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224B1 -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224B1
KR101662224B1 KR1020160016439A KR20160016439A KR101662224B1 KR 101662224 B1 KR101662224 B1 KR 101662224B1 KR 1020160016439 A KR1020160016439 A KR 1020160016439A KR 20160016439 A KR20160016439 A KR 20160016439A KR 101662224 B1 KR101662224 B1 KR 101662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vehicle
beacon
warning
camer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쥬테크
Priority to KR102016001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04N5/232
    • H05B37/0227
    • H05B37/0281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되어 촬영 영역 내 주변 영상과 차량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주차장의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되어 경고음 및 경고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경광등;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경광등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관리서버; 및 상기 경광등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에 구비된 상기 경광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광등 제어기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보안이 용이하고, 주차장 안으로 진입한 차량의 주행 방향을 인식하여 경광등을 동작시킴으로써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주차된 차량의 수와 진입 및 진출한 차량의 수를 파악함으로써 주차장 내 차량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LOT USING CAMER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차장 안으로 진입한 차량의 주행 방향과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아파트 및 유료 주차장 등과 같은 주차장 시설이 설비된 특정 장소에는 차량의 진입 및 진출 관리를 위한 차량 감지 루프코일을 주차장 내 노면에 매설하여,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한 후 경광등을 동작시키는 차량 경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 적용되는 루프코일을 노면에 매설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매설된 후에도 누전 및 단선 등의 이유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루프코일을 이용한 방식은 해당 위치에 차량이 통과하는지 여부만 감지할 수 있어 차량의 진행 방향까지 감지하기 위해서는 2개의 루프코일을 나란히 매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는 차량의 관리를 위한 인력 사용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하고자 주차장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 뒤 이를 문자와 숫자로 인식하여 차량을 식별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 역시 차량 진입로에 루프코일이 매설되어 있고 진입로의 전면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진입로에서 루프코일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될 때, 카메라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고 그 번호판 영상으로부터 진입로에 입차한 차량의 번호를 추출한다.
그런데, 좌회전이나 우회전을 해서 진입하는 차량은 진입 각도가 매우 다양한 관계로 인식을 위한 루프코일을 설치하더라도, 회전각이 일정하지 않으면 차량의 번호판의 측면이 촬영되기 때문에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차량의 번호판이 제대로 인식되지 못한 경우, 주차장의 주차 관리원 등이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를 육안으로 식별하고 주차 관리를 위해 수동으로 차량 번호를 컴퓨터에 입력하여야 하거나, 차량의 진입 각도에 맞추기 위해 수동으로 카메라의 렌즈각을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81675호(2001. 02. 15.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차장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주차장 안으로 진입한 차량의 주행 방향을 인식하여 경광등을 동작시키고, 주차된 차량의 수와 진입 및 진출한 차량의 수를 파악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주차장 안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차량이 주차된 층 수를 파악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되어 촬영 영역 내 주변 영상과 차량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주차장의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되어 경고음 및 경고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경광등;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경광등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관리서버; 및 상기 경광등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에 구비된 상기 경광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광등 제어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상기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더 촬영하고, 상기 차량 관리서버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문자와 숫자로 인식하여 해당 차량이 최종 주차된 층과 주차된 시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리서버는, 최초 진입로 및 최종 진출로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주차장 내 주차된 차량의 수와, 상기 진입로 및 상기 진출로를 통과한 차량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경광등 제어기기는, 상기 경광등이 구비된 위치의 주차장 램프 길이에 따라 상기 경광등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여 해당 작동 시간 동안 상기 경광등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경광등 제어기기는, 상기 주차장을 통해 진입한 차량과 상기 주차장으로 진출하는 차량 사이에 존재하는 층 수에 따라 상기 경광등의 작동 시간,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경광등 제어기기는, 상기 주차장을 통해 진입한 차량과 상기 주차장으로 진출하는 차량 간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경광등의 작동 시간,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방법은, 상기 주차장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가 촬영 영역 내 주변 영상과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 차량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각각 수신하여 상기 영상을 분석하고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경광등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경광등 제어기기가 상기 생성된 경광등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에 구비된 경광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경광등을 통해 경고음 및 경고광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보안이 용이하고, 주차장 안으로 진입한 차량의 주행 방향을 인식하여 경광등을 동작시킴으로써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주차된 차량의 수와 진입 및 진출한 차량의 수를 파악함으로써 주차장 내 차량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주차장 안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차량이 주차된 층 수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100)은, 카메라(110), 차량 관리서버(120), 경광등 제어기기(130) 및 경광등(140)을 포함한다.
