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593B1 - 주차장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장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593B1
KR102504593B1 KR1020210094467A KR20210094467A KR102504593B1 KR 102504593 B1 KR102504593 B1 KR 102504593B1 KR 1020210094467 A KR1020210094467 A KR 1020210094467A KR 20210094467 A KR20210094467 A KR 20210094467A KR 102504593 B1 KR102504593 B1 KR 102504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way
unit
main frame
guidance system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560A (ko
Inventor
허윤수
김영민
이상율
조대기
정주현
장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21009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5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54Slidable panel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H02G3/105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in association with a plinth, channel, raceway or simil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안내 시스템은, 내부에 전선이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이스 웨이 및 상기 레이스 웨이에 설치되는 안내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표시 유닛은, 상기 레이스 웨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스 웨이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이스 웨이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장 안내 시스템{PARKING LOT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주차장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내표시장치의 시인성을 확보하고, 제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주차장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지하주차장이나 지하통로에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 등 주차장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출입구나 비상구의 위치, 목적지나 현재의 위치 및 진행해야 할 방향 표시 따위의 정보를 나타내는 안내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표시는 내부에 전선이나 배선이 지나가는 레이스 웨이에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레이스 웨이는 주차장의 주행로의 중앙부를 지나가게 배치된다.
이때 안내표시는 레이스 웨이로 인한 시야의 방해를 막기 위해, 레이스 웨이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설치된다.
그런데, 방향이나 정보등의 안내표시가 중앙에서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주행로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방향이나 정보 전달의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운용에 필요한 조명기구나 음향기구 등이 지하 주차장의 곳곳에 혼재되어 있어서 배선 및 제어의 어려움이 있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내표시 유닛의 시인성을 확보하고, 제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주차장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안내 시스템은, 내부에 전선이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이스 웨이 및 상기 레이스 웨이에 설치되는 안내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표시 유닛은, 상기 레이스 웨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스 웨이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이스 웨이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홀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스 웨이의 하부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설치 홈이 형성되고, 제1 조명 유닛 또는 음향 유닛이 상기 설치 홈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치 홈은 상기 레이스 웨이의 폭방향 양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벽체와 상기 벽체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명 유닛 또는 상기 음향 유닛은 제1 브라켓을 통해 상기 고정 돌기와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조명 유닛 또는 상기 음향 유닛의 길이 방향 단부와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홈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결합 홈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작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가 폭방향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결합 홈과 상기 고정 돌기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조명 유닛은, 조명을 제공하는 엘이디 모듈, 양면이 동일한 곡률을 갖고 상기 엘이디 모듈에 의해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대칭형 렌즈 및 상기 대칭형 렌즈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스 웨이의 일측에 배치되는 보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 유닛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에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브라켓의 내주면 일측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 전원 단자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스 웨이의 일측에는 상기 수 전원 단자 레일과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암 전원 단자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수 전원 단자 레일이 상기 암 전원 단자 레일과 슬라이딩되어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촬영부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을 통해 외부로 광을 투사하는 제2 조명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안내 시스템은, 레이스 웨이로 인한 안내표시장치의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스 웨이에 조명유닛, 음향유닛 및 보안유닛을 통합 배치함으로써 각각에 대한 배선과 제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스 웨이에 설치되는 조명유닛, 음향유닛 및 보안유닛의 탈착에 용이한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용이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안내 시스템에서 안내표시 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직교 형태의 레이스 웨이에 설치되는 안내표시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명 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의 배광 효과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음향 유닛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안 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안내 시스템에서 다양한 형태의 안내표시 유닛이 레이스 웨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천장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방 또는 상측으로 설명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하방 또는 하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레이스 웨이(100)가 차량의 주행로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설명하고, 상하방향 및 길이방향과 각각 수직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안내 시스템에서 안내표시 유닛(200)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직교 형태의 레이스 웨이(100)에 설치되는 안내표시 유닛(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조명 유닛(3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도 4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4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음향 유닛(600)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안 유닛(7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안내 시스템에서 다양한 형태의 안내표시 유닛이 레이스 웨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안내 시스템은, 지하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되어 주행 차량의 유도 내지 안내 신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레이스 웨이(100) 및 제1 조명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유닛(600) 및 보안 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스 웨이(100)는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되고, 차량의 주행로 또는 사람의 보행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레이스 웨이(100)의 내부에는 주차장 전력 공급 장치(미도시)와 각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 또는 신호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레이스 웨이(100)에는 안내표시 유닛(200), 제1 조명 유닛(300), 음향 유닛(600) 및 보안 유닛(700)이 각각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전선 또는 신호선들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레이스 웨이(100)는 내부에 전선 또는 신호선들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횡단면이 대체로 사각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단면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레이스 웨이(100)에 상술한 유닛들이 설치되는 영역에는 유닛들과 연결되기 위한 전선 또는 신호선이 노출되는 배선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이스 웨이(100)는 안내표시 유닛(200)에 있어서, 안내 수단(270)이 표시되지 않는 상부 프레임(210)만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레이스 웨이(100)가 실질적으로 차량 또는 보행자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270)을 가리지 않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정확한 안내표시를 노출시킬 수 있게 한다.
