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311A -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 Google Patents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311A
KR20150141311A KR1020140069832A KR20140069832A KR20150141311A KR 20150141311 A KR20150141311 A KR 20150141311A KR 1020140069832 A KR1020140069832 A KR 1020140069832A KR 20140069832 A KR20140069832 A KR 20140069832A KR 20150141311 A KR20150141311 A KR 20150141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isplay
warning
display unit
ligh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균
Original Assignee
오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균 filed Critical 오석균
Priority to KR1020140069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1311A/ko
Publication of KR20150141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4Displays including an emergency or alarm message

Abstract

본 발명은 출차주의등의 상단에 설치된 경광등은 물론이고 경광등의 하부에 형성된 출차주의 문구가 표시된 문자표시부의 조명용 LED가 경광등과 함께 점멸되고 스피커에서 경고음이 출력됨으로써 차량의 출차시 주변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키는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에 관한 것이다. 특히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보호커버 출차주의등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도 있지만 출차주의등에 미려한 광택을 부여하여 제품에 고급스런 느낌을 주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parking lot warning post with on and off warning lamp}
본 발명은 출차주의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단의 경광경과 함께 출차주의 문구가 표시되는 문자표시부가 함께 소정주기로 점멸함으로써 주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빌딩 등의 지하주차장 등에서는 차량이 드나들 때 행인이나 운전자가 차량을 보지 못하는 사각지점에서 충돌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데 이를 방지하고자 차량의 출입에 따라 자동으로 싸이렌과 같은 경고를 발생시켜 주변의 행인이나 차량에 주의를 주도록 하는 차량경고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경고장치는 차량통행시 차량의 통행을 검지하여 차량 통행에 대한 경고음 및 경고광을 발생하는 경광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경광등은 차량의 존재 및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센서의 검지신호를 판독하여 경광등을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출차주의 경광등은 출차주의라는 문구가 표시된 문자표시부는 별도의 조명이 없거나 또는 별도의 조명이 있는 경우에도 조명을 계속해서 켜놓는 방식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주변에 대한 주의 효과를 환기시키는데에 더욱 효과적인 출자주의등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차주의등의 상단에 설치된 경광등은 물론이고 경광등의 하부에 형성된 출차주의 문구가 표시된 문자표시부가 경광등과 함께 점멸되고 스피커에서 경고음이 출력됨으로써 차량의 출차시 주변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효과가 월등하게 향상된 출차주의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점멸하는 방식의 조명수단이 구비된 경광등과, 상기 경광등의 아래에 위치하며 출차주의 문자가 표시되고 내부에는 조명용 엘이디가 구비된 문자표시부와, 상기 문자표시부의 외부를 둘러싸며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문자표시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설치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플랜지가 형성되고 내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내장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경광등의 조명수단과 문자표시부의 조명용 엘이디와 지지프레임의 스피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은 설치장소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은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봉이 형성되고 연결봉의 일단에는 고정용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경광등의 조명수단과 문자표시부의 조명용 엘이디의 점멸주기는 서로 일치하도록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광등의 조명수단과 문자표시부의 조명용 엘이디의 점멸주기 및 상기 스피커의 음량은 조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에 따르면 차량의 출차시 출차주의등의 상단의 경광등과 함께 대면적의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기 때문에 주변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효과가 현저히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광등과 문자표시부의 점멸주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주기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한 점멸주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차주의등은 하단의 지지프레임의 높이가 다양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옹벽과 같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 떨어진 장소에 설치할 때에도 주의환기에 가장 효과적인 높이에 경광등과 문자표시부를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차주의등은 통행로가 좁거나 바닥이 고르지 못한 경우와 같이 출차주의등을 지면에 설치하기 곤란한 환경에서는 벽면에 고정하여 설치가 가능한 것이므로 설치장소의 조건에 맞게 적절한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이 옹벽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재의 간소화를 위해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2)과 문자표시부(3)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1)(이하 '출차주의등(1)'이라고 함)은 상단에 형성되는 경광등(2)과 경광등(2)의 아래에 형성되는 출차주의 문자를 표시한 문자표시부(3)(3)와 문자표시부(3)를 둘러싸는 보호커버(4)와 문자표시부(3)의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5) 및 출차주의등(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광등(2)은 출차주의등(1)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점멸이 가능한 조명수단이 형성되고 외부를 경고표시를 위한 붉은색 커버가 둘러싼 구조를 가진다. 조명수단은 제어부에 연결되어 차량출차가 감지되면 설정된 시간주기로 점멸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문자표시부(3)는 유백색 아크릴로 형성된 원통의 외부 둘레에 "출차주의"라는 문구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문자표시부(3)의 내부에는 조명용 LED가 설치되어 있다.
