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792A - 돔 카메라 - Google Patents

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792A
KR20070092792A KR1020060022057A KR20060022057A KR20070092792A KR 20070092792 A KR20070092792 A KR 20070092792A KR 1020060022057 A KR1020060022057 A KR 1020060022057A KR 20060022057 A KR20060022057 A KR 20060022057A KR 20070092792 A KR20070092792 A KR 20070092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handle
base
do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203B1 (ko
Inventor
이재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2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9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저면 내부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팬 브라켓; 상기 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돔 카메라를 구성하여 외부에서 간단히 카메라의 기울기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돔 카메라, 기울기, 방향

Description

돔 카메라{Dome camera}
도 1은 종래의 돔카메라의 분리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돔 카메라의 분리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팬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의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6는 상기 도 2의 방향조절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2의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2의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돔 카메라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간단한 설명>
100 : 돔 카메라
110 : 베이스 120 : 팬 브라켓
130 : 카메라 140 : 방향조절부재
150 : 커버 160 : 윈도우
본 발명은 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의 기울기 및 방향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는 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을 비롯하여 백화점, 은행, 공간, 전시장 등의 장소에서는 도난을 방지하고 기계의 작동상태나 공정 흐름 등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폐쇄회로 감시장치인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런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텔레비전 방식으로, 송신 영상에서 수신영상까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관련 대상 이외의 일반 대중이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관리하고자 하는 다수의 감시 영역을 각각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사무실에 설치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감시화면을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원하는 장면만을 VCR(Video Cartridge Recorder)을 이용하여 녹화하기도 한다.
이러한 감시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돔 카메라이다.
도 1은 종래의 돔 카메라의 분리상태를 보인 분해 리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돔 카메라(1)는 카메라 베이스(11)와, 상기 카메라 베이스(11)의 하측에 결합되는 팬 브라켓(12)과, 상기 팬 브라켓(12)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18)와, 상기 카메라(18)를 보호하는 커버(19)와, 상기 커버 (19)의 하측에 밀착되는 투명 소재의 윈도우(2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카메라(18)는 카메라 베이스(11)의 저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하부로 돌출된 고정 축대(15)를 갖는 팬 브라켓(Pan-Bracket)(1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팬 브라켓(12)은 카메라 베이스(11)의 저면에 접촉면에 호형상의 가이드 레일(13)이 절취형성된다. 절취형성된 가이드레일(13)상에 체결된 팬조정볼트(14)를 축으로 팬브라켓(12)을 돌려서 카메라(18)와 고정축대(15)의 방향을 적당하게 설정하고, 다시 팬조정볼트(14)를 돌려서 팬브라켓(12)을 카메라 베이스(11)에 완강히 고정결합시킨다.
팬 브라켓(12)의 고정축대(15)에서는 카메라(18)가 틸트조정볼트(17)를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틸트조정볼트(17)는 고정축대(15)의 일측에 통공형성된 틸트축공(16)에 체결되어 카메라(18)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상기 카메라(18)는 돔 형태의 커버(19)의 일측면에 형성된 카메라 투시부(20)에 의해서 카메라(18)의 촬영이 행해지고, 카메라 투시부(20)를 제외한 불투명한 반구형상의 커버(19)에 의해 내부의 모습은 가려지며, 내부로 진입되는 이물질을 막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카메라(18)를 보호하기 위해 투명한 윈도우(21)가 결합된다.
상기한 돔 카메라(1)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카메라의 기울기와 방향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다음과 같이 카메라(18)의 기울기와 방향을 조절하였다.
