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209B1 -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209B1
KR102406209B1 KR1020150156836A KR20150156836A KR102406209B1 KR 102406209 B1 KR102406209 B1 KR 102406209B1 KR 1020150156836 A KR1020150156836 A KR 1020150156836A KR 20150156836 A KR20150156836 A KR 20150156836A KR 102406209 B1 KR102406209 B1 KR 102406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nning
mirror
light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102A (ko
Inventor
이경은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6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209B1/ko
Priority to PCT/KR2016/007090 priority patent/WO2017082509A1/ko
Publication of KR2017005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252
    • H04N5/232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는, 측면 일부에 광 투과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 형상의 패닝 지지부와, 상기 패닝 지지부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틸팅 지지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원통형 감시 카메라는, 상기 광 투과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광 렌즈, 상기 광 투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입사된 후 상기 수광 렌즈를 통과한 빛을 상기 하우징 내의 타측을 향해 반사하는 미러, 상기 하우징 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 상기 하우징의 흔들림 양을 검출하는 흔들림 검출 수단 및 상기 흔들림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미러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미러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Cylindrical security camera and security camera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설물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교차로에는 일정한 높이의 지지 폴대 위에 각 방향의 도로를 지향하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들이 설치된다. 감시 카메라들은 촬영 방향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 폴대 위에 팬(pan) 및 틸트(tilt)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감시 카메라들은 돔형 커버를 갖는 카메라들을 제외하고는 팬 방향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복수의 감시 카메라가 인접하여 설치된 경우, 감시 카메라들 중 일부를 팬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간섭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복수의 감시 카메라들을 각각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인접하는 감시 카메라들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팬, 틸트 회전 중에 인접하는 카메라와 상호 간섭이 적고, 팬/틸트 각도 조정이 보다 용이한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는, 측면 일부에 광 투과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 형상의 패닝 지지부와, 상기 패닝 지지부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틸팅 지지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원통형 감시 카메라는, 상기 광 투과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광 렌즈, 상기 광 투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입사된 후 상기 수광 렌즈를 통과한 빛을 상기 하우징 내의 타측을 향해 반사하는 미러, 상기 하우징 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 상기 하우징의 흔들림 양을 검출하는 흔들림 검출 수단 및 상기 흔들림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미러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미러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감시 카메라는, 상기 미러과 상기 촬상 소자 사이에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의 광 경로를 따라 직렬 배열된 복수의 렌즈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의 줌 배율을 조정하는 렌즈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닝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을 향해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패닝 지지부에 대해 고정하는 패닝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 지지부는 상기 패닝 지지부를 향해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패닝 지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패닝 지지부를 상기 틸팅 지지부에 대해 고정하는 틸팅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는, 측면 일부에 광 투과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 상기 광 투과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광 렌즈, 상기 광 투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입사된 후 상기 수광 렌즈를 통과한 빛을 상기 하우징 내의 타측을 향해 반사하는 미러, 상기 하우징 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 상기 하우징의 흔들림 양을 검출하는 흔들림 검출 수단 및 상기 흔들림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미러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미러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러과 상기 촬상 소자 사이에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의 광 경로를 따라 직렬 배열된 복수의 렌즈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의 줌 배율을 조정하는 렌즈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팬, 틸트 회전 중에 인접하는 카메라와 상호 간섭이 적다.
또한, 팬/틸트 각도 조정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의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의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지지 폴대(2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폴대(20)는 인도/도로의 인근에 설치되거나 교차로 중심 또는 인근에 설치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10)의 카메라 베이스(200)는 지지 폴대(2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 개의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는 카메라 베이스(200)에 지지되어 지지 폴대(20)의 주변을 촬영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카메라 베이스(200)와, 복수 개의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를 포함한다.
카메라 베이스(200)는 중심에 지지 폴대 설치홀(202)이 형성된 베이스 바디(201), 베이스 바디(20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쌍의 틸팅 지지부(203, 204) 및 복수 쌍의 틸팅 지지부(203, 204)에 각각 설치되는 패닝 지지부(210)를 포함한다.
