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962A - 돔형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돔형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962A
KR20080011962A KR1020060072759A KR20060072759A KR20080011962A KR 20080011962 A KR20080011962 A KR 20080011962A KR 1020060072759 A KR1020060072759 A KR 1020060072759A KR 20060072759 A KR20060072759 A KR 20060072759A KR 20080011962 A KR20080011962 A KR 20080011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amera device
dome
contac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젼아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젼아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젼아이트
Priority to KR1020060072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1962A/ko
Publication of KR2008001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 1 회전체에 결합되는 제 2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와 제 1 회전체의 접촉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제 1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해 복수의 접촉 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나머지 한 면에는 상기 접촉 홈에 삽입되는 접촉 돌기가 형성되어, 제 1 회전체가 일정 각도마다 회전 멈춤이 가능한 바, 카메라 장치로부터 돔형 커버를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하고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돔형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CCTV, 돔형 카메라 장치, 패닝, 틸팅, 촬영 각도 조절

Description

돔형 카메라 장치 {Dome type Camera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돔형 카메라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돔형 카메라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돔형 카메라 장치 중 돔형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돔형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돔형 카메라 장치 중 베이스만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돔형 카메라 장치 중 제 1 회전체와 제 2 회전체 사이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돔형 카메라 장치 110 : 베이스
120 : 제 1 회전체 140 : 제 2 회전체
150 : 카메라 160 : 돔형 커버
170 : 거치대 180 : 노브
본 발명은 돔형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카메라의 촬영 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형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시스템은 폐회로 시스템(Closed Circuit System)과 개회로 시스템(Open Circuit System)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에서 후자인 개회로 시스템은 화상 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텔레비전 방송이 여기에 속한다. 이에 반하여, 전자인 폐회로 시스템은 화상 정보를 특정의 목적으로 특정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을 가리키며 이것을 통상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이라고 한다.
상기 CCTV 시스템은 화상의 송, 수신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며 수신대상 이외는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일명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이라고도 하며,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주택가를 비롯하여 백화점, 은행, 전시장 등에서 보안 및 안전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CTV 시스템은 관리영역마다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치에는 천장, 벽, 기둥에 부착된 상태에서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재가 포함된 다.
도 1은 종래의 돔형 카메라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돔형 카메라 장치는 각도조절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10)는 제 1 프레임(12), 제 2 프레임(14) 및 제 3 프레임(16)을 포함하며, 각 프레임(12, 14, 16)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 3 프레임(16)에 마련된 카메라(20)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과 같이 수평면에 부착된 카메라 장치의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12)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카메라(20)의 좌우 패닝각도가 변경되고, 상기 제 2 프레임(14)이나 제 3 프레임(16) 중 어느 하나를 상하로 회전시키면 카메라(20)의 틸팅각도가 변경된다. 또한, 벽이나 기둥과 같이 수직에 부착된 카메라 장치의 경우, 상기 제 2 프레임(14)을 회전시키면 카메라(20)의 좌우 패닝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제 3 프레임(16)을 회전시키면 카메라(20)의 틸팅각도가 조절된다.
또한, 종래의 돔형 카메라 장치는 그 내부에 상기 각도조절부재(10)가 결합되는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30)의 하부에 결합되는 투명체의 돔형 커버(40)와, 상기 돔형 커버(40)를 베이스(3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링(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30)의 하부 외주면에는 소정의 수나사(3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32)에 대응되는 암나사(5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돔형 커버(40)를 상기 베이스(30)의 하부면에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링(50)을 베이스(30)에 나사 결합하면 돔형 커버(40)가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장치에 마련되는 각도조절부재(10)는 카메라 장치의 내부, 즉 상기 돔형 커버(40)의 내부에 위치되는 바, 커버(40)를 분리하지 않고는 카메라(20)의 촬영 각도를 변경할 수 없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프레임(12, 14, 16)을 포함하는 각도조절부재는 나사(도면상 십자 나사)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바,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나사를 먼저 풀어야만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
따라서 종래의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작업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장치로부터 돔형 커버를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돔형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돔형 카메라 장치는,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 1 회전체에 결합되는 제 2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와 제 1 회전체의 접촉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제 1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해 복수의 접촉 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나머지 한 면에는 상기 접촉 홈에 삽입되는 접촉 돌기가 형성되어, 제 1 회전체가 일정 각도마다 회전 멈춤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중 공지된 구성 및 그 구성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돔형 카메라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돔형 카메라 장치 중 돔형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와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돔형 카메라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100)의 설치를 위한 베이스(110)와, 패닝 및 틸팅 촬영을 위한 제 1 및 제 2 회전체(120, 140)와, 카메라 장치(100)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150)를 보호하기 위한 돔형 커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카메라(150)가 고정되는 거치대(170) 및 상기 제 2 회전체(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카메라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돔형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돔형 카메라 장치 중 베이스만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돔형 카메라 장치(100)의 최하부에 위치되어 설치 시 천장 또는 벽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원기둥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112), 즉 제 1 회전체(120)의 일부가 삽입/결합되는 공간(112)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돔형 카메라 장치(100)를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하는 나사가 관통되는 복수의 결합구(114)가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공간(112)의 바닥면에는 상기 베이스(110)와 제 1 회전체(120) 결합 시 제 1 회전체(120)의 회전 중심축이 되는 결합 돌기(116)와, 제 1 회전체(120)가 일정 각도마다 회전을 멈추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접촉 홈(11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116)와 접촉 홈(118)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결합 돌기(116)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베이스(110)의 바닥면 중앙에서 상향 돌출되고, 그 상부에는 결합 돌기(116)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슬릿(Slit, 116s)이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116)의 상부에는 그 상단에서 하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걸림턱(116c)이 형성된 다.
