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222B1 -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222B1
KR102154222B1 KR1020180171642A KR20180171642A KR102154222B1 KR 102154222 B1 KR102154222 B1 KR 102154222B1 KR 1020180171642 A KR1020180171642 A KR 1020180171642A KR 20180171642 A KR20180171642 A KR 20180171642A KR 102154222 B1 KR102154222 B1 KR 102154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duct
wiring protection
fixing bracket
frame block
underground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783A (ko
Inventor
선영준
Original Assignee
탑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라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2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09F2013/0459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출입구나 목적지 등의 위치와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배선보호덕트에 장치하는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 모듈과 전원공급장치가 내장된 프레임블록, 프레임블록의 하부에 장착하되, 엘이디 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을 전체 면에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도광판과 이 도광판의 표면에 부착되고 문자나 기호가 표시된 시트를 포함하는 라이트패널, 상부에 프레임블록이 삽입 결합되도록 프레임블록의 단면 바깥 테두리 형상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의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 배선보호덕트의 양쪽을 감싸듯이 그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양쪽에 라이트패널의 측면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안쪽 공간이 전원공급장치의 단자부에 배선보호덕트 내의 강전 회로용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그 분리판의 전선구멍 및 결합구멍과 통하도록 형성된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GUIDING DIRECTION APPARATUS FOR UNDERGROUND PARKING LOT}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의 천장에 설치하는 방향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인성을 높여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출입구나 목적지 등의 위치 및 이동 방향을 식별(인식)하기 쉽고, 먼 거리에서도 단시간 내에 그 내용을 파악(판독)할 수 있는 지하주차장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주차장이나 지하통로에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 등 주차장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출입구나 비상구의 위치, 목적지나 현재의 위치 및 진행해야 할 방향 표시 따위의 정보를 나타내는 안내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표시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보다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부분이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LED 모듈이 장치되어 있고, 이 LED 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키며 전후면에 기호와 문자 등이 표시된 투광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화재 등의 비상 시나 정전 시를 대비하여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7018호에 방향 유도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에 안내기호 및 안내문자가 인쇄된 투광판(100)과, 상기 투광판(100)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블록(200)과, 상기 지지블록(200)에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내장된 광원(500)과, 상기 지지블록(200)의 좌우 양측단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투광판(100)의 좌우측면과 하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결합된 불투광소재의 일체형 마감재(30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블록(200)의 상측에 오목하게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레일홈부(2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행거(400)가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안내표시는 행거(400)로 천장에 매달아 지지하는 구조여서 천장에 매립되어 있는 상용전원을 끌어와서 광원(500)에 연결해야만 하고, 이 때문에 반드시 행거 로드(hanger rod)를 이용하여 천장에 일정 높이로 좌우 양쪽의 수평을 맞추어서 설치해야 하는 데다 전선이나 전선을 수용하는 이른바 가요 전선관(flexible conduit tube)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배선보호덕트는 지하주차장, 주차전용건물, 실내 체육관, 공장, 도서관, 지하통로 및 기타 건축물의 천장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과, 계측이나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전기 회로를 배선하기 위한 전선을 보호하고, 노출 배선의 방호를 위해 널리 사용하는 것으로, 주로 행거 로드(hanger rod)로 천장에 매달아 지지하거나 레이스 웨이(race way)에 클램프로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선보호덕트는 전기·통신 회선 배선과 함께 조명기구나 각종 센서 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비상방송용 스피커, 비상용 유도등, 소화전의 기동장치, 경보장치 등 소방 및 비상용 전선과 같은 약전 회로와, 통신 및 제어용 회선, 조명, CCTV, 센서, 옥내 소화전, 스프링클러, 배연설비 등 전력용 전선과 같은 강전 회로 간의 접촉 간섭 및 마찰로 인한 안전사고와 전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간섭 및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선을 분리하여 배선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 10-1315792 B1(2013.10.01) KR 10-2018-0007018 A(2018.01.22) KR 10-1851062 B1(2018.04.16) KR 10-2017-0091362 A(2017.08.09)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지하주차장용 안내표지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지하주차장이나 지하통로 등과 같은 건축물의 천장에 노출하여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의 보호, 노출배선의 보호 및 천장등의 장착 등을 위한 용도로 부착된 배선보호덕트를 이용함으로써 행거 로드(hanger rod)에 매달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확보하여 설치 소요시간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기존과 달리 전선이나 전선관의 노출이 없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배선보호덕트 상에 전선의 노출 없이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전기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약전 