 대신 접근금지 음성경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각 장애인은 유도안내를 위한 음성경보가 출력되는 유도등 장치(210, 220, 230) 중 어느 하나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화재(50)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하에 기재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 열 감지기
20: 연기 감지기
30: 소방시스템
110: 감지신호 수신부
120: 제어부
130: 음성출력 조절부
200: 유도등 장치

Claims (6)

  1. 유도등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된 열 감지기 또는 연기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 수신부;
    소방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도등 장치의 음성경보를 출력 제어하는 음성경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화재신호와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경보는 유도안내 음성경보 또는 접근금지 음성경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는 상기 유도등 장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
  5. 열 감지기나 연기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소방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며, 유도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연결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에 적용되며,
    상기 소방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정하는 단계;
    화재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열 감지기나 상기 연기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유도등 장치의 음성경보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경보의 출력을 차단하는 단계; 및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유도등 장치를 제어하지 않아 상기 유도등 장치가 고유의 기능에 의해 음성경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방법.
  6. 열 감지기나 연기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소방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며, 유도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연결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에 적용되며,
    상기 소방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정하는 단계;
    화재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열 감지기나 상기 연기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유도등 장치의 음성경보를 제어하여 접근금지 음성경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유도등 장치를 제어하지 않아 상기 유도등 장치가 고유의 기능에 의해 음성경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방법.
KR1020110062239A 2011-06-27 2011-06-27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KR101237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39A KR101237021B1 (ko) 2011-06-27 2011-06-27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39A KR101237021B1 (ko) 2011-06-27 2011-06-27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71A KR20130001471A (ko) 2013-01-04
KR101237021B1 true KR101237021B1 (ko) 2013-02-26

Family

ID=4783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239A KR101237021B1 (ko) 2011-06-27 2011-06-27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0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8822A (zh) * 2015-07-09 2015-10-14 苏州朗捷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建筑的防火报警系统
KR101645220B1 (ko) 2015-06-19 2016-08-0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대피경로 알림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553B1 (ko) 2016-10-20 2019-07-17 (주)플렉센스 바이오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5400A (ja) * 1987-10-07 1989-04-13 Sanyo Electric Co Ltd 避難誘導装置
JP2009043101A (ja) 2007-08-09 2009-02-26 Katsutomo Tsuda 非常用音声誘導及び点灯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5400A (ja) * 1987-10-07 1989-04-13 Sanyo Electric Co Ltd 避難誘導装置
JP2009043101A (ja) 2007-08-09 2009-02-26 Katsutomo Tsuda 非常用音声誘導及び点灯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220B1 (ko) 2015-06-19 2016-08-0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대피경로 알림시스템
CN104978822A (zh) * 2015-07-09 2015-10-14 苏州朗捷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建筑的防火报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71A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101705753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US20090059602A1 (en) Directional evacuation lights
US8760304B2 (en) Security barrier with emergency release mechanism
JP2013529329A (ja) 投射式方向表示を備える非常用照明システム
KR20080103471A (ko) 동적으로 변하는 비상 대피 경로를 갖는 유틸리티 아웃렛들
KR101775770B1 (ko) 소방용 비상 경보장치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KR101237021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KR20200074627A (ko) 바닥 매립형 led 피난 유도 장치
KR20220144642A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KR102200180B1 (ko) 비상 유도 안내 시스템
KR101618605B1 (ko) 비상구 위치로 유도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사운드 기반의 비상유도장치
KR101201854B1 (ko) 무인감시, 안내방송 및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갖춘 비상전원공급장치
KR100945857B1 (ko) 멀티 소방 피난 유도장치
JP2005267561A (ja) 救助システム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WO2015179763A1 (en) Hazard warn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200330752Y1 (ko) 피난구 유도 장치
WO2009017628A2 (en) Programmable, progressive gu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2529298B1 (ko) 피난로 안내 시스템
KR101063807B1 (ko) 초기 화재 목격자 유도조명장치
KR200491194Y1 (ko) 미세먼지 정보 안내 장치
KR102528485B1 (ko) 독립 점멸유닛을 구비한 화재경보기
KR102405629B1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재난상황 피난유도 레이저 점멸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