카메라(110)는 주차장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되어 촬영 영역 내 주변 영상과 차량(200a, 200b) 및 차량(200a, 200b)의 번호판(210a, 210b)을 촬영하도록 복수대가 구비된다.
차량 관리서버(120)는 복수의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각각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200a, 200b)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경광등(140)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차량(200a, 200b)이 주차장으로 진입 중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진출 중인지 파악하여 해당 주행 방향에 위치한 경광등(140)이 작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차량 관리서버(120)는 복수의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200a, 200b)의 번호판(210a, 210b)을 문자와 숫자로 인식하여 해당 차량(200a, 200b)이 최종 주차된 층과 주차된 시간을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차량 관리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위치를 검색하고자 하는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121)에서 해당 차량번호와 매칭되는 차량(200a, 200b)을 검색하여 해당 차량(200a, 200b)이 주차된 층과 주차된 시간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관리서버(120)는 최초 진입로 및 최종 진출로에 설치된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주차장 내 주차된 차량(200a, 200b)의 수와, 진입로 및 상기 진출로를 통과한 차량(200a, 200b)의 수를 카운트하고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200a, 200b)의 수와 입차 및 출차 현황을 일별 및 월별로 관리할 수도 있다.
경광등 제어기기(130)는 경광등(140)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에 구비된 경광등(140)의 작동을 제어하고, 경광등(140)이 구비된 위치의 주차장 램프(300) 길이에 따라 경광등(140)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여 해당 작동 시간 동안 경광등(140)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경광등 제어기기(130)는 주차장을 통해 진입한 차량(200a)과 주차장으로 진출하는 차량(200b) 사이에 존재하는 층 수에 따라 경광등(140)의 작동 시간,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주차장을 통해 진입한 차량(200a)과 주차장으로 진출하는 차량(200b) 간 이격 거리에 따라 경광등(140)의 작동 시간,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주차장으로 진입 중인 차량(200a)과 주차장으로부터 진출 중인 차량(200b) 사이에 층 수 또는 진입중인 차량(200a)과 진출 중인 차량(200b)간 이격 거리에 따라 경광등(140)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경광등 제어기기(130)는 두 차량(200a, 200b)간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두 차량(200a, 200b) 사이의 층의 개수가 줄어들수록 경고 수준을 달리하기 위하여, 경광등(140)의 경고음 레벨 및 경고광의 조도 세기를 제어하거나 다수 색상의 LED가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경광등(140)은 주차장의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되어 경고음 및 경고광을 출력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다양한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다수 색상의 LED가 점멸될 수도 있다.
자세히는, 카메라(110)가 설치된 위치에 인접 배치되어 설치된다.
또한, 경광등(140) 이외에도 전광판(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되어 전광판을 통해 경고 메시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방법에 따르면, 먼저 주차장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10)가 촬영 영역 내 주변 영상과 차량(200a, 200b)을 촬영한다(S210).
그 다음, 차량 관리서버(120)가 S210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을 각각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고 차량(200a, 200b)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경광등(140)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220).
즉,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차량(200a, 200b)이 주차장으로 진입 중인 차량(200a)인지 또는 주차장으로부터 진출 중인 차량(200b)인지 파악하여 해당 주행 방향에 위치한 경광등(140)이 작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차량 관리서버(120)는 수신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하여 주차장 내 주차된 차량(200a, 200b)을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관리서버(120)는 복수의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200a, 200b)의 번호판(210a, 210b)을 문자와 숫자로 인식하여 해당 차량(200a, 200b)이 최종 주차된 층과 주차된 시간을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차량 관리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위치를 검색하고자 하는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121)에서 해당 차량번호와 매칭되는 차량(200a, 200b)을 검색하여 해당 차량(200a, 200b)이 주차된 층과 주차된 시간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관리서버(120)는 최초 진입로 및 최종 진출로에 설치된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주차장 내 주차된 차량(200a, 200b)의 수와, 진입로 및 상기 진출로를 통과한 차량(200a, 200b)의 수를 카운트하고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200a, 200b)의 수와 입차 및 출차 현황을 일별 및 월별로 관리할 수도 있다.
그 다음, 경광등 제어기기(130)가 S220단계에서 생성된 경광등(140)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에 구비된 경광등(140)의 작동을 제어한다(S230).