회로와 강전 회로를 상하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에 전선구멍이 형성된 배선보호덕트에 장치하는 것으로, 엘이디 모듈(LED module)과 전원공급장치(SMPS)가 내장된 프레임블록, 상기 프레임블록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하되, 상기 엘이디 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을 전체 면에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부착되고 문자나 기호가 표시된 시트를 포함하는 라이트패널 및 상부에 상기 프레임블록이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블록의 단면 바깥 테두리 형상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의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양쪽을 감싸듯이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양쪽에 상기 라이트패널의 측면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단자부에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강전 회로용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안쪽 공간이 상기 분리판의 전선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과 통하도록 형성된 고정브래킷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천장에 매달아 지지하는 행거 로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행거 로드에 일일이 매달아 좌우 양쪽의 수평을 조절하면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의 편리성을 확보하여 설치 소요시간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과 달리 전선이나 전선관의 노출이 없어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고정브래킷에, 상기 배선보호덕트에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강전 회로용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분리판의 전선구멍에 하부가 끼워지고 상기 결합구멍과 상기 결합홈을 통하도록 연결하는 절연관이 형성됨으로써 비상용 전선과 같은 약전 회로나 전력용 전선과 같은 강전 회로를 더욱 안전하고 확실하게 서로 분리하여 전선의 보호를 위한 전기적인 안전성과 절연성을 높일 수 있고, 아울러 배선보호덕트에 견고하게 장착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상부 안쪽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이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아니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지지대가 상기 고정브래킷의 결합홈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배선보호덕트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설치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부 양쪽을 커버하는 한 쌍의 상부커버 및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하면과 상기 고정브래킷의 양쪽을 감싸듯이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이 상기 배선보호덕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더욱 미려한 외관을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상부커버의 안쪽 내벽에 걸림턱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의 상단에 탄성 변형으로 상기 걸림턱에 탄력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후크형의 걸림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배선보호덕트에 더욱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은, 천장에 매달려 있는 배선보호덕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하는 구조여서 별도로 천장에 매달아 지지하는 행거 로드(전산볼트 및 행거)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 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의 소요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배선보호덕트 내의 전선을 끌어와서 상용전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수용 및 가리기 위한 전선관 또는 몰딩 작업이 필요 없어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해 보이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라이트패널의 전후 양면을 모두 활용하고, 좌우 한 쌍으로 배치하여 각종 정보를 양쪽으로 나눠 동시에 표시 및 안내하므로 공간 활용성은 물론 정보 제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를 예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를 배선보호덕트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를 배선보호덕트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를 배선보호덕트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중 프레임블록과 라이트패널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는, 단면의 형상이 마치 "H" 자형으로 이루어져 가운데 부분에는 전기 통신, 전기를 이용하는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약전 회로와 강전 회로를 상하로 분리하여 배치하기 위한 분리판(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분리판(2)에 전선구멍(3)이 형성되어 있는 배선보호덕트(1)에 장치하는 것으로, 크게 프레임블록(10), 라이트패널(20), 고정브래킷(30), 상부커버(40) 및 하부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블록(10)은 라이트패널(20)의 상단 테두리를 감싸듯이 고정하여 지지하고, 강전 회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엘이디 모듈(11)과 전원공급장치(12)를 내장하여 보호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선보호덕트(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블록(10)의 하부, 즉 라이트패널(20)의 상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라이트패널(20)의 상단 테두리 일부가 끼워지는 지지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홈(13)의 안쪽에는 라이트패널(20)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블록(10)의 내부에는 엘이디 모듈(11)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슬롯(15)이 지지홈(13)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장착슬롯(15)은 엘이디 모듈(11)의 회로기판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지지홈(13)과 장착슬롯(15) 사이의 일부분은 서로 통하여 엘이디 모듈(11)의 발광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이 라이트패널(20)의 상면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지지홈(13)은 배선보호덕트(1)에서 전원공급장치(12)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강전 회로용 전선의 통로 역할을 겸하며, 또 전원공급장치(12)와 엘이디 모듈(11)은 별도의 구멍을 통해 전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블록(10)에 내장된 엘이디 모듈(11)은 장착슬롯(15)에 삽입 지지된 채로 전원공급장치(12)로부터 전원공급 시 발광하여 라이트패널(20)의 상면을 향해 빛을 고르게 조사한다.
