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155B1 -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 Google Patents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155B1
KR102582155B1 KR1020230025052A KR20230025052A KR102582155B1 KR 102582155 B1 KR102582155 B1 KR 102582155B1 KR 1020230025052 A KR1020230025052 A KR 1020230025052A KR 20230025052 A KR20230025052 A KR 20230025052A KR 102582155 B1 KR102582155 B1 KR 10258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license plate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딥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딥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딥비전
Priority to KR102023002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는, 주차장의 주차영역 중 일부인 관제영역으로 입차하거나 상기 관제영역으로 출차하기 위해 차량이 주행하는 영역을 조망하여 촬상을 이행하는 카메라부;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카메라부가 촬상한 촬상정보로부터 차량을 검지하고, 차량이 검지되면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관제영역으로 진입하는 입차차량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입차차량이면,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에 입차차량에 대한 정보를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증가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량이 입차차량이 아니면,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관제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출차차량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출차차량이면,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에 출차차량에 대한 정보를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감소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edg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parking control}
본 발명은 주차관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우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을 소규모의 관제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관제영역을 독립적으로 주차관리하여 광역주차장에 대한 무인주차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22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결과입니다(2022RIS-006).
백화점, 아파트 및 유료 주차장 등과 같이 대형 주차장에서는 차량의 진입 및 진출 관리를 위해 루프코일을 주차장내 노면에 매설하여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한 후 경광등을 동작시키는 차량 경보 장치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루프코일을 노면에 매설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매설된 후에도 누전 및 단선 등의 이유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루프코일을 이용한 방식은 해당 위치에 차량이 통과하는지 여부만 감지할 수 있어 차량의 진행 방향까지 감지하기 위해서는 2개의 루프코일을 나란히 매설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차량의 관리를 위한 인력 사용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하고자 주차장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 뒤 이를 문자와 숫자로 인식하여 차량을 식별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 역시 차량 진입로에 루프코일이 매설되어 있고 진입로의 전면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진입로에서 루프코일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될 때, 카메라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고 그 번호판 영상으로부터 진입로에 입차한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된 제10-0281675호가 있다. 이는 입구에는 로컬 콘트롤러에서 차량 감지기를 통해 입차중인 차량을 인식하면서 경광등과 입구 상황판으로 상황을 알려주고, 다수의 출구에는 각각 차량 감지기와 루프 코일 및 번호판 인식기를 설치하여 출차하는 차량의 유무와 종류를 인식하도록 하고, 주차장의 각 분기점에 설치된 차체 인식기에서 차량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하고, 각 주차층에 설치된 로컬 콘트롤러에서 차량 감지기를 통해 주차중인 차량을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의 유무와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번호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는 마스터 콘트롤러에서는 통신 상태의 감시와 긴급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의 마스터 콘트롤러를 통하여 통신을 주고 받는 메인 컴퓨터는 내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에 유도용 전광판을 통해 최단 거리의 주차 공간으로 유도하도록 함으로서, 주차장 내에서 차량이 정확하고 빠르게 주차할 공간으로 찾아갈 수 있게 하는 기술을 개시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된 제10-1662224호는, 주차장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되어 촬영 영역 내 주변 영상과 차량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주차장의 각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설치되어 경고음 및 경고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경광등;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경광등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관리서버; 및 상기 경광등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에 구비된 상기 경광등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경광등이 구비된 위치의 주차장 램프 길이에 따라 상기 경광등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여 해당 작동 시간 동안 상기 경광등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경광등 제어기기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주차영역내에 복수의 카메라와 경광등을 설치하고, 차량관리서버가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영상정보들을 토대로 주차 관리를 이행하는 등 다양한 주차관리 기술이 제안되어 상용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주차장에 대해 전반적인 관리를 중앙집중 제어방식을 채용함에 따라 매우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에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좀더 설명하면, 모든 주차 영역에 대해 카메라나 경광등을 설치하여 유선으로 서비스 서버에 연결하는 종래의 방식은, 매우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에 적용될 때에는 매우 긴 거리에 대해 복잡한 설치 공사가 요구되었음은 물론이고, 주차장의 크기와 카메라나 경광등의 수가 비례함에 따라 중앙집중 제어를 담당하는 관리서버의 부하가 과중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매우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에 적용가능하면서도 주차장 이용자에게 주차현황에 대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28167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662224호
본 발명은 매우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을 소규모의 관제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관제영역을 독립적으로 주차관리하여 광역주차장에 대한 무인주차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을 소규모의 관제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관제영역을 독립적으로 주차관리를 이행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들이 유연하게 연합 구동하여 광역주차장의 관제영역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는, 주차장의 주차영역 중 일부인 관제영역으로 입차하거나 상기 관제영역으로 출차하기 위해 차량이 주행하는 영역을 조망하여 촬상을 이행하는 카메라부;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카메라부가 촬상한 촬상정보로부터 차량을 검지하고, 차량이 검지되면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관제영역으로 진입하는 입차차량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입차차량이면,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에 입차차량에 대한 정보를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증가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량이 입차차량이 