상기 돔 카메라(1)의 방향 및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우선 돔 카메라 (1)를 설치위치에서 해제하고, 돔 카메라(1)의 윈도우(21)를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9)를 분리한 후, 팬 브라켓(12)을 고정한 팬조정볼트(14)를 절반정도만 풀고, 고정축대(15)의 틸트고정볼트(17)도 절반정도를 풀어 결합을 느슨하게 한다. 그 다음, 가이드레일(13)을 따라 팬 브라켓(12)의 방향을 변경하고, 고정축대(15)에 고정되었던 카메라(18)의 기울기를 변경한 후, 역순으로 재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돔 카메라는 설치된 이후에 카메라의 방향 및 기울기 등을 조정하기 위하여 조립되어있는 돔 카메라를 분리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돔 카메라를 분리한 후, 카메라의 방향과 기울기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조정이 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에 연결된 화면을 보면서 확인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이물질이 내부로 침입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돔 카메라의 촬영 방향 및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돔 카메라를 분리하지 않고 손쉽게 조정이 가능하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돔카메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돔 카메라는
저면 내부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팬 브라켓; 상기 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 는 커버 부재;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바 형태의 핸들 결합부와, 상기 핸들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핸들 결합부의 이동을 고정하기 위한 로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커에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로커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에 밀착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핸들결합부를 고정하는 스프링 워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카메라의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 지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 및 방향 조절을 위한 핸들 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팬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의 고정돌기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일부가 절개 및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카메라를 상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과 회전결합되는 투명 소재의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상측에 밀착하여 회전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돔 카메라는,Z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 또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핸들 부재가 구비되는 컨트롤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상측에 밀착하여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저면 내부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를 상하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팬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Z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핸들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바 형태의 핸들결합부와; 상기 핸들결합부에 회전결합되어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 및 방향 조절을 한 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의 핸들부재는 종단에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지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외주면에서 하부로 소정 길이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핸들 삽입부와; 상기 핸들삽입부의 종단으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절개형성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외부면에서 하부로 소정 길이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핸들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좌우 회동에 따라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돔카메라는 분리하지 않고 외부에서 카메 라의 방향 및 기울지 조정이 가능하며, 모니터 화면이 없이도 시각적으로 카메라의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돔카메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공지가 되어 알려진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돔 카메라의 분리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돔 카메라(100)는 촬영장소의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카메라 베이스(11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팬 브라켓(pan bracket)(120)과, 상기 팬 브라켓(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130)와, 상기 카메라(130)의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는 방향 조절 부재(140)와,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되는 투명 소재의 윈도우(160)와, 상기 윈도우의 상측에 밀착되어 회전이 가능한 커버(150)가 포함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돔 카메라(100)의 각 구성요소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10)는 내부 하측에 고정 돌기(11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111)는 상기 팬 브라켓(120)(미도시 - 도 2참조)이 상기 베이스(110) 하측에서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상기 도 2의 팬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팬 브라켓(12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소정 폭으로 절개되는 가이드 홀(121)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홀(121)은 상기 팬 브라켓(120)의 내측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121)의 양단에는 상기 베이스(110)(미도시 - 도 2 참조)의 고정돌기(111)가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홈(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팬 브라켓(121)의 일부가 절개 및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카메라(130)(미도시 - 도 2참조)를 지지하는 고정단(123)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단(123)은 상기 가이드 홀(121)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팬 브라켓(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개되어 하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123)은 그 폭이 상기 카메라(13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130)가 요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130)의 하단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 홀(124)이 형성된다.
도 5는 상기 도 2의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130)는 외측에 고정돌기(141)가 형성되어, 상기 팬 브라캣(120)(미도시 - 도 2 참조)의 고정단(123)에 형성된 고정홀(124)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의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는 방향 조절부재는 다음의 도면과 같다.
도 6는 상기 도 2의 방향조절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향조절부재(140)는 상기 카메라(130)(미도시-도 2참조)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밀착부(141)와, 상기 카메라(130)의 렌즈가 삽입되는 렌즈삽입부(142)와, 상기 밀착부(141)의 일측에 바(bar)형태로 형성되는 핸들결합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결합부(143)에는 상기 방향조절부재(140)의 고정을 위한 로커(locker)(147)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44)과, 및 상기 방향조절부재(140)의 작동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한 핸들(148)을 고정결합하기 위해 단면이 D-컷 공정에 의해 D자형으로 형성되는 핸들고정단(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핸들(148)은 상기 핸들고정단(145)의 단면과 동일한 D자형의 삽입구가 형성되어 핸들고정단(145)가 삽입채결될 수 있도록 하며, D-컷 공정에 의해 상기 핸들(148)이 핸들고정단(145)에서 자체적인 회전이 되지 않고 고정되게 한다.
