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110B1 -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110B1
KR100438110B1 KR10-2001-0052135A KR20010052135A KR100438110B1 KR 100438110 B1 KR100438110 B1 KR 100438110B1 KR 20010052135 A KR20010052135 A KR 20010052135A KR 100438110 B1 KR100438110 B1 KR 10043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s
ball
angle adjusting
brack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415A (ko
Inventor
고윤화
Original Assignee
아프로미디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로미디어 (주) filed Critical 아프로미디어 (주)
Priority to KR10-2001-005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11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촬영장치가 내장된 CCTV용 카메라 본체 및 고정용 브래킷을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는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각도 조절부재는, 소정 길이의 축봉 일단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볼이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축봉의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조립용 볼과; 상기 지지구의 볼 및 상기 조립용 볼을 감싸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반구면이 형성되도록 분할되는 제 1 및 제 2 고정구와 제 1 및 제 2 조임구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와 제 1 및 제 2 조임구가 상호 체결되도록 숫나사와 암나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임구는 지지구의 축봉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에는 상기 카메라 본체 또는 상기 브래킷에 부착되도록 고정구멍이 천공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의 축봉 및 볼 그리고 조립용 볼의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관통공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은, CCTV용 카메라 본체 및 브래킷을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재가 양측의 볼 조인트에 의하여 조정되므로 카메라 본체의 높낮이 및 각도의 조정이 편리하며, 각도 조절부재 내부로 케이블을 매입시킴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단절을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안전하게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A ANGULAR MOTION CONTROLER OF THE CAMERA FOR CCTV}
본 발명은 실내 및/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상황판단을 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에 결합되어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CCTV는 원격지에서 영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어져 왔으며, 이를 위하여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영상송출기와 상기 영상송출기로부터 송신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장치에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부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고정용 CCTV용 카메라는 첨부된 도 5a 및 5b에서와 같이 카메라 본체(1) 및 고정용 브래킷(2) 그리고 상기 본체(1) 및 브래킷(2)을 연결하여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볼 조인트의 각도 조절부재(3)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2)은 소정의 건물의 벽, 천정, 기둥 등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촬영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가 케이블(10)로 전송되어 미도시된 표시장치로 전달된 후 표시부인 모니터를 통하여 현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각도 조절부재(3)는 볼 조인트가 브래킷(2)의 선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그 타단이 본체(1)의 저면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본체(1)의 후면에 결합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각도 조절부재(3)는 일측 하나의 볼 조인트에 의하여 소정 범위의 각도를 조절하는 용도에 한정되며, 특히 상기 본체(1)내의 촬영장치로 연결되는 케이블(10)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타인 등에 의하여 케이블(10)이 절단되어 기능이 마비되는 문제점과, 이를 수리하는 비용의 손실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CCTV용 카메라 본체의 높낮이 및 각도의 조정을 편리하게 하고 케이블을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단절을 방지시켜 항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가 CCTV용 카메라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가 CCTV용 카메라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a,b,c는 도 3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a,b는 종래의 각도 조절장치가 CCTV용 카메라에 결합된 사시도 및 사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본체 2 : 브래킷
3 : 각도 조절부재 4 : 지지구
5,5' : 고정구 6,6' : 조임구
7 : 조립용 볼 43 : 볼
9,9' : 관통공
영상 촬영장치가 내장된 CCTV용 카메라 본체 및 고정용 브래킷을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는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재는, 소정 길이의 축봉 일단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볼이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축봉의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조립용 볼과; 상기 지지구의 볼 및 상기 조립용 볼을 감싸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반구면이 형성되도록 분할되는 제 1 및 제 2 고정구와 제 1 및 제 2 조임구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와 제 1 및 제 2 조임구가 상호 체결되도록 숫나사와 암나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임구는 지지구의 축봉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에는 상기 카메라 본체 또는 상기 브래킷에 부착되도록 고정구멍이 천공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의 축봉 및 볼 그리고 조립용 볼의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관통공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에 의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각도 조절장치로서, 부호 1은 영상 촬영장치가 내장된 CCTV용 카메라 본체(1), 2는 고정용 브래킷(2), 3은 상기 본체(1) 및 브래킷(2)을 연결하여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재(3), 10은 카메라 본체(1) 및 미도시된 영상 표시장치로 연결되는 케이블(10)이다.