아니면,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관제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출차차량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출차차량이면,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에 출차차량에 대한 정보를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감소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매우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을 소규모의 관제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관제영역을 독립적으로 주차관리하여 광역주차장에 대한 무인주차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우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을 소규모의 관제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관제영역을 독립적으로 주차관리를 이행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들이 유연하게 연합 구동하여 광역주차장의 관제영역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의 처리절차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매우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을 소규모의 관제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관제영역을 독립적으로 주차관리하여 광역주차장에 대한 무인주차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우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을 소규모의 관제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관제영역을 독립적으로 주차관리를 이행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들이 유연하게 연합 구동하여 광역주차장의 관제영역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100)는 제어장치(102)와 메모리부(104)와 조작버튼부(106)와 통신부(108)와 카메라부(110)와 LED 조명부(1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102)는 상기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전반적인 제어를 이행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주차관제를 이행한다.
상기 메모리부(104)는 상기 제어장치(102)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부(104)는 해당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100)가 관제하는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주차현황정보는 입차차량에 대한 입차정보, 출차차량에 대한 출차정보, 주차차량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04)에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한 참조정보 및 해당 관제영역에 대한 만차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조작버튼부(106)는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정보 및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장치(102)에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108)는 상기 제어장치(102)와 전원공급 및 연합된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주차장의 주차영역 중 주차관제를 담당하는 주차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진출하는 영역을 촬상하고, 그에따른 촬상정보를 상기 제어장치(102)로 제공한다.
상기 LED 조명부(112)는 상기 제어장치(102)의 제어에 따라 주차현황정보에 따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여, 주차관제를 담당하는 주차영역에 대한 주차가능상태나 만차상태를 표시하여 주차장 이용자에게 안내한다.
상기의 제어장치(102)의 동작을 좀더 설명한다.
상기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100)의 제어장치(102)는 광역주차장의 주차영역 중 일부인 관제영역으로 입차하거나 상기 관제영역으로 출차하기 위해 차량이 주행하는 영역을 조망하여 촬상을 이행하는 상기 카메라부(110)를 제어하여 촬상을 이행하고, 상기 카메라부(110)가 촬상한 촬상정보로부터 차량을 검지하고, 차량이 검지되면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관제영역으로 진입하는 입차차량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입차차량이면,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에 입차차량에 대한 정보를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증가하여 상기 메모리부(104)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LED 조명부(112)를 제어하고, 상기 차량이 입차차량이 아니면,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관제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출차차량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출차차량이면,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에 출차차량에 대한 정보를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감소하여 상기 메모리부(104)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112)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2)는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비정상 운행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비정상 운행하면 비정상운행에 대한 경고에 대응되게 설정된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112)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비정상 운행은 차량의 정지 또는 역주행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2)는 상기 관제영역에 대해 하나 이상의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와의 연합관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주차현황정보의 갱신시마다 상기 주차현황정보를 상기 연합관제로 설정된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연합관제로 설정된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로부터 주차현황정보가 제공되면, 그 제공된 주차현황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04)에 저장된 주차현황정보를 갱신함과 아울러, 상기 주차현황정보에 포함된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112)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2)는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번호판의 크기변화를 통해 입차차량을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면특징을 인식하여 입차차량을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외곽선을 검출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의 외곽선의 크기변화를 통해 입차차량을 판별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2)는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번호판의 크기변화를 통해 출차차량을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면특징을 인식하여 출차차량을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외곽선을 검출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의 외곽선의 크기변화를 통해 출차차량을 판별한다.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들의 연합하여 구성한 주차관제 시스템의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들은 독립적으로 구동하거나 둘 이상이 연합하여 구동함으로써,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 중 차량이 진입 또는 진출, 이동경로 등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또는 연합하여 주차관제를 이행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의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들이 연합하여 구성한 주차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의 주차관제 시스템에 구비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들(1001, 2001~200M, P001~P00L)은 POE 허브(200)를 통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POE 허브(304)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또한 상기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1001, 2001~200M, P001~P00L) 중 일부, 즉 독립적으로 소정의 주차영역에 대한 주차관제를 담당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는 주차장의 주차영역 중 주차관제를 담당하는 주차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진출하는 차량을 검지하고, 그에 따라 해당 주차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를 갱신함과 아울러 주차현황정보에 대응되는 색에 대응되는 조명을 출력한다. 이러한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주차영역에 대해 설치된다.
