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986B1 -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986B1
KR100466986B1 KR1020040071928A KR20040071928A KR100466986B1 KR 100466986 B1 KR100466986 B1 KR 100466986B1 KR 1020040071928 A KR1020040071928 A KR 1020040071928A KR 20040071928 A KR20040071928 A KR 20040071928A KR 100466986 B1 KR100466986 B1 KR 100466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ngle
angle adjusting
position fixing
cctv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기
Original Assignee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1020040071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CCTV 카메라와 브래킷이 각도조절부재 및 2분할된 케이스에 의해 연결되어 되고, 분할된 케이스는 고정볼트에 의해 서로 벌어지거나 또는 조여지게 되어, 상기 고정볼트의 조임상태에 따라 카메라 본체의 수직방향, 수평방향의 조정이 용이하며 방향 전환 후 상기 고정볼트의 조임에 의해 고정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ANGLE REGULATION EQUIPMENT OF CCTV CAMERA}
본 발명은 CCTV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CTV 카메라의 회전방향, 수직방향, 수평방향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며 상기 CCTV 카메라의 방향 조절 후 그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CCTV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 카메라는 일반 가정의 방범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백화점, 은행, 전시장 등의 장소에서는 침입, 도난 또는 화재 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방지하며, 만약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며, 일반 시내도로 및 고속도로에서는 교통상황 및 위반차량을 단속하기 위하여 폐쇄회로 감시장치인 감시카메라(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CCTV 카메라 시스템은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모든 상황을 감시하기 위하여 원격지에서 영상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상기 CCTV 카메라는 가능한 넓은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대개 건물의 벽면 상부나 천장에 설치되어 특정방향을 향하여 세팅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CCTV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 및 고정용 브래킷 그리고 상기 본체 및 브래킷을 연결하여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볼 조인트의 각도조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은 소정의 건물의 벽, 천정, 기둥 등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에내장되어 잇는 촬영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가 케이블로 전송되어 미도시된 표시장치로 전달된 후 표시부인 모니터를 통하여 현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볼 조인트가 브래킷의 선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그 타단이 본체의 저면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각도 조절부재는 일측 하나의 볼 조인트에 의하여 소정 범위의 각도를 조절하는 용도에 한정되며, 특히 상기 본체 내의 촬영장치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외부요인에 의하여 케이블이 절단되어 기능이 마비되는 문제점과 이를 수리하는 비용의 손실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의 기술에는 국내등록특허 제10-0438100호에 게시된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가 있으며 이는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의의 축봉(141) 양단에 숫나사(142)와 볼(143)이 각각 형성되는 지지구(140)와, 상기 축봉(141)의 숫나사(142)에 체결되도록 암나사(171)가 형성된 조립용 볼(170)과, 상기 지지구(140)의 볼(143) 및 상기 조립용 볼(170)을 감싸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분할되는 제 1 및 제 2 고정구(150, 150') 및 제 1 및 제 2 조임구(160,1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150, 150')와 제 1 및 제 2 조임구(160, 10')에는 상기 고정구(150, 150')와 상기 조임구(160, 160')가 상호체결되도록 숫나사(151, 151')와 암나사(161, 16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임구(160, 160')는 지지구(140)의 축봉(141)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150, 150')에는 상기 카메라 본체(100) 및 상기 브래킷(1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153, 15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140)의 축봉(141) 및 볼(143) 그리고 조립용 볼(170)의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관통공(190,190')이 천공 형성되어 이 관통공(190, 190') 안으로 케이블이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상기 조임구(160, 160')의 조임상태에 따라 상기 카메라 본체의 방향 및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는 지지구(140)에 형성된 볼(143) 및 상기 지지구(140)와 결합된 조립용 볼(170)은 고정구(150, 150')에 삽입된 후 조임구(160, 16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볼(143,170)의 구면과 고정구(150, 150')의 내주면은 단순히 면접촉된 상태이므로, 외부 충격 또는 주변의 진동에 의해 상기 카메라 본체(100)가 흔들릴 경우 상기 카메라 본체(100)의 무게에 의해서 상기 고정구(150, 150')에 결합되어 있던 볼(143, 170)이 움직여서 상기 카메라의 방향 및 높낮이가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CCTV 카메라와 브래킷이 각도조절부재 및 2분할된 케이스에 의해 연결되어 되고, 분할된 케이스는 고정볼트에 의해 서로 벌어지거나 또는 조여지게 되어, 상기 고정볼트의 조임상태에 따라 카메라 본체의 수직방향, 수평방향의 조정이 용이하며 방향 전환 후 상기 고정볼트의 조임에 의해 고정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가 CCTV 카메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CCTV 카메라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재가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CCTV 카메라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각도조절부재
