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110B1 -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110B1
KR100987110B1 KR1020080126209A KR20080126209A KR100987110B1 KR 100987110 B1 KR100987110 B1 KR 100987110B1 KR 1020080126209 A KR1020080126209 A KR 1020080126209A KR 20080126209 A KR20080126209 A KR 20080126209A KR 100987110 B1 KR100987110 B1 KR 100987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mera module
spin
rotation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704A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주)씨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프로 filed Critical (주)씨프로
Priority to KR102008012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110B1/ko
Priority to PCT/KR2009/000555 priority patent/WO2010067920A1/en
Publication of KR2010006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19Details of ca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을 둘러싸는 외부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고도 카메라 모듈을 상하(pan)회전, 스핀회전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을 내측에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끼워진 채로 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대향하는 외측면에 회전지지체의 결합구에 끼워질 두 개의 휠이 형성되는 제2 중간지지체와 상기 제2 중간지지체와 결합하고, 상기 몸체가 얹힌 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걸침턱이 내측에 형성되는 후방커버와 상기 제2 중간지지체의 홈에 삽입되어 스핀방향의 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제2 중간지지체의 휠이 끼워질 두 개의 결합구가 형성된 회전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가 제시된다.
카메라, 모듈, 지지장치, 회전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Case devices for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을 둘러싸는 외부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고도 카메라 모듈을 상하(pan)회전, 스핀회전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는 베이스 지지구, 중간 지지체, 하부 지지체 및 상부 지지체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베이스 지지구(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 결합구(11, 12)에 제1지지체(20)의 외측에 형성된 회전 결합부(21, 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제1지지체(20)는 베이스 지지구(10)의 내측 공간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체(2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구(23, 24)에 제2지지체(30)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31, 32)가 각각 결합되어 제1지지체(20)의 내측 공간부에 상기 제2지지체(30)가 위치하는데, 상기 제2지지체(30)는 제1지지체(20)와 직각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체(30)의 상부면에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됨으로써 카메라 모듈(4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는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20, 30)가 서로 직각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지만, 제2지지체(30)의 상부에 카메라 모듈(40) 자체의 수평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한 제약성을 가져온다.
즉, 카메라의 상하 방향은 정해져 있으나 카메라가 설치되는 현장 상황에 따라 90도 정도 눕혀져 카메라가 설치되는 경우에 화면에도 마찬가지로 90도 틀어진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카메라 자체의 수평 회전각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긴다.
도 2는 등록특허 10-0596624인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등록특허의 경우 카메라의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카메라의 설치 각도에 구애를 받지 않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이나 카메라 모듈 각도 조절시 분해를 하여 각도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시에도 외부에서 카메라 모듈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의 조립이 끝난 후에 카메라 모듈에 대한 각도 조절시 다시 분해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하게 되어 일의 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의 회전을 위하여 카메라 모듈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고도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관점으로서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을 내측에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끼워진 채로 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대향하는 외측면에 회전지지체의 결합구에 끼워질 두 개의 휠이 형성되는 제2 중간지지체와 상기 제2 중간지지체와 결합하고, 상기 몸체가 얹힌 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걸침턱이 내측에 형성되는 후방커버와 상기 제2 중간지지체의 홈에 삽입되어 스핀방향의 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제2 중간지지체의 휠이 끼워질 두 개의 결합구가 형성된 회전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가 제시되고,
