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586B1 -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586B1
KR101378586B1 KR1020120054725A KR20120054725A KR101378586B1 KR 101378586 B1 KR101378586 B1 KR 101378586B1 KR 1020120054725 A KR1020120054725 A KR 1020120054725A KR 20120054725 A KR20120054725 A KR 20120054725A KR 101378586 B1 KR101378586 B1 KR 10137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image sensor
back focus
gea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012A (ko
Inventor
김광섭
김태수
Original Assignee
휴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앤에스(주) filed Critical 휴앤에스(주)
Priority to KR102012005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586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렌즈부를 장착하고, 타측에 이미지센서 및 상기 이미지센서를 전,후진 구동하여 상기 렌즈부와의 백 포커스 간격을 조절하는 회전링, 이미지센서링, 회전구동기 및 센서로 결합되는 백 포커스 조절부로 구비하여 상기 모터로 회전링을 회전시켜 이미지센서링을 전,후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렌즈부로부터 이미지센서부와의 거리, 즉 백 포커스 간격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백 포커스 간격을 원격으로 간편 용이하게 조절은 물론 상기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간격을 원격으로 조절함으로써, 백포커스 간격 조절을 위해 감시카메라로 올라가거나, 조절작업을 위한 제반장비를 일일이 이동하지 않고도 조절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BACK FOCUS OF SURVEILANCE CAMERA}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로변 또는 전주에 설치되어 교통상황 또는 주변상황을 감시하는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간격을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는 폐쇄회로TV(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는 원격지에 설치되어 촬영한 동영상을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장치로서, 은행이나 대형마트, 지하주차장 등의 방범용 또는 취약지구에서 범죄예방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도로의 교통상황 감시 및 건물의 화재 예방 등 장소나 사물의 이상 유무를 현장에 가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는 촬영 기기이다.
그리고 상기 감시카메라는 가능한 한 넓은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도로변의 기둥 또는 전주, 건물의 벽면상부나 천장에 설치되어 특정방향을 향해 설치되며, 설치작업시 요구되는 특정위치에 렌즈의 포커스가 맞춰지도록 조절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의 설치위치가 변경되어 렌즈의 포커스를 재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하우징을 분해할 필요없이 외부에서 렌즈의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카메라가 이미 많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감시카메라는 감시하고자 하는 특정위치에 렌즈의 포커스를 맞추는 것 이외에 백 포커스(Back focus)의 간격을 맞추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렌즈의 줌(zoom) 사용시 렌즈의 포커스의 흐트러짐 없이 줌 인,아웃(zoom in, zoon out)하면서 포커스를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백 포커스(Back focus)란 감시카메라의 렌즈의 초정 굴절면의 정점으로부터 결상되는 이미지센서(CCD:고체촬상소자)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백 포커스를 맞춘다는 것은 백 포커스 간격을 맞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백 포커스 간격을 정확하게 맞추어 놓으면, 렌즈의 줌 조절시 렌즈의 포커스를 조절하지 않아도 포커스가 틀어지지 않게 되고, 만약 백 포커스 간격을 정확하게 맞추어 놓지 않으면, 즉 간격이 틀어지게 되면, 렌즈의 줌을 조절하였을 때 렌즈의 포커스를 아무리 조절하여도 포커스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정확하게 결상할 수 있는 포커스 거리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감시카메라의 설치시 또는 렌즈의 교체시, 렌즈의 포커스 조절과 함께 백 포커스를 반드시 조절하게 되며, 렌즈의 줌을 조절하였을 때 포커스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고, 아울러 정확하게 백 포커스 간격을 조절해 놓으면 줌(zoom)만을 조절하여도 포커스가 틀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감시카메라의 경우, 렌즈의 포커스 및 백 포커스 간격을 조절한 상태로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고, 이때 렌즈의 포커스 조절은 렌즈부에 초점링을 장착하여 원격으로 초점링을 변경하면서 포커스를 맞추게 되고, 상기 백 포커스 간격은 카메라에 링을 장착하여 링을 회전시켜 이미지센서와 렌즈와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이미지센서의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하면서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감시카메라는 최초 설치시 렌즈의 포커스 및 백 포커스 간격을 맞추어 설치하여도 시간이 경과하면서 기후 조건 및 기타 외력(바람, 진동)에 의해 렌즈의 포커스 및 백 포커스 간격이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렌즈의 포커스는 원격으로 렌즈의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으나, 백 포커스 간격은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어, 백 포커스 간격 조절시 소정의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카메라까지 올라가서 조절을 할 수밖에 없어 조절시 감시카메라까지 접근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을 가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백 포커스 간격 조절을 하는데 있어서도 소정의 높이로 올라가서 수동으로 조절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정확하게 조절을 맞추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조절 과정 자체가 여러 번 반복해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고, 이를 테스트하는 장비(모니터 등) 역시 설치된 감시카메라까지 이동시켜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여러 가지로 조절 작업이 쉽지 않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소정의 높이에 설치된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간격 