3 : 케이스 5 : 브래킷
6 : 위치고정부재 7 : 고정볼트
8 : 케이블 11: 고정구
12 : 관통공 21 : 축봉
22 : 결합구 23 : 나사공
24 : 조정볼 25 : 스퍼기어
26 : 지지링 27 : 관통공
30 : 제1케이스 40 : 제2케이스
31 : 틸트각 조절부 32 : 가이드홀
33 : 스퍼기어 34 : 결합홈
35 : 팬각 조절부 36 : 가이드레일
36a : 홈 36b : 측벽
37 : 기어돌기 38 : 조임구
39 : 나사골 48 : 삽입공
51 : 고정판 52 : 중앙홀
53 : 나사공 61 : 위치고정단
62 : 결합로드 63 : 나사산
64 : 기어돌기 65 : 관통공
66 : 결합체 67 : 결합홀
68 : 지지단 69 : 나사골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CCTV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후면에 원기둥 형태로 돌출된 고정구가 형성된 카메라 본체; 소정길이의 축봉과, 상기 축봉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고정구가 삽입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축봉의 타측에는 원형의 조정볼이 형성된 각도조절부재; 상면 중앙에 중앙홀이 형성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상면에서 원형으로 돌출된 위치고정단;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로 분할 형성되어, 그 전면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이동거리를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천공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조정볼이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수직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트각 조절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브래킷의 위치고정단이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수평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팬각 조절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는 나사골이 형성된 조임구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조임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는 고정볼트에 의해 조임상태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조정볼의 측면에는 원형의 스퍼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틸트각 조절부에는 상기 조정볼의 스퍼기어에 대응하는 스퍼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조정볼과 상기 틸트각 조절부가 기어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이격되었을 때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조정볼을 상기 틸트각 조절부에서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수직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단의 외주면 둘레 전체에는 기어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팬각 조절부에는 상기 위치고정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위치고정단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기어돌기에 끼워지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이격되었을 때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를 상기 위치고정단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수평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단은 상기 브래킷의 상면에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단은 결합체에 의해 상기 브래킷과 분리 또는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고정단은 후면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로드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체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로드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전방으로는 내주면에 나사골이 형성된 지지단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체의 지지단이 상기 브래킷의 중앙홀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체의 결합홀로 상기 위치고정단의 결합로드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고정구, 상기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위치고정단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결합구의 측면에는 나사공이 천공되어 상기 본체의 고정구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서 측면까지 수직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영상촬영장치가 내장된 CCTV 카메라 본체(1), 각도조절부재(2), 케이스(3), 위치고정부재(6) 및 브래킷(5)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회로부 및 렌즈 등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상기 본체(1)의 후단에는 후술되는 각도조절부재(2)의 결합구(2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11)의 중앙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케이블(8)이 삽입되는 관통공(12)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2)는 상기 본체(1)의 회전방향 및 틸트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본체(1)의 