제2 관점으로서,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의 스핀회전을 위한 두개의 톱니바퀴로 이루어진 스핀헬리컬기어를 갖는 스핀회전부와, 스핀방향의 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핀회전부와 결합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지지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지지부를 포위하는 외부케이스부와; 상기 외부케이스부에 설치되는 스핀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레버는 상기 스핀헬리컬기어의 어느 하나의 톱니바퀴에 상기 스핀레버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핀레버의 회전에 의한 상기 스핀헬리컬기어의 작동으로 상기 스핀회전부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이 스핀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회전을 위한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을 천정이나 벽 등에 설치하거나 카메라 모듈이 천정이나 벽 등에 설치되어있는 경우에는 그 효용성이 더욱 뛰어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그 구성은 회전지지체(700),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체(700)와 결합되는 회전체로 구성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카메라모듈을 내측에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끼워진 채로 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대향하는 외측면에 회전지지체의 결합구에 끼워질 두 개의 휠이 형성되는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와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와 결합하고, 상기 몸체가 얹힌 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걸침턱이 내측에 형성되는 후방커버(800)와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의 휠이 끼워질 두 개의 결합구가 형성된 회전지지체(7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카메라모듈과 결합하고, 상기 걸침턱에 얹히는 하단지지체(900)와 상기 하단지지체(900)와 결합하는 중간지지체(1100)와 상기 중간지지체(1100)와 결합하는 스핀회전지지체(1300,상단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는 상기 스핀회전지지체(13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진 채로 상기 스핀회전지지체(1300)와 상기 중간지지체(11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지지체(700)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환상 형태로서, 상면에는 상부쪽으로 입설된 상하회전지지체결합구(720, 750)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돔삽입체결합공(710)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회전지지체결합구(720, 750)의 각각의 상부에는 상하회전지지체(1200)의 웜휠(1210) 또는 스핀헬리컬기어(1700)의 상하회전지지체결합구홈(1740)이 나뉘어 끼워지고, 상기 상하회전지지체결합구(720,750)의 상부 일 측에는 팬웜(1600)이 끼워져 결합하기 위한 팬웜결합부(740)가 상하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웜결합부(740) 사이에는 상기 팬웜(1600)의 나사부가 개방된 채로 결합하게 하는 홈(730)이 형성된다. 상기 팬웜(1600)과 상기 웜휠(1210)이 결합하여 웜기어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팬윔(1600)과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와 스텝퍼(1320)가 결합하여 스핀스퍼기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는 내부가 빈 반구 형태인 후방 커버(800)와, 상기 후방 커버와 결합하는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와, 상기 상하회전지지체의 내면에 하부가 끼워지는 스핀회전지지체(1300)와,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 하부 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핀회전지지체(1300)와 결합하는 중간지지체(1100)와, 카메라모듈(1000) 및 상기 중간지지체와 결합하고 상기 후방 커버에 하부가 걸쳐 끼워지는 하단지지체(9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 커버(8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태로서, 구면에는 절개홈(810)이 형성되어 있고, 원형의 개구 주변에는 외측에 상부로 입설되고 내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외부결합봉(8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커버(800)의 원형 개구부 내측이 오목하게 파여 형성된 걸침턱(840)이 있고, 이 걸침턱(840)에 상기 하단지지체(900)의 하부원형판(930)이 걸쳐 끼워지게 되어 걸침턱(840)을 따라 하단지지체가 스핀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단지지체(900)는, 하부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환상 형태의 하부원형판(930)이고 이 하부원형판의 외측에는 결합 나사, 결합 볼트 등이 결합될 결합공(9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사각형의 기둥이고 사각기둥의 상부 모퉁이에는 카메라모듈을 결합시킬 결합나사 등이 결합될 결합공(9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지지체(1100)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환상 형태로서, 내주면에는 상기 하단지지체(900)의 결합공(910)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을 갖는 돌출결합구(1110)가 형성된다. 또한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1800)가 이홈에 결합되어 스핀회전방향이 380도가 넘을수 없게 제어한다.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환상형태로서, 외주면에는 상기 후방커버(800)의 외부결합봉(820)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을 갖는 돌출결합구(1220)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지지체(700)의 상하회전지지체결합구(720, 7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웜휠(1210) 및 고정휠(1240)이 각각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면을 따라 일부에 스토퍼조절홈(1260)이 있어 상기 스토퍼(1800)의 외주면에 돌출된 홈이 상기 스토퍼조절홈(1260)의 양끝단에 걸려 스핀방향으로 380도가 넘을수 없게 된다.
상기 스핀회전지지체(1300,상단지지체)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환상형태로서, 상부측 외주면의 밑면에는 스핀헬리컬기어(1710)의 스핀기어(1720)와 맞물려 스핀스퍼기어를 형성할 톱니바퀴로 된 스텝퍼(1320)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측 외주면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하부측 외주면은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중간지지체(1100)의 결합구(1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을 갖는 결합구(1310)가 돌출되어 있다.
