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722B1 -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722B1
KR102328722B1 KR1020200112011A KR20200112011A KR102328722B1 KR 102328722 B1 KR102328722 B1 KR 102328722B1 KR 1020200112011 A KR1020200112011 A KR 1020200112011A KR 20200112011 A KR20200112011 A KR 20200112011A KR 102328722 B1 KR102328722 B1 KR 102328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kirt
evacuation guidance
audiovisual
mou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용성
Original Assignee
우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용성 filed Critical 우용성
Priority to KR102020011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4Displays including an emergency or alarm me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탑브래킷; 상기 탑브래킷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바텀브래킷; 상기 바텀브래킷의 하부면 일단 또는 타단에 배치되는 스커트브래킷; 상기 탑 및 바텀 브래킷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커넥팅수단; 및 상기 바텀 및 스커트 브래킷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홀딩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텀브래킷의 하부면에서 상기 스커트브래킷이 비(非)배치되는 반대편 단부에 피난유도등 본체의 상부면이 장착되고, 상기 스커트브래킷의 전면(前面)에 시청각 경보기 본체가 장착됨으로써, 피난유도등과 시청각 경보기를 동시에 거치하여 설치할 수 있고, 설치 구역에 따라 피난유도등과 시청각 경보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설치 구성이 한 세트로 이루어져 구입은 물론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MOUN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EVACUATION GUIDANCE LIGHTS AND AUDIO-VISUAL ALARMS}
본 발명은 피난유도등과 시청각 경보기를 동시에 거치하여 건물 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비상유도등은 건물 내의 천장 또는 벽체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건물의 전력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되었다가 비상 시 배터리의 전원에 의하여 유도등이 점등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시청각 경보기는 화재나 비상 등에 따른 피난 시 시각 및 청각 장애가 있는 피난자에게 적합한 음향이나 불빛 등의 피난신호 및 안내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비상유도등이나 경보기를 건물 내에 설치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4886호 (2003.02.0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비상 유도등의 구조』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1은 유도등 케이스 내에 T5형광등이 종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면서, 형광등이 설치되는 유도등케이스내의 양쪽에 반사판이 고정되도록 하여, 형광등의 형광 빛이 반사판에 의하여 확산되어 유도등케이스의 표시부의 조도를 높여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비상 유도등을 직시하여 비상구를 통하여 위급상황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한 비상 유도등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0005호 (2011.01.03.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분리 결합이 용이한 비상유도등』이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2는 천정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과, 이 고정브라켓에 결합는 브라켓커버와, 또한 상기 브라켓커버에 기초부가 결합되어 늘어뜨려져 설치되는 비상유도등고정틀체로 이루어진 비상유도등에 있어서의 안정기, 기판, 스타트 및 배터리 등의 부품들이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도록 하고, 또한 비상유도등고정틀체에 결합되는 도광판과 유도등표시판들이 각각의 결합홈들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천정에 고정브라켓 분리결합 및 결선 등이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유도등표시판의 유도방향에 따라서 바로 교체 및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비상유도등의 설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비상유도등고정틀체이 수직방향의 측면틀들에 대하여 저면틀이 끼워 맞춤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도광판과 유도등표시판의 자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비상유도등고정틀체가 상기 브라켓커버에 걸침요홈에 걸쳐져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 없어 원가를 저렴하게 하면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분리 결합이 용이한 비상유도등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72190호 (2016.10.28.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피난구 유도등의 설치구조』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3은 전원부 및 발광원을 포함하여, 비상구 또는 출입구를 알리는 도형이나 문자가 표시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된 회전부재; 건물 실내 천장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설치브라켓;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 설치되며, 설치브라켓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되면서 본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설치브라켓은, 내주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형몸체; 상기 원형몸체의 중앙에 설치되며, 회전부재에 대응되는 회전홈이 형성된 중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고정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축 결합되며, 상기 설치브라켓의 가이드홈을 따라 구르는 롤러:를 포함함으로써, 피난구 지시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유지 보수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인 피난구 유도등 설치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문헌 1 내지 3은 단일 형태의 유도등 설치에 적합한 것으로, 비상유도등과 시청각 경보기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기에 함께 설치 시에는 각각에 맞는 설치 구성이 필요함은 물론, 설치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4886호 (2003.02.06.등록) 문헌 2.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0005호 (2011.01.03.공개) 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72190호 (2016.10.28.등록)