한편, 상기 핸들(148)의 종단부에는 상기 카메라(130)의 렌즈가 가르키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가르키는 방향지시부(14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방향지시부(149)는 상기 카메라(130)의 렌즈방향을 향하는 화살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상기 도 2의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2의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커버(150)는 상기 카메라(130)(미도시 - 도 2 참조)의 렌즈가 외부의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일정 모양으로 절개형성되는 렌즈창(151)과, 외 주면에서 하향으로 함몰구성되어 상기 방향조절부재(140)(미도시 - 도 6 참조)의 핸들결합부(143)가 외부로 돌출될 있도록 하는 핸들삽입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머(150)는 절개 형성된 렌즈창(151) 이외에는 불투명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카메라(130)의 렌즈 이외의 구성을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50)의 하부에 결합되는 윈도우(160)는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150)(미도시-도 7 참조)와 같은 핸들삽입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삽입부(162)의 하부에 직교방향으로 상기 방향조절부재(140)(미도시 - 도 6참조)의 핸들결합부(143)가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핸들가이드홈(161)이 절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160)의 외주면은 상기 베이스(110)(미도시 - 도 2참조)와 회전 결합하여 체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돔 카메라의 조립 및 분해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분해 과정은 조립과정의 역순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분해과정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110)의 하측에 팬 브라켓(120)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에 구성된 고정돌기(111)가 상기 팬 브라켓(120)의 가이드홈(122)에 삽입된 후, 가이드홀(121)을 따라 회전하여 체결되며, 이때, 팬 브라켓(120)은 가이드홀(121)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팬 브라켓(120)의 고정단(123)과 카메라(130)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고정단(123)의 고정홀(124)에 카메라(130)의 고정돌기(131)가 삽 입되며, 상기 고정돌기(131)를 축으로 카메라(130)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다.
그 다음, 상기 카메라(130)의 렌즈방향으로 방향조절부재(140)의 밀착부(141)가 밀착결합된다. 이때 밀착부(141)의 렌즈삽입부(142)로 카메라(130)의 렌즈가 삽입되며,고정 볼트 등을 이용하여 카메라(120)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이후에, 상기 카메라(130)의 하부로 커버(150)가 상기 방향조절부재(140)의 핸들결합부(143)가 핸들삽입부(15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그 하부에 윈도우(160)가 커버(150)와 마찬가지로 핸들결합부(143)가 핸들삽입부(16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결합된 후, 상기 윈도우(160)이 외주면이 베이스(110)의 외주면과 회전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돔 카메라(100)는 윈도우(160)에 의해 돔형태가 되며, 윈도우(160)의 핸들삽입부(162)를 통해 외부로 핸들결합부(143)가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핸들 결합부(143)를 이용해 카메라 방향 및 기울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핸들(148)을 핸들 결합부(143)에 고정체결하는데, 이에 앞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의 기울기 및 방향을 조정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 스프링 워셔(146)와 로커(147)가 핸들 결합부(143)의 나사산(144)에 결합된다.