레이스 웨이(100)의 일측에는 제1 조명 유닛(300)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조명 설치 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설치 홈(150)은 레이스 웨이(10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1 조명 유닛(300)이 수용되는 레이스 웨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설치 홈(15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레이스 웨이(100)의 폭 방향 양측의 벽체(110)와 양측의 벽체(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고정 돌기(120)로 구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명 유닛(300)의 구체적인 설치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안내표시 유닛(200)은 레이스 웨이(100)에 설치되되, 안내 수단(270)이 레이스 웨이(10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안내표시 유닛(200)은 상부 프레임(210), 메인 프레임(220), 하부 프레임(230) 및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표시 유닛(200)의 상부 프레임(210)은 메인 프레임(220)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10)은 메인 프레임(220)에 형성되어 레이스 웨이(100)가 관통되는 관통홀(225)을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20)은 상부 프레임(210)의 하측에 결합되어 레이스 웨이(100)가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20)의 상부 일측에는 레이스 웨이(100)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225)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20)은 이러한 관통홀(225)을 통해 레이스 웨이(100)를 감싸는 형태로 레이스 웨이(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25)의 개수는 레이스 웨이(10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레이스 웨이(100)가 직선 형태로 구비되는 부분에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관통홀(225)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도 3과 같이, 레이스 웨이(100)가 직교 형태로 구비되는 부분에서는 관통홀(225) 역시 직교하는 두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메인 프레임(220)의 관통홀(225)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설치 과정에서 레이스 웨이(100)가 끼움 조립될 필요없이, 개방된 영역을 이용하여 레이스 웨이(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20)은 내부에 광원부(미도시)가 배치되어 빛을 방출하는 공간(225)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공간(225)은 광원의 설치 및 수리를 위한 개구부가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문자, 기호 등 운전자와 보행자에 안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안내 수단(270)이 표시될 수 있다.
광원부는 메인 프레임(220) 내부 공간(225)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부는 엘이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20)에 표시된 안내 수단(270)은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통과하면서 안내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30)은 메인 프레임(220)의 하부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30)은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메인 프레임(22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30)의 일측에는 제2 조명 유닛(250)의 광이 외부로 투사되기 위한 조명 홀(23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220)의 내부에 배치되어 하부 프레임(230)의 일측을 통해 광을 조사하는 제2 조명 유닛(25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조명 유닛(250)은 바닥, 벽면 또는 천장에 광을 조사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알리기 위한, 고보(GOBO)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명 유닛(250)은 광을 발생시키는 LED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 및/또는 볼록 렌즈를 포함하는 광 발생부(251) 및 전달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필터가 구비되는 조사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 발생부(251)는 레이스 웨이(100)에 결합되거나 상부 프레임(2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이스 웨이(100)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210)은 관통홀(225)을 통해 레이스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안내 수단(270)은 레이스 웨이(100)보다 하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안내 수단(270)을 통한 시각적 신호가 레이스 웨이(100)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스 웨이(100)의 하부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설치 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 홈(150)에는 주차장의 내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제1 조명 유닛(300) 또는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 유닛(600)이 설치될 수 있다. 