보호커버(4)는 문자표시부(3)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문자표시부(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보호커버(4)는 충격에 대한 보호기능 뿐만 아니라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여 고급스런 느낌을 주는 효과도 있다.
지지프레임(5)은 경광등(2)과 문자표시부(3)를 아래에 설치되고 출차주의등(1)을 지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플랜지(7)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프레임(5)의 내부에는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미도시)가 내장되어 있고, 스피커에 대응되는 지점에는 경고음을 외부로 원활히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멍들(6)이 밀집되어 형성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차량의 통과를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미도시)와 연결되어 차량통과시 경광등(2)과 문자표시부(3)의 내부의 조명용 LED를 점멸시키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에는 경광등(2)의 조명수단과 문자표시부(3)의 조명용 LED의 점멸주기를 조절하기 위한 점멸주기조정부(미도시) 및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통과되는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출차주의등(1)의 경광등(2)이 점멸하고 경광등(2)의 점멸주기와 동기화되어 문자표시부(3)의 조명용 LED가 점멸한다. 이 때 경광등(2)의 점멸주기와 문자표시부(3)의 조명용 LED의 점멸주기를 서로 일치하도록 동기화시키는 이유는 양쪽의 점멸주기가 다른 경우 계속적인 번쩍거림에 의해 주변에 과도한 시각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양쪽의 점멸을 동기화시키는 것이 적절한 주의환기에 가장 효과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이 옹벽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차주의등(10)은 지면보다 높은 장소에 설치되는 것을 염두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출차주의등(10)은 경광등(12)과 출차주의 문자를 표시한 문자표시부(13)와 문자표시부(13)를 둘러싸는 보호커버(14)와 문자표시부(13)의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5) 및 출차주의등(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출차주의등과 동일하며 다만 문자표시부(13)의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5)이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차주의등(10)이 지면에서 소정 높이를 가지는 옹벽(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지지프레임의 길이가 긴 경우 경광등(12) 및 문자표시부(13)가 너무 높게 위치하게 되므로 미관상으로도 부자연스럽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5)의 길이가 짧은 것을 사용해야만 주변 사람들의 시선 높이에 적절한 높이를 가지게 되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출차주의등(20)은 경광등과 출차주의 문자를 표시한 문자표시부와 문자표시부를 둘러싸는 보호커버와 문자표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5) 및 출차주의등(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출차주의등과 동일하며 다만 문자표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5)의 하단에 고정용플랜지가 생략되고 그 대신에 지지프레임(15)의 측면에 벽체에 대한 고정을 위한 연결봉(18) 및 볼트(20)에 의한 고정을 위한 고정용플랜지(19)가 형성된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출차주의등을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 사람들이 지나가는 통로가 너무 좁아지는 문제가 있는 환경이거나 또는 지면이 고르지 못하여 출차주의등을 지면에 설치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출차주의등을 벽면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출차주의등(20)은 지지프레임(15)의 측면에 연결봉(18)을 통해 연결되며 볼트(20) 또는 앵커로 고정이 가능한 고정용플랜지(19)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에서 소정높이를 가지도록 출차주의등(20)을 벽면(11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출차주의등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2)과 문자표시부(3)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1)에 따르면 차량의 출차시 출차주의등(1)의 상단의 경광등(2)과 함께 대면적의 문자표시부(3)가 함께 점멸하기 때문에 주변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효과가 현저히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광등(2)과 문자표시부(3)의 점멸주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주기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한 점멸주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차주의등(1)은 하단의 지지프레임(5, 15)의 높이가 다양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옹벽과 같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 떨어진 장소에 설치할 때에도 주의환기에 가장 효과적인 높이에 경광등(2)과 문자표시부(3)를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차주의등(20)은 통행로가 좁거나 바닥이 고르지 못한 경우와 같이 출차주의등을 지면에 설치하기 곤란한 환경에서는 벽면(110)에 고정하여 설치가 가능한 것이므로 설치장소의 조건에 맞게 적절한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10, 20 출차주의등
2, 12 경광등
3, 14 문자표시부
4, 14 보호커버
5, 15 지지프레임
6 관통구멍
7, 17, 19 고정용플랜지
18 연결봉
20 볼트
100 옹벽
110 벽면