도 14는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는 원형판으로서 큰원형판의 외주면을 따라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스핀기어(1720)를 형성하고, 작은 원형판의 외주면을 따라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헬리컬기어(1710)가 형성된다. 큰원형판의 한쪽면에는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의 고정휠(1240)이 끼워질 원형홈이 형성되어 있고, 작은 원형판의 한쪽면에는 상기 회전체지지체(700)의 상하회전지지체결합구에 결합할 원형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는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팬웜(pan worm)(1600)은 원통형의 기둥모양으로서, 상측에 나사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나사선상하측부가 상기 회전지지체(700)의 상하회전지지체 결합구 중 윔휠(1210)이 결합될 결합구(720)의 팬웜결합구(740)에 끼워져 결합된다.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에 형성된 결합공(1010, 1020)과 상기 하단지지체의 결합공(920)을 함께 결합하는 결합나사 또는 결합볼트 등의 결합수단(1030)을 통해 상기 하단지지체(900)에 결합된다.
위에서 살펴본 각 구성 요소들은 다음과 같이 결합하게 된다.
먼저, 상기 스핀회전지지체(1300)와 상기 중간지지체(1100)와 상기 하단지지체(900)는 대응하는 결합구(1310, 1110)의 결합공 및 결합공(910)에 나사나 볼트 등의 결합수단(1330)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일체(제1 결합체)가 된다.
또한,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와 상기 후방커버(800)는 대응하는 결합구(1220) 및 외부결합봉(820)에 나사나 볼트 등의 결합수단(1230)에 의해 상호 결합(제2 결합체)된다.
이때, 상기 하단지지체의 하부원형판(930)은 상기 후방커버의 걸침턱(840)에 걸쳐 끼워져 결속되므로 하단지지체가 하부로 내려가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상기 스핀회전지지체(1300)의 하부가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의 내면에 밀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제1 결합체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중간지지체(1100)의 외주지름은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의 내주지름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1 결합체가 상기 제2 결합체의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핀회전지지체(1300)의 상부의 외주지름이 상하회전지지체의 내주지름보다 크므로 상기 제1 결합체가 상기 제2 결합체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서로 스핀회전이 자유롭게 결속되어 있는 일체의 회전체가 된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하단지지체(900)에 결합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스핀회전지지체, 상기 상하회전지지체, 상기 중간지지체의 각 중공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의 고정휠(1240) 및 웜휠(1210)은 각각 대응하는 회전지지체의 결합구(720, 750)에 각각 끼워져 결합하므로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로 이루어진 회전체는 상기 회전지지체와 결속된다.
도 4는 이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결합상태의 카메라모듈지지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을 스핀(spin)회전시키거나 상하회전(pan)시키기 위한 작동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스핀회전을 보면, 상기 팬웜(160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와 맞물려 있는 스텝퍼(1320)의 회전으로 상기 스핀회전지지체(1300)가 회전하게 되고, 이 스핀회전지지체와 상기 중간지지체(1100)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하단지지체(900)가 회전하게 되어, 결국 상기 하단지지체(900)와 결합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이 스핀회전하게 된다. 즉, 팬웜(1600), 스핀헬리컬기어(1700), 스핀회전지지체(1300), 중간지지체(1100), 하단지지체(900)는 스핀회전부를 구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하회전(pan)을 보면, 상기 팬웜(16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웜휠(1210)이 회전하게 되고, 웜휠과 일체인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가 상기 윔휠(1210)과 상기 고정휠(1240)을 잇는 축을 중심으로 상하회전(pan)하게 되고, 상기 상하회전지지체와 결속되어 일체가 되어 있는 상기 하단지지체 및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하회전(pan)하게 된다. 즉, 팬웜(1600),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 하단지지체(900), 중간지지체(1100)는 상하회전부를 구성하게 된다.
