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330U - 피난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피난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330U
KR20110008330U KR2020100001798U KR20100001798U KR20110008330U KR 20110008330 U KR20110008330 U KR 20110008330U KR 2020100001798 U KR2020100001798 U KR 2020100001798U KR 20100001798 U KR20100001798 U KR 20100001798U KR 20110008330 U KR20110008330 U KR 201100083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fire
location
informa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진
Original Assignee
안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진 filed Critical 안성진
Priority to KR2020100001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330U/ko
Publication of KR20110008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3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4Displays including an emergency or alarm me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re Alarm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피난구 유도등이 개시된다. 개시된 피난구 유도등은 건물 내 화재발생 시 피난구의 위치와 피난 방향을 알리도록 표시판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은,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진동하는 압전필름을 포함한 필름형 스피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볍고, 설치공간이 적게 들며, 습기가 많은 화재현장에서도 피난방송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난구 유도등{Escape exit guidance lights}
본 고안은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복도, 통로 또는 지하도 등에 고정되어 화재를 비롯한 비상 상황 시 건물 내 재실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피난구 또는 피난통로를 안내해 주는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물이 복잡화, 대형화되어 가고 있으며, 공간 활용의 극대화를 위하여 지하철역과 쇼핑몰을 연계한 대단위 서비스 건축물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건축물은 많은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당황한 피난자들은 판단의식이 흐려져 출입구의 위치를 잘 파악하지 못하므로 재실자들을 긴급히 안전한 대피장소로 이동시켜 인명피해를 줄이는 방법이 가장 큰 예방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피난을 위해 사용되는 피난 설비는 크게 피난 기구와 피난구 유도등으로 나누어진다. 피난기구는 응급적, 보조적 피난수단이며, 피난계단 등으로 피난할 수 없는 경우에 쓰인다. 피난구 유도등은 피난구의 위치와 피난 방향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함체와 결합된 표시판에 피난구 위치를 안내하는 정보가 표시되며, 표시판의 후방이나 함체에 발광램프가 설치되어 어두운 상태에서 피난자가 피난구 유도등의 위치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피난구 유도등은 화재가 건물에서 발생했는지는 알 수 있지만 건물 내 어디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피난자가 현재 건물 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으며 단순히 한 방향만을 가리키고 있어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대다수의 피난자들은 화재발생위치와 자신의 현 위치를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피난구 유도등에 표시된 방향으로 가거나 앞서 나가는 사람을 따라 주로 나가게 된다. 문제는 피난구 유도등이 가리키는 방향에서 불이 났을 경우이다. 이 경우 사람들은 길을 잃게 되거나 불이 난 곳으로 가거나 신속히 대피하지 못해 오히려 인명피해가 더 발생하게 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어둠이나 연기 속에서 피난자가 휴대폰으로 구조요청을 하려 해도 유일한 발광체인 피난구 유도등이 단순히 유도 표시만 발광하고 있기 때문에 피난구 유도등을 통해서는 피난자가 자신의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없어 신속한 구조나 피난을 위한 정보를 구조대와 원활히 주고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재 경보를 음성으로 알려주기 위하여 함체에 진동판과 공명실이 구비된 일반적인 스피커가 설치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함체에 설치된 스피커는 무겁고, 함체내에서 많은 설치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피난구 유도등의 부피가 커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무거운 중량을 가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시간 화재 상황에 맞는 피난 정보의 전달 없이 정형화된 경보성 음성만 전달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피난자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실시간 피난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없는 기능적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습기에 약하여, 화재발생시 스프링 쿨러나 화재진압을 위한 방수로 물에 접촉될 경우 스피커기능을 하지 못하며, 스피커의 진동판이 외력에 의해 찢어졌을 경우에 스피커기능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로 전원선이 손상되거나 화재진압을 위해 전원을 차단한 경우 스피커기능은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음성경보가 필요한 특수한 위치에만 상기 스피커가 내장된 피난구 유도등이 설치되었고, 일반적인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 없이 피난 유도 표시만 발광하는 피난구 유도등이 설치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가볍고 부피가 작아 설치공간이 적게 들고, 실시간 피난안내방송을 할 수 있으며, 습기 등이 많은 화재현장 상황에서도 재난방송 신뢰성이 향상된 피난구 유도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피난자가 화재발생위치와 피난자의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피난구 유도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화재발생위치 정보와 피난자의 현 위치를 파악한 피난자가 화재상황에 맞는 실시간 피난안내방송을 청취하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유도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방송이 어려운 상황일지라도 화재발생위치를 피난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피난구 유도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물 내 