고정구(11)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상기 고정구(11)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의 삽입홀이 형성된 결합구(22)와, 상기 결합구(22)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구(22)와 조정볼(24)을 연결하는 축봉(21)과, 후술되는 케이스(3)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1)의 틸트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정볼(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축봉(21)은 상기 조정볼(24)의 직경보다 1/2 또는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22)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22)의 양측면에는 나사공(23)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22)의 내부로 상기 본체(1)의 고정구(11)를 삽입시킨 후 상기 나사공(23)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볼트(7)를 결합하여 상기 본체(1)와 상기 각도조절부재(2)를 결합 또는 분리하게 되며, 상기 결합구(22)에 삽입된 상기 본체(1)를 위치조정한 후 상기 나사공(23)으로 고정볼트(7)를 결합하여 상기 본체(1) 자체의 회전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조정볼(24)은 상기 축봉(21)에 의해 상기 결합구(2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의 스퍼기어(33)에 대응되도록 상기 조정볼(24)의 외주면 중 대응하는 측면에는 톱니형태의 스퍼기어(25)가 원형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퍼기어(25)의 내측에는 상기 케이스(3)의 결합홈(34)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돌출된 지지링(6)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스퍼기어(25)의 기어간격은 약 0.1~0.5mm의 피치간격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봉(21)의 일단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봉(21)이 연결되는 상기 조정볼(24)의 측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축봉(21)과 조정볼(24)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재(2)를 구성하는 상기 결합구(22), 축봉(21) 및 조정볼(24)의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관통공(27)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본체(1)에서 연결된 상기 케이블(8)이 상기 관통공(27)으로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케이스(3)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와 결합하여 상기 CCCV 카메라의 틸트각을 조정하고 및 후술되는 브래킷(5)과 결합하여 팬각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로 구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 중 일측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의 조정볼(24)과 결합하여 상기 본체(1)의 수직각을 조절하는 틸트각 조절부(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후술되는 위치고정부재(6)와 결합하여 상기 본체(1)의 수평각을 조절하는 팬각 조절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틸트각 조절부(31)는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결합에 의해 상기 본체(1)의 수직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각도조절부재(2)의 조정볼(24)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내주면이 면접촉되도록 상기 조정볼(24)의 형태에 대응되는 반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반구면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의 조정볼(24)의 스퍼기어(25)에 대응하는 톱니형태의 스퍼기어(3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퍼기어(33)의 내측에는 상기 조정볼(24)의 지지링(6)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정볼(24)과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0,40)의 결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지지링(6)의 내주면 둘레와 동일한 외주면 둘레를 가지는 결합홈(34)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재(2)의 조정볼(24)이 결합되는 상기 틸트각 조절부(31)의 전면부에는 상기 조정볼(24)의 위치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홀(32)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홀(32)은 결합된 상태의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결합부위 전면 중앙에서 측면까지 직각형태로 절단되고 그 폭은 상기 축봉(21)과 동일한 폭 또는 약간 큰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정볼(24)은 상기 케이스(3)에서 분리되지 않고 상기 축봉(21)은 상기 가이드홀(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팬각 조절부(35)는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결합에 의해 상기 본체(1)의 수평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후술되는 브래킷(5)과 결합되는 위치고정부재(6)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후방에서 각각 반원형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내주면 둘레방향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재(6)와 결합된 후 상기 케이스(3)가 상기 위치고정부재(6)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고정부재(6)의 위치고정단(61)의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오목한 홈(36a) 형태의 가이드레일(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36)에는 부분적으로 상기 위치고정단(61)에 형성된 기어돌기(67)에 대응하는 형태의 결합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를 결합되도록 상기 제1케이스(30)의 