도 5는 스핀헬리컬기어(1700)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의 스핀회전을 조절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가 상기 스핀회전지지체의 스텝퍼(1320)에 맞물려 있어서 카메라모듈을 380도 범위에서 스핀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팬웜에 의해서 카메라모듈의 상하회전을 조절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상하회전지지체(1200, 제2 중간지지체)의 웜휠(1210)이 상기 상하회전지지체결합구(7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팬웜이 상기 웜휠(1210)과 맞물리므로 팬웜의 회전에 의해서 카메라모듈의 연직각이 0도에서 90도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도 16은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가 상기 회전지지체(700)의 상하회전지지체결합구(750)에 결합되어 상기 팬웜(160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가 회전하고 상기 스핀헬리컬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핀회전지지체(1300)의 스텝퍼(1320)가 회전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상기 스토퍼(1800)가 스토퍼조절홈(126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는 도 3에서 설명한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가 일 요소로 포함된다.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는 카메라모듈지지부(도 3의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를 의미함)와 외부케이스부로 구성된다. 외부케이스부는 베이스지지구,베이스결합체, 베이스결합체덮개, 돔가스킷, 돔덮개, 돔삽입체로 이루어진다.
베이스지지구(100)는 원형 관 형태로서, 측면의 일부에는 카메라모듈의 기능을 조절할 카메라모듈 제어부(1700)가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환상형태의 카메라모듈제어부손잡이(1400)를 지지할 반원형의 외부구멍(110)이 형성되고, 하부 바닥부에는 천장이나 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지지구의 하부내주면에는 환형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결합체(200)는 하부가 막힌 원형 관 형태로서, 상부면에는 베이스지지구덮개(300)의 베이스결합공(310)과 베이스고정볼트(320)에 의해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결합공(210)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일부에는 상기 베이스지지구(100)의 카메라모듈제어손잡이를 위한 내부구멍(22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홈(270)이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결합체(200)가 베이스지지구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끼워질 때 이 가이드홈(270)에 상기 베이스지지구의 환형돌출부(120)가 끼워지게 되고, 이 가이드홈(270)을 따라 상기 베이스결합체(200)가 베이스지지구(100)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 가이드홈(270) 및 환형돌출부(120)의 상호 작용에 의해 베이스결합체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베이스결합체의 내주면에는 돔삽입체의 돌출부(540), 돔가스킷의 돌출 부(410)가 얹힐 내부턱(29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일정 영역에는 돔가스킷의 돌출편(420)이 끼워질 돌출편홈(280)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측에는 전압공급부와 카메라제어회로가 위치하게 된다.
돔덮개(600)는 투명한 재질로 된 반구 형태로서, 내부에 반구 모양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반구 모양의 빈 공간에 돔삽입체(500)가 끼워지게 되고, 하부의 개구 주변으로 환형의 돌출부(62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20)의 하면에는 소정 위치에 작은 돌기(610)가 형성되어 있다.
돔삽입체(5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태로서, 일측에 카메라모듈의 상하회전(pan) 영역에 대응하는 절개홈(550)이 형성되고, 하부의 개구 주변에는 환형의 돌출부(54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40)에는 상기 돔덮개의 돌기(610)가 끼워질 홈(5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540)에는 상기한 회전지지체(700)의 결합공(710)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510)이 형성되어 이 결합공(510, 710)을 상호 결합하는 나사 또는 볼트 등의 결합수단(520)에 의해 상기 돔삽입체(500)와 상기 회전지지체(70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540)의 하면에는 소정 위치에 하면돌기(5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면돌기(570)는 돔가스킷(400)의 홈(470)에 끼워지게 된다. 이로써 돔가스킷과 카메라모듈지지부가 상기 돔삽입체를 중간 매개로 결합되어 돔가스킷의 회전에 따라 카메라모듈지지부가 회전하게 된다.
돔가스킷(400)은 중공부를 갖는 환상형태로서, 그 재질은 탄성 재질이고, 하 부에는 환형의 돌출부(41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측으로 환형의 걸림돌출부(43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10)의 일정 영역에는 상기 베이스결합체의 돌출편홈(230)에 끼워질 돌출편(420 ,도 8 참조)이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소정영역에 스핀레버 및 팬레버의 통과를 위한 홈(440-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의 상부측에는 상기 돔덮개의 돌출부(620)와 상기 돔삽입체의 돌출부(540)가 끼워질 홈(480)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의 하부측에는 소정 위치에 상기 돔삽입체의 돌출부(540)의 하면돌기(570)가 끼워질 홈(470)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작은 원그림은 돔가스킷의 일부 단면도이다.