본 발명은 피난유도등과 시청각 경보기를 동시에 거치하여 건물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피난유도등과 시청각 경보기의 좌우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세트형 구조의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는 탑브래킷;
상기 탑브래킷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바텀브래킷;
상기 바텀브래킷의 하부면 일단 또는 타단에 배치되는 스커트브래킷;
상기 탑 및 바텀 브래킷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커넥팅수단; 및
상기 바텀 및 스커트 브래킷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홀딩수단;
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텀브래킷의 하부면에서 상기 스커트브래킷이 비(非)배치되는 반대편 단부에 피난유도등 본체의 상부면이 장착되고, 상기 스커트브래킷의 전면(前面)에 시청각 경보기 본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는,
피난유도등과 시청각 경보기를 동시에 거치하여 설치할 수 있고, 설치 구역에 따라 피난유도등과 시청각 경보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설치 구성이 한 세트로 이루어져 구입은 물론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를 나타낸 입체 분해 구성도,
도 2는 탑 및 바텀 브래킷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3은 스커트브래킷을 전방 및 후방에서 바라본 입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를 나타낸 정면 분해 구성도,
도 5는 벽체에 스커트브래킷이 설치되고 스커트브래킷에 시청각 경보기가 장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설치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1에서 전선이 배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7은 도 1의 결합 정면 설치 상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를 나타낸 입체 분해 구성도,
도 9는 도 8의 결합 정면 설치 상태 구성도,
도 10은 가이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탑브래킷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바텀 브래킷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 도 1을 기준으로 피난유도등 본체 측을 일측 또는 일방, 시청각 경보기 본체 측을 타측 또는 타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는,
크게 탑브래킷(10), 바텀브래킷(20), 스커트브래킷(30), 커넥팅수단(40) 및 홀딩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탑브래킷(1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좌우로 긴 판형의 탑플레이트(11),
상기 탑플레이트(11)의 전후 단부에서 하방 절곡되는 한 쌍의 탑펜스(12),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11)와 상기 각 탑펜스(12)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탑공간부(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탑플레이트(11)는 피난유도등 본체(1)와 시청각 경보기 본체(2)가 좌우로 일렬 배치된 상태에서 피난유도등 본체(1)와 시청각 경보기 본체(2)가 이루는 좌우 전체 폭과 상응한 정도의 좌우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탑브래킷(10)의 탑플레이트(11)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둘 이상의 볼트공이 형성되는데, 이 볼트공은 상기 탑플레이트(11)의 좌우 단부 측과 중앙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전후로 긴 장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텀브래킷(2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브래킷(1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좌우로 긴 판형이되 상기 탑플레이트(11)와 상응한 좌우 길이를 갖는 바텀플레이트(21),
상기 바텀플레이트(21)의 전후 단부에서 상방 절곡되는 한 쌍의 바텀펜스(22), 그리고
상기 바텀플레이트(21)와 상기 각 바텀펜스(22)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바텀공간부(2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바텀펜스(22)는 상기 각 탑펜스(12) 내로 삽입되어 상기 탑공간부(13)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브래킷(20)의 바텀플레이트(21)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둘 이상의 볼트공이 형성되는데, 이 볼트공은 상기 바텀플레이트(21)의 일단 또는 타단에 피난유도등 본체(1)가 배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일단과 타단 모두와 중앙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좌우로 긴 장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브래킷(20)의 하부면 일단 또는 타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전면(前面) 하부 측에 평탄하게 형성되는 답면부(31),
상기 답면부(31)의 상부 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서포트(32), 그리고
상기 답면부(31)의 중앙 영역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하로 길면서 내부에 전후 관통된 볼트홀(331)을 갖는 돌기부(3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은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사각 형상을 이루면서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는 대략 'ㄱ'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도 3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의 후면(後面)에는 상기 돌기부(33)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볼트홀(331)을 공유하는 원통 형상의 연장돌기부(34)가 더 형성되는데, 이는 볼트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시청각 경보기 본체(2)의 상부면이 상기 답면부(31)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시청각 경보기 본체(2)의 후면(後面)이 상기 서포트(32)에 안착되고, 상기 시청각 경보기 본체(2)의 후면에 형성된 장공(2a)에 상기 돌기부(33)가 삽입된다. 특히 상기 장공(2a)으로 삽입된 볼트는 상기 볼트홀(331)을 지나 벽체에 박히게 되고 볼트의 헤드는 상기 장공(2a)의 주변 영역에 지지된다.(도 5의 원형 쇄선 내 도면 참조)
따라서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의 전면(前面)에 시청각 경보기 본체(2)가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커넥팅수단(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및 바텀 브래킷(10, 20)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탑브래킷(10)의 탑플레이트(11) 좌우 단부에 하방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탑후크부(41), 그리고
상기 바텀브래킷(20)의 바텀플레이트(21) 좌우 단부에 상방 돌출되되 상기 각 탑후크부(41)의 단부가 걸리는 홈을 갖는 탑스냅부(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각 탑후크부(41)와 상기 각 탑스냅부(42)가 상호 암수 결합됨에 따라 상기 탑 및 바텀 브래킷(10, 20) 간의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바텀브래킷(20)의 하부면에서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이 비(非)배치되는 반대편 단부에 피난유도등 본체(1)의 상부면이 장착된다.