화재발생 시 피난구의 위치와 피난 방향을 알리도록 표시판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은,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진동하는 압전필름을 포함한 필름형 스피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형 스피커에는 피난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정보가 인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형 스피커는 투명하며, 상기 투명 필름형 스피커 후면에 피난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표지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난구 유도등은, 상기 표시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안내방송 수신기가 내장된 함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방송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송신하는 안내방송 송신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발생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감지신호송신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화재정보수신기; 및 상기 화재정보 수신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에 의해 화재위치를 표시하는 화재위치 표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는, 피난구 유도등의 위치를 표시하는 유도등 위치표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판은, 건물 내 피난구 유도등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방위정보가 표시되거나, 상기 함체는 방위를 표시하기 위한 나침반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피난구 유도등은 별도의 스피커가 설치되지 않고 필름형 스피커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며 가볍고, 부피가 작아져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공간이 작아진다. 또한, 필름형 스피커는 물이 묻거나 약간 찢어진 경우에도 방송이 가능하므로, 습기가 많은 화재환경에서도 방송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피난구 유도등은 화재위치가 화재위치표시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피난자가 용이하게 피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피난구 유도등은 표시판에 방위정보가 표시되거나, 나침반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피난자가 방위정보를 참조하여 피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안내방송 수신기와 안내방송 송신기가 설치되어, 피난자에게 필름형 스피커를 통해 화재안내방송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내방송 신호가 전달되기 힘든 지하층까지 안내방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층에 있는 피난자들도 용이하게 피난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표시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표시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나침반이 설치된 다른 형태의 함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화재위치표시부의 다른 설치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피난구 유도등(100)은, 케이스(20), 표시판(30), 발광램프(45), 도광판(40), 반사판(50), 커버(60) 및 함체(10)로 구성된다.
표시판(30)은, 도전성물질이 코팅된 압전필름(31)과 전극(32)을 포함하는 필름형 스피커로 구성된다. 표시판(30)은 케이스(20)의 개방된 전면에 설치되며, 피난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피난구 위치표지(도 1, 2의 피난구 표지)는 압전필름(31)에 인쇄된다. 표지판(30) 자체가 필름형 스피커이며,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이 전극(32)을 통해 전도성물질이 코팅된 압전필름(31)에 인가되면 인가된 전압에 따라 압전필름이 진동되어 음향이 전달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피난구 유도등(100)은 피난구 위치정보가 인쇄된 필름형 스피커로 표시판(30)을 구성하기 때문에, 종래의 피난구 유도등이 함체에 통상의 영구자석, 코일, 진동판으로 구성된 스피커를 설치한 구성에 비해서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가벼우며, 습기에 강하고, 찢어져도 작동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판(30)이 필름형 스피커에 피난구 위치정보를 인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도 4과 같이, 투명한 필름형 스피커(33) 후방에 피난구위치를 안내하는 위치표지(35)가 삽입되도록 표시판(30')을 구성할 수 있다.
발광램프(45)는 표시판(30)과 커버(60) 사이 도광판(40) 상측에 설치되고, 반사판(50)은 도광판(40) 후방에 장착된다. 발광램프(45)에서 발생된 빛은 도광판(40)에 입사되어 진행하면서 도광판(40)의 전체면적에 걸쳐 확산되고, 도광판(40)에서 방출되는 광은 반사판(50)에 의해 도광판(40)의 전방으로 반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에서만 표시판(30)을 확인하는 단면표시 피난구 유도등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면 및 후면 모두에서 표시판(30)을 확인할 수 있는 양면표시 피난구 유도등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함체(10)의 전면 좌측에는 화재위치표시부(16)가, 전면 우측에는 피난구 유도등(100)의 위치를 표시하는 유도등 위치표시부(8)가 설치된다. 또한, 함체(10)에는 도 3과 같이, 안내방송 수신기(11), 안내방송 송신기(12), 인체감지센서(13), 감지신호송신기(14), 화재정보수신기(15), 화재위치표시부(16) 및 제어부(17)가 구비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함체(10)에는 전원선이 손상되거나 화재진압을 위해 전원을 차단한 경우, 필름형 스피커로 구성된 표시판(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건물의 모든 층에 다수 개가 설치된 피난구 유도등(100)은 유선 혹은 원격지에서 무선으로 송신된 화재안내방송을 수신하여 음성으로 출력하고, 건물 방화 관리자나 소방 관계자가 피난자의 건물 내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인체감지신호를 송신하며, 건물 내 화재 위치를 실시간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제어부(17)는, 안내방송 수신기(11), 안내방송 송신기(12), 인체감지센서(13), 감지신호송신기(14), 화재정보수신기(15) 및 화재위치표시부(16) 및 필름형 스피커(3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안내방송 수신기(11)는, 피난구 유도등(100)에 주파수 설정기능과 전파수신기능을 갖춰 유선방송이 불가능한 경우 원격에서 송신하는 화재안내방송을 수신하도록 설치되며, 주파수 설정기능을 갖기 위해 주파수조절튜너가 설치될 수 있다. 안내방송 수신기(11)에 화재안내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7)에 전달되고, 제어부(17)는 필름형 스피커(30)를 통해 상기 화재안내방송을 출력하게 된다.