즉, 엘이디 모듈(11)은 프레임블록(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슬롯(15) 속에 한 개 또는 두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삽입 장착되어 전원공급 시 라이트패널(20)의 도광판(21) 내부로 빛을 고르게 입사시킨다.
여기서 엘이디 모듈(11)은 띠 형태의 PCB 회로기판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된 다수의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발광소자로는 고휘도 백색 LED(Light Emitting Diode) 칩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그 외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엘이디 모듈(11)의 발광소자들은 PCB 회로기판상의 회로배선에 의해 연결되고, 그 끝단은 커넥터(미도시)에 의해 전원공급장치(1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전기적인 신호를 교환할 수 있으며, 또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별도의 방열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레임블록(10)은 엘이디 모듈(11)과 전원공급장치(12)를 안정적으로 내장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내부에 수용(수납) 공간을 갖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로 압출 등의 가공법을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블록(10)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엔드캡(16)을 결합하여 그 단부의 개구부를 커버 및 마감함으로써 엘이디 모듈(11)과 전원공급장치(12)의 노출을 막을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블록(10)의 양쪽 측면에는 엘이디 모듈(1)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높이는 방열핀(미도시)이나 요철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전원공급장치(12)는 반도체 소자를 스위치로 사용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입력 전압을 일단 구형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필터를 통하여 제어된 직류 출력 전압을 얻는 통상의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채용할 수 있다.
삭제
라이트패널(20)은 문자나 기호 또는 도형, 그림 등의 각종 안내정보 및 표시를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블록(10)의 하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하나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둘 이상이 장착되어 있다.
즉, 라이트패널(20)은 배선보호덕트(1)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빛의 경로 및 산란과 확산을 유도하여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통해 시인성을 높여 준다.
그리고 라이트패널(20)은 엘이디 모듈(11)에서 발산되는 점광원의 빛을 전체의 면에 균일하게 확산시켜 면광원의 빛으로 고르고 안정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배광 특성을 구현하여 엘이디 모듈(11)로부터 생성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조명의 효율을 극대화한다.
이러한 라이트패널(20)은 엘이디 모듈(11)에서 발산되는 빛을 전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도광판(21)과, 이 도광판(21)의 표면 및 이면에 부착되고 문자나 기호 또는 도형, 그림 등이 표시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시트(22)를 포함한다.
