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623B1 -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623B1
KR100683623B1 KR1020060052846A KR20060052846A KR100683623B1 KR 100683623 B1 KR100683623 B1 KR 100683623B1 KR 1020060052846 A KR1020060052846 A KR 1020060052846A KR 20060052846 A KR20060052846 A KR 20060052846A KR 100683623 B1 KR100683623 B1 KR 10068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zoom
adjusting
focus
surveillan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386A (ko
Inventor
김길상
Original Assignee
김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상 filed Critical 김길상
Priority to KR1020060052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6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에 설치된 렌즈의 줌조정부와 초점조정부를 조절하는 조절기어와 치합된 피니언을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없이도 외부에서 쉽게 피니언을 회전시켜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모콘트롤러에 의해 1인의 작업자로도 쉽게 모니터링을 통해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는, 카메라를 벽면이나 천장면에 설치하는 수단인 지지체(101)와, 상기 지지체(101)에 일측이 결합되는 외통체(102)와, 상기 외통체(102)의 상단일측에 끼워지고 일측에 투시부(103)를 갖는 마개(104)와, 상기 외통체(102)의 내부에 구비되고 줌조정부(105)와 초점조정부(106)를 갖는 렌즈(107)와, 상기 렌즈(107)의 촬영된 영상을 먼 거리의 모니터로 전송하는 수단인 회로기판부(108) 및 상기 외통체(102)의 선단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부(109)를 갖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107)의 줌조정부(105)와 초점조정부(106)의 외주연에 결합된 조절기어(110)(120)와; 상기 조절기어(110)(120)와 치합되는 피니언(111)(121)과; 상기 피니언(111)(121)이 축설되고 상기 회로기판부(1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리모콘 조작에 의해 구동되어 정역회전되는 전동모터(1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전동모터(130)는, 상기 회로기판부(108)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부(108)를 지지하는 지지볼트에 체결되는 고정판넬(131)과; 상기 고정판넬(131)의 상단일측에 안착되고 내측에 상기 전동모터(130)의 회전축(130a)이 인입되는 고정편(132)과; 상기 고정편(131)과 고정판넬(132) 및 전동모터(130)에 각각 결합되는 볼트(133)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것과, 상기 회전축(130a)이 끼워지는 상기 고정편(132)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130a)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베어링(134)이 더 내삽되는 것과, 상기 줌조정부(105)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조절기어(110)의 내측에는 안정부싱(140)이 더 체결되되, 상기 안정부싱(140)의 외주연 일부에는 상기 피니언(111)의 마찰계수에 대해 상기 안정부싱(140)이 공회전 되어 더 이상의 줌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내부에 구리스가 충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시카메라, 렌즈조정, 방범카메라

Description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DEVICE FOR LENS CONTROL OF GUARD CAMERA}
도 1은 일반적인 감시카메라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감시카메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장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장착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 조절기어 111, 121 : 피니언
130 : 전동모터 131 : 고정판넬
132 : 고정편 133 : 볼트
134 : 베어링 140 : 안정부싱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나 실내 또는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카메라 렌즈의 거리와 초점을 조절하는 줌(zoom;원근)조절부와 초점(focus;초점)조절부를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조절기어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외부에서 쉽게 렌즈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리모콘트롤러에 의해 모니터링 되는 화면을 보고 한 사람의 작업자만으로도 쉽게 렌즈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 또는 폐쇄회로TV(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는 원격지의 일정 장소에 설치되어 유무선으로 동영상을 촬영 전송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은행이나 규모가 큰 상가, 지하주차장 등의 방범용 또는 취약지구에서 범죄예방용으로 사용되거나, 도로의 교통상황 모니터링, 건물의 화재예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일반 가정에서도 범죄예방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기로서, 빛이 없는 야간 또는 조명이 없거나 약해서 사물을 확인하기 불가능할 정도로 어두운 장소에서도 촬영이 가능하게 렌즈의 주위 에 엘이디(LED: Infrared Light Emitting Diods) 조명수단을 설치한 CCD(Charge Coupled Device)카메라가 보편화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감시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1)와, 상기 렌즈(11)의 둘레부에 포설되어 나선식으로 전/후진되어 렌즈의 원근을 조정하는 줌조정부(12)와 렌즈의 초점을 조정하는 및 초점조정부(13)와, 상기 렌즈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먼거리의 모니터에 전송하여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14)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볼트(15)와, 상기 지지볼트의 하단이 체결되는 지지체(16)와, 상기 지지체에 일측이 내삽되어 체결되고 내부가 개방된 외통체(17)와, 상기 외통체의 상단에 체결되고 전방측에 광원부(18)를 갖는 덮개(1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감시카메라는, 렌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먼 거리의 모니터로 전송하여 감시자가 먼 거리에서 모니터에 모니터링되는 화면을 보고 감시하는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줌조정부와 초점조정부의 회전을 외부에서 조작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줌조정부(12) 및 초점조정부(13)의 외연에 조절기어(21)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기어(21)에 치합되는 피니언(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줌조정부(12) 및 초점조정부(13)에 형성된 조절기어(21)는 감시카메라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스퍼기어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이에 치합되는 피니언(22) 또한 동일한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22)의 일측에는 상기 외통체(17)의 후미로 노출되는 피니언 축(23)이 연장형성 되어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축(23)의 후미측에는 조절홈(24)이 형성되어 외통체(17)의 후미에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조절홈(24)을 돌려 피니언 축(23)을 회전시키면 상기 피니언(22)이 회전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22)과 치합된 상기 줌조정부(12) 또는 초점조정부(13)의 조절기어(21)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렌즈의 줌과 초점 조절이 이루어진다.