설치 홈(150)은 제1 조명 유닛(300)이 설치되는 제1 조명 유닛(300) 설치 홈(150)과 음향 유닛(600)이 설치되는 음향 유닛(600) 설치 홈(150)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제1 조명 유닛(300)은 레이스 웨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제1 브라켓(400)을 통해 설치 홈(1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명 유닛(300)은 조명을 제공하는 엘이디 모듈, 양면에 동일한 곡률을 갖고 엘이디 모듈에 의해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대칭형 렌즈(330)(symmetric lens) 및 대칭형 렌즈(330)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대칭형 렌즈(330)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엘이디 모듈에 의한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여기서는 복수의 대칭형 렌즈(330)를 통해 빛을 굴절시킴으로써 수평 및 수직 방향의 4면으로 배광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배광을 넓혀 등 간격을 확보함으로써, 제1 조명 유닛(300)을 최소의 수량으로 설치하면서 충분한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 안내 시스템에서는 제1 조명 유닛(300)이 레이스 웨이(100)를 따라 8m의 등간격으로 15개를 설치하여, 50m x 35m x 2.4m의 주차장 공간에서 충분한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제1 조명 유닛(300)은 제1 브라켓(400)에 의해 레이스 웨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00)은 레이스 웨이(100)의 제1 조명 유닛(300) 설치 홈(150)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조명 유닛(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브라켓(400)은 제1 조명 유닛(300)의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470)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470)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돌기(120)를 수용하는 결합 홈(420) 및 상기 결합 홈(420)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450)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450)는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 홈(420)으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5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가압부(450)와 결합 홈(420)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작 공간(460)이 구비되고, 사용자는 조작 공간(460)을 통해 가압부(450)를 가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압부(450)를 폭방향 내측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가압부(450)가 폭방향 내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압부(450)와 연결되어 있는 결합 홈(420)도 폭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 돌기(12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다.
가압부(450)는 대체로 'T'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410)에 의해 지지되는데, 결합 홈(420)은 지지부(410)의 수평부(412)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탄성력이 부여될 수 있고, 가압부(450) 사이에 구비되는 수직부(411)에 의해 가압부(450)의 이동 변위가 제한됨으로써 가압부(450)의 영구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400)이 레이스 웨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부(450)의 하단부 및 결합 홈(420)의 하단부는 레이스 웨이(100)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탈착을 위해 가압하는 가압부(450)가 레이스 웨이(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오조작에 의한 제1 조명 유닛(300) 탈락의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고정을 위한 조작부의 노출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스 웨이(100)의 일측에는 음향 유닛(60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음향 유닛(600)은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유닛(600)은 레이스 웨이(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음향 유닛(600) 설치 홈(150)에 제1 브라켓(400)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00)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주차장 안내 시스템은, 레이스 웨이(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안 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유닛(700)은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공지된 CCTV용 촬영부(710)가 적용될 수 있다. 촬영부(710)는 제2 브라켓(500)을 통해 레이스 웨이(10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안 유닛(700)은 촬영부(7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외부 서버 또는 단말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브라켓(50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100)에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500)의 내주면 일측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 전원 단자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수 전원 단자 레일은 촬영부(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이스 웨이(100)의 일측에는 상기 수 전원 단자 레일과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암 전원 단자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브라켓(500)이 레이스 웨이(100)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 브라켓(500)의 수 전원 단자 레일과 레이스 웨이(100)의 암 전원 단자 레일이 접촉됨으로써 전선을 통해 촬영부(71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암 전원 단자 및 수 전원 단자는 서로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단자를 의미하고, 양자의 위치가 바뀌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안내 시스템은, 안내 수단(270)이 표시된 안내표시 유닛(200)의 메인 프레임(220)이 상부 유닛을 통해 레이스 웨이(100)의 하측에 설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정확한 안내표시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스 웨이(100)에 제1 조명 유닛(300), 음향 유닛(600) 및 보안 유닛(700)을 통합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주차장 안내 시스템의 운용이 용이하다.