상기 돔가스킷(400)은 상기 걸림돌출부(430)가 상기 돔덮개(600)의 돌출부(620)를 위에서 덮은 채로 환형의 돌출부(410)가 상기 베이스결합체(200)의 내부턱(290)에 얹힌다.
베이스결합체덮개(300)는 중공부를 갖는 환상형태로서, 상기 베이스결합체(200)의 결합공(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310)이 형성되어 결합공(310, 210)에 결합되는 나사 또는 볼트 등의 결합수단(320)에 의해 베이스결합체(200)와 결합되고, 소정 영역에 상기 카메라모듈의 스핀회전을 시키기 위한 스핀레버(330)와 상기 카메라모듈의 상하회전(pan)을 시키기 위한 팬레버(340)가 끼워질 관통홈(330-1, 34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결합체덮개(300)의 내측부분이 상기 돔가스킷의 환형돌출부(410)를 위에서 덮은 채로 상기 베이스결합체와 결합하므로 상기 돔가스킷(400)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카메라모듈제어부손잡이를 베이스지지구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의 분해없이 상기 카메라모듈제어부손잡이에 붙어 있는 회로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듈의 기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중 베이스지지구와 베이스결합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아래에서 본 결합사시도이다.
도 8에는 스핀와이어(1800)와 팬와이어(1900)가 각각 팬웜(1600)과 스핀레버(330) 간에, 팬웜(1600, 도면관계상 미도시)과 팬레버(340) 간에 연결된 모습이 보여지고 있다. 각각의 와이어의 재질은 강철로서, 실타래 같은 강철이 다수 가닥 서로 꼬여 이루어진 것이고, 카메라모듈의 스핀회전 또는 상하회전을 행하기 위하여 스핀레버 또는 팬레버를 회전시킨다 하여도 와이어의 꼬임 현상이 없이 그 회전력이 각각의 팬웜에 전달되므로 카메라모듈의 연직각(상하회전에 의해 형성된 각) 또는 스핀회전각(스핀회전에 의해 형성된 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중 베이스지지구와 베이스결합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위에서 본 결합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돔덮개(600)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10은 도 7의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중 일부 결합도이다. 즉, 상기 베이스지지구(100)에 베이스결합체(200)가 끼워져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모듈제어부손잡이(1400)가 상기 베이스지지구(100)의 외부구멍(110) 및 상기 베이스결합체의 내부구멍(220)을 관통하여 베이스결합체(200)의 내부에 설치된 모습도 보여준다.
도 11은 도 7의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에서 돔덮개를 제외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핀레버를 이용해서 카메라모듈을 스핀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드라이버 등으로 스핀레버(3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핀와이어(1800)가 회전하게 되고 스핀와이어가 꼬임 현상 없이 그 회전력을 팬웜(1600)에 전달하여 팬웜(1600)이 회전하고, 이 팬웜(1600)에 맞물린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가 회전하고,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와 맞물린 스텝퍼(1320)가 회전하게 되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이 스핀회전하게 된다. 최대 회전각은 380도이다.
이 스핀회전으로 인하여, 천정이나 벽에 설치시 카메라에 맺히는 상기 거꾸로 맺히거나 눕혀서 맺힐 경우에 외부의 지지장치의 분해없이 외부의 스핀레버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듈을 스핀회전시켜 카메라에 맺힌 상의 모습을 정상적인 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팬레버(340)를 회전시키면 팬와이어(1900)가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력이 그대로 팬웜에 전달되어 팬웜이 회전하게 되고, 이 팬웜에 맞물린 웜휠이 회전하게 되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이 상하회전(pan)하게 된다. 최대 회전각은 90도이다.