도 2에는 4개의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가 설치되는 카메라 베이스(200)를 도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4쌍의 틸팅 지지부(203, 204)가 지지 폴대 설치홀(202)을 중심으로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카메라 베이스(200)가 도시되었다.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10)에 포함되는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개수에 따라 카메라 베이스(200)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가 설치되는 경우, 카메라 베이스(200)에는 3쌍의 틸팅 지지부(203, 204)가 구비될 수 있으며, 3쌍의 틸팅 지지부(203, 204)는 지지 폴대 설치홀(202)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틸팅 지지부(203, 204)는 일정 간격 이격된 채 나란하게 베이스 바디(201)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틸팅 지지부(203, 204) 사이의 간격은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쌍의 틸팅 지지부(203, 204)에는 각각 링 형상의 패닝 지지부(2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틸팅 지지부(203, 204)는 패닝 지지부(210)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패닝 지지부(210)가 틸트 방향(T)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대략 원통형의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의 측면 중 상부 일부에는 광 투과부(111)가 형성된다.
광 투과부(111)는 빛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거나 글래스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의 윈도우로 형성될 수 있지만, 하우징(1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 투과부(111)는 윈도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는 링 형상의 패닝 지지부(210)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패닝 지지부(210)는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하우징(110)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하우징(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하우징(110)의 측면이 원형을 이루고 패닝 지지부(210)는 원형의 측면을 감싸는 링 형상이므로,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는 팬 방향(P)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10)에서 각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는 패닝 지지부(210)에 의해 팬 방향(P) 회전이 가이드되며 팬 방향(P)으로 자유롭게 회전된다. 또한,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를 지지하는 패닝 지지부(210)가 틸팅 지지부(203, 204)에 의해 틸트 방향(T) 회전이 가이드 되므로, 패팅 지지부(210)가 틸트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는 틸트 방향(T)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10)를 설치하거나 각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지향 방향을 재조정하는 경우에,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팬 방향(P) 및 틸트 방향(T)의 각도 조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팬/틸트 각도 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는 팬 방향 회전축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의 외관을 가지므로, 팬/틸트 회전 중에 인접하는 다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와 간섭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설치 시에 다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지향 방향 및 설치 위치를 고민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간편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닝 지지부(210)에는 하우징(110)을 향해 관통 형성되는 제1 관통홀(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별도의 패닝 고정 수단(S1)을 패닝 지지부(210)의 외측으로부터 제1 관통홀(211)에 삽입하여, 패닝 고정 수단(S1)이 하우징(110)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하여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패팅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틸팅 지지부(203, 204)에는 패닝 지지부(210)를 향해 관통 형성되는 제2 관통홀(203a, 204a)이 형성된다. 그리고, 별도의 틸팅 고정 수단(S2)을 틸팅 지지부(203, 204)의 외측으로부터 제2 관통홀(203a, 204a)에 삽입하여, 틸팅 고정 수단(S2)이 패닝 지지부(210)를 가압하도록 하여 패닝 지지부(210)의 틸팅 각도를 고정함으로써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틸팅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베이스(200)에 복수의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들을 설치한 후, 각각의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패닝 및 틸팅 각도를 조절한 후, 패닝 고정 수단(S1) 및 틸팅 고정 수단(S2)을 이용해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패닝 및 틸팅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바와 같이, 패닝 고정 수단(S1) 및 틸팅 고정 수단(S2)으로는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내부 구조 및 제어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수광 렌즈(120), 반사형 흔들림 보정부(130), 렌즈 모듈(140), 촬상 소자(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수광 렌즈(120)는 광 투과부(111)와 인접하도록 하우징(110) 내부의 일측(상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수광 렌즈(120)와 함께 하우징(110) 내부의 일측에는 반사형 흔들림 보정부(130)가 구비된다.