상세하게, 상기 돌출된 핸들결합부(143)를 조작하여 카메라(130)의 기울기와 방향을 조절하고, 이후로 임의로 카메라(130)의 기울기와 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로커(147)를 핸들결합부(143)의 나사산(144)에 결합시켜 윈도우(160)에 밀착시킨다. 이때, 고정효과를 더욱더 높이기 위하여 스프링 워셔(146)를 로커(147)와 윈도우(160)사이에 결합시키고, 로커(147)가 나사산(144)에 결합 회전하여 스프링워셔(146)를 윈도우(160)측으로 밀착시킴으로서, 핸들결합부(143)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핸들결합부(143)의 나사산(144)의 외측으로 핸들고정단(144)가 D컷 공정에 의해 D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고정단(144)에 핸들(148)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카메라(130)의 기울기와 방향 조절이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핸들(148)의 종단에는 카메라(130)의 렌즈 방향을 가르키는 화살표 모양의 방향지시부(149)가 형성되어 돔 카메라(100)가 조립된 상태에서도 쉽게 카메라(130) 렌즈의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고정단(144)과 핸들(148)이 결합될 때, 상기 방향지시부(149)가 카메라(130) 렌즈의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D 컷 공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돔 카메라(100)의 카메라 기울기와 방향을 조절하는 동작에 대해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돔 카메라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돔 카메라(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베이스(110)를 설치위치에 고정설치하고, 윈도우(160)의 핸들가이드홈(161)과 핸들삽입부(162)를 통하여 핸들(148)이 방향조절부재(140) 핸들결합부(143)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핸들 결합부(143)는 스프링워셔(146)가 로커(147)에 의해 윈도우(160)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로커(147)를 느슨하게 풀러 핸들(148)의 방향을 좌우 및 회전하여 조작한 후, 다시 로커(147)를 잠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로커(147)를 풀어놓은 상태에서, 핸들(148)을 도 9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회전시켜 카메라(1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카메라(130)의 렌즈 방향이 방향지시부(149)의 화살표와 일치하므로 이를 참고하여 원하는 기울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돔 카메라(100)의 핸들(148)은 필요에 따라 핸들결합부(143)에 결합하여 방향과 기울기를 조절한 후, 다시 분리하여 외형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돔 카메라는 장치를 해제하지 않고 외부에서 핸들을 통해 카메라의 방향과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취사선택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 예를 만들어 내는 것은 쉬운 일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돔 카메라는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핸들을 이용하여 돔 카메라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카메라의 방향과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도 조절을 위하여 돔 카메라를 해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 렌즈의 방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방향지시부를 포함시켜 모니 터를 통하지 않고도 바로 카메라 렌즈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저면 내부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팬 브라켓;
    상기 팬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 부재;가 포함되는 돔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바 형태의 핸들 결합부와,
    상기 핸들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핸들 결합부의 이동을 고정하기 위한 로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카메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에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로커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에 밀착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핸들결합부를 고정하는 스프링 워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카메라의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 지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카메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 및 방향 조절을 위한 핸들 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카메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의 고정돌기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일부가 절개 및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카메라를 상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카메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과 회전결합되는 투명 소재의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상측에 밀착하여 회전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카메라.
  8.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 또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핸들 부재가 구비되는 컨트롤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상측에 밀착하여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돔 카메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저면 내부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를 상하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팬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카메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핸들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바 형태의 핸들결합부와;
    상기 핸들결합부에 회전결합되어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 및 방향 조절을 한 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카메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핸들부재는 종단에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지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카메라.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외주면에서 하부로 소정 길이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핸들 삽입부와;
    상기 핸들삽입부의 종단으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절개형성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카메라.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부면에서 하부로 소정 길이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핸들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좌우 회동에 따라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카메라.