도 13은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중 베이스결합체를 회전시켜 카메라모듈의 수평주시각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베이스지지구(100)가 벽이나 천정 등에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지지구에 끼워져 결합된 베이스결합체(200)와 나사 등으로 결합된 베이스결합체덮개(300)를 회전시키면 베이스결합체덮개와 결합된 베이스결합체가 회전하고 이 베이스결합체와 결합된 돔가스킷이 함께 회전하며, 이 돔가스킷과 돔삽입체를 매개로 결합된 카메라모듈지지부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카메라모듈의 수평주시각이 변하게 된다. 이로써, 카메라로 주시하고자 하는 수평방향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한국등록특허 10-0596624인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스핀헬리컬기어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의 스핀회전을 조절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팬웜에 의해서 카메라모듈의 상하회전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중 베이스지지구와 베이스결합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아래에서 본 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중 베이스지지구와 베이스결합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위에서 본 결합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중 일부 결합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에서 돔덮개를 제외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핀레버를 이용 해서 카메라모듈을 스핀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중 베이스결합체를 회전시켜 카메라모듈의 수평주시각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가 상기 회전지지체(700)의 상하회전지지체결합구(750)에 결합되어 상기 팬웜(160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핀헬리컬기어(1700)가 회전하고 상기 스핀헬리컬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핀회전지지체(1300)의 스텝퍼(1320)가 회전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상기 스토퍼(1800)가 스토퍼조절홈(126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베이스지지구 200 : 베이스결합체
300 : 베이스결합체 덮개
330 : 스핀레버 340 : 팬레버
400 : 돔가스킷
500 : 돔삽입체 600 : 돔덮개
700 :회전지지체
720, 750 : 상하회전지지체결합구
800 : 후방커버
900 : 하단지지체 1000 : 카메라모듈
1100 : 중간지지체 1200 : 상하회전지지체
1260 : 스토퍼조절홈
1300 : 스핀회전지지체 1320 : 스텝퍼
1210 : 웜휠
1600 : 팬웜 1700 : 스핀헬리컬기어
1710 : 헬리컬기어 1720 : 스핀기어
1730 : 고정휠결합홈 1740 : 상하회전지지체결합구홈
1800 : 스토퍼

Claims (10)

  1.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을 내측에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끼워진 채로 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대향하는 외측면에 회전지지체의 결합구에 끼워질 두 개의 휠이 형성되는 제2 중간지지체와;
    상기 제2 중간지지체와 결합하고, 상기 몸체가 얹힌 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걸침턱이 내측에 형성되는 후방커버와;
    상기 제2 중간지지체의 홈에 삽입되어 스핀방향의 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제2 중간지지체의 휠이 끼워질 두 개의 결합구가 형성된 회전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카메라모듈과 결합하고, 상기 걸침턱에 얹히는 하단지지체와;
    상기 하단지지체와 결합하는 중간지지체와;
    상기 중간지지체와 결합하는 상단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간지지체는 상기 상단지지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진 채로 상기 상단지지체와 상기 중간지지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 라모듈용 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체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환상형태로서, 상부측 외주면의 밑면에는 톱니모양의 스텝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지지체에 형성된 두 개의 휠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웜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체의 결합구 중 스핀헬리컬기어가 끼워질 결합구의 측부에는 팬웜이 끼워질 팬웜결합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웜에는 일부 영역에 나사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웜의 일부가 상기 팬웜결합구에 끼워지고 상기 스핀헬리컬기어가 상기 팬웜의 나사선부와 맞물리고 상기 스핀헬리컬기어가 상기 상단지지체의 스텝퍼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팬웜의 나사선부와 상기 스핀헬리컬기어와 상기 스텝퍼는 스핀스퍼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팬웜의 회전으로 상기 스핀헬리컬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스핀헬리컬기어의 회전에 의한 상기 스텝퍼의 회전으로 상기 상단지지체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상단지지체와 상기 중간지지체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하단지지체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하단지지체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모듈이 스핀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체의 결합구 중 상기 웜휠이 끼워질 결합구의 측부에는 팬웜이 끼워질 팬웜결합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웜에는 일부 영역에 나사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팬웜의 일부가 상기 팬웜결합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팬웜의 나사선부와 상기 웜휠은 웜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팬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웜휠이 상기 회전지지체의 결합구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웜휠과 일체인 상기 제2 중간지지체가 상하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2 중간지지체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하단지지체 및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하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7.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의 스핀회전을 위한 2개의 톱니바퀴로 이루어진 스핀헬리컬기어를 갖는 스핀회전부와;
    스핀방향의 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핀회전부와 결합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지지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지지부를 포위하는 외부케이스부와;
    상기 외부케이스부에 설치되는 스핀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레버는 상기 스핀헬리컬기어의 어느 하나의 톱니바퀴에 상기 스핀레버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핀레버의 회전에 의한 상기 스핀헬리컬기어의 작동으로 상기 스핀회전부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이 스핀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핀레버와 상기 스핀헬리컬기어의 어느 하나의 톱니바퀴는 다수의 강철 가닥이 서로 꼬여 이루어진 와이어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지지부와 연결되고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베이스지지구 내측에 끼워지는 베이스결합체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환형돌출부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결합체가 상기 베이스지지구내에서 상기 환형돌출부를 따라 회전 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지지부가 회전되어 카메라모듈의 수평주시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10. 청구항 7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부의 측면에는 카메라모듈제어부의 출입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용 지지장치.