상기 카메라 본체(1)의 후단에는 상기 케이블(10)이 삽입되는 구멍(11)이 중앙에 천공되고 상기 구멍(11)의 외측에는 다수의 암나사(12)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각도 조절부재(3)의 일단을 부착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브래킷(2)은 상기 케이블(10)이 삽입되는 구멍(21)이 중앙에 천공되고 상기 구멍(21)의 외측에는 다수의 암나사(22)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각도 조절부재(3)의 타단을 부착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그 외측에 천공된 나사공(23)들을 이용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나사못(8)으로 부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각도 조절부재(3)는 지지구(4), 한 조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고정구(5,5') 및 제 1 및 제 2 조임구(6,6') 그리고 조립용 볼(7)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구(4)는 일단에 숫나사(42)가 형성되고 타단에 볼(43)이 일체로 형성되는 축봉(4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봉(41)은 3~10㎝ 범위 내의 길이와 1~2㎝의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또 상기 볼(43)은 축봉(41)의 직경에 대해 2~2.5배 크게 형성된다.
상기 조립용 볼(7)은 상기 지지구(4)의 축봉(41) 타단에 형성된 숫나사(42)에 체결되도록 암나사가(71)가 형성되고, 크기는 상기 지지구(4)의 축봉(41)에 일체로 형성된 볼(43)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5,5')와 제 1 및 제 2 조임구(6,6')는 상기 지지구(4)의 볼(43) 및 상기 조립용 볼(7)을 감싸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반구면이 각각 형성되며 한 조를 이루도록 분할 형성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5,5')와 제 1 및 제 2 조임구(6,6')가 상호 체결되도록 제 1 및 제 2 고정구(5,5')에는 숫나사(51,51')가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조임구(6,6')의 내경에는 암나사(61,61')가 각각 형성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조임구(6,6')는 상기 지지구(4)의 축봉(41)에 끼워져 배치된 후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5,5')에 체결되어 상기 볼(43) 및 조립용 볼(7)을 조여서 고정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5,5')는 상기 카메라 본체(1)의 암나사(12) 또는 상기 브래킷(2)의 암나사(22)에 통상의 고정볼트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고정구멍(52,52')이 천공된 플랜지(53,5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조임구(6,6')의 바깥둘레에는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통상의 너얼링(knurling) 처리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육각형태로 만들어서 조이고 푸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4)의 축봉(41) 및 볼(43) 그리고 조립용 볼(7)의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관통공(9,9')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10)이 그 내부로 끼워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CCTV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로서, 도 3 및 도 4a,b,c에서와 같이 각도 조절부재(3)의 고정구(5,5')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고정구(5)는 브래킷(2)에 고정구(5')는 카메라 본체(1)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내측에 반구면을 형성하고 외경에 숫나사(51),(51')를 형성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 CCTV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각도 조절부재(3)의 지지구(4)의 축봉(41)에 조임구(6,6')를 끼워 넣은 후 축봉(41)의 숫나사(42)에 조립용 볼(7)을 체결하여 결합시킨다.
이어서 고정구(5,5')의 고정구멍(52,52')으로 통상의 고정볼트를 삽입하면서 브래킷(2)의 암나사(22) 및 카메라 본체(1)의 후단에 형성된 암나사(12)에 각각 체결하여 고정구(5,5')를 부착시킨다. 상기 고정구(5,5')가 브래킷(2) 및 카메라 본체(1)에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에서는 본 조립 작업이 생략된다.
상기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1)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10)을 상기 지지구(4)의 관통공(9)으로 끼워 넣어 후방에 위치한 조립용 볼(7)의 관통공(9')으로 관통시켜 외부로 인출시키면서 지지구(4)의 볼(43)을 카메라 본체(1)에 부착 또는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5')의 내측 반구면에 접하도록 하면서 조임구(6')의 암나사(61')와 고정구(5')의 숫나사(51')를 상호 체결하여 조여서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조립용 볼(7)의 관통공(9')으로 인출되어 있는 케이블(10)을 고정구(5)가 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 브래킷(2)의 구멍(21) 안으로 끼워 넣어 미도시된 표시부인 모니터와 연결시킨 후 조립용 볼(7)을 브래킷(2)에 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5)의 내측 반구면에 접하도록 하면서 조임구(6)의 암나사(61)와 고정구(5)의 숫나사(51)를 상호 체결하여 조여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각도 조절부재(3)의 결합이 끝난 후에는 도 2 및 도 4a에서와 같이 나사못(8)을 브래킷(2)의 나사공(23) 안으로 체결시켜 브래킷(2)을 소정의 장소에 설치한다. 상기 브래킷(2)을 먼저 소정의 장소에 부착시켜도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조임구(6,6')의 조임 상태에 따라 지지구(4)가 도 2 및 도 4a와 같이 수평을 이루게 되면 카메라 본체(1) 역시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카메라 본체(1)의 방향 및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도 4b와 같이 카메라 본체(1)만을 회전시키거나 도 4c와 같이 지지구(7)까지 회전시켜 원하는 촬영장소의 방향으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조임구(6,6')를 더욱 강하게 조여서 유동이 없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케이블(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타인으로부터 단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안전하게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CCTV용 카메라 본체 및 브래킷을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재가 양측의 볼 조인트에 의하여 조정되므로 카메라 본체의 높낮이 및 각도의 조정이 편리하며, 각도 조절부재 내부로 케이블을 매입시킴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단선을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안전하게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카메라 본체(1) 및 고정용 브래킷(2) 그리고 상기 본체(1)와 브래킷(2)을 연결하여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재(3)로 이루어지는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재(3)는,