여기서 상기 슬릿(116s)은 상기 베이스(110)가 제 1 회전체(12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걸림턱(116c)은 베이스(110)에 결합된 제 1 회전체(12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슬릿(116s)과 걸림턱(116c)을 이용한 결합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접촉 홈(118)은 그 종단면 형상이 V자로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 돌기(116)에 대해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접촉 홈(11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회전체(120)를 일정 각도마다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되,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공간(116)의 바닥면과 대면하는 제 1 회전체(120)의 하면에 접촉 홈(118)과 대응되는 접촉 돌기(132)가 마련되어야 한다. 상술한 접촉 홈(118)과 접촉 돌기(132)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패닝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 홈(118)의 개수가 36개일 경우 상기 제 1 회전체(120)는 10도마다 회전 멈춤이 가능하고, 접촉 홈(118)의 개수가 72개일 경우 제 1 회전체(120)는 5도마다 회전 멈춤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접촉 홈(118)의 개수를 증대시키면 그 만큼 다양한 패닝각도를 얻을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회전체(120)는 상기 베이스(110)와 결합되어 카메라(150)의 촬영 각도(패닝각도)를 변경하거나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그 일부가 상기 베이스(110)에 삽입/결합된다. 그 형상은 상기 베이 스(110)와 유사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150)를 포함하는 제 2 회전체(14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체(120)에는 상기 제 2 회전체(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124)와, 제 2 회전체(140)의 회전을 제한함과 동시에 일정 각도마다 회전 멈춤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대(126)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체(120)의 하면 부재에는 상기 베이스(110)에 형성된 결합 돌기(116)가 관통/결합되는 결합공(128)과 상술한 접촉 돌기(132) 한 쌍이 18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24)와 고정대(126)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124)는 상기 제 1 회전체(120)의 양측면에서 각각 상향 돌출되고, 그 내부에는 노브(180)가 관통/결합되는 결합공(124h)이 형성된다. 상기 각 지지대(124)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공(124h)은 동일한 축선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회전체(140)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노브(180)를 조작하면 상기 제 2 회전체(140)와 그에 결합된 카메라(150)가 함께 회전되어 촬영 각도(틸팅각도)가 변경된다. 이때, 상기 노브(180)의 일단면에는 소정의 홈(182)이 형성되는 바, 상기 홈(182)에 동전을 삽입시키고 동전을 돌리면 카메라(150)의 촬영 각도(틸팅각도)를 변경시킬 있다. 물론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조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고정대(126)는 상기 제 1 회전체(120)의 바닥면에서부터 소정 높이 상향 돌출되고, 그 상단에는 스토퍼(126s)와 접촉 돌기(126p)가 마련된다. 상기 스 토퍼(126s)는 상기 제 2 회전체(14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고, 상기 접촉 돌기(126p)는 제 2 회전체(140)가 일정 각도마다 회전 멈춤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한편, 상기 제 1 회전체(120)의 상부에는 그 내부 공간(122)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카메라(150)를 보호하기 위하여 돔형 커버(16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돔형 커버(160)의 일측은 상기 제 1 회전체(120)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돔형 커버(160)에 형성된 걸고리(134)를 통해 상기 제 1 회전체(120)에 걸림 고정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134)의 선단에는 걸림턱(138)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38)이 삽입되는 제 1 회전체(120) 상에는 버튼(136)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136) 누름 시 걸고리(134)는 제 1 회전체(120)로부터 고정 해제된다. 상기 걸고리(134)와 버튼(136)을 이용한 걸림 고정 및 고정 해제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회전체(140)는 상기 카메라(150)의 촬영 각도(패닝각도)를 변경하거나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제 1 회전체(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부재(142)와 상기 수평부재(142)의 양단에서 각각 하향 절곡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1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44)의 상부에는 카메라(150) 및 복수의 적외선 엘이디(152)가 장착되는 거치대(170)가 결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거치대(170)는 상술한 바 와 같이 적외선 엘이디(152)의 장착이 가능한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엘이디가 필요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되는 돔형 카메라 장치에는 엘이디 장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144)의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146)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146) 주변에는 상기 스토퍼(126s)와 대응되는 이탈 방지 돌기(144p)가 마련되며, 그 하단에는 상기 접촉 돌기(126p)와 대응되는 복수의 접촉 홈(144g)이 하단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돔형 카메라 장치 중 제 1 회전체와 제 2 회전체 사이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사시도로, 도 6을 참조하여 제 1 회전체와 제 2 회전체 