KR1020060022057A 2006-03-09 2006-03-09 돔 카메라 KR10077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057A KR100775203B1 (ko) 2006-03-09 2006-03-09 돔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057A KR100775203B1 (ko) 2006-03-09 2006-03-09 돔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792A true KR20070092792A (ko) 2007-09-14
KR100775203B1 KR100775203B1 (ko) 2007-11-12

Family

ID=3868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057A KR100775203B1 (ko) 2006-03-09 2006-03-09 돔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20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6737A1 (zh) * 2009-12-03 2011-06-09 福州富兰机电技术开发有限公司 百万像素监控摄像机的校正方法和校正器
CN102095055A (zh) * 2010-11-26 2011-06-15 华鹏集团有限公司 球形摄像头旋转机构
KR200467572Y1 (ko) * 2013-04-16 2013-06-20 주식회사 씨켐시스템즈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KR101488407B1 (ko) * 2014-09-30 2015-02-0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높이 변화가 가능한 고속 고분해 팬틸트 장치
KR20180001553U (ko) * 2016-11-16 2018-05-2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촬상 장치
CN108302298A (zh) * 2018-03-14 2018-07-20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用于引导复合材料钻孔机器人的相机微调支架
CN110149460A (zh) * 2019-04-08 2019-08-20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监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593U (ko)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홈 오토매이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JP2000013038A (ja) * 1998-06-19 2000-01-14 Fujitsu General Ltd ドームカメラの取付装置
KR200286337Y1 (ko) * 1998-06-30 2002-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콤비 돔형 감시 카메라의 틸트 조절장치
JP2005167922A (ja) * 2003-12-05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カメラ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6737A1 (zh) * 2009-12-03 2011-06-09 福州富兰机电技术开发有限公司 百万像素监控摄像机的校正方法和校正器
CN102095055A (zh) * 2010-11-26 2011-06-15 华鹏集团有限公司 球形摄像头旋转机构
KR200467572Y1 (ko) * 2013-04-16 2013-06-20 주식회사 씨켐시스템즈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GB2535825A (en) * 2014-09-30 2016-08-31 Korea Res Inst Standards & Sci Height changeable high-speed and high-resolution pan/tilt device
WO2016052792A1 (ko) * 2014-09-30 2016-04-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높이 변화가 가능한 고속 고분해 팬틸트 장치
CN105830435A (zh) * 2014-09-30 2016-08-03 韩国标准科学研究院 能够改变高度的高速高分辨率云台装置
KR101488407B1 (ko) * 2014-09-30 2015-02-0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높이 변화가 가능한 고속 고분해 팬틸트 장치
JP2016539385A (ja) * 2014-09-30 2016-12-15 コリア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スタンダーズ アンド サイエンス 高さが変えられる高速高分解のパン−チルト装置
US9674451B2 (en) 2014-09-30 2017-06-06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High-speed and high-resolution pan-tilt device capable of changing height
GB2535825B (en) * 2014-09-30 2020-06-17 Korea Res Inst Standards & Sci High-speed and high-resolution pan-tilt device capable of changing height
KR20180001553U (ko) * 2016-11-16 2018-05-2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촬상 장치
CN108302298A (zh) * 2018-03-14 2018-07-20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用于引导复合材料钻孔机器人的相机微调支架
CN110149460A (zh) * 2019-04-08 2019-08-20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监控装置
CN110149460B (zh) * 2019-04-08 2021-06-15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监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203B1 (ko) 2007-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203B1 (ko) 돔 카메라
JP5113785B2 (ja) ドーム型カメラ
US7440027B2 (en) Mounting assembly for camera
KR102005977B1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KR100724306B1 (ko)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
JP3880848B2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1011269B1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KR20080048260A (ko) 적외선 반사광 차단수단이 구비된 돔형 적외선 감시카메라
KR20080011962A (ko) 돔형 카메라 장치
US20110052179A1 (en) Mounting device for security camera
KR100709561B1 (ko) 돔카메라
KR200369533Y1 (ko)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KR101899494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석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KR200252099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돔 카메라
KR100717894B1 (ko) 팬/틸트 카메라
KR200403448Y1 (ko) 감시카메라장치
KR200320712Y1 (ko) 팬틸트카메라
KR200200321Y1 (ko) 돔형 카메라의 지지 고정장치
KR101529394B1 (ko) 감시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
KR100708472B1 (ko) 감시 카메라
JP2005167922A (ja) 監視カメラ装置
KR200180585Y1 (ko) 촬영각 조절이 자유로운 보안카메라
CN112136320A (zh) 三轴圆顶式监控摄像机
KR200391550Y1 (ko) 감시카메라
KR200446761Y1 (ko) 유동방지용 고정부재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