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060B1 -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060B1
KR100701060B1 KR1020060113027A KR20060113027A KR100701060B1 KR 100701060 B1 KR100701060 B1 KR 100701060B1 KR 1020060113027 A KR1020060113027 A KR 1020060113027A KR 20060113027 A KR20060113027 A KR 20060113027A KR 100701060 B1 KR100701060 B1 KR 10070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optical device
joint
coupled
vehicl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점래
김진환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츠
주식회사 도시정보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츠, 주식회사 도시정보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츠
Priority to KR102006011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감시장치의 무게와 부피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차량 감시장치의 감시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케이스; 회전축에 나사부가 결합된 정회전,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방향 조절판; 상기 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나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나사 결합부가 설치되며, 광학장치가 탑재되는 광학장치 탑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조절판과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는 조인트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나사 결합부가 상기 나사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는 상기 조인트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방향 조절판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이다.
감시장치, 조인트, 방향 제어, 모터, 카메라, 레이저

Description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car monitor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monitoring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향가변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 레이저발광부, 레이저 수광부들의 방향을 외부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도로상에는 교통량을 측정하는 교통량 측정장비나 과속을 단속하기 위한 과속감시장치와 같은 차량 감시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 감시장치는 설치시에 도로상의 한 감시점을 중심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설치되지만 설치 후에 설계된 감시점과 실제 감시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설치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차량 감시장치의 하부에 상, 하 방향과 회 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러한 조절수단은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차량 감시장치의 부피와 무게를 증가시키고, 차량 감시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frame)을 대형화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바람 등의 기상조건에 따라서 차량 감시장치에 많은 진동이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감시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감시장치의 무게와 부피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차량 감시장치의 감시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시방향의 제어가 가능한 소형의 차량 감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 감시장치를 제조하거나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 회전축에 나사부가 결합된 정회전,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방향 조절판; 상기 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나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나사 결합부가 설치되며, 광학장치가 탑재되는 광학장치 탑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조절판과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는 조인트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나사 결합부가 상기 나사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는 상기 조인트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방향 조절판에 대하 여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축에 고정부가 연결되고, 상기 나사부에 가변부가 연결되어 상기 나사 결합부가 이동할 때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가변부가 경사지게 가변되는 방향 가변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방형조절판에는 상기 조인트 결합부를 중심으로 두 대의 모터가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두 대의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두 개의 나사부에 의하여 이동되는 나사 결합부들이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는 상기 두 대의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에 설치되는 광학장치는 카메라와 레이저 발광장치 및 레이저 수신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는 두 개의 경통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통들 사이에 상기 방향 조절판이 삽입설치된 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방향 조절판은 일정 폭을 갖는 원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인트 결합부를 설치하기 위한 조인트 설치 돌출부가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2 개의 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조인트 설치 돌출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향가변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케이스는 두 개의 상, 하의 원형 경통(12), (1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 경통(12)의 하부에는 상 플랜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 경통(11)의 상부에도 하 플랜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 플랜지(13)와 상 플랜지(14) 사이에 방향 조절판(20)이 삽입 설치되며, 상, 하 플랜지와 방향 조절판(20)은 나사 결합된다.
방향 조절판(20)은 상, 하 플랜지에 결합되도록 폭을 갖는 원형 띠(21)와 원형 띠(2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 (27)를 갖으며, 원형 띠(21)와 돌출부(22), (27)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다.
돌출부(22)에는 회전방향을 정, 역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23)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모터의 회전축(23')은 돌출부(22)의 반대편으로 돌출되어 도 2에 도시된 방향가변 조인트(24)의 고정부(24')에 결합되고, 고정부(24')에 대하여 방향이 가변되도록 결합된 가변부(24")에는 나사부(25)가 결합된다.
또한, 나사부(25)는 광학장치 탑재부(30)의 나사 결합부에 나합된다. 나사 결합부는 탑재부 몸체(32)에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으로 이루어지며, 나사부(25)가 나사공을 따라 회전되면, 탑재부 몸체(32)는 나사부(25)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탑재부 몸체(32)에는 카메라(31)나 레이저 발사장치, 레이저 수광장치와 광학장치가 탑재된다.