    소정 길이의 축봉(41) 양단에 숫나사(42)와 볼(43)이 각각 형성되는 지지구(4)와;
    상기 축봉(41)의 숫나사(42)에 체결되도록 암나사(71)가 형성된 조립용 볼(7)과;
    상기 지지구(4)의 볼(43) 및 상기 조립용 볼(7)을 감싸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분할되는 제 1 및 제 2 고정구(5,5') 및 제 1 및 제 2 조임구(6,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5,5')와 제 1 및 제 2 조임구(6,6')에는 상기 고정구(5,5')와 상기 조임구(6,6')가 상호 체결되도록 숫나사(51,51')와 암나사(61,6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임구(6,6')는 지지구(4)의 축봉(41)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5,5')에는 상기 카메라 본체(1) 및 상기 브래킷(2)에 부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53,5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4)의 축봉(41) 및 볼(43) 그리고 조립용 볼(7)의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관통공(9,9')이 천공 형성되어 이 관통공(9,9') 안으로 케이블(10)이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5,5')가 상기 카메라 본체(1) 및 브래킷(2)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KR10-2001-0052135A 2001-08-28 2001-08-28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100438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135A KR100438110B1 (ko) 2001-08-28 2001-08-28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135A KR100438110B1 (ko) 2001-08-28 2001-08-28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110U Division KR200256083Y1 (ko) 2001-08-28 2001-08-28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415A KR20030018415A (ko) 2003-03-06
KR100438110B1 true KR100438110B1 (ko) 2004-07-03

Family

ID=2772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135A KR100438110B1 (ko) 2001-08-28 2001-08-28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190B1 (ko) 2011-04-08 2011-08-11 유한회사 엔젤시스템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939B1 (ko) * 2008-04-12 2008-11-10 주식회사 투윈스컴 씨씨티브이 카메라 천정용 브래킷
KR100987410B1 (ko) * 2008-07-31 2010-10-12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등기구용 연결구
CN114294532A (zh) * 2022-01-11 2022-04-08 林建廷 三轴球形万向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999U (ko) * 1995-05-10 1996-12-18 양회선 실물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폐쇄회로 텔레비젼용 비디오카메라의 다단절첩장치의 커버
KR970007509U (ko) * 1995-07-18 1997-02-21 김명석 Ccd카메라의 고정 브라켓트
KR200180585Y1 (ko) * 1999-11-08 2000-05-01 정운기 촬영각 조절이 자유로운 보안카메라
KR20020018918A (ko) * 2000-09-19 2002-03-09 고윤화 Cctv용 카메라의 원격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999U (ko) * 1995-05-10 1996-12-18 양회선 실물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폐쇄회로 텔레비젼용 비디오카메라의 다단절첩장치의 커버
KR970007509U (ko) * 1995-07-18 1997-02-21 김명석 Ccd카메라의 고정 브라켓트
KR200180585Y1 (ko) * 1999-11-08 2000-05-01 정운기 촬영각 조절이 자유로운 보안카메라
KR20020018918A (ko) * 2000-09-19 2002-03-09 고윤화 Cctv용 카메라의 원격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190B1 (ko) 2011-04-08 2011-08-11 유한회사 엔젤시스템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415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49231A1 (en) Bone fastener assembly for bone retention apparatus
US6721501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installing camera
KR100438110B1 (ko)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US20090323339A1 (en) Positionable lighting assemblies
KR200256083Y1 (ko)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100466986B1 (ko)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CN210034973U (zh) 一种监控摄像机的万向调节支架
KR200419680Y1 (ko) Cctv용 카메라의 각도 및 길이조절장치
KR200270512Y1 (ko)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92486Y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200405431Y1 (ko)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KR200368748Y1 (ko)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100607041B1 (ko)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GB2127124A (en) A fitting for anchoring scaffold tubes to fixed structures
US6991202B2 (en) Flex grip fixture clamp
JP3086832B2 (ja) 水栓取付装置
KR200299183Y1 (ko) 회전과 각도 조절이 편리한 텔레비젼 걸이장치
KR200375274Y1 (ko)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CN201568824U (zh) 一种固定式投光灯
CN217952200U (zh) 一种可多向角度调节的三通机构和灯具
KR200293002Y1 (ko) 카메라장치
JP2000249292A (ja) トリポッド
KR200316926Y1 (ko) 방향조정이 자유로운 폐회로 텔레비젼 카메라 지지장치
KR101093948B1 (ko) 카메라 설치를 위한 프레임
JP3086990U (ja) 監視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