상기 홀딩수단(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 및 스커트 브래킷(20, 30)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의 상부면 좌우측에 각각 세워지는 한 쌍의 홀딩후크부(51),
상기 바텀브래킷(20)의 좌우 단부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홀(52), 그리고
상기 각 삽입홀(52)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세워지는 한 쌍의 홀딩스냅부(5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각 홀딩후크부(51)가 상기 각 삽입홀(52)을 지나 상기 각 홀딩스냅부(53)의 상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바텀 및 스커트 브래킷(20, 30) 간의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장치는 전선인입구(60)와 전선인출구(7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전선인입구(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및 바텀 브래킷(10, 20) 각각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관통되면서 좌우로 긴 장홀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탑 및 바텀 브래킷(10, 20) 각각의 좌우 단부 모두에 형성되게 한 쌍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인출구(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 및 스커트 브래킷(20, 30) 각각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관통되면서 좌우로 긴 장홀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바텀브래킷(20)에서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이 비(非)배치되는 반대편 단부에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이 상기 바텀브래킷(20)의 좌측 또는 우측 어디에 배치되어도 전선이 단거리 내에서 스커트브래킷(30) 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바텀브래킷(20)의 전선인출구(70)는 상기 바텀브래킷(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며,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의 전선인출구(70)는 후방으로 개구(開口)된 공간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바텀브래킷(20)에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이 벽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전선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장치는 가이드(8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가이드(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브래킷(20)의 상부면에 상기 전선인입구(60)에서 상기 전선인출구(70)까지 이어지는 전선(3)을 지지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텀브래킷(20)의 상부면에서 후방 측 바텀펜스(22)로부터 전방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벽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바텀펜스(22)와 상기 가이드(80) 사이의 공간 내에 전선(3)이 배치되는데, 이때 사이공간은 전선(3)이 억지 끼움될 수 있는 정도의 너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전선(3)을 쉽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피난유도등 본체
2 : 시청각 경보기 본체
2a : 장공
3 : 전선
10 : 탑브래킷
11 : 탑플레이트
12 : 탑펜스
13 : 탑공간부
20 : 바텀브래킷
21 : 바텀플레이트
22 : 바텀펜스
23 : 바텀공간부
30 : 스커트브래킷
31 : 답면부
32 : 서포트
33 : 돌기부
331 : 볼트홀
34 : 연장돌기부
40 : 커넥팅수단
41 : 탑후크부
42 : 탑스냅부
50 : 홀딩수단
51 : 홀딩후크부
52 : 삽입홀
53 : 홀딩스냅부
60 : 전선인입구
70 : 전선인출구
80 : 가이드

Claims (7)

  1. 천장에 설치되는 탑브래킷(10);
    상기 탑브래킷(10)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바텀브래킷(20);
    상기 바텀브래킷(20)의 하부면 일단 또는 타단에 배치되는 스커트브래킷(30);
    상기 탑 및 바텀 브래킷(10, 20)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커넥팅수단(40); 및
    상기 바텀 및 스커트 브래킷(20, 30)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홀딩수단(50);
    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텀브래킷(20)의 하부면에서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이 비(非)배치되는 반대편 단부에 피난유도등 본체(1)의 상부면이 장착되고,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의 전면(前面)에 시청각 경보기 본체(2)가 장착되며,
    상기 스커트브래킷(30)에는 이의 전면(前面) 하부 측에 평탄한 답면부(31)와, 이의 상부 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서포트(32)와, 상기 답면부(31) 중앙 영역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로 길면서 내부에 전후 관통된 볼트홀(331)을 갖는 돌기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시청각 경보기 본체(2)의 상부면이 상기 답면부(31)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시청각 경보기 본체(2)의 후면(後面)이 상기 서포트(32)에 안착되고,
    상기 시청각 경보기 본체(2)의 후면에 형성된 장공(2a)에 상기 돌기부(33)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및 바텀 브래킷(10, 20) 각각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둘 이상의 전선인입구(60)가 형성되고,