즉, 도광판(21)의 상측에 위치하는 엘이디 모듈(11)로부터 생성된 빛이 도광판(21)의 내부로 유입되어 반사와 굴절 및 확산 작용을 통해 면광원으로 변환된 상태로 전체면으로 균일하게 퍼지면서 도광판(21)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시트(22)의 문자나 기호 또는 도형, 그림 등의 안내정보 및 표시 부분을 통해 방출되므로 해당 부분이 전후 양면 방향으로 선명하게 드러나면서 시인성을 높여 주어 운전자나 보행자가 어느 방향에서도 쉽게 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21)의 상부 양쪽 측면에는 프레임블록(10)의 고정돌기(14)가 끼워져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고정돌기(14)와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광판(21)은 아크릴 수지(PMM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투과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고, 그 표면이나 이면 등에 도트 인쇄방식이나 "V"자 형 홈을 가공하여 일정 형태의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름 형태의 반사지와 확산판을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고, 특히 확산판의 예로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와 저분자 액정의 조합이나 폴리비닐 알코올과 저분자 액정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아크릴 확산제나 광흡수물질을 더 포함하여 구현하거나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삭제
고정브래킷(30)은 프레임블록(10)과 라이트패널(20)을 배선보호덕트(1)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는 프레임블록(10)이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구멍(3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배선보호덕트(1)의 상측과 양쪽을 감싸듯이 그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구멍(31)의 단면은 프레임블록(10)과 틈새 없이 결합되도록 프레임블록(10)의 단면 바깥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결합홈(32)은 배선보호덕트(1)의 상면 및 양쪽 측면과 틈새 없이 밀착되도록 배선보호덕트(1)의 폭 및 높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브래킷(30)의 양쪽에는 라이트패널(20)의 측면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삽입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쪽에는 전원공급장치(12)의 단자부에 배선보호덕트(1) 내의 강전 회로용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분리판의 전선구멍(3) 및 결합구멍(31)과 통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브래킷(30)에는 배선보호덕트(1)에서 전원공급장치(12)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강전 회로용 전선을 보호하여 약전 회로용 전선과 접촉 및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판(2)의 전선구멍(3)에 하부가 끼워지고 결합구멍(31)과 결합홈(32)을 통하도록 연결하는 절연관(3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절연관(34)의 길이와 지름은 분리판(2)의 전선구멍(3) 속에 압입 방식으로 끼워지게 형성되어 있어 배선보호덕트(1)의 분리판(2) 아래쪽에 배선된 강전 회로용 전선이 전선구멍(3)을 통하여 관통하면서 분리판(2) 위쪽에 배선된 약전 회로용 전선과 교차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고정브래킷(30)이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브래킷(30)의 결합홈(32) 내에는 배선보호덕트(1)의 상부 안쪽에 밀착되어 고정브래킷(30)이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아니하도록 지지하면서 배선보호덕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지지대(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브래킷(30)은 프레임블록(10)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과, 라이트패널(20)의 한쪽 가장자리와 볼팅(bolting) 체결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결합구멍(31)에 프레임블록(10)을 끼우고 고정브래킷(30)과 프레임블록(10)을 관통하는 클리어런스 홀(clearance hole)에 볼트 등을 삽입하고 나사구멍 또는 너트에다 죄어 고정할 수 있고, 또 삽입홈(33)에 라이트패널(20)의 한쪽 측면 가장자리를 끼우고 고정브래킷(30)과 라이트패널(20)을 관통하는 클리어런스 홀에 볼트 등을 삽입하고 나사구멍 또는 너트에다 죄어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브래킷(30)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상시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축전지와,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경우에 전원공급장치(12)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축전지의 비상전원으로 전환하여 엘이디 모듈(11)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내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고정브래킷(30)은 프레임블록(10)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을 받쳐주고 지지하므로 라이트패널(20)의 하중에 대한 버팀력은 물론 휨에 대한 응력을 보강하여 프레임블록(10)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무게로 인해 휘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브래킷(30)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때, 불필요하게 두꺼운 부위는 살빼기(중공)와 리브 성형을 통해 경량화 및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원가절감 및 부품의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삭제