내주면에는 원통형의 조임구(38)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조임구(38)의 내주면에는 나사골(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30)의 조임구(38)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케이스(40)에는 고정볼트(7)가 끼워지도록삽입공(48)이 천공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를 조립한 후 상기 삽입공(48)을 통해 상기 조임구(38)로 고정볼트(7)를 삽입하면 상기 고정볼트(7)와 상기 조임구(38)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는 완전히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브래킷(5)은 상기 본체(1)를 감시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면의 중앙에는 후술되는 위치고정부재(6)와 결합되는 고정판(5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판(51)의 주위로는 상기 브래킷(5)을 촬영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공(53)이 복수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51)의 중앙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재(6)가 결합되는 중앙홀(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6)는 상기 브래킷(5)에 고정설치된 후, 상기 카메라 본체(1)와 결합된 케이스(3)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1)를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수평방향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브래킷(5)의 고정판(51)에 형성된 중앙홀(52)로 삽입되는 위치고정단(61)과 상기 위치고정단(61)을 상기 브래킷(5)에 고정시키는 결합체(66)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단(61)은 상기 팬각 조절부(35)의 가이드레일(36)의 홈(36a)에 완전히 결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36)의 내주면 둘레와 동일 둘레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단(61)의 후면에는 상기 결합체(66)의 결합홀(67)과 나사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63)이 형성된 결합로드(6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고정단(61)의 외주면에는 둘레 전체에는 요철(凹凸)형태의 기어돌기(64)가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단(61)이 상기 가이드레일(36)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가이드레일(36)에 형성된 결합돌기(37)가 상기 기어돌기(37) 사이로 결합하게 된다.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단(61) 및 결합로드(62)의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본체(1)에서 연결된 케이블(8)이 삽입되도록 관통공(65)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체(66)는 상기 위치고정단(61)을 상기 브래킷(5)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위치고정단(61)의 결합로드(62)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결합홀(6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홀(67)의 전방으로는 상기 고정판(51)의 중앙홀(52)로 삽입되어 상기 위치고정단(6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68)이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단(68)의 내주면에서 상기 결합로드(62)가 결합되는 나사골(6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단(68)의 높이는 상기 가이드레일(36)의 측벽(36a)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의 후면은 상기 브래킷(5)의 고정판(51)과 면접촉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래킷(5)의 고정판(51) 상면에 상기 위치고정단(61)이 사출형성되어, 일체로 형성된 상기 브래킷(5), 고정판(51), 위치고정단(61)의 중앙 길이방향으로 관통공(65)을 형성하여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가 CCTV 카메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CCTV 카메라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재가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CCTV 카메라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의 조립과정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CTV 카메라 본체(1)의 후방에 돌출된 고정구(11)를 각도조절부재(2)의 결합구(22)로 삽입한 후 상기 결합구(22)에 형성된 나사공(13)으로 고정볼트(7)를 결합하여 상기 본체(1)와 각도조절부재(2)가 일체가 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브래킷(5)의 후방으로 위치고정부재(6)의 결합체(65)를 위치시킨 후 상기 브래킷(5)의 고정판(51)에 형성된 중앙홀(52)로 상기 결합체(65)의 지지단(67)을 삽입시키고, 상기 브래킷(5)의 전방으로 위치고정단(61)을 위치시킨 후 상기 중앙홀(52)을 통해 고정판(51)의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단(67)의 결합홀(67)로 상기 위치고정단(61)의 결합로드(62)를 삽입하여 나사결합시키면 상기 위치고정단(61)은 상기 브래킷(5)에 고정설치된다.
다음, 상기 각도조절부재(2)의 결합구(22)에서 축봉(21)에 의해 연결된 조정볼(24)을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에 형성된 틸트각 조절부(31)와 상호결합함으로써 상기 본체(1)와 결합된 상기 각도조절부재(2)를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케이스(3)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부재(2)를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틸트각 조절부(31)에 결합시킬 때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내부 타측에 형성된 팬각 조절부(35)로는 상기 브래킷(5)의 상면에 설치된 위치고정단(61)을 삽입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2)와 위치고정단(61)을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내부에 설치한다.