자세히는, 경광등 제어기기(130)는 경광등(140)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에 구비된 경광등(140)의 작동을 제어하고, 경광등(140)이 구비된 위치의 주차장 램프(300) 길이에 따라 경광등(140)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여 해당 작동 시간 동안 경광등(140)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경광등 제어기기(130)는 주차장을 통해 진입한 차량(200a)과 주차장으로 진출하는 차량(200b) 사이에 존재하는 층 수에 따라 경광등(140)의 작동 시간,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주차장을 통해 진입한 차량(200a)과 주차장으로 진출하는 차량(200b) 간 이격 거리에 따라 경광등(140)의 작동 시간,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으로 진입 중인 차량(200a)과 주차장으로부터 진출 중인 차량(200b)간 이격 거리(D) 또는 진입중인 차량(200a)과 진출 중인 차량(200b) 사이의 층 수에 따라 경광등(140)의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외부로부터 진입 중인 차량(200a)이 지상 1층에서 주행 중이라 가정했을 때, 외부로 진출 중인 차량(200b)이 지하 3층에서 주행 중이면 두 차량(200a, 200b) 사이에는 세 층의 간격이 존재하고, 지하 1층에서 주행 중이면 두 차량(200a, 200b) 사이에는 한 층의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두 차량(200a, 200b) 간 충돌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주차장으로 진입 중인 차량(200a)과 주차장으로부터 진출 중인 차량(200b) 사이에 층 수가 작을수록 해당 위치에 구비되는 경광등(140)의 작동 시간이 더욱 길게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경고음 및 경고광의 출력 세기가 더욱 세게 출력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으로 진입 중인 차량(200a)과 주차장으로부터 진출 중인 차량(200b)이 동일한 층에서 주행 중인 경우에는, 두 차량(200a, 200b)간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해당 위치에 구비되는 경광등(140)의 작동 시간이 더욱 길게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경고음 및 경고광의 출력 세기가 더욱 세게 출력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즉, 경광등 제어기기(130)는 두 차량(200a, 200b)간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두 차량(200a, 200b) 사이의 층의 개수가 줄어들수록 경고 수준을 달리하기 위하여, 경광등(140)의 경고음 레벨 및 경고광의 조도 세기를 제어하거나 다수 색상의 LED가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 다음, 경광등(140)은 경고음 및 경고광을 출력한다(S240).
즉, 경광등(140)은 S230단계에서와 같이 두 차량(200a, 200b)간 이격 거리 또는 두 차량(200a, 200b) 사이의 층의 개수에 따라 설정된 출력 세기를 가진다.
이때, 경광등(140)은 다양한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다수 색상의 LED가 점멸될 수도 있다.
또한, 경광등(140) 이외에도 전광판(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되어 전광판을 통해 경고 메시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주차장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보안이 용이하고, 주차장 안으로 진입한 차량의 주행 방향을 인식하여 경광등을 동작시킴으로써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주차된 차량의 수와 진입 및 진출한 차량의 수를 파악함으로써 주차장 내 차량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주차장 안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차량이 주차된 층 수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주차장 관리 시스템 110 : 카메라
120 : 차량 관리서버 130 : 경광등 제어기기
140 : 경광등 200a, 200b : 차량
210a, 210b : 번호판 300 : 주차장 램프

Claims (12)

  1. 주차장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되어 촬영 영역 내 주변 영상과 차량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주차장의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되어 경고음 및 경고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경광등;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경광등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관리서버; 및
    상기 경광등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에 구비된 상기 경광등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경광등이 구비된 위치의 주차장 램프 길이에 따라 상기 경광등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여 해당 작동 시간 동안 상기 경광등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경광등 제어기기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상기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더 촬영하고,
    상기 차량 관리서버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문자와 숫자로 인식하여 해당 차량이 최종 주차된 층과 주차된 시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서버는,
    최초 진입로 및 최종 진출로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주차장 내 주차된 차량의 수와, 상기 진입로 및 상기 진출로를 통과한 차량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 제어기기는,
    상기 주차장을 통해 진입한 차량과 상기 주차장으로 진출하는 차량 사이에 존재하는 층 수에 따라 상기 경광등의 작동 시간,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 제어기기는,
    상기 주차장을 통해 진입한 차량과 상기 주차장으로 진출하는 차량 간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경광등의 작동 시간,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7.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가 촬영 영역 내 주변 영상과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
    차량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각각 수신하여 상기 영상을 분석하고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경광등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경광등 제어기기가 상기 생성된 경광등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에 구비된 경광등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경광등이 구비된 위치의 주차장 램프 길이에 따라 상기 경광등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여 해당 작동 시간 동안 상기 경광등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경광등을 통해 경고음 및 경고광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광등은,
    상기 주차장의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되는 주차장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더 촬영하고,
    상기 차량 관리서버가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문자와 숫자로 인식하여 해당 차량이 최종 주차된 층과 주차된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장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서버가 최초 진입로 및 최종 진출로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현재 주차장 내 주차된 차량의 수와, 상기 진입로 및 상기 진출로를 통과한 차량의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장 관리 방법.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경광등 제어기기가 상기 주차장을 통해 진입한 차량과 상기 주차장으로 진출하는 차량 사이에 존재하는 층 수에 따라 상기 경광등의 작동 시간,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는 주차장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장을 통해 진입한 차량과 상기 주차장으로 진출하는 차량 간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경광등의 작동 시간,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는 주차장 관리 방법.