안내방송 송신기(12)는 건물의 지하층과 같이 무선으로 화재안내방송이 전달되기 힘든 위치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안내방송 수신기(11)에 수신된 화재안내방송이 제어부(17)에 전달된 후, 안내방송 송신기(12)를 통해 다시 송신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안내방송송신기(12)는 중계기 역할을 하여, 지상 1층에 설치된 피난구 유도등(100)에 수신된 화재안내방송을 안내방송 송신기(12)가 송신하면, 지하 1층에 설치된 피난구 유도등(100)의 안내방송 수신기(11)에서 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지하 2층, 지하 3층 등에 설치된 피난구 유도등(100)까지 화재안내방송이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13)는 온도센서나 동작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건물의 화재발생시, 인체감지센서(13)가 작동한 피난구 유도등(100)의 위치를 센서감지신호송신기(14)를 통해 외부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피난구 유도등(100)은 서로 각각 다른 고유 IP신호를 가지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센서(13)는 함체(10)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케이스(20)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건물의 화재 시 2층 서쪽 피난통로에 설치된 피난구 유도등(100)의 인체감지센서(13)에 의해 피난자가 감지되면 감지신호가 제어부(17)에 전달되고, 제어부(17)는 2층 서쪽 피난통로에 설치된 피난구 유도등(100)의 고유 IP신호를 감지신호송신기(14)를 통해 송신한다.
이러한 고유 IP신호는 건물 방화 관리자나 소방 관계자가 이를 감지하면 고유 IP신호에 해당되는 2층 서쪽 피난통로에 피난자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화재정보수신기(15)는 건물의 화재발생시, 건물의 화재발생지점에 대한 화재위치정보를 피난자에게 알리도록 송신된 유선 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화재정보수신기(15)에서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7)는 화재위치표시부(16)를 제어하여 화재위치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위치표시부(16)는 LED전광판과 같이 다수의 행과 열의 가지는 LED 구성된 LED패널을 사용하여 화재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함체(10)의 좌측 전면에 화재위치표시부(16)가 설치되어 피난자가 화재위치가 7층이라는 것을 인지하도록 "7층화재발생"이라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함체(10)의 우측 전면에는 피난구 유도등(100)의 위치를 표시하는 유도등 위치표시부(8)가 부착되어 피난구 유도등(100)이 설치된 장소 즉, 피난자의 현재위치가 10층이라는 것을 인지하도록 "여기는 10층"이라는 문구가 표시된 표지를 부착한다. 따라서, 피난자는 현재위치가 10층이고 화재지점이 7층이라는 것을 인지하여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다.
화재정보수신기(15)에서 상기 화재위치정보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7)가 화재발생위치지점이 기계적 음성으로 방송될 수 있도록 필름형 스피커(30)를 제어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100)은 유도등 위치 표시부(8)가 도 1과 같이, 함체(10)의 우측 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등 위치표시부(8')가 표시판(30")의 상부전면에 부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30)은 단순히 사람형태의 이미지가 출구를 향하는 쪽으로 뛰어가는 모양이 표시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표시판(30")과 같이, 건물에 설치된 피난구 유도등(100)의 현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방위정보(C)와, 상기 방위정보(C)에 대해 피난구 위치(P)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피난자는 상기 표시판(30")에 표시된 방위정보(C)에 대해 피난구 위치(P)의 표시를 보고,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화재안내방송이 들릴 경우, 방위정보(C)를 참조하여 피난을 할 수 있다. 즉, 화재안내방송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라는 방송이 나올 경우, 피난자는 상기 방위정보(C)에서 동쪽을 확인하여 피난을 할 수 있다.
