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937B1 -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937B1
KR102066937B1 KR1020130031709A KR20130031709A KR102066937B1 KR 102066937 B1 KR102066937 B1 KR 102066937B1 KR 1020130031709 A KR1020130031709 A KR 1020130031709A KR 20130031709 A KR20130031709 A KR 20130031709A KR 102066937 B1 KR102066937 B1 KR 10206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rveillance camera
support
bracket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744A (ko
Inventor
정운도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9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외부 시설물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팬(Pan) 회전, 틸트(Tilt) 회전 및 줌(Zoom)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감시카메라부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레켓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Security camera assembly}
본 발명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 어셈블리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감시카메라 어셈블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건 등을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감시카메라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외부의 고정된 시설물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시설물에 설치되는 경우 감시카메라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감시카메라는 일정 영역만을 촬영함으로써 감시카메라의 효용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는 팬(Pan) 회전, 틸트(Tilt) 회전 및 줌(Zoom) 동작을 수행하는 감시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감시카메라의 팬 회전, 틸트 회전 및 줌 동작은 외부에서 제어신호를 입력하거나 시간 등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상기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감시카메라 어셈블리는 한국공개특허 제2003-0062727호(발명의 명칭 : 팬틸트 카메라, 출원인 : 고윤화)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62727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이 간편한 감시카메라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부 시설물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팬(Pan) 회전, 틸트(Tilt) 회전 및 줌(Zoom)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감시카메라부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레켓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외부 시설물에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방사형을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연결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회동 후 상기 지지브라켓을 고정시켜 상기 지지브라켓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하우징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센서부에 측정된 데이터를 근거로 감시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감시 범위와 감시 영역을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브라켓(13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브라켓(14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외부 시설물(미도시)에 고정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상기 외부 시설물에 연결되도록 고정되는 지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지지부(111)에 연결되는 제 1 하우징(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 1 하우징(112)와 결합하는 제 2 하우징(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은 제 1 하우징(112)와 제 2 하우징(113)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제 2 하우징(113)과 결합하는 커버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14)는 내부의 상기 감시카메라가 외부를 촬영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팬(Pan) 회전, 틸트(Tilt) 회전 및 줌(Zoom)을 수행하는 감시카메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감시카메라부(120)는 제 1 하우징(112) 및 제 2 하우징(113) 내부에 배치되는 감시카메라(미도시)와, 상기 감시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를 팬 회전, 틸트 회전 및 줌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130)의 일부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고정브라켓(130)에 일부가 삽입된 후 후술할 접촉부(135)를 통하여 고정브라켓(130)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브라켓(130)의 일부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브라켓(130)은 제 1 하우징(112)과 제 2 하우징(113) 사이에 일부가 삽입되는 바디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130)은 바디부(131)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고정브라켓(130)은 연장부(132)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후술할 지지브라켓(140)이 결합하는 결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33)에는 후술할 지지브라켓(140)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삽입홀(13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33)에는 후술할 지지브라켓(140)의 일부가 삽입되고, 지지브라켓(140)의 회전 시 지지브라켓(140)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34)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134)는 돌기 형태일 수 있으며, 홈이나 홀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이드부(134)가 홀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브라켓(130)은 바디부(13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표면과 접촉하는 접촉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135)에는 결합부재(미도시) 등이 결합하여 고정브라켓(130)을 하우징(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 나사, 핀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는 고정브라켓(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브라켓(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브라켓(140)은 결합부(13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140)은 연결부(14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삽입홀(133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4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140)은 연결부(14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후술할 센서부(150)가 결합하는 센서결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결합부(142)는 센서부(150)와 다양한 구조물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133)를 마주보는 연결부(141)의 일면의 폭은 센서결합부(142)의 일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지지브라켓(140)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지지브라켓(140)은 후술할 센서부(15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센서부(150) 하나당 한쌍이 연결부(14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연결부(141)도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연결부(141)는 서로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연결부(141)는 3개일 수 있으며, 각 연결부(141) 사이의 각도는 120도일 수 있다. 