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494A -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494A
KR20190051494A KR1020170147235A KR20170147235A KR20190051494A KR 20190051494 A KR20190051494 A KR 20190051494A KR 1020170147235 A KR1020170147235 A KR 1020170147235A KR 20170147235 A KR20170147235 A KR 20170147235A KR 20190051494 A KR20190051494 A KR 20190051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way
bracket
surveillance camera
main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윈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윈스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윈스컴
Priority to KR1020170147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1494A/ko
Publication of KR2019005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브라켓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이룸으로서 레이스웨이로의 설치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설치과정에서 설치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형태의 레이스웨이(30)에 착탈이 가능하고, 일측에는 감시카메라(11)가 설치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100)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은 2개가 좌우 양측에서 쌍을 이루는 본체부(10)가 연결체(20)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을 이루며;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벽에는 레이스웨이(30)와 결합을 위한 상부 회동고리(12) 및 하부 지지고리(13)가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RACEWAY BRACKET STRUCTURE FOR MONITERING CAMERA}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에 착탈이 보다 용이하고, 감시 영역이 효율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 지하주차장의 경우 천장 슬래브에 조명등과 함께 주차장 내 도난 및 범죄 예방을 목적으로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감시카메라의 경우 관리실 또는 운영실에 비치된 녹화장치 및 모니터를 통해 상시 녹화 및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감시카메라 설치 구조의 일 예로, 특허등록 제1040748호에서는 레이스웨이 장착용 카메라 모듈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천장 부위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110)에 다수의 카메라 모듈(120)이 장착되고, 레이스웨이(110)는 긴 막대 구조의 전기배관 자재로서 주차장의 천장 등에 별도의 행거(111)에 의해 매달리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카메라 모듈(120)을 직접 레이스웨이(110)에 연결 고정시키는 구성을 이루기 때문에, 레이스웨이(110)에 카메라 모듈(120)의 고정을 위한 고정홀을 별도로 가공해야하므로 레이스웨이(110) 제작 단가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레이스웨이 하단부쪽으로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구조이어서, 지하주차장에 비교적 차량의 전고가 높은 탑차 등이 운행시 차량의 상부와 감시카메라가 접촉되어 감시카메라가 파손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 현장 상황에 따른 카메라 모듈(120)의 설치 위치 조절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시공 현장에서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브라켓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감시카메라의 설치 위치 조절이 용이하며 작업효율이 향상되어 질 수 있도록 하고, 차량으로부터 감시카메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감시카메라의 감시 영역을 효율적으로 확장시키는데 목적이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형태의 레이스웨이에 착탈이 가능하고, 일측에는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2개가 좌우 양측에서 쌍을 이루는 본체부가 연결체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을 이루며; 상기 본체부의 내측벽에는 레이스웨이와 결합을 위한 회동고리 및 지지고리가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은, 현장 조립이 가능한 착탈형 구조를 이룸으로써 레이스웨이로의 설치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설치과정에서 설치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레이스웨이에 감시카메라가 장착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브라켓의 분해 상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감시카메라 브라켓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감시카메라 브라켓의 본체부가 레이스웨이에 거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감시카메라 브라켓이 레이스웨이에 설치 완료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감시카메라 브라켓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감시카메라 브라켓의 응용된 설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 요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레이스웨이 결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설치용 감시카메라 브라켓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감시카메라 브라켓(100)은, 2개의 본체부(10)가 상호 연결체(2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을 이루게 되는데, 각각의 본체부(10) 일측에는 감시카메라(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본체부(10)의 내측벽에는 레이스웨이(30)와 결합을 위한 상부 회동고리(12) 및 하부 지지고리(13)가 각각 구성된다.
특히, 상부 회동고리(12)는 레이스웨이(30)의 상단부 프레임 두께에 따라 가변 가능하도록 본체부(10)의 내측벽과 거리를 달리하는 2개의 고리부(12a,12b)가 상호 대칭형태로 구비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본체부(10)와 연결 구성된다.
또한, 연결체(20) 양측에는 체결돌부(24)가 각각 돌출 구성되고, 상기 체결돌부(24)와 대응되는 본체부(10)의 상면에는 체결돌부(24)가 안착 후 조립나사(15)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홈(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감시카메라 브라켓의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감시카메라의 설치를 위해서는, 먼저 일정 길이의 프레임 형태를 이루는 레이스웨이(30)가 천장을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브라켓(100)을 설치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레이스웨이(30)의 양측에 2개로 분할된 본체부(10)를 각각 상부 회동고리(12) 및 하부 지지고리(13)를 이용하여 거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부 회동고리(12)는 양측의 고리부(12a,12b)가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거치시킴으로서 레이스웨이(30) 상단부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게 되며, 거치가 완료되면 회동고리(12)를 90도 회전시킴으로서 고리부(12a,12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후, 양측의 본체부(10) 사이에 연결부(2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연결부(20) 양측의 체결돌부(24)를 본체부(10)의 체결홈(14)에 안착시키고 조립나사(15)를 이용하여 체결시킴으로써 일체형으로 조립된 감시카메라 브라켓(100)이 레이스웨이(30)에 설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가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 브라켓(100)은 레이스웨이(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따라 감시카메라(11)의 설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장 발생에 따른 내부부품의 보수 및 교체시에는 조립나사(15)를 분해하여 쉽고 용이하게 탈거가 가능하게 되므로 유지보수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부 회동고리(12)에 2가지 형태의 고리부(12a,12b)가 구비되어져 있기 때문에 레이스웨이(30)의 규격에 따라 상부 회동고리(12)를 180도 회동시킴으로서 도 8에서와 같이 고리부(12a,12b)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 회동고리(12)의 일단부에는 청소솔(12')이 구비되고, 상부 회동고리(12)에는 레이스웨이(30)와의 마찰력 저감을 위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구형상의 윤활볼(16)이 돌출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용 브라켓(100)을 레이스웨이(30)를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청소솔(12')에 레이스웨이(30)의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짐과 함께 보다 안정적인 체결상태가 유지되어 질 수 있게 되며, 윤활볼(16)에 의해 상부 회동고리(12)와 레이스웨이(30)의 접촉면적이 최소화 되어질 수 있게 되어 브라켓(100)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10 : 본체부 11 : 감시카메라
12 : 상부 회동고리 13 : 하부 지지고리
14 : 체결홈 15 : 조립나사
20 : 연결부 24 : 체결돌부
30 : 레이스웨이 100 : 브라켓