KR1020160016439A 2016-02-12 2016-02-12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2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39A KR101662224B1 (ko) 2016-02-12 2016-02-12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39A KR101662224B1 (ko) 2016-02-12 2016-02-12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224B1 true KR101662224B1 (ko) 2016-10-05

Family

ID=5715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439A KR101662224B1 (ko) 2016-02-12 2016-02-12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2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943A (ko) 2017-01-24 2018-08-01 왕한호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582155B1 (ko) 2023-02-24 2023-09-25 주식회사 딥비전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KR102584325B1 (ko) 2023-02-24 2023-10-05 주식회사 딥비전 광역주차장에 대한 주차 및 주차상태 관제를 위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KR20240010664A (ko) 2022-07-15 2024-01-24 주식회사 딥비전 실외 주차장에서의 차량정보 인식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798A (ko) * 2010-01-27 2011-08-03 세호산전 주식회사 주차관제용 차량 진행감지 카메라 장치
KR101124294B1 (ko) * 2011-10-20 2012-03-28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어안 카메라를 이용한 조명제어 연동 주차관리 시스템
KR20150141311A (ko) * 2014-06-10 2015-12-18 오석균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798A (ko) * 2010-01-27 2011-08-03 세호산전 주식회사 주차관제용 차량 진행감지 카메라 장치
KR101124294B1 (ko) * 2011-10-20 2012-03-28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어안 카메라를 이용한 조명제어 연동 주차관리 시스템
KR20150141311A (ko) * 2014-06-10 2015-12-18 오석균 경광등과 문자표시부가 함께 점멸하는 출차주의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943A (ko) 2017-01-24 2018-08-01 왕한호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240010664A (ko) 2022-07-15 2024-01-24 주식회사 딥비전 실외 주차장에서의 차량정보 인식방법 및 장치
KR102582155B1 (ko) 2023-02-24 2023-09-25 주식회사 딥비전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KR102584325B1 (ko) 2023-02-24 2023-10-05 주식회사 딥비전 광역주차장에 대한 주차 및 주차상태 관제를 위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22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794931B (zh) 利用摄像机监测车位使用情况的方法及系统
JP7009987B2 (ja) 自動運転システム及び自動運転方法
KR101584105B1 (ko) 다차로 기반의 차량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68203B1 (ko) 주차관제시스템
KR20180102284A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17800B1 (ko) 단속 정확도 및 효율성을 높인 단속차량
JP6805363B2 (ja) 駐車場内に存在する隆起した物体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143521B1 (ko) 교차로 통행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차로 통행위반 차량 단속방법
KR20190025165A (ko) 3d 교통단속장치를 이용한 주정차 단속 방법 및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1691887B1 (ko) 주차 차량 관리 장치
KR100743610B1 (ko) 차량 촬영 시스템
KR101882888B1 (ko)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에서의 파노라마 영상 제공 방법
KR102584325B1 (ko) 광역주차장에 대한 주차 및 주차상태 관제를 위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KR100501769B1 (ko)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20140096575A (ko) 불법 주정차 단속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81853A (ko) 오토바이의 속도 측정 방법과 인도 차도 구분법 및 그것을 이용한 무인 오토바이 단속카메라.
KR20060102889A (ko) 전용차로 위반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5343A (ko) 이동식 주정차 단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행 여부 판별방법
KR100861572B1 (ko) 차량 탑재형 주,정차 금지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
RU2599954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пуском автомобилей через заданную границу
KR102485552B1 (ko) 주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자율 주행 차량
KR100584673B1 (ko) 영상인식 시스템
KR102076309B1 (ko) 이동 오토바이 인식 시스템 및 오토바이 입출 처리 방법
KR100980376B1 (ko) 버스탑재형 무인 교통단속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