우선 상기 각도조절부재(2)와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결합을 설명하면,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전면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의 축봉(21) 두께보다 약간 큰 폭의 가이드홀(32)이 형성되어 상기 조정볼(24)은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가 되고 상기 축봉(21)은 가이드홀(32)에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2)를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내부에 고정시킬 때 상기 조정볼(24)의 측면에 형성된 스퍼기어(25)와 상기 틸트각 조절부(31)에 형성된 스퍼기어(33)가 완전히 맞물리도록 상호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2)는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조정볼(24)의 스퍼기어(25) 내측에 형성된 지지링(6)으로 상기 틸트각 조절부(31)의 스퍼기어(33)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34)이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와 상기 각도조절부재(2)는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가지게 된다.
다음, 상기 위치고정단(61)과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결합을 설명하면, 상기 브래킷(5)의 고정판(51)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고정단(61)을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6)로 위치시켜 상기 위치고정단(61)을 상기 가이드레일(36)의 홈(36a)으로 삽입시키면 상기 가이드레일(36)의 측벽(36a)은 상기 지지단(67)의 외주면과 면접촉되면서 상기 위치고정단(61)은 상기 가이드레일(36)의 홈(36a)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36)에 형성된 결합돌기(37)는 상기 위치고정단(61)의 외주면 둘레 전체에 형성된 기어돌기(64)의 어느 한 부분과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내부에 상기각도조절부재(2) 및 위치고정단(61)이 결합되면 상기 제2케이스(40)에 형성된 삽입공(48)을 통해 고정볼트(7)를 삽입하여 상기 제1케이스(30)에 형성된 조임구(38)와 나사결합시켜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본체(1)는 각도조절부재(2)와 고정볼트(7)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가 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2)는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틸트각 조절부(31)와 톱니결합되어 고정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팬각 조절부(35)는 브래킷(5)과 결합된 위치고정단(61)과 끼워맞춤 결합된 후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가 고정볼트(7)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1), 각도조절부재(2), 케이스(3), 위치고정부재(6) 및 브래킷(5)은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의 고정구(11)에 형성된 관통공(12)을 통해 인출된 케이블(8)은 각도조절부재(2)의 관통공(27)을 통해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내부를 거쳐 상기 위치고정단(61) 형성된 관통공(64)을 통해 브래킷(5)의 밖으로 인출되어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연결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의 조립이 완료되면 나사못을 상기 브래킷(5)에 형성된 나사공(53)으로 체결시켜 상기 본체(1)를 촬영하고자하는 장소의 벽면, 천정 등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5)을 통해 인출된 케이블(8)을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연결한 후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1)의 촬영방향 즉, 상기 본체(1)자체의 회전각도, 수직각도, 수평각도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본체(1)와 각도조절부재(2)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볼트(7)의 조임상태를 조절하고 상기 제1케이스(30)와제2케이스(40)를 결합시킨 고정볼트(7)의 조임상태를 조절하면 된다. (도 6, 도 7, 도 8 참조)
우선 상기 본체(1)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상기 본체(1)의 고정구(11)와 상기 각도조절부재(2)의 결합구(22)를 고정시키고 있던 고정볼트(7)를 풀어 상기 고정구(11)와 결합구(22)의 결합을 해지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의 고정구(11)는 상기 결합구(22)에서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본체(1) 자체의 회전방향을 조정한 후 다시 상기 본체(1)의 고정구(11)를 상기 각도조절부재(2)의 결합구(22)로 삽입하여 상기 고정볼트(7)를 강하게 조여 견고하게 결합시키면 된다.