상부커버(40)는 고정브래킷(30)의 상부 양쪽을 감싸듯이 커버하기 위해 전후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40)의 안쪽 하부에는 걸림턱(4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커버(40)는 한 쌍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고정브래킷(30)의 상부 양쪽을 감싸듯이 커버하면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커버(40)들은 서로 볼팅(bolting) 체결 방식으로 고정브래킷(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상부커버(40)와 고정브래킷(30)을 관통하는 클리어런스 홀(clearance hole)에 볼트 등을 삽입하고 나사구멍 또는 너트에다 죄어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부커버(4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때, 불필요하게 두꺼운 부위는 살빼기(중공)와 리브 성형을 통해 경량화 및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원가절감 및 부품의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삭제
하부커버(50)는 배선보호덕트(1)의 하면과 고정브래킷(30)의 하부 양쪽을 감싸듯이 커버하면서 고정브래킷(30)이 프레임블록(10)과 라이트패널(20)을 지지한 채로 배선보호덕트(1)에 고정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하부커버(50)는 배선보호덕트(1)의 하면과 양쪽 측면에 틈새 없이 밀착되도록 배선보호덕트(1)의 폭 및 높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홈(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커버(50)의 상단에는 탄성 변형으로 상부커버(40)의 걸림턱(41)에 탄력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후크형의 걸림돌기(51)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하부커버(50)는 상부커버(40)와 슬라이딩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할 수 있어 배선보호덕트(1)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나 유지보수 시 등에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하부커버(50)는 고정브래킷(30)을 배선보호덕트(1)에 단단하게 고정하는 잠금장치의 기능 및 역할을 하여 배선보호덕트(1)에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하부커버(50)는 전후로 나뉜 양 상부커버(40)와 고정브래킷(30)을 편리하게 한번에 고정하고 잠금 상태를 유지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커버(50)와 상부커버(40)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배선보호덕트(1)의 바깥쪽 둘레 면과 틈새 없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빛샘 현상(Light leak)이나 배선보호덕트(1)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부커버(5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때, 불필요하게 두꺼운 부위는 살빼기(중공)와 리브 성형을 통해 경량화 및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원가절감 및 부품의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블록(10)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에 고정브래킷(30)을 장착하고, 이 고정브래킷(30)을 중심으로 양쪽에다가 라이트패널(20)을 고정한 후, 고정브래킷(30)을 배선보호덕트(1)의 상측에 하측 끼우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천장에 매달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행거 로드(전산볼트 및 행거)를 설치하고, 좌우 양쪽의 수평을 맞추는 번거롭고 불편한 작업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설치 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의 소요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배선보호덕트(1) 내의 전선을 끌어와서 고정브래킷(30)의 절연관(34)을 통하여 전원공급장치(12)의 단자부와 접속함으로써 프레임블록(10)에 내장되어 있는 엘이디 모듈(11)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을 가리기 위한 전선관 또는 몰딩 작업이 필요 없어 외관이 심플하면서 깔끔하고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고정브래킷(30)의 절연관(34)이 분리판(2)의 전선구멍(3) 속에 압입 방식으로 끼워져 배선보호덕트(1)의 분리판(2) 아래쪽에 배선된 강전 회로용 전선이 분리판(2) 위쪽에 배선된 약전 회로용 전선과 교차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브래킷(30)이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보호덕트(1) 내의 비상용 전선과 같은 약전 회로나 전력용 전선과 같은 강전 회로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서로 분리 배선하여 전선 간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나 전식 및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간섭 및 노이즈를 최소화하므로 전선의 보호를 위한 전기적인 안전성과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고정브래킷(30)이 절연관(34)과 지지대(35)에 의해 배선보호덕트(1)에 더욱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배선보호덕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장착 위치가 이동하거나 쉽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등 구조적 안정성과 체결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블록 11: 엘이디 모듈
12: 전원공급장치 20: 라이트패널
21: 도광판 22: 시트
30: 고정브래킷 31: 결합구멍
32: 결합홈 33: 삽입홈
34: 절연관 35: 지지대
40: 상부커버 41: 걸림턱
50: 하부커버 51: 걸림돌기
52: 밀착홈 1: 배선보호덕트
2: 분리판 3: 전선구멍

Claims (5)

  1. 전기 통신, 전기를 이용하는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약전 회로와 강전 회로를 상하로 분리하여 배치하는 분리판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에 전선구멍이 형성된 배선보호덕트에 장치하는 것으로,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강전 회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엘이디 모듈(LED module)과 전원공급장치(SMPS)가 내장된 프레임블록;
    상기 프레임블록 하부의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고, 상기 엘이디 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을 전체 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양면에 부착되고 문자나 기호가 표시된 시트를 포함하는 라이트패널; 및