조절을 원격으로 간편 용이하게 조절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간격 조절을 위해 감시카메라로 올라가거나, 조절작업을 위한 제반장비를 일일이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에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작업시간을 크게 줄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피사체의 상을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로부터 집광된 영상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회로기판으로 전송하는 이미지센서부; 및 상기 이미지센서부에는 원격으로 상기 렌즈부와의 백 포커스 간격을 조절하는 백 포커스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 포커스 조절부는 일측면에 렌즈부를 장착하는 렌즈브라켓; 상기 렌즈브라켓의 타측면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의해 이미지센서부를 전,후진구동하는 이미지센서링; 상기 회전링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 및 상기 회전링과 결합하여 회전수로 백 포커스 간격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게 된다.
삭제
본 발명에서 회전링은 일측이 렌즈브라켓에 결합되는 결합단을 구비하고, 타측은 경사면을 갖는 경사단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단의 외측에는 상기 이미지센서링을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링의 외주면에는 반호형의 랙기어로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미지센서링은 일측에 상기 회전링의 경사단을 타고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경사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센서링의 타측에 이미지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미지센서링의 원주에는 사방으로 안내지지단을 구비하되, 상기 안내지지단에는 스프링을 결합한 안내봉을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구동기는 정,역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기어벨트, 상기 기어벨트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와 결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의 회전력으로 상기 회전링을 회전하는 제3기어로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센서는 회전링의 랙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기어, 상기 기어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로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측에 렌즈부를 장착하고, 타측에 이미지센서 및 상기 이미지센서를 전,후진 구동하여 상기 렌즈부와의 백 포커스 간격을 조절하는 회전링, 이미지센서링, 회전구동기 및 센서로 결합되는 백 포커스 조절부로 구비하여 상기 모터로 회전링을 회전시켜 이미지센서링을 전,후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렌즈부로부터 이미지센서부와의 거리, 즉 백 포커스 간격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백 포커스 간격을 원격으로 간편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간격을 원격으로 조절함으로써, 백포커스 간격 조절을 위해 감시카메라로 올라가거나, 조절작업을 위한 제반장비를 일일이 이동하지 않고도 조절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정장치가 구비된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의 회전링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의 이미지센서링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의 일부 절결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의 백 포커스 간격 조절 상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도로 또는 감시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차량 및 주변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부(10), 이미지센서부(20), 백 포커스 조절부(100)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렌즈부(10)는 외통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피사체의 상을 집광하게 되며, 상기 렌즈부(10)는 줌(zoom)과 초점(focus)을 조정할 수 있는 렌즈(11)들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이미지센서부(20)는 상기 렌즈부(10)로부터 집광된 영상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회로기판(PCB)(도시되지않음)으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이미지센서부(20)는 고체촬상소자(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시모스 이미지 센서(CIS;CMOS Image Sensor)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백 포커스 조절부(100)는 상기 렌즈부(10)와 이미지센서부(20)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부(10)와 이미지센서부(20)와의 거리, 즉 백 포커스 간격을 조절하게 되며, 상기 백 포커스 조절부(100)는 렌즈브라켓(110), 회전링(120), 이미지센서링(130), 회전구동기(140), 센서(150)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렌즈브라켓(110)은 일측면에 렌즈부(10)가 결합되고, 타측면에 백 포커스 조절부(100)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 회전링(1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브라켓(110)의 타측면과 결합하여 렌즈브라켓(110)으로 지지를 받으면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링(120)의 일측에는 렌즈브라켓(11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결합단(12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120)의 타측면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경사면을 갖는 경사단(122)을 구비하되, 상기 경사단(122)은 대각선으로 서로 교차되는 방향에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단(122)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이미지센서링(130)과 결합하는 결합돌기(123)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돌기(123)는 대각선으로 서로 교차되는 방향에 구비하고, 상기 회전링(20)의 외주면에는 측방향으로 반호형의 랙기어(124)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이미지센서링(1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120)과 결합하여 회전하면서 이미지센서부(20)를 전,후진하게 된다.