다음 상기 본체(1)의 수직각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를 결합시키고 있던 고정볼트(7)를 약간 풀어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결합을 해지시키면 상기 고정볼트(7)는 나사결합되어 있던 상기 제1케이스(30)의 조임구(38)에서 인출됨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는 벌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에 형성된 틸트각 조절부(31)와 상기 각도조절부재(2)의 조정볼(24)의 스퍼기어(25,33)의 톱니 결합상태가 약간 풀리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2)가 상기 본체(1)와 함께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틸트각 조절부(31)의 스퍼기어(33)와 상기 조정볼(24)의 스퍼기어(25)의 결합이 약간 풀리면서 상기 조정볼(24)의 스퍼기어(25)가 상기 틸트각 조절부(31)의 스퍼기어(33)를 따라 회전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의 전면에 수직형태으로 형성된 가이드홀(32)을 따라 상기 각도조절부재(2)의 축봉(21)을 이동시키면 상기 조정볼(24)의 스퍼기어(25)가 상기 틸트각 조절부(31)의 스퍼기어(33)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2)와 고정된 본체(1)의 수직각도를 약 0~90°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정볼(24)의 스퍼기어(25) 내측에 형성된 지지링(26)은 상기 틸트각 조절부(31)의 결합홈(34)과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각도조절부재(2)의 수직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1)의 수평각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를 결합시키고 있던 고정볼트(7)를 약간 풀어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결합을 해지시키면 상기 고정볼트(7)는 나사결합되어 있던 상기 제1케이스(30)의 조임구(38)에서 인출됨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는 벌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에 형성된 팬각 조절부(35)의 가이드레일(36)과 브래킷(5)에 고정된 위치고정단(61)의 결합상태가 약간 풀리면서 상기 케이스(3)는 위치고정단(61)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위치고정단(61)의 기어돌기(64)와 상기 팬각 조절부(35)의 가이드레일(36)의 결합돌기(37)의 결속상태가 해지됨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30) 및 제2케이스(40)는 상기 브래킷(5)의 위치고정단(61)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어 상기 제1케이스(30), 제2케이스(40)와 함께 상기 각도조절부재(2)를 일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본체(1)의 수평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시킨 후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의 가이드홀(32)을 통해 상기 각도조절부재(2)및 본체(1)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CCTV 카메라의 수직각도 및 수평각도의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볼트(7)를 조임구(38)로 삽입하여 상기 제1케이스(30)와 제2케이스(40)가 유동이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는 카메라 본체는 각도조절부재의 결합구에 끼워져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조정볼은 케이스의 틸트각 조절부와 스퍼기어에 의해 톱니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팬각조절부는 브래킷에 고정설치된 위치고정단이 끼워져 결합되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로 분할된 케이스는 고정볼트에 의해 상호결합되어 이루어져 상기 고정볼트의 조임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의 방향을 전환 또는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조정볼의 측면에 형성된 스퍼기어와 상기 틸트각 조절부에 형성된 스퍼기어가 톱니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이격되었을 때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조정볼을 상기 틸트각 조절부에서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수직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를 조여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결합시키면 상기 조정볼과 틸트각 조절부의 스퍼기어가 톱니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본체가 고정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브래킷에 고정된 위치고정단의이 상기 팬각 조절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이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수평각도 및 수직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를 조여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결합시키면 상기 위치고정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위치고정단의 기어돌기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결합돌기가 상호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본체가 고정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본체의 고정구, 상기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위치고정단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천공 형성되어, 각도조절부재 및 케이스의 내부로 케이블을 매입시킴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단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본체의 고정구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결합구에 삽입된 후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어져, 상기 고정볼트의 조임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 자체의 회전방향도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홀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서 측면까지 수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각도조절부재의 수직각도를 0~90°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8)

  1. CCTV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후면에 원기둥 형태로 돌출된 고정구가 형성된 카메라 본체;
    소정길이의 축봉과, 상기 축봉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고정구가 삽입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축봉의 타측에는 원형의 조정볼이 형성된 각도조절부재;
    상면 중앙에 중앙홀이 형성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상면에서 원형으로 돌출된 위치고정단;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로 분할 형성되어, 그 전면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이동거리를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천공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조정볼이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수직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트각 조절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브래킷의 위치고정단이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수평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팬각 조절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는 나사골이 형성된 조임구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조임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는 고정볼트에 의해 조임상태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조정볼의 측면에는 