또한, 제1 조명 유닛(300), 음향 유닛(600) 및 보안 유닛(700)을 레이스 웨이(100)에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제1 브라켓(400) 및 제2 브라켓(500)을 제안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주차장 안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레이스 웨이
110: 벽체
120: 고정 돌기
200: 안내표시 유닛
210: 상부 프레임
215: 관통홀
220: 메인 프레임
230: 하부 프레임
270: 안내 수단
300: 조명 유닛
330: 대칭형 렌즈
320: 커버 부재
400: 제1 브라켓
410: 지지부
420: 결합 홈
450: 가압부
460: 조작 공간
470: 커버 플레이트
500: 제2 브라켓
600: 음향 유닛
700: 보안 유닛

Claims (10)

  1. 내부에 전선이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이스 웨이 및 상기 레이스 웨이에 설치되는 안내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스 웨이의 하부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설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 홈에는 제1 조명 유닛 또는 음향 유닛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조명 유닛은, 조명을 제공하는 엘이디 모듈, 양면이 동일한 곡률을 갖고 상기 엘이디 모듈에 의해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대칭형 렌즈 및 상기 대칭형 렌즈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주차장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표시 유닛은,
    상기 레이스 웨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스 웨이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주차장 안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주차장 안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홈은 상기 레이스 웨이의 폭방향 양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벽체와 상기 벽체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명 유닛 또는 상기 음향 유닛은 제1 브라켓을 통해 상기 고정 돌기와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는 주차장 안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조명 유닛 또는 상기 음향 유닛의 길이 방향 단부와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홈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결합 홈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작 공간이 형성되는 주차장 안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폭방향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결합 홈과 상기 고정 돌기의 결합이 해제되는 주차장 안내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이스 웨이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는 주차장 안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 웨이의 일측에 배치되는 보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 유닛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에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주차장 안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의 내주면 일측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 전원 단자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스 웨이의 일측에는 상기 수 전원 단자 레일과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암 전원 단자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수 전원 단자 레일이 상기 암 전원 단자 레일과 슬라이딩되어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촬영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주차장 안내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을 통해 외부로 광을 투사하는 제2 조명 유닛이 배치되는 주차장 안내 시스템.
KR1020210094467A 2021-07-19 2021-07-19 주차장 안내 시스템 KR102504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67A KR102504593B1 (ko) 2021-07-19 2021-07-19 주차장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67A KR102504593B1 (ko) 2021-07-19 2021-07-19 주차장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560A KR20230013560A (ko) 2023-01-26
KR102504593B1 true KR102504593B1 (ko) 2023-03-02

Family

ID=8511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467A KR102504593B1 (ko) 2021-07-19 2021-07-19 주차장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5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932Y1 (ko) * 2006-09-12 2006-11-27 주식회사 제일조명 레이스웨이의 등기구 고정구조
KR101025532B1 (ko) * 2010-05-28 2011-04-01 주식회사 투윈스컴 씨씨티브이용 카메라의 장착장치
KR101798438B1 (ko) 2016-10-17 2017-11-16 주식회사 투윈스컴 레이스웨이용 다용도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494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투윈스컴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102154222B1 (ko) * 2018-12-28 2020-09-09 탑라이트 주식회사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932Y1 (ko) * 2006-09-12 2006-11-27 주식회사 제일조명 레이스웨이의 등기구 고정구조
KR101025532B1 (ko) * 2010-05-28 2011-04-01 주식회사 투윈스컴 씨씨티브이용 카메라의 장착장치
KR101798438B1 (ko) 2016-10-17 2017-11-16 주식회사 투윈스컴 레이스웨이용 다용도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560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63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보행자 및 차량 자동안전안내 송출을 통한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CN102588760B (zh) 拼制的led砖状件
KR101742801B1 (ko) 램프 교체가 용이한 조명도로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교통관리 시스템
KR102484348B1 (ko)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KR200482180Y1 (ko) 안내용 사인구조
KR102504593B1 (ko) 주차장 안내 시스템
KR102027119B1 (ko) 횡단보도 사고예방장치를 구비한 가로등
KR20190004123A (ko)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SE1750024A1 (en) Priority light bar device
KR102515370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JP6799521B2 (ja) 路面案内灯装置
KR20200135845A (ko) 차량 발판용 전기장치
KR101529045B1 (ko) 차량 출입 경고 장치
KR20160066214A (ko) 입체 신호등
KR101725323B1 (ko)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
KR102625803B1 (ko) 스마트 IoT 기반을 이용한 다양한 영상정보, 조명 및 다양한 음원의 출력 소리정보를 알리는 다양한 멀티장치 표출솔루션 경관조명 멀티브라켓
KR101941466B1 (ko) 개량된 유도로 안내등
KR101710561B1 (ko) 터널용 입체형 이정표
JP2016212635A (ja) 誘導灯及びそれを用いた避難誘導システム
KR20060011687A (ko) 광원 분리 신호등
ATE426877T1 (de) Signalleuchte
KR20200013958A (ko) 교육용 신호등 시스템
KR20200067706A (ko) 교통신호용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조명시스템
KR102190702B1 (ko) 교통 표시 및 횡단보도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