상기 이미지센서링(130)은 일측에 상기 회전링(120)의 경사단(122)을 타고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경사단(131)을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센서링(130)의 타측에 이미지센서부(20)를 구비하며, 상기 이미지센서링(130)의 원주에는 사방으로 안내지지단(132)을 구비하되, 상기 안내지지단(132)에는 스프링(133)을 후방에 구비하는 안내봉(134)을 삽입 구비하게 된다.
상기 회전구동기(140)는 상기 회전링(130)의 랙기어(124)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링(120)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구동기(140)는 정,역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41), 상기 모터(14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모터(141)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기어(142), 상기 제1기어(142)와 결합하여 상기 제1기어(142)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기어벨트(143), 상기 기어벨트(143)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유성기어(144), 상기 유성기어(144)와 결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기어(145), 및 상기 제2기어(145)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랙기어(124)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링(120)을 회전시키는 제3기어(146)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센서(150)는 상기 회전링(120)의 랙기어(124)와 결합하여 랙기어(124)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수로 백 포커스 간격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센서(150)는 회전링(120)의 랙기어(124)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기어(151), 상기 기어(151)와 축으로 결합하여 상기 기어(151)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152)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렌즈부(10)가 결합된 렌즈브라켓(110)의 타측면에, 일측에 결합단(121) 및 타측에 경사단(122)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단(122)의 외측에 결합돌기(123)와 외주면에 랙기어(124)가 구비된 회전링(120)을 결합하되, 상기 회전링(120)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단(121)을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회전링(120)의 타측에는 일측에 슬라이딩경사단(131), 타측에 이미지센서부(20), 및 원주상에 안내지지단(132)으로 구비된 이미지센서링(130)을 결합하되, 상기 회전링(120)의 경사단(122)과 상기 이미지센서링(130)의 슬라이딩경사단(131)이 서로 맞닿도록 한 상태로 상기 회전링(120)의 결합돌기(123)의 내측 삽입하여 이탈되지 않게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링(130)의 안내지지단(132)에는 후단에 스프링(133)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 안내봉(134)을 삽입하여 상기 안내봉(134)의 스프링(133)으로 안내지지단(132)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링(130)에 결합된 이미지센서부(20)의 전,후진시켜 상기 렌즈부(10)와 이미지센서부(20)와의 백 포커스 간격이 조절되도록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링(120)의 랙기어(124)에는 정,역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41) 및 상기 모터(141)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기어(142)와, 이와 연동하는 기어벨트(143)와 기어벨트(143)에 의해 회전하는 유성기어(144), 제2기어(145) 및 상기 제2기어(145)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3기어(146)로 구비된 회전구동기(140)를 결합하되, 상기 회전구동기(140)의 제3기어(146)를 결합하여 상기 모터(141)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3기어(146)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회전링(120)을 정,역회전하도록 결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전링(120)의 랙기어(124)에 결합된 회전구동기(14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링(120)의 회전 거리를 회전수로 감지하여 이미지센서링(130)에 결합된 이미지센서부(20)와 렌즈부(10)간의 거리, 즉 백 포커스 간격을 감지하는 센서(150)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링(120)의 랙기어(124)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기어(151), 상기 기어(151)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152)로 구비된 센서(150)를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하부 또는 원격지에서 회전구동기(140)의 모터(14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모터(141)의 결합된 제1기어(1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와 결합된 기어벨트(14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기어벨트(143)의 회전은 유성기어(144), 제2기어(145) 및 상기 제2기어(145)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3기어(14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제3기어(146)와 