또한, 광학장치 탑재부(30)와 방향 조절판(20)은 조인트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된다. 조인트 결합부는 탑재부 몸체(32)의 상면에 설치된 수 조인트(33), 수 조인트(33)에 회전되게 결합된 암 조인트(34), 암 조인트(35)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돌출부(27)의 관통공을 통과하는 볼트(35), 볼트(35)에 삽입되어 암 조인트(35)와 돌출부(27) 사이에 설치된 너트(35), 돌출부(27)의 반대편에서 볼트(35)에 삽입되는 와셔(25), 나비 너트(26)로 이루어진다.
또한, 광학장치 탑재부(30)에는 광학장치인 카메라(3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 및 촬상된 이미지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회로기판(미도시)이 설치되며, 모터(23)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에서 광학장치인 카메라(31)의 광축을 변경하여 카메라(31)에서 촬상되는 촬상영역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정방향으로 모터(23)를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23)의 회전축이 회전되고, 회전축(23')에 연결된 방향가변 조인트(24)의 고정부(24')가 회전되며, 고정부(24')가 회전되면 가변부(24")가 회전되며, 가변부(24")가 회전되면 가변부(24")에 결합된 나사부(25)가 회전되며, 나사부(25)가 회전되면 나사부(25)와 나합된 탑재부 몸체(32)의 나사 결합부는 점차 뒤로 밀리게 되고, 탑재부 몸체(32)는 수 조인트(33)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카메라(31)의 촬상영역을 점차 변화시킨다. 또한, 나사 결합부가 나사부(25)를 따라 점차 밀리게 되면 가변부(24")가 고정부(24')가 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점차 경사지게 변화되어 광학장치 탑재부(30)가 방향 조절판(20)에 대하여 회전될 때, 나사부(25)와 모터 회전축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또한 위와 반대방향으로 촬상영역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 모터(2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결국 나사부(25)를 따라 탑재부 몸체(32)의 나사결합부가 점차 당겨져 오기 때문에 광학장치 탑재부(30)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카메라(31)의 촬상영역 또한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의 케이스는 제 1 실시예의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제 2 실시예의 방향 조절판(40)은 케이스의 플랜지와 동일한 폭을 갖는 원형 띠(41)와 2개의 모터(42), (43)를 설치하기 위한 돌출부(44), (45)를 갖으며, 조인트 결합부의 볼트(61)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46)이 형성된 돌출부(47)가 돌출부(44), (45)의 대칭선에 형성된다.
또한, 정,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42), (43)의 반대편에는 모터의 회전축이 결합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에 결합되고, 나사부(51), (52)가 가변부에 결합된 방향 가변 조인트(48), (49)가 설치된다. 또한, 나사부(51), (52)는 광학장치 탑재부(50)의 나사결합부에 체결된다. 나사결합부는 나사부(51), (52)에 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의 내주면이다.
또한, 광학장치 탑재부(50)에는 넓은 각을 촬상할 수 있는 광각 카메라(53), 좁은 각을 세밀하게 촬상할 수 있는 협각 카메라(54), 레이저를 발광시키는 레이저 발광장치(55), 레이저 발광장치(55)로부터 발광된 레이저가 반사될 때 반사 레이저를 수신하는 레이저 수신장치(56)를 탑재하고 있으며, 카메라(53), (54), 레이저 장치(55), (56)를 구동시키는 전기회로(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는 조인트 결합부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모터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 결합부를 밀고 당김으로써 광학장치 탑재부(50)를 회전시킴으로써 그만큼 회전범위를 넓힐 수 있으며, 회전방향도 방향 조절판(40)에 대하여 특정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조인트 결합부의 구성과 나사 결합부를 밀고 당겨 광학장치 탑재부(50)가 회전되도록 하는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장치의 감시영역을 간단한 장치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감시장치의 설치 후에도 자유롭게 감시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감시영역을 변경하는 차량 감시장치의 크기가 경박단소하기 때문에 장치의 동작을 진동이 없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감시장치가 소형화되기 때문에 이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광학장치 탑재부에 여러 개의 장치를 탑재시킴으로써 하나의 케이스 내에 카메라 및 레이저 장치들을 함께 설치할 수 있어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이들 광학장치들의 광축을 일치시킬 수 있으며, 함께 변경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케이스;
    회전축에 나사부가 결합된 정회전,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판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방향 조절판;