상기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1001, 2001~200M, P001~P00L) 중 일부, 즉 연합되어 소정의 주차영역에 대한 주차관제를 담당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들은 주차장의 주차 영역중 주차관제를 담당하는 주차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진출하는 차량을 검지하고, 그에 따라 해당 주차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를 갱신함과 아울러 상기 POE 허브(200)를 통해 통신을 이행하여 서로 주차현황정보를 공유함과 아울러, 그 공유된 주차현황정보에 대응되는 색의 조명을 출력한다. 이러한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들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주차영역에 대해 둘 이상 설치된다.
또한 상기 POE 허브(200)에는 서비스 서버(300)와 데이터베이스(302)가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POE 허브(200)를 통해 제공되는 주차현황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302)에 저장한다.
상기 POE 허브(200)는 상기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들(1001~100N, 2001~200M, P001~P00L)에 구동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통신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1001~100N, 2001~200M, P001~P00L)는 직렬연결되어 구동전원의 공급경로를 형성하여,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가 POE 허브(200)까지 직접 연결되지 않더라도 구동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여, 넓은 주차영역을 가지는 광역주차장에서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의 설치를 위해 너무 많은 전선을 연결설치하지 않아도 되게 하므로, 주차관제를 위한 시스템의 형성을 간편하게 이행할 수 있게 한다.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의 처리절차>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의 처리절차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의 제어장치(102)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상을 이행하고(500단계), 그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를 제공받아 차량번호판을 인식한다(502단계).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 인식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전진, 즉 차량의 입차 또는 차량의 후진, 즉 차량의 출차를 검지한다.
상기 차량번호판을 토대로 입차 또는 출차의 검지방법은 이전 프레임과 이후 프레임의 차량번호판의 크기변화를 토대로 검지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차량번호판을 중심으로 차량의 외곽선을 검지하고, 상기 차량의 외곽선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관심영역으로 하여 차량의 전면특징 또는 후면특징을 검출하여 차량의 전면, 즉 차량의 입차 또는 차량의 후면, 즉 차량의 출차를 검출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의 유무나 운전자의 얼굴인식 등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차량번호판을 중심으로 차량의 외곽선을 검지하고, 이전 프레임과 이후 프레임으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외곽선에 해당되는 영역의 크기변화를 검출하고, 그 크기변화에 따라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을 검출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이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에 대한 전진 또는 후진을 검지한 후에, 상기 제어장치(102)는 상기 차량번호판을 인식한 차량이 관제영역으로의 입차차량인지를 판별한다(506단계).
상기 차량이 관제영역으로의 입차차량이면, 상기 제어장치(102)는 하나의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단독으로 독립적으로 관제하는지를 체크한다(508단계). 상기 제어장치(102)는 자신이 독립적으로 관제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이면, 입차한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판 인식정보, 시각정보 등을 포함하는 입차정보를 생성하여 주차현황정보에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증가하여 저장한다(510단계). 이후 상기 제어장치(102)는 주차현황정보에 대응되는 색의 조명을 LED 조명부(112)를 통해 출력한다(512단계).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102)는 상기 주차가능숫자가 0이면 만차인 것으로 판단하여 적색등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주차가능숫자가 1이상이면 녹색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달리 상기 제어장치(102)는 자신이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와 연합하여 어느 한 주차영역을 관제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이면, 입차한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판 인식정보, 시각정보 등을 포함하는 입차정보를 생성하여 주차현황정보에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현황정보에 포함된 주차차량수를 증가하여 저장한 후에, 상기 주차현황정보를 미리 정해진 연합된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로 전송한다(514단계). 이후 상기 제어장치(102)는 주차현황정보에 대응되는 색의 조명을 LED 조명부(112)를 통해 출력한다(516단계).
상기 차량이 관제영역으로의 입차차량이 아니면, 상기 차량이 관제영역으로부터 출차하는 출차차량인지를 체크한다(518단계). 상기 차량이 관제영역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이면, 상기 제어장치(102)는 하나의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단독으로 독립적으로 관제하는지를 체크한다(520단계). 상기 제어장치(102)는 자신이 독립적으로 관제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이면, 출차한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판 인식정보, 시각정보 등을 포함하는 출차정보를 생성하여 주차현황정보에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감소하여 저장한다(522단계). 이후 상기 제어장치(102)는 주차현황정보에 대응되는 색의 조명을 LED 조명부(112)를 통해 출력한다(524단계).