사이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회전체(140)는 지지대(124)의 결합공(124h)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노브(도 4의 180)에 의해 상기 지지대(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노브(180)를 조작하면 상기 제 2 회전체(140)와 그에 결합된 카메라(150)가 함께 회전하며 카메라(150)의 촬영 각도(틸팅각도)가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회전체(140)의 수직부재(144) 하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촉 홈(144g)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 홈(144g)에는 고정대(126)에 형성된 접촉 돌기(126p)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회전체(140), 즉 카메라(150)를 포함하는 제 2 회전체(140)는 상기 접촉 홈(144g))과 접촉 돌기(126p)에 의해 회전 멈춤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원리는 상기 베이스(110) 및 제 1 회전체(120)에 마련 된 접촉 홈(118) 및 접촉 돌기(132)와 동일한 원리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대(126) 상단에 마련된 스토퍼(126s)는 상기 제 2 회전체(140) 결합 시 수직부재(144)의 측면에 마련된 한 쌍의 이탈 방지 돌기(144p) 사이에 위치되는 바, 제 2 회전체(140)가 정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될 경우 상기 이탈 방지 돌기(144p)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토퍼(126s)와 접촉되어 제 2 회전체(14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돔형 카메라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돔형 카메라 장치는, 커버를 개방하지 아니하고도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촬영 각도를 상하, 좌우로 쉽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와 제 1 회전체 사이, 그리고 제 1 회전체와 제 2 회전체 사이에 접촉 홈과 접촉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카메라가 특정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돔형 커버는 제 1 회전체에 마련된 버튼에 의해 원터치로 개방되는 바, 베이스에 힌지부로 연결되어 돔형 커버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렌즈 포커스 조절이 용이하며 아울러 돔형 커버의 결합이 간편하다.

Claims (12)

  1.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전체(120); 및
    상기 제 1 회전체(120)의 회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 1 회전체(120)에 결합되는 제 2 회전체(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10)와 제 1 회전체(120)의 접촉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제 1 회전체(120)의 회전축에 대해 복수의 접촉 홈(118)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나머지 한 면에는 상기 접촉 홈(118)에 삽입되는 접촉 돌기(132)가 형성되어, 제 1 회전체(120)가 일정 각도마다 회전 멈춤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의 접촉면에는 결합 돌기(116)가 상향 돌출되고, 상기 제 1 회전체(120)의 접촉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116)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1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116)의 둘레 면에는 결합 돌기(116)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16s)가 형성되고, 결합 돌기(116)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공(128)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6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120)의 바닥면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지지대(124)가 상향 돌출되고, 상기 제 2 회전체(140)의 양 측면에는 결합 돌기(146)가 각각 돌출되며, 제 1 회전체(120)와 제 2 회전체(140) 결합 시 상기 결합 돌기(146)는 상기 지지대(124)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체(140)는 수평부재(142)와 상기 수평부재(142) 양단에 마련되는 수직부재(144)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44) 외측면에 상기 결합 돌기(146)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146)에는 상기 수직부재(144)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노브(180)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노브(180) 조작 시 상기 제 2 회전체(140)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144)의 하단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테두리에는 복수의 접 촉 홈(114g)이 형성되며, 수직부재(144)의 하부에는 상기 접촉 홈(114g)에 삽입되는 접촉 돌기(126p)를 포함하는 고정대(126)가 마련되어, 상기 제 2 회전체(140)가 일정 각도마다 회전 멈춤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체(14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이탈 방지 돌기(144p)와 스토퍼(126s)가 상기 수직부재(144)와 상기 고정대(126)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돌기(144p)는 소정 거리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126s)는 상기 이탈 방지 돌기(144p) 사이에 위치되며 이탈 방지 돌기(144p)의 회전 궤적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12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돔형 커버(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돔형 커버(160)의 하부 외주면 상에는 걸고리(134)가 하향 돌출되고, 그 선단에는 걸림턱(138)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38)은 제 1 회전체(120)와의 결합 시 상기 제 1 회전체(120)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120)에는 걸림 고정된 상기 걸림턱(138)을 고정 해제시키기 버튼(136)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카메라 장치.