감시카메라의 거리 및 초점조절은 감시카메라가 현장에 설치된 다음에 모니터링을 하면서 이루어지는 바, 종래 기술은 이러한 조절작업이 이루어지는 피니언 축의 후미에 형성된 조절홈이 외통체의 후미에 위치되고 외통체의 후미는 설치된 벽면이나 천장에 근접설치됨으로써 공간이 제한되어 조절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피니언(22)을 회전시키기 위해 조절홈(24)을 조절하여야 하는 바, 상기 조절홈(24)이 벽면이나 천장에 근접 설치된 상태의 협소한 공간인 외통체(17)의 후미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음에 따라 상기 조절홈에 공구를 끼워 조절홈을 조작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조절홈을 조절하는 작업자와 조절되는 렌즈의 줌과 초점이 모니터를 통해 나타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작업자가 각각 필요함으로써 항상 2명 이상의 작업자가 동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니언 축(23)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휨 변형이나 유동이 발생될 염려가 있어 카메라조절이 불안정하고 자재도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감시카메라의 렌즈의 거리 및 초점을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발명들이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94828호에는, 카메라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과, 이 고정수단에 장치되어 렌즈군을 직선이동시켜 활상소자의 활상면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초점조절수단을 포함하며, 고정수단으로 고정링을 사용하고 초점조절수단으로 캠 결합되는 직선운동링과 초점조절링을 사용하는 감시용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69533호에는, 렌즈부와 회로부가 내장되어 구비되는 하우징의 외주면에 내부의 렌즈부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렌즈를 조정함으로써 초점 또는 줌을 조절하는 렌즈조정부재가 결합되며, 하우징의 전방에는 전방커버가 결합되고, 후방에는 외부면이 요철 형태로 형성된 방열커버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하우징 외부에서 간단한 작동을 통해 초점을 조정하고자 한 시도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선행기술들은, 그 구성요소가 복잡하여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고 조절부들이 외부 하우징의 하방측에 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가 조절부를 이용하여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감시카메라에 설치된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렌즈의 줌조정부와 초점조정부를 조절하는 조절기어와 치합된 피니언을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 여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없이도 외부에서 쉽게 피니언을 회전시켜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모콘트롤러에 의해 1인의 작업자로도 쉽게 모니터링을 통해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는, 카메라를 벽면이나 천장면에 설치하는 수단인 지지체(101)와, 상기 지지체(101)에 일측이 결합되는 외통체(102)와, 상기 외통체(102)의 상단일측에 끼워지고 일측에 투시부(103)를 갖는 마개(104)와, 상기 외통체(102)의 내부에 구비되고 줌조정부(105)와 초점조정부(106)를 갖는 렌즈(107)와, 상기 렌즈(107)의 촬영된 영상을 먼거리의 모니터로 전송하는 수단인 회로기판부(108) 및 상기 외통체(102)의 선단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부(109)를 갖으며
상기 렌즈(107)의 줌조정 및 초점조정을 위한 거리조정이 회로기판부(1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리모콘 조작되는 전동모터(130)에 의하여 정역회전되는 피니언(111)(121)과 기어의 치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111)(121에 치합되는 기어는 렌즈(107)의 줌조정부(105)와 초점조정부(106)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조절기어(110)(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줌조정부(105)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조절기어(110)의 내측에는 안정부싱(140)이 체결되되, 상기 안정부싱(140)은 외주연 일부에 상기 조절기어(110)와의 소정 마찰계수 초과시 공회전 되어 더 이상의 줌 조정이 방지되도록 내부에 구리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는,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하는 줌조정부와 초점조정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조절기어를 조절하는 피니언이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동모터가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외부에서 1인의 작업자가 모니터에 모니터링되는 화면을 보면서 리모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쉽게 렌즈의 줌과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렌즈의 줌조정과 