    상부에 상기 프레임블록이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블록의 단면 바깥 테두리 형상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의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양쪽을 감싸듯이 그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양쪽에 상기 라이트패널의 측면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단자부에 상기 배선보호덕트 내의 강전 회로용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안쪽 공간이 상기 분리판의 전선구멍 및 상기 결합구멍과 통하도록 형성된 고정브래킷;
    을 포함하는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에, 상기 배선보호덕트에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강전 회로용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분리판의 전선구멍에 하부가 끼워지고 상기 결합구멍과 상기 결합홈을 통하도록 연결하는 절연관이 형성된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결합홈 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상부 안쪽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이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아니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지지대;
    를 더 포함하는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부 양쪽을 커버하는 한 쌍의 상부커버; 및
    상기 배선보호덕트의 하면과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부 양쪽을 감싸듯이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이 상기 배선보호덕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하부커버;
    를 더 포함하는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안쪽 하부에 걸림턱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의 상단에 탄성 변형으로 상기 걸림턱에 탄력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후크형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KR1020180171642A 2018-12-28 2018-12-28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KR102154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42A KR102154222B1 (ko) 2018-12-28 2018-12-28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42A KR102154222B1 (ko) 2018-12-28 2018-12-28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83A KR20200081783A (ko) 2020-07-08
KR102154222B1 true KR102154222B1 (ko) 2020-09-09

Family

ID=7160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642A KR102154222B1 (ko) 2018-12-28 2018-12-28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593B1 (ko) * 2021-07-19 2023-03-02 주식회사 알토 주차장 안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908A (ja) 1999-05-31 2000-12-08 Puroguresu:Kk 面発光装置と該装置を用いた表示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92B1 (ko) 2011-12-21 2013-10-08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표시등
KR20170091362A (ko) 2016-02-01 2017-08-09 윤재택 안내표지판 현수장치
KR101851062B1 (ko) * 2016-06-23 2018-04-20 주식회사 비엘케이 주차장용 유도등
KR101968295B1 (ko) 2016-07-11 2019-04-15 (주)대호씨앤씨 방향 유도등
KR20180015368A (ko) * 2016-08-03 2018-02-13 서울교통공사 엘이디를 이용한 슬림형 방향 유도 표지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908A (ja) 1999-05-31 2000-12-08 Puroguresu:Kk 面発光装置と該装置を用いた表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83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2983B2 (en) Casing for lighting assembly
US9453616B2 (en) Flat panel lighting device
US9383508B2 (en) Multi-wing edge-lit structure
WO2013149679A1 (en) Structural member of suspended ceiling and suspended ceiling containing such member
KR102154222B1 (ko)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KR101909975B1 (ko) 사이드프레임용 코너연결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경량 등기구
KR102195876B1 (ko) 레이스웨이 결합형 led 조명장치
KR101587544B1 (ko) Led 다운 라이트 구조
KR102459516B1 (ko) 스피커 박스
KR101739523B1 (ko) 천장 직착형 평판조명기구
KR102181274B1 (ko)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설치방법
KR102199621B1 (ko) 직부형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EP2837878B1 (en) Lighting device for indoor parking lot
KR101965691B1 (ko) 조명장치
KR102171917B1 (ko) Led 엣지평판형 천장등
KR101926011B1 (ko) 사이드프레임 변형 방지형 조립식 경량 등기구
KR101635557B1 (ko) 평판 조명기기
KR102151007B1 (ko)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KR102093792B1 (ko) 클립고정형 조명장치
CN214476209U (zh) 用于应急标志灯的紧凑型导光结构及应急标志灯
US10941932B1 (en) Water-resistant extruded housing for emergency lighting component
KR20220063926A (ko) Led 조명기구
KR101014792B1 (ko) 조명장치
KR101652833B1 (ko) 조명장치
JP2022144323A (ja) 機器取付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機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