다만, 도 5의 표시판(30")과 같이, 방위정보(C)와 피난구 위치(P)가 표시된 표시판(30')을 설치하면, 피난구 유도등(100) 설치위치에 대해서, 상기 방위정보(C)가 바뀌게 되어, 각각의 층에 설치된 피난구 유도등(100)마다 방위정보(C)를 다르게 표시해야 하므로, 이러한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도 6과 같이, 피난구 유도등(100)의 함체(10)에 나침반(80)을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나침반(80)은 아날로그 기계식 나침반을 사용할 수 있으나 LCD패널을 설치하여 디지털 나침반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정보 수신기(15)는 통상의 자동화재탐지기 및 자동화재경보기를 구비한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하여 상기 자동화재탐지설비로부터 수신받은 화재위치정보를 화재위치표시부(16)에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화재탐지설비에 화재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모듈을 설치하여, 상기 자동화재탐지기로부터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자동화재경보기가 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자동화재탐지설비에 설치된 상기 송신모듈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상기 화재위치정보 신호를 송신하면, 피난구 유도등(100)의 화재정보수신기(15)가 이를 수신하여 화재위치를 화재위치표시부(16)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100)은 도 1과 같이, 화재위치표시부(16)가 함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도 7과 같이, 표시판(30)의 후방에 화재위치표시부(16')가 설치되어 표시판(30)을 통해 화재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함체 11...안내방송 수신기
12...안내방송 송신기 13...인체감지센서
14...감지신호송신기 15...화재정보수신기
16...화재위치표시부 17...제어부
20...케이스 30...표시판(필름형 스피커)
31...압전필름 40...도광판
45...발광램프 50...반사판
60...커버

Claims (10)

  1. 건물 내 화재발생 시 피난구의 위치와 피난 방향을 알리도록 표시판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은,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진동하는 압전필름을 포함한 필름형 스피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스피커에는 피난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정보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스피커는 투명이며, 상기 투명 필름형 스피커 후면에 피난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표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구 유도등은,
    상기 표시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안내방송 수신기가 내장된 함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방송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송신하는 안내방송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발생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감지신호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화재정보수신기; 및
    상기 화재정보 수신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에 의해 화재위치를 표시하는 화재위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피난구 유도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피난구 유도등의 위치를 표시하는 유도등 위치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은,
    건물 내 피난구 유도등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방위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방위를 표시하기 위한 나침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정보 수신기는, 건물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화재위치를 경보하는 자동화재탐지기로부터 송신된 화재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화재위치표시부에 화재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KR2020100001798U 2010-02-19 2010-02-19 피난구 유도등 KR201100083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98U KR20110008330U (ko) 2010-02-19 2010-02-19 피난구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98U KR20110008330U (ko) 2010-02-19 2010-02-19 피난구 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330U true KR20110008330U (ko) 2011-08-25

Family

ID=4559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798U KR20110008330U (ko) 2010-02-19 2010-02-19 피난구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33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2278A (zh) * 2015-09-14 2016-01-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210102708A (ko) * 2020-02-12 2021-08-20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보행자 안내용 경로 마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2328722B1 (ko) * 2020-09-03 2021-11-17 우용성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AT17313U1 (de) * 2020-07-07 2021-12-15 Zumtobel Lighting Gmbh At Intelligente Fluchtweganzeigevorrichtung für optisch-akustische Fluchtweglenkung, sowie Wegleitsystem
KR20220109224A (ko) * 2021-01-28 2022-08-04 (주)에스앤지코리아 피난로 안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2278A (zh) * 2015-09-14 2016-01-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210102708A (ko) * 2020-02-12 2021-08-20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보행자 안내용 경로 마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AT17313U1 (de) * 2020-07-07 2021-12-15 Zumtobel Lighting Gmbh At Intelligente Fluchtweganzeigevorrichtung für optisch-akustische Fluchtweglenkung, sowie Wegleitsystem
EP3937158A1 (de) * 2020-07-07 2022-01-12 Zumtobel Lighting GmbH Intelligente fluchtweganzeigevorrichtung für optisch-akustische fluchtweglenkung, sowie wegleitsystem
KR102328722B1 (ko) * 2020-09-03 2021-11-17 우용성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KR20220109224A (ko) * 2021-01-28 2022-08-04 (주)에스앤지코리아 피난로 안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4724B1 (en) Smoke alarm
JP5667187B2 (ja) 光誘導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6420973B2 (en) Wireless smoke detection system
US20110187543A1 (en) Home safety 911 system
US20170140619A1 (en) Wireless home safety 911 system
JP2013164695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20110008330U (ko) 피난구 유도등
KR200472941Y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KR102086564B1 (ko) IoT 기반의 지능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101818066B1 (ko) 재난경보 및 재난훈련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등 시스템
JP2016530615A (ja) 避難誘導報知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08234250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KR20190142032A (ko) 건물 재난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재난 알림 방법
KR20190128327A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 경보시스템
KR102055631B1 (ko) 스마트 피난구 유도등
KR101735264B1 (ko) 비상 유도 및 통화 시스템
KR200307344Y1 (ko) 화재감지형 경광등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CN111351484A (zh) 室内紧急疏散导航系统
KR20100000252A (ko) 멀티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1807261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10095679A (ko) 피난구 유도등을 구비한 피난방송시스템
KR101986489B1 (ko) 스마트 비상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