Claims (5)

  1. 프레임 형태의 레이스웨이(30)에 착탈이 가능하고, 일측에는 감시카메라(11)가 설치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100)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은 2개가 좌우 양측에서 쌍을 이루는 본체부(10)가 연결체(20)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을 이루며;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벽에는 레이스웨이(30)와 결합을 위한 상부 회동고리(12) 및 하부 지지고리(13)가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동고리(12)는 레이스웨이(30)의 상단부 프레임 두께에 따라 가변 가능하도록 본체부(10)의 내측벽과 거리를 달리하는 2개의 고리부(12a,12b)가 상호 대칭형태로 구비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본체부(10)와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20) 양측에는 체결돌부(24)가 각각 돌출 구성되고, 상기 체결돌부(24)와 대응되는 본체부(10)의 상면에는 체결돌부(24)가 안착 후 나사체결 가능하도록 체결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동고리(12)의 일단부에는 청소솔(12')이 구비됨으로서, 브라켓(100)의 슬라이딩 이동시 레이스웨이(30)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동고리(12)에는 레이스웨이(30)와의 마찰력 저감을 위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구형상의 윤활볼(16)이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1020170147235A 2017-11-07 2017-11-07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20190051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235A KR20190051494A (ko) 2017-11-07 2017-11-07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235A KR20190051494A (ko) 2017-11-07 2017-11-07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94A true KR20190051494A (ko) 2019-05-15

Family

ID=6657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235A KR20190051494A (ko) 2017-11-07 2017-11-07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14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578B1 (ko) * 2020-03-31 2020-07-09 조명원 레이스웨이 조명 및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20230013560A (ko) * 2021-07-19 2023-01-26 주식회사 알토 주차장 안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578B1 (ko) * 2020-03-31 2020-07-09 조명원 레이스웨이 조명 및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20230013560A (ko) * 2021-07-19 2023-01-26 주식회사 알토 주차장 안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0711B (zh) 用於攝影機裝置之支架及攝影機系統
US8468765B1 (en) Panel fixing device
KR20190051494A (ko)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CN210039029U (zh) 消防工程中的无线火灾报警装置
US20170321842A1 (en) Mounting bracket
CN203963439U (zh) 摄像头的安装支架
KR101031292B1 (ko) 교량용 외장재 조립장치
KR20170011713A (ko) 조립식 천장구조물
CN205208073U (zh) 一种球型摄像机及其支架
KR101025532B1 (ko) 씨씨티브이용 카메라의 장착장치
KR101648916B1 (ko) 감시카메라 고정장치
KR101773773B1 (ko) 탈부착 및 이동이 용이한 구명줄 고정구
KR101482067B1 (ko) 제작-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주용 암대모듈
JP2020010212A (ja) 防犯・監視カメラのハウジング装置
JP737082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取付構造
KR101798438B1 (ko) 레이스웨이용 다용도 브라켓
JP3192543U (ja) 外装ルーバーの取付構造及び取付金具
CN210567354U (zh) 一种智能楼宇监控系统
CN103203760B (zh) 相机固定装置及包括其的全景视觉系统
CN109986601A (zh) 一种人工智能机器人用外围管线安装旋转底座
CN217402216U (zh) 一种用于巡检机搭载平台的可调节支撑结构
KR200387473Y1 (ko) 행거조립체
CN221004643U (zh) 一种隧道监控装置
CN104278777A (zh) 连接装置
KR101353385B1 (ko) 무대설비의 바튼용 행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