상기한 바와 달리 상기 제어장치(102)는 자신이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와 연합하여 어느 한 주차영역을 관제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이면, 출차한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판 인식정보, 시각정보 등을 포함하는 출차정보를 생성하여 주차현황정보에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현황정보에 포함된 주차차량수를 감소하여 저장한 후에, 상기 주차현황정보를 미리 정해진 연합된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로 전송한다(526단계). 이후 상기 제어장치(102)는 주차현황정보에 대응되는 색의 조명을 LED 조명부(112)를 통해 출력한다(528단계).
그리고 상기의 촬상정보에서 차량번호판이 인식되었으나 출차 또는 입차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 즉 비정상 운행하는 경우에 제어장치(102)는 비정상 운행에 대한 경보조명을 LED 조명부(112)를 통해 출력한다(530,532단계). 여기서 상기 비정상 운행으로는 정지 또는 역주행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정지는 차량번호판이 인식되었으나 차량번호판이나 차량의 외곽선의 크기변화 등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이고, 상기 역주행은 차량의 전면이 검지된 상태에서 차량번호판이나 차량의 외곽선이 작아지는 경우이거나 차량이 후면이 검지된 상태에서 차량번호판이나 차량의 외곽선이 커지는 경우이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0)는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와 연합되어 어느 한 주차영역을 관제하는 경우에,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로부터 주차현황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로부터 주차현황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수신된 주차현황정보의 송신측 식별정보가 자신과 연합관제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면,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를 수신된 주차현황정보로 갱신하고, 그 갱신된 주차현황정보에 대응되는 색의 조명을 LED 조명부(112)를 통해 출력한다(538단계).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제어장치
102 : 메모리부
104 :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6 : LED 콘트롤러
108 : PWM 드라이버
110 : LED 어레이
112 : TOF 센서장치

Claims (11)

  1. 주차장의 주차영역 중 일부인 관제영역으로 입차하거나 상기 관제영역으로 출차하기 위해 차량이 주행하는 영역을 조망하여 촬상을 이행하는 카메라부;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카메라부가 촬상한 촬상정보로부터 차량을 검지하고,
    차량이 검지되면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관제영역으로 진입하는 입차차량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입차차량이면,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에 입차차량에 대한 정보를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증가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량이 입차차량이 아니면,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관제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출차차량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출차차량이면,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에 출차차량에 대한 정보를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감소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비정상 운행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비정상 운행하면 비정상운행에 대한 경고에 대응되게 설정된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며,
    상기 비정상 운행은 차량의 정지 또는 역주행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정지는 차량번호판 또는 차량의 외곽선의 크기변화가 없는 것이고,
    상기 역주행은 차량의 전면이 검지된 상태에서 차량번호판 또는 차량의 외곽선이 작아지거나, 차량의 후면이 검지된 상태에서 차량번호판 또는 차량의 외곽선이 커지는 경우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관제영역에 대해 하나 이상의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와의 연합관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주차현황정보의 갱신시마다 상기 주차현황정보를 상기 연합관제로 설정된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연합관제로 설정된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로부터 주차현황정보가 제공되면, 그 제공된 주차현황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주차현황정보를 갱신함과 아울러, 상기 주차현황정보에 포함된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POE 허브에 직접 연결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POE 허브에 연결되어, 상기 POE 허브로부터 구동전원을 제공받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차량은,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번호판의 크기변화를 통해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면특징을 인식하여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외곽선을 검출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의 외곽선의 크기변화를 통해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차량은,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번호판의 크기변화를 통해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면특징을 인식하여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외곽선을 검출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의 외곽선의 크기변화를 통해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7. 카메라부, 조명부, 메모리부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주차관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주차장의 주차영역 중 일부인 관제영역으로 입차하거나 상기 관제영역으로 출차하기 위해 차량이 주행하는 영역을 조망하여 촬상을 이행하는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촬상을 이행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가 촬상한 촬상정보로부터 차량을 검지하고,
    차량이 검지되면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관제영역으로 진입하는 입차차량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입차차량이면,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에 입차차량에 대한 정보를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증가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입차차량이 아니면,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관제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출차차량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출차차량이면, 상기 관제영역에 대한 주차현황정보에 출차차량에 대한 정보를 부가함과 아울러 주차차량수를 감소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촬상정보에 대해 이미지 처리하여 상기 차량이 비정상 운행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차량이 비정상 운행하면 비정상운행에 대한 경고에 대응되게 설정된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상 운행은 차량의 정지 또는 역주행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정지는 차량번호판 또는 차량의 외곽선의 크기변화가 없는 것이고,