    상기 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나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나사 결합부가 설치되며, 광학장치가 탑재되는 광학장치 탑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조절판과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는 조인트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나사 결합부가 상기 나사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는 상기 조인트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방향 조절판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고정부가 연결되고, 상기 나사부에 가변부가 연결되어 상기 나사 결합부가 이동할 때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가변부가 경사지게 가변되는 방향 가변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형조절판에는 상기 조인트 결합부를 중심으로 두 대의 모터가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두 대의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두 개의 나 사부에 의하여 이동되는 나사 결합부들이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는 상기 두 대의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장치 탑재부에 설치되는 광학장치는 카메라와 레이저 발광장치 및 레이저 수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두 개의 경통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통들 사이에 상기 방향 조절판이 삽입설치된 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6. 제 1 항에서, 상기 방향 조절판은 일정 폭을 갖는 원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인트 결합부를 설치하기 위한 조인트 설치 돌출부가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2 개의 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조인트 설치 돌출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KR1020060113027A 2006-11-15 2006-11-15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KR100701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027A KR100701060B1 (ko) 2006-11-15 2006-11-15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027A KR100701060B1 (ko) 2006-11-15 2006-11-15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060B1 true KR100701060B1 (ko) 2007-03-29

Family

ID=4156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027A KR100701060B1 (ko) 2006-11-15 2006-11-15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514B1 (ko) * 2009-07-23 2011-12-05 김준규 다중파인더 구조의 렌즈 구성체를 갖는 다중차선에서의 과속차량 감지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986U (ko) * 1990-03-15 1991-12-05
JPH0434086U (ko) * 1990-07-18 1992-03-19
JPH0520478U (ja) * 1991-08-20 1993-03-12 アイホン株式会社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装置
JPH069280U (ja) * 1992-06-30 1994-02-04 松下電工株式会社 カメラ付ドアホン
KR100466986B1 (ko) * 2004-09-02 2005-01-24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986U (ko) * 1990-03-15 1991-12-05
JPH0434086U (ko) * 1990-07-18 1992-03-19
JPH0520478U (ja) * 1991-08-20 1993-03-12 アイホン株式会社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装置
JPH069280U (ja) * 1992-06-30 1994-02-04 松下電工株式会社 カメラ付ドアホン
KR100466986B1 (ko) * 2004-09-02 2005-01-24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514B1 (ko) * 2009-07-23 2011-12-05 김준규 다중파인더 구조의 렌즈 구성체를 갖는 다중차선에서의 과속차량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877B1 (ko) 광대역 감시 카메라
US5850579A (en) Pan/tilt support with concentric drive shafts
US6027257A (en) Pan and tilt unit
TW201601534A (zh) 監視裝置及調整固定監視裝置的方法
CN107505953B (zh) 一种无人机自动跟踪天线系统及其跟踪方法
JP5807270B2 (ja) 角度調整機構を備えた物体検出装置
WO2015149370A1 (zh) 云台驱动装置及采用该驱动装置的云台组装体
US20040223062A1 (en) Pan and tilt camera system
WO2017193508A1 (zh) 后焦调节机构及具有其的摄像机
KR100701060B1 (ko) 감시방향이 제어되는 차량 감시장치
KR101378586B1 (ko)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CN104566114A (zh) 一种多功能车载警用灯
GB2490893A (en) Angularly adjustable mounting
WO2018223742A1 (zh) 云台、具有该云台的拍摄装置及无人机
CN204313176U (zh) 一种多功能车载警用灯
CN111076047A (zh) 一种红外全景图像拍摄转台
KR101316851B1 (ko) 카메라가 장착된 소형 짐벌
KR100683623B1 (ko)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CN211502172U (zh) 一种红外全景图像拍摄转台
EP3168643B1 (en) Device for fixing an optical sensor to a motor vehicle with adjusting device, sensor assembly as well as motor vehicle
KR100466986B1 (ko)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CN211391726U (zh) 一种无人机摄像系统
CN211982006U (zh) 一种基于系统集成网络技术的安防监控装置
KR20180001553U (ko) 촬상 장치
CN219694885U (zh) 角度可调的双激光装置及角度调节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