초점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을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하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는, 카메라를 벽면이나 천장면에 설치하는 수단인 지지체(101)와, 상기 지지체(101)에 일측이 결합되는 외통체(102)와, 상기 외통체(102)의 상단일측에 끼워지고 일측에 투시부(103)를 갖는 마개(104)와, 상기 외통체(102)의 내부에 구비되고 줌조정부(105)와 초점조정부(106)를 갖는 렌즈(107)와, 상기 렌즈(107)의 촬영된 영상을 먼거리의 모니터로 전송하는 수단인 회로기판부(108) 및 상기 외통체(102)의 선단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부(109)를 갖는 감시카메라의 렌즈의 줌과 초점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107)의 줌조정부(105)와 초점조정부(106)의 외주연에 결합된 조절기어(110)(120)와, 상기 조절기어(110)(120)와 치합되는 피니언(111)(121)과, 상기 피니언(111)(121)이 축설되고 상기 회로기판부(1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리모콘 조작에 의해 구동되어 정역회전되는 전동모터(130)가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동모터(130)는, 상기 회로기판부(108)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부(108)를 지지하는 지지볼트에 체결되는 고정판넬(131)과, 상기 고정판넬(131)의 상단일측에 안착되고 내측에 상기 전동모터(130)의 회전축(130a)이 인입되는 고정편(132)과, 상기 고정편(131)과 고정판넬(132) 및 전동모터(130)에 각각 결합되는 볼트(133)에 의해 결합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는, 감시카메라의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의 줌과 초점을 외부에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101)의 끝단부를 벽면(W)에 고정하여 감시카메라를 설치한 후, 상기지지체(101)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로기판부(108)과 전기적으 로 연결되는 케이블(201)을 리모콘트롤러(202)에 연결한 다음, 상기 리모콘크롤러(202)를 다시 연결케이블(203)을 이용하여 모니터(204)에 연결하여 렌즈(107)의 줌 및 초점을 조절한다.
즉, 1인의 작업자가 상기 모니터(204)에 촬영되는 화면을 모니터링 하면서 상기 리모콘트롤러(202)를 조절하여 상기 렌즈(107)의 줌조정부(105)와 초점조정부(106)를 조절함으로써 렌즈의 촬영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리모콘트롤러(202)를 조절하면, 이 리모콘트롤러(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부(108)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120)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120)에 축설된 피니언(111)(121)이 회전하게 되며 이 피니언(111)(121)에 치합된 상기 조절기어(110)(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줌조정부(105)와 초점조정부(106)가 이동되어 렌즈(107)의 줌 및 초점이 조정된다.
따라서, 1인의 작업자 만으로도 모니터에 촬영되는 화면을 보면서 리모콘트롤러(202)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할 수 있어 조절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1인의 작업자 만으로도 충분히 렌즈의 줌 및 초점 조절이 가능하여 인건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작업자가 리모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축(130a)이 끼워지는 상기 고정편(132)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130a)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베어링(134)이 더 내삽되어 있음에 따라, 피니언(111)(121)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미세하게 회전됨이 가능함으로써 렌즈의 줌 및 초점 조절이 쉽게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줌조정부(105)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조절기어(110)의 내측에는 안정부싱(140)이 더 체결되되, 상기 안정부싱(140)의 외주연 일부에는 상기 피니언(111)의 마찰계수에 대해 상기 안정부싱(140)이 공회전 되어 더 이상의 줌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내부에 구리스(141)가 충진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111)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회전되는 조절기어(110)와 안정부싱(140)의 회전이 어느 한계점에 위치될 경우,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공회전함으로써, 줌 조정부(105)의 줌 조정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아 필요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안정부싱(140)과 조절기어(110)의 마찰계수가 렌즈의 줌조정부(105)의 승강이동영역에서는 안정부싱(140)이 회전되도록 하여 렌즈의 줌이 조정되고 그 한계점을 넘을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안정부싱(140)이 공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더 이상의 줌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의 양측에 각각 LED 조명부(109)를 구성한 것이다.