    상기 역주행은 차량의 전면이 검지된 상태에서 차량번호판 또는 차량의 외곽선이 작아지거나, 차량의 후면이 검지된 상태에서 차량번호판 또는 차량의 외곽선이 커지는 경우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관제영역에 대해 하나 이상의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와의 연합관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주차현황정보의 갱신시마다 상기 주차현황정보를 상기 연합관제로 설정된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연합관제로 설정된 다른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로부터 주차현황정보가 제공되면, 그 제공된 주차현황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주차현황정보를 갱신함과 아울러, 상기 주차현황정보에 포함된 주차차량수가 미리 정해둔 만차수 미만인지 체크하고, 상기 주차차량수가 상기 만차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차량은,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번호판의 크기변화를 통해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면특징을 인식하여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외곽선을 검출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의 외곽선의 크기변화를 통해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차량은,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번호판의 크기변화를 통해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면특징을 인식하여 판별하거나,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판이 인식되면 상기 차량번호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외곽선을 검출하고, 프레임간 상기 차량의 외곽선의 크기변화를 통해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방법.
KR1020230025052A 2023-02-24 2023-02-24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KR10258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052A KR102582155B1 (ko) 2023-02-24 2023-02-24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052A KR102582155B1 (ko) 2023-02-24 2023-02-24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155B1 true KR102582155B1 (ko) 2023-09-25

Family

ID=8819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052A KR102582155B1 (ko) 2023-02-24 2023-02-24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1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675B1 (ko) 1997-12-31 2001-02-15 김헌출 주차유도 관리시스템
KR100625201B1 (ko) * 2006-02-23 2006-09-18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 시스템
KR101363467B1 (ko) * 2012-08-10 2014-02-24 김형수 주차정보 제공방법 및 주차관리시스템
KR101662224B1 (ko) 2016-02-12 2016-10-05 주식회사 위쥬테크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3075A (ko) * 2015-09-16 2017-03-24 김용묵 주차유도 영상 카메라, 그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및 주차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 방법
KR20200021302A (ko) * 2018-08-20 2020-0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차 유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675B1 (ko) 1997-12-31 2001-02-15 김헌출 주차유도 관리시스템
KR100625201B1 (ko) * 2006-02-23 2006-09-18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 시스템
KR101363467B1 (ko) * 2012-08-10 2014-02-24 김형수 주차정보 제공방법 및 주차관리시스템
KR20170033075A (ko) * 2015-09-16 2017-03-24 김용묵 주차유도 영상 카메라, 그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및 주차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 방법
KR101662224B1 (ko) 2016-02-12 2016-10-05 주식회사 위쥬테크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21302A (ko) * 2018-08-20 2020-0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차 유도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008B1 (ko) 주차유도 영상 카메라, 그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및 주차유도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 방법
JP5553190B2 (ja) 駐車管制システム
KR101968203B1 (ko) 주차관제시스템
US11410553B2 (en) Parking manag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584325B1 (ko) 광역주차장에 대한 주차 및 주차상태 관제를 위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KR102297169B1 (ko) 차량 번호판 및 차종 인식, rfid 센서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KR102023072B1 (ko) 차량의 실내 측위 시스템
US20210166512A1 (en) Gate device and system
KR102319142B1 (ko) 주차장 통합 무인정산시스템
KR20190011495A (ko) 단속 정확도 및 효율성을 높인 단속차량
KR101660254B1 (ko)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KR10166222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2686B1 (ko) 차량의 출입 통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51523B1 (ko)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4818A (ko) 인공지능 기반 차량 검색 시스템
CN112785846A (zh) 一种车辆监控方法和装置
KR20130050649A (ko) 정밀도를 향상시킨 차량번호 인식장치
KR20060116757A (ko) 불법주정차 무인 검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82155B1 (ko) 주차관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KR20160098676A (ko) 주차 차량 관리 장치
KR100821286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JP7401292B2 (ja) 駐車場管制システム、駐車場管制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68680A (ko) 스마트 주차 안내 단말기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주차 안내 방법
KR20210006031A (ko)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JPH0991591A (ja) 駐車場誘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