결합된 회전링(120)의 랙기어(1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링(1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링(120)의 타측에 경사단(122)과 맞닿아 결합된 이미지센서링(130)의 슬라이딩경사단(131)은 상기 회전링(12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링(120)의 경사단(122)은 이미지센서링(130)의 슬라이딩경사단(131)의 낮은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이미지센서링(130)은 안내지지단(132)에 스프링(133)이 결합된 안내봉(134)에 의해 탄성을 받으면서 전진하게 되어 상기 이미지센서링(130)과 렌즈부(10)의 최소(min)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회전링(120)의 랙기어(124)에 결합된 센서(150)에서는 상기 회전링(120)의 랙기어(1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기어(151)와 이 기어(151)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152)로 전진 거리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구동기(140)의 모터(14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모터(141)의 결합된 제1기어(14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결합된 기어벨트(143)가 회전하면서 유성기어(144), 제2기어(145) 및 상기 제2기어(145)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3기어(14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회전링(120)의 랙기어(1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링(1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링(120)의 타측에 경사단(122)과 맞닿아 결합된 이미지센서링(130)의 슬라이딩경사단(131)은 상기 회전링(12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링(120)의 경사단(122)은 이미지센서링(130)의 슬라이딩경사단(131)의 높은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미지센서링(130)은 상기 회전링(120)에 의해 후진하게 되고, 이미지센서링(130)은 안내지지단(132)에 삽입된 스프링(133)이 결합된 안내봉(134)을 따라 탄성을 받으면서 후진하게 되어 상기 이미지센서링(130)과 렌즈부(10)의 최대(max)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에도 회전링(120)의 랙기어(124)에 결합된 센서(150)에서는 상기 회전링(120)의 랙기어(1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기어(151)와 이 기어(151)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152)로 후진 거리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엔코더(152)로 전,후진 거리를 감지한 센서(150)에서는 감지한 신호를 감시카메라의 하부 또는 원격지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하부 또는 원격지에서는 전송된 감지 신호로 감지카메라의 렌즈부(10)와 이미지센서부(20)와의 거리, 즉 백 포커스 간격을 확인하면서 조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감시카메라의 설치시 조절하여야 하는 렌즈 포커스 이외에 반드시 조절하여야 하는 백 포커스 간격 조절을 설치 후에도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백 포커스 간격 조절을 위해 감시카메라로 접근 또는 조절에 따른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없이 간편 용이 조절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렌즈부 20; 이미지센서부
100; 백 포커스 조절부 110; 렌즈브라켓
120; 회전링 121; 결합단
122; 경사단 123; 결합돌기
124; 랙기어 130; 이미지센서링
131; 슬라이딩경사단 132; 안내지지단
133; 스프링 134; 안내지지단
140; 회전구동기 141; 모터
142; 제1기어 143; 기어벨트
144; 유성기어 145; 제2기어
146; 제3기어 150; 센서
151; 기어 152; 엔코더

Claims (6)

  1. 렌즈부;
    상기 렌즈부로부터 집광된 영상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회로기판으로 전송하는 이미지센서부;
    상기 이미지센서부에는 원격으로 상기 렌즈부와의 백 포커스 간격을 조절하는 백 포커스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 포커스 조절부는 일측면에 렌즈부를 장착하는 렌즈브라켓;
    상기 렌즈브라켓의 타측면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의해 이미지센서부를 전,후진구동하는 이미지센서링; 상기 회전링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 및
    상기 회전링과 결합하여 회전수로 백 포커스 간격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은 일측이 렌즈브라켓에 결합되는 결합단을 구비하고, 타측은 경사면을 갖는 경사단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단의 외측에는 상기 이미지센서링을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링의 외주면에는 반호형의 랙기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링은 일측에 상기 회전링의 경사단을 타고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경사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센서링의 타측에 이미지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미지센서링의 원주에는 사방으로 안내지지단을 구비하되, 상기 안내지지단에는 스프링을 결합한 안내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기는 