KR1020080126209A 2008-12-12 2008-12-12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KR100987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209A KR100987110B1 (ko) 2008-12-12 2008-12-12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PCT/KR2009/000555 WO2010067920A1 (en) 2008-12-12 2009-02-05 Support device for camera modu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209A KR100987110B1 (ko) 2008-12-12 2008-12-12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704A KR20100067704A (ko) 2010-06-22
KR100987110B1 true KR100987110B1 (ko) 2010-10-12

Family

ID=4224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209A KR100987110B1 (ko) 2008-12-12 2008-12-12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7110B1 (ko)
WO (1) WO2010067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57762B1 (en) 2012-04-25 2014-03-26 Axis AB Top cover assembly for a monitoring camera
KR102059697B1 (ko) 2014-08-14 2019-12-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돔 카메라 장치
DE102020113673A1 (de) 2020-05-20 2021-11-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Optisches Erfassungs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620A (ko) * 2001-11-30 2003-09-26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
KR200376620Y1 (ko) 2004-12-03 2005-03-11 김황남 각도 조절이 가능한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
KR20080011962A (ko) * 2006-08-01 2008-02-11 주식회사 비젼아이트 돔형 카메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092B1 (ko) * 2002-10-08 2004-10-12 주식회사 싸이닉스 이중 카메라를 이용한 침입자 추적장치 및 그 방법
US20050195282A1 (en) * 2004-03-04 2005-09-08 David Wei Auto-steering waterproof video camera monitor
KR100651688B1 (ko) * 2004-12-02 2006-12-01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620A (ko) * 2001-11-30 2003-09-26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
KR200376620Y1 (ko) 2004-12-03 2005-03-11 김황남 각도 조절이 가능한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
KR20080011962A (ko) * 2006-08-01 2008-02-11 주식회사 비젼아이트 돔형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704A (ko) 2010-06-22
WO2010067920A1 (en)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733B1 (ko)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JP4902306B2 (ja) 機器支持スタンド
US6698063B2 (en) Hinge assembly for a flat display monitor
KR100987110B1 (ko)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JP2008546034A (ja) 摩擦調整を備えた自動平衡式調整可能マウント・システム
JP2007259453A (ja) 壁掛け型テレビの画面位置調節装置
JP2004522920A (ja) 平面型液晶表示画面用の支持装置
KR20100007682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2000073B1 (ko) 가구용 높낮이조절 받침장치
US9261225B2 (en) Rotary unit apparatus and rotation supporting apparatus
RU2533944C2 (ru) Выравнивающие опоры для бытовых электроприборов
KR10095547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EP1153333B1 (en) Camera leveling head
US20090201661A1 (en) Angle regulating apparatus of a display device
KR100535248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수평 회전 장치
KR20120115831A (ko)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20040089200A (ko)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와 힌지어셈블리
TWM258202U (en) Hanging device and hanging object set using the device
JP4942576B2 (ja) 携帯電話の充電台
KR100497969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CN217283266U (zh) 一种防松动的麦克风支架
JP3466112B2 (ja) 支持装置
KR19990075422A (ko) 틸트 토크가 가변되는 힌지부를 갖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
CN220266393U (zh) 扫雪机出雪筒转动调节结构及扫雪机
JP2524523Y2 (ja) 吐水装置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