    상기 바텀 및 스커트 브래킷(20, 30) 각각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전선인출구(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브래킷(20)에서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이 비(非)배치되는 반대편 단부에도 상기 전선인출구(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브래킷(20)의 전선인출구(70)는 상기 바텀브래킷(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며,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의 전선인출구(70)는 후방으로 개구(開口)된 공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브래킷(30)의 후면(後面)에는 상기 돌기부(33)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볼트홀(331)을 공유하는 원통 형상의 연장돌기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브래킷(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전선인입구(60)에서 상기 전선인출구(70)까지 이어지는 전선(3)을 지지 안내하는 가이드(8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KR1020200112011A 2020-09-03 2020-09-03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KR102328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11A KR102328722B1 (ko) 2020-09-03 2020-09-03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11A KR102328722B1 (ko) 2020-09-03 2020-09-03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722B1 true KR102328722B1 (ko) 2021-11-17

Family

ID=7870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011A KR102328722B1 (ko) 2020-09-03 2020-09-03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7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86Y1 (ko) 2002-11-28 2003-02-19 주식회사 화경산업 비상 유도등의 구조
KR20110000005U (ko)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 화경산업 분리 결합이 용이한 비상유도등
KR20110008330U (ko) * 2010-02-19 2011-08-25 안성진 피난구 유도등
KR101319973B1 (ko) * 2012-03-27 2013-10-21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1672190B1 (ko) 2016-04-08 2016-11-03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피난구 유도등의 설치구조
KR102030659B1 (ko) * 2019-02-25 2019-10-10 주식회사 서부전기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JP2020129302A (ja) * 2019-02-08 2020-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避難誘導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86Y1 (ko) 2002-11-28 2003-02-19 주식회사 화경산업 비상 유도등의 구조
KR20110000005U (ko)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 화경산업 분리 결합이 용이한 비상유도등
KR20110008330U (ko) * 2010-02-19 2011-08-25 안성진 피난구 유도등
KR101319973B1 (ko) * 2012-03-27 2013-10-21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1672190B1 (ko) 2016-04-08 2016-11-03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피난구 유도등의 설치구조
JP2020129302A (ja) * 2019-02-08 2020-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避難誘導システム
KR102030659B1 (ko) * 2019-02-25 2019-10-10 주식회사 서부전기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816B1 (en) On-site fabricated linear ambient lighting system
US5868489A (en) Transparent electrical fixture
KR101883781B1 (ko) 실내소방용 광축전지 비상유도장치
KR102328722B1 (ko) 피난유도등 및 시청각 경보기 설치용 마운팅 장치
KR101909975B1 (ko) 사이드프레임용 코너연결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경량 등기구
WO2018107592A1 (zh) 一种led高棚灯
CA2277604C (en) Canopy mounting device for exit sign
US6467208B1 (en) Pivotable overhead lighted exit sign
US6098326A (en) Locator sign
CN212537756U (zh) 一种led灯边框结构
KR101439517B1 (ko) 시설물 식별 및 경관용 led 조명기구
KR102154222B1 (ko)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KR101886700B1 (ko) 비상상황대처 기능을 갖는 led비상유도등기구
KR200330625Y1 (ko) 현수막 거치대
KR101926011B1 (ko) 사이드프레임 변형 방지형 조립식 경량 등기구
KR20150141311A (ko)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CN201007051Y (zh) 软膜天花的固定龙骨及固定装置
CN216952758U (zh) 一种led壁灯
CN219473462U (zh) 一种吊线灯具
KR102360272B1 (ko) 음성 및 점멸형 유도등
CN214535871U (zh) 防水景观灯
CN210472877U (zh) 一种便于组装的消防箱
CN212986908U (zh) 一种装饰灯安装结构
EP1460334A1 (en) Recessed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CN212593618U (zh) 一种具有紧急照明功能的楼宇消防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