Claims (5)

  1. 상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점멸하는 방식의 조명수단이 구비된 경광등;
    상기 경광등의 아래에 위치하며 출차주의 문자가 표시되고 내부에는 조명용 엘이디가 구비된 문자표시부;
    상기 문자표시부의 외부를 둘러싸며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보호커버;
    상기 문자표시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설치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플랜지가 형성되고 내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내장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경광등의 조명수단과 문자표시부의 조명용 엘이디와 지지프레임의 스피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설치장소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봉이 형성되고 연결봉의 일단에는 고정용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의 조명수단과 문자표시부의 조명용 엘이디의 점멸주기는 서로 일치하도록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의 조명수단과 문자표시부의 조명용 엘이디의 점멸주기 및 상기 스피커의 음량은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KR1020140069832A 2014-06-10 2014-06-10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KR20150141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832A KR20150141311A (ko) 2014-06-10 2014-06-10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832A KR20150141311A (ko) 2014-06-10 2014-06-10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11A true KR20150141311A (ko) 2015-12-18

Family

ID=5508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832A KR20150141311A (ko) 2014-06-10 2014-06-10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13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24B1 (ko) * 2016-02-12 2016-10-05 주식회사 위쥬테크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095501A (zh) * 2020-09-09 2020-12-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警示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24B1 (ko) * 2016-02-12 2016-10-05 주식회사 위쥬테크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095501A (zh) * 2020-09-09 2020-12-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警示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2125B2 (en) External safety illumination for a bus with light mounted to mirror arm
US20100182164A1 (en) Electronic traffic signage
KR100602371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130041430A (ko) Led 조명부를 갖는 횡단보도용 신호등 장치 및 그의 횡단보도 조명 방법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KR101140531B1 (ko)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20200098853A (ko) 스마트폰 사용자의 횡단보도 보행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신호등 경보장치
KR102255151B1 (ko) 지하주차장용 천정설치형 점멸 유도등
KR20150141311A (ko)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AU2022100030A4 (en) Safety corridor arrangement
KR100966728B1 (ko) 도로 교통표지판
KR20160150558A (ko) Led 표시판을 구비한 cctv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1797716B1 (ko) 노면용 메시지 표시장치
KR102462453B1 (ko) 화재 또는 비상시에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기능성 피난구 유도지시장치
JP6313006B2 (ja) 路肩照明装置
KR200493708Y1 (ko) 지하주차장용 기둥부착형 점멸 유도등
KR20100000252A (ko) 멀티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20130021509A (ko) 횡단보도 표지장치
KR20160095276A (ko) 보행신호등에 독립적 장착 및 동작 가능한 경보장치
KR20120002003U (ko) 보행 신호의 가시각을 확장시킨 신호등 장치
KR20140035703A (ko) Led조명을 구비한 cctv용 지주
KR102625803B1 (ko) 스마트 IoT 기반을 이용한 다양한 영상정보, 조명 및 다양한 음원의 출력 소리정보를 알리는 다양한 멀티장치 표출솔루션 경관조명 멀티브라켓
KR20150047014A (ko) 차량 출입 경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