정,역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와 결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의 회전력으로 상기 회전링을 회전하는 제3기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회전링의 랙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기어, 상기 기어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KR1020120054725A 2012-05-23 2012-05-23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KR10137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725A KR101378586B1 (ko) 2012-05-23 2012-05-23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725A KR101378586B1 (ko) 2012-05-23 2012-05-23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012A KR20130131012A (ko) 2013-12-03
KR101378586B1 true KR101378586B1 (ko) 2014-03-24

Family

ID=4998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725A KR101378586B1 (ko) 2012-05-23 2012-05-23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5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064A (ko) * 2016-05-09 2018-12-19 항조우 힉비젼 디지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백 포커스 조정 메커니즘 및 그것을 구비한 비디오 카메라
KR102012865B1 (ko) 2018-07-05 2019-10-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용 카메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563B1 (ko) * 2018-03-13 2019-11-01 주식회사 케이씨이 초점에 따라 엘이디가 이동하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CN113163102B (zh) * 2020-01-22 2023-03-24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后焦调节装置及摄像机
CN112135020B (zh) * 2020-09-08 2023-03-2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拍摄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064A (ko) * 2016-05-09 2018-12-19 항조우 힉비젼 디지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백 포커스 조정 메커니즘 및 그것을 구비한 비디오 카메라
KR102125089B1 (ko) * 2016-05-09 2020-06-19 항조우 힉비젼 디지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백 포커스 조정 메커니즘 및 그것을 구비한 비디오 카메라
US10739606B2 (en) 2016-05-09 2020-08-11 Hangzhou Hikvision Digital Technology Co., Ltd. Back focus adjustment mechanism and video camera provided with same
KR102012865B1 (ko) 2018-07-05 2019-10-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용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012A (ko)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586B1 (ko)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NZ601178A (en) Tracking and monitoring camera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KR101011269B1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KR101993658B1 (ko)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KR20190061951A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JP2007274530A (ja) 監視カメラ装置
KR20150107506A (ko) 목표 피사체 정밀 추적 및 촬영용 팬틸트 일체형 감시카메라
KR20150015732A (ko) 천장 이동형 cctv 카메라 장치
KR102406209B1 (ko)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0683623B1 (ko)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KR20090065853A (ko) 팬틸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KR20100008825A (ko) 폐쇄회로텔레비전 카메라 시스템의 와이퍼 장치
KR101889825B1 (ko) 지주 설치형 사진촬영모듈 운용시스템
KR102673827B1 (ko) 자동 초점 장치를 채용하는 감시카메라
KR2006010157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제어 무인 이동감시 카메라
KR101405413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설치용 멀티 브래킷
KR101848363B1 (ko) 감시카메라 장치
KR102384750B1 (ko)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
JP2013106175A (ja) カメラシステム
KR101056994B1 (ko) 지능형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KR200442315Y1 (ko)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배율·초점 조정장치
KR101045829B1 (ko) 카메라 팬 틸트 자동 제어장치
KR101605447B1 (ko) 감시용 카메라 장치
JP2005210263A (ja) 防犯装置
KR20110088722A (ko)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