반사형 흔들림 보정부(130)는 미러(130)와 미러 구동부(132)를 포함한다.
미러(130)는 광 투과부(111)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입사된 후 수광 렌즈(120)를 통과하여 입사된 빛을 하우징(110) 내부의 타측(하부)을 향해 반사한다. 이를 위해 미러(130)는 수광 렌즈(120)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 경로에 대해 비스듬하게 설치될 수 있다.
미러 구동부(132)는 제어부(160)의 명령에 따라 미러(130)의 반사 각도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의 흔들림을 감지하고,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도록 미러(130)의 반사 각도를 조정하는 제어 명령을 미러 구동부(132)에 전달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미러(130)에 의해 반사된 빛은 하우징(110) 내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촬상 소자(150)로 진행한다. 촬상 소자(150)는 입사되는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을 수행한다. 촬상 소자(150)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미러(130)와 촬상 소자(150) 사이에는 렌즈 모듈(140)이 구비될 수 있다.
렌즈 모듈(140)은, 미러(130)에 의해 반사된 빛의 광 경로를 따라 직렬 배열된 복수의 렌즈들(141)과 복수의 렌즈들(141)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하여 촬상 소자(15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의 줌 배율을 조정하는 렌즈 구동부(142)를 포함한다.
렌즈 구동부(142)는 제어부(160)의 명령에 따라 복수의 렌즈들(141)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의 제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161), DSP(Digital Signal Processor, 162), 자이로 센서(163)를 포함한다.
ISP(161)는 촬상 소자(150)에서 광전 변환된 전기 신호를 영상 신호로 처리한다.
DSP(162)는 ISP(161)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ISP(161)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에 추가적인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지지 폴대(20)의 상단에 설치되므로, 바람, 주변을 통행하는 차량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 등에 의해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10)는 불규칙하게 흔들리게 된다.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가 흔들리면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 역시 흔들리며 촬영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는 하우징(110)의 흔들림 양을 검출하는 흔들림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하우징(110)의 흔들림 양에 대응하여 미러(130)의 반사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한다.
자이로 센서(163)는 하우징(110)의 흔들림 양을 검출하는 흔들림 검출 수단의 일례로서, DSP(162)는 자이로 센서(163)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하우징(110)의 흔들림 양을 연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흔들림 검출 수단은 가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DSP(162)는 자이로 센서(163)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하우징(110)의 흔들림 양을 연산하고, 연산된 흔들림 양을 기초로 촬상 소자(15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이 하우징(110)의 흔들림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미러 구동부(132)에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미러 구동부(132)가 DSP(162)로부터 전달된 제어 명령에 따라 미러(130)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므로,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가 흔들리는 상황에서도 원통형 감시 카메라(100)는 흔들리지 않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20: 지지 폴대
100: 원통형 감시 카메라 110: 하우징
111: 광 투과부 120: 수광 렌즈
130: 반사형 흔들림 보정부 131: 미러
132: 미러 구동부 140: 렌즈 모듈
141: 렌즈 142: 렌즈 구동부
150: 촬상 소자 160: 제어부
200: 카메라 베이스 201: 베이스 바디
202: 지지 폴대 설치홀 203, 204: 틸팅 지지부
203a, 204a: 제2 관통홀 210: 패닝 지지부
211: 제1 관통홀 S1: 패닝 고정 수단
S2: 틸팅 고정 수단

Claims (6)

  1. 측면 일부에 광 투과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카메라; 및
    베이스 바디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며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 형상의 패닝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패닝 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팅 지지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감시 카메라는,
    상기 광 투과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광 렌즈;
    상기 광 투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에 입사된 후 상기 수광 렌즈를 통과한 빛을 상기 하우징 내의 타측을 향해 반사하는 미러;
    상기 하우징 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
    상기 하우징의 흔들림 양을 검출하는 흔들림 검출 수단 및
    상기 흔들림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미러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미러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 지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틸팅 지지부는 복수의 쌍을 형성하고, 각 쌍의 틸팅 지지부는 대응하는 하나의 패닝 지지부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각 쌍의 틸팅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감시 카메라는,