KR1020060072759A 2006-08-01 2006-08-01 돔형 카메라 장치 KR20080011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759A KR20080011962A (ko) 2006-08-01 2006-08-01 돔형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759A KR20080011962A (ko) 2006-08-01 2006-08-01 돔형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962A true KR20080011962A (ko) 2008-02-11

Family

ID=3934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759A KR20080011962A (ko) 2006-08-01 2006-08-01 돔형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196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6679A1 (en) * 2008-05-08 2009-11-12 C-Pro Electronics Co., Ltd Support device for camera modules
KR100984837B1 (ko) * 2008-12-09 2010-10-01 비경시스템주식회사 감지기 고정 브라켓
KR100987110B1 (ko) * 2008-12-12 2010-10-12 (주)씨프로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KR101011634B1 (ko) * 2009-03-31 2011-01-31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원터치방식으로 조립성이 개선된 돔형 감시카메라
KR200452721Y1 (ko) * 2009-04-03 2011-03-16 정성호 돔형 감시카메라의 장착 구조
CN102540645A (zh) * 2011-12-08 2012-07-04 李友勇 一种安装快捷方便的摄像机
KR101722621B1 (ko) * 2015-12-16 2017-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식 거치대
US10495952B2 (en) 2018-04-24 2019-12-03 Hanwha Techwin Co., Ltd. Lens bracket for security camera and security camera having the sam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6679A1 (en) * 2008-05-08 2009-11-12 C-Pro Electronics Co., Ltd Support device for camera modules
KR100950733B1 (ko) * 2008-05-08 2010-04-01 (주)씨프로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US8379089B2 (en) 2008-05-08 2013-02-19 C-Pro Electronics Co., Ltd. Support device for camera modules
KR100984837B1 (ko) * 2008-12-09 2010-10-01 비경시스템주식회사 감지기 고정 브라켓
KR100987110B1 (ko) * 2008-12-12 2010-10-12 (주)씨프로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KR101011634B1 (ko) * 2009-03-31 2011-01-31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원터치방식으로 조립성이 개선된 돔형 감시카메라
KR200452721Y1 (ko) * 2009-04-03 2011-03-16 정성호 돔형 감시카메라의 장착 구조
CN102540645A (zh) * 2011-12-08 2012-07-04 李友勇 一种安装快捷方便的摄像机
KR101722621B1 (ko) * 2015-12-16 2017-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식 거치대
US9690173B1 (en) 2015-12-16 2017-06-27 Lg Innotek Co., Ltd. Rotating mount
US10495952B2 (en) 2018-04-24 2019-12-03 Hanwha Techwin Co., Ltd. Lens bracket for security camera and security camera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1962A (ko) 돔형 카메라 장치
US8337100B2 (en) Dome security camera
KR102005977B1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KR101899489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KR101011269B1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KR100775203B1 (ko) 돔 카메라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KR102498194B1 (ko)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하는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AU2022224774B2 (en) Triaxial dome-type surveillance camera
KR101899494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석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KR200451628Y1 (ko)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200277709Y1 (ko)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KR102381195B1 (ko) 원포인트 나사 조정으로 틸트와 로테이션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돔 타입 cctv 장치
KR200352632Y1 (ko) 감시 카메라장치의 카메라 모듈 고정용 홀더
KR100913392B1 (ko) 카메라 틸팅 장치
JP2011193260A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2498196B1 (ko) 난반사 제거를 위한 버블 구조를 갖는 ptz 카메라 장치
KR200361958Y1 (ko) 감시 카메라장치의 카메라 모듈 고정용 홀더
KR200252099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돔 카메라
KR200380960Y1 (ko) 감시 카메라장치의 카메라 모듈 고정용 홀더
KR100731200B1 (ko) 감시용 카메라
TWI777851B (zh) 多功能防盜攝影盒
KR200189102Y1 (ko) 미러를 이용한 다방향 감시 카메라
KR200446255Y1 (ko)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회전체
KR101032985B1 (ko)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