즉, 종래에는 렌즈의 방사상으로 조명부(109)가 설치되어 조사되는 조명부의 빛에 의해 렌즈의 촬영이 선명하지 못하였으나, 조명부를 렌즈의 양 옆에 구성함으 로써 조명의 조사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고 또한 렌즈의 촬영이 보다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에 의하면, 렌즈의 줌과 초점을 조절하는 줌조정부와 초점조정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조절기어를 조절하는 피니언이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동모터가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외부에서 1인의 작업자가 모니터에 모니터링되는 화면을 보면서 리모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쉽게 렌즈의 줌과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렌즈의 줌조정과 초점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줌조정부의 외주부에 안정부싱이 더 결합되어 있되, 상기 안정부싱의 일부에 충진된 구리스에 의해 피니언의 마찰계수에 대해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되어 더 이상의 줌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줌 조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4)

  1. 카메라를 벽면이나 천장면에 설치하는 수단인 지지체(101)와, 상기 지지체(101)에 일측이 결합되는 외통체(102)와, 상기 외통체(102)의 상단일측에 끼워지고 일측에 투시부(103)를 갖는 마개(104)와, 상기 외통체(102)의 내부에 구비되고 줌조정부(105)와 초점조정부(106)를 갖는 렌즈(107)와, 상기 렌즈(107)의 촬영된 영상을 먼거리의 모니터로 전송하는 수단인 회로기판부(108) 및 상기 외통체(102)의 선단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부(109)를 갖으며,
    상기 렌즈(107)의 줌조정 및 초점조정을 위한 거리조정이 회로기판부(1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리모콘 조작되는 전동모터(130)에 의하여 정역회전되는 피니언(111)(121)과 기어의 치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111)(121에 치합되는 기어는 렌즈(107)의 줌조정부(105)와 초점조정부(106)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조절기어(110)(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줌조정부(105)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조절기어(110)의 내측에는 안정부싱(140)이 체결되되, 상기 안정부싱(140)은 외주연 일부에 상기 조절기어(110)와의 소정 마찰계수 초과시 공회전 되어 더 이상의 줌 조정이 방지되도록 내부에 구리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130)는,
    상기 회로기판부(108)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부(108)를 지지하는 지지볼트에 체결되는 고정판넬(131)과;
    상기 고정판넬(131)의 상단일측에 안착되고 내측에 상기 전동모터(130)의 회 전축(130a)이 인입되는 고정편(132)과;
    상기 고정편(131)과 고정판넬(132) 및 전동모터(130)에 각각 결합되는 볼트(133)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30a)이 끼워지는 상기 고정편(132)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130a)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베어링(134)이 더 내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4. 삭제
KR1020060052846A 2006-06-13 2006-06-13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KR10068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846A KR100683623B1 (ko) 2006-06-13 2006-06-13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846A KR100683623B1 (ko) 2006-06-13 2006-06-13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386A KR20060081386A (ko) 2006-07-12
KR100683623B1 true KR100683623B1 (ko) 2007-02-22

Family

ID=3717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846A KR100683623B1 (ko) 2006-06-13 2006-06-13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301B1 (ko) * 2007-08-06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0978286B1 (ko) * 2008-08-12 2010-08-31 위규영 줌인아웃 기능을 갖는 엑스레이 디지털 레코딩 시스템
KR200445675Y1 (ko) * 2009-01-28 2009-08-24 임재학 배율과 초점을 외부에서 조절하는 감시카메라
KR101056075B1 (ko) * 2010-01-14 2011-08-10 주식회사 애니텍 감시카메라의 렌즈 조절레버 장착구조
CN112268212A (zh) * 2020-11-04 2021-01-26 江苏凤凰数据有限公司 一种机房动力环境集中监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931A (ko) * 2002-09-12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931A (ko) * 2002-09-12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423931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386A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623B1 (ko)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KR100726346B1 (ko)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TW201601534A (zh) 監視裝置及調整固定監視裝置的方法
US9772541B2 (en) Adjusting seat and photograph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378586B1 (ko)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KR20190121510A (ko) 팬틸트 유격 외부조절장치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US20140003025A1 (en) Photographic device
KR20090065853A (ko) 팬틸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US20080266392A1 (en) Infra-red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adjusting distance and focus by one element
KR102258747B1 (ko) Ptz 카메라와 외부 조명기가 연동된 모니터링 시스템
KR200369533Y1 (ko)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0395203Y1 (ko) 외부에서 초점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KR101188564B1 (ko) 협각렌즈와 광각렌즈를 이용한 폐쇄회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JP3726817B2 (ja) 撮像装置
KR200422158Y1 (ko) 렌즈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KR200442315Y1 (ko)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배율·초점 조정장치
KR200320712Y1 (ko) 팬틸트카메라
TWM464516U (zh) 具有移動式鏡頭模組之門眼裝置
KR200465347Y1 (ko) Ccd 카메라의 줌 및 포커싱 조절장치
KR100466987B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KR200440418Y1 (ko)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조절구
KR101118244B1 (ko) 초점조절이 가능한 cctv카메라
KR200273675Y1 (ko) 팬틸트 카메라
KR100817472B1 (ko) 감시 카메라의 구동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