    상기 미러과 상기 촬상 소자 사이에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의 광 경로를 따라 직렬 배열된 복수의 렌즈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의 줌 배율을 조정하는 렌즈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닝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을 향해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패닝 지지부에 대해 고정하는 패닝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지지부는 상기 패닝 지지부를 향해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패닝 지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패닝 지지부를 상기 틸팅 지지부에 대해 고정하는 틸팅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KR1020150156836A 2015-11-09 2015-11-09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2406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836A KR102406209B1 (ko) 2015-11-09 2015-11-09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PCT/KR2016/007090 WO2017082509A1 (ko) 2015-11-09 2016-07-01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836A KR102406209B1 (ko) 2015-11-09 2015-11-09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102A KR20170054102A (ko) 2017-05-17
KR102406209B1 true KR102406209B1 (ko) 2022-06-07

Family

ID=5869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836A KR102406209B1 (ko) 2015-11-09 2015-11-09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6209B1 (ko)
WO (1) WO2017082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618B1 (ko) * 2017-12-11 2022-10-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틸트-각도 유지 방법, 틸팅 제어 방법, 및 감시 카메라
KR102553554B1 (ko) * 2018-06-08 2023-07-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43635B1 (ko) 2019-04-15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6734928B (zh) * 2023-08-15 2023-10-24 忻州市畜牧产业发展中心 一种稳定型农牧场环境监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051B1 (ko) * 1997-10-10 1999-12-01 윤종용 비디오 카메라의 손떨림 보정장치
KR20060094729A (ko) * 2005-02-25 2006-08-3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 틸트식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1521528B1 (ko) * 2009-02-13 2015-05-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051501B1 (ko) * 2012-07-26 2019-1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066937B1 (ko) * 2013-03-25 2020-01-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1494872B1 (ko) * 2013-06-18 2015-03-19 주식회사 누리플랜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445176B1 (ko) * 2013-07-26 2014-09-29 아진산업(주) 차량용 카메라 및 초음파센서 설치용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2509A1 (ko) 2017-05-18
KR20170054102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209B1 (ko)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US9042714B2 (en) Dome-shape camera
JP4490944B2 (ja) レンズ装置の焦点調整支援装置および焦点調整方法
US20140340474A1 (en) Panoramic image scanning device using multiple rotating cameras and one scanning mirror with multiple surfaces
NZ601178A (en) Tracking and monitoring camera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JP2001154097A (ja) 風景の画像を異なる解像度で取り込むことを可能にするイメージング装置
JP4404120B2 (ja) レンズ鏡筒回転検知装置及びレンズ鏡筒回転型撮像装置
JP2007274530A (ja) 監視カメラ装置
US9179063B1 (en) Camera triggering system for panorama imaging
KR20110099986A (ko) 감시 카메라
JP2005148265A (ja) カメラ装置
JP2016048824A (ja) 追尾装置、追尾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JP2000036917A (ja) 撮像装置
KR102467241B1 (ko) 에지 값을 이용한 감시 카메라의 패닝 및 틸팅 제어 방법
US10567653B2 (en) Method of maintaining tilt angle, method of controlling tilting, and surveillance camera
CN107870414A (zh) 全景扫描承载装置
KR101273013B1 (ko) 듀얼 렌즈를 이용한 네트워크 카메라
JP2016046774A (ja) 撮像装置
KR102673827B1 (ko) 자동 초점 장치를 채용하는 감시카메라
JP5623450B2 (ja) ドーム型監視カメラ
US11637958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332767B2 (ja) 原点検出方法、原点検出装置及び監視カメラ装置
AU2015238237B2 (en) Opto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 with variable optical field
KR20240036971A (ko) 높이조절 선실드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장치
KR101057819B1 (ko) 영상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