원형의 스퍼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틸트각 조절부에는 상기 조정볼의 스퍼기어에 대응하는 스퍼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조정볼과 상기 틸트각 조절부가 기어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이격되었을 때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조정볼을 상기 틸트각 조절부에서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수직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단의 외주면 둘레 전체에는 기어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팬각 조절부에는 상기 위치고정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위치고정단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기어돌기에 끼워지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이격되었을 때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를 상기 위치고정단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수평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단은 상기 브래킷의 상면에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5. 제1항에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단은 결합체에 의해 상기 브래킷과 분리 또는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고정단의 후면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로드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체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로드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전방으로는 내주면에 나사골이 형성된 지지단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체의 지지단이 상기 브래킷의 중앙홀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체의 결합홀로 상기 위치고정단의 결합로드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고정구, 상기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위치고정단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결합구의 측면에는 나사공이 천공되어 상기 본체의 고정구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서 측면까지 수직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KR1020040071928A 2004-09-02 2004-09-02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10046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928A KR100466986B1 (ko) 2004-09-02 2004-09-02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928A KR100466986B1 (ko) 2004-09-02 2004-09-02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995U Division KR200368748Y1 (ko) 2004-09-02 2004-09-02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6986B1 true KR100466986B1 (ko) 2005-01-24

Family

ID=3722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928A KR100466986B1 (ko) 2004-09-02 2004-09-02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98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060B1 (ko) * 2006-11-15 2007-03-29 주식회사 아이츠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KR101056190B1 (ko) 2011-04-08 2011-08-11 유한회사 엔젤시스템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455301Y1 (ko) 2010-03-03 2011-08-29 김응욱 씨씨티브이용 광 리시버 장치
KR101148994B1 (ko) 2012-02-03 2012-05-23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감시카메라용 각도조절장치
CN110454659A (zh) * 2019-09-12 2019-11-1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监控装置
CN113459958A (zh) * 2021-06-07 2021-10-01 西安恒盛安信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毫米波雷达的调节支架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060B1 (ko) * 2006-11-15 2007-03-29 주식회사 아이츠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KR200455301Y1 (ko) 2010-03-03 2011-08-29 김응욱 씨씨티브이용 광 리시버 장치
KR101056190B1 (ko) 2011-04-08 2011-08-11 유한회사 엔젤시스템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101148994B1 (ko) 2012-02-03 2012-05-23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감시카메라용 각도조절장치
CN110454659A (zh) * 2019-09-12 2019-11-1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监控装置
CN110454659B (zh) * 2019-09-12 2024-05-2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监控装置
CN113459958A (zh) * 2021-06-07 2021-10-01 西安恒盛安信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毫米波雷达的调节支架
CN113459958B (zh) * 2021-06-07 2024-05-07 西安恒盛安信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毫米波雷达的调节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0711B (zh) 用於攝影機裝置之支架及攝影機系統
KR100724306B1 (ko)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
KR102005977B1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CA2411391C (en) Integrated enclosure for video surveillance camera
US10798273B2 (en) Parking guidance camera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EP3181983B1 (en) A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monitoring camera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arrangement
KR100466986B1 (ko)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68748Y1 (ko)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419680Y1 (ko) Cctv용 카메라의 각도 및 길이조절장치
KR20070092792A (ko) 돔 카메라
KR20070059947A (ko) 감시용 카메라의 장착구조
KR200392486Y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US20140293061A1 (en) Broadband monitoring camera
JP2888541B2 (ja) 監視カメラの取付構造
KR100438110B1 (ko)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101148994B1 (ko) 감시카메라용 각도조절장치
KR200256083Y1 (ko)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101529394B1 (ko) 감시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
KR200451628Y1 (ko)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200405431Y1 (ko)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KR200270512Y1 (ko)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CN112136320B (zh) 三轴圆顶式监控摄像机
KR100867939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천정용 브래킷
KR101425430B1 (ko) 3축 조정형 감시카메라
KR101056190B1 (ko)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