또한, 각 연결부(141) 사이에는 한쌍의 지지브라켓(140)이 설치되어 각 센서부(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센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50)는 움직이는 물체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50)는 적외선 센서, 열 센서, 레이더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지지브라켓(140)과 고정브라켓(130)을 연결하고, 지지브라켓(140)의 회동 후 지지브라켓(140)을 고정시키는 각도유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도유지부(160)는 지지브라켓(140)이 회동한 후 지지브라켓(140)의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도유지부(16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브라켓(14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부(134)에 삽입되는 볼트 또는 나사, 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볼트 또는 나사, 핀 등과 결합하여 지지브라켓(140)과 연결부(141)를 완전히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너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도유지부(160)는 모터 또는 엑추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각도유지부(160)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부(134)와 연결되어 지지브라켓(140)과 고정브라켓(130)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모든 장침 및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도유지부(160)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의 조립 및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제 1 하우징(112)이 연결된 지지부(111)를 상기 외부 시설물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1)는 상기 외부 시설물에 나사,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111)의 고정이 완료되면, 바디부(131)를 제 1 하우징(112)과 제 2 하우징(113) 사이에 배치한 후 바디부(131)를 제 2 하우징(113)에 나사 등을 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에 의하여 제 1 하우징(112), 바디부(131) 및 제 2 하우징(113)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35)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을 결합하여 바디부(131)를 제 2 하우징(113)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디부(131)가 설치되는 경우, 바디부(131)와 연결된 연결부(141) 및 연결부(141)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40), 지지브라켓(140)에 고정된 센서부(150)도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면, 센서부(1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도유지부(160)를 조절하여 지지브라켓(140)를 연결부(141)를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브라켓(140)을 회동시킨 후 각도유지부(160)를 조절하여 지지브라켓(1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센서부(15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장치는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센서부(150)에서 측정된 위치로 상기 감시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감시카메라를 통하여 해당 지역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해당 지역의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감시카메라는 외부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고, 외부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별도의 통신모듈을 통하여 다른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센서부(150)의 각도를 다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사용자는 각도유지부(160)를 조절하여 지지브라켓(140)을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140)을 원한는 위치까지 회동시킨 후 각도유지부(160)를 통하여 센서부(1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도유지부(160)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 또는 엑추에이터인 경우 외부 장치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지지브라켓(14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150)를 하우징(110)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센서부(150)에 측정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감시 범위와 감시 영역을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어셈블리(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감시카메라 어셈블리(200)는, 하우징(210), 고정브라켓(230), 지지브라켓(240) 및 각도유지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10), 지지브라켓(240) 및 각도유지부(260)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하우징(110), 지지브라켓(140) 및 각도유지부(160)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고정브라켓(230)은 바디부(231), 연장부(232) 및 접촉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231), 연장부(232) 및 접촉부(235)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브라켓(230)은 바디부(23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236)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지지부(211)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230)은 삽입부(236)에 설치되어 삽입부(236)를 지지부(21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7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부(236)의 일부가 개방된 경우, 고정부(270)는 개방된 삽입부(236) 부분에 설치되어 개방된 삽입부(236) 부분을 구속하는 클램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삽입부(236)가 지지부(211)의 외면을 완전히 감싸는 경우 고정부(270)는 삽입부(236)에 삽입되어 지지부(211)의 표면과 접촉하는 볼트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고정부(270)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삽입부(236)를 지지부(211)에 고정시키는 모든 장치 또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270)가 볼트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감시카메라 어셈블리(200)의 조립 및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지지부(211)에 바디부(231) 및 삽입부(236)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236)는 고정부(270)를 통하여 지지부(211)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41)에 연결된 지지브라켓(240)을 조절하여 센서부(250)의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250)의 각도가 설정되면, 각도유지부(260)를 통하여 센서부(250)의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지지부(211)를 상기 외부 시설물에 고정시킨 후 제 1 하우징(212)과 제 2 하우징(213)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감시카메라 어셈블리(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감시카메라 어셈블리(200)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250)는 감시카메라 어셈블리(20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움직임 등을 포착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와 같이 전송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감시카메라를 통하여 해당 지역을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시카메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송출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다른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센서부(250)의 각도를 다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도유지부(260)를 통하여 지지브라켓(240)이 운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시킨 후 지지브라켓(240)을 회동시켜 센서부(2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각도유지부(260)를 통하여 지지브라켓(240)을 고정시킴으로써 센서부(250)는 새로운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각도유지부(260)는 외부 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지지브라켓(24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감시카메라 어셈블리(200)는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250)를 하우징(210)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 어셈블리(200)는 센서부(250)에 측정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감시 범위와 감시 영역을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200 : 감시카메라 어셈블리
110, 210 : 하우징
111, 211 : 지지부
112, 212 : 제 1 하우징
113, 213 : 제 2 하우징
120, 220 : 감시카메라부
130, 230 : 고정브라켓
131, 231 : 바디부
132, 232 : 연장부
133, 233 : 결합부
134, 234 : 가이드부
140, 240 : 지지브라켓
150, 250 : 센서부
160, 260 : 각도유지부

Claims (5)

  1. 외부 시설물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팬(Pan) 회전, 틸트(Tilt) 회전 및 줌(Zoom)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감시카메라부;
    상기 외부 시설물과 상기 감시카메라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센서부가 고정되는 센서결합부; 및
    상기 센서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을 마주보는 상기 연결부의 일면의 폭은 상기 연결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센서결합부의 폭보다 큰 감시카메라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 시설물에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결합하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하는 감시카메라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방사형을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감시카메라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KR1020130031709A 2013-03-25 2013-03-25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206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709A KR102066937B1 (ko) 2013-03-25 2013-03-25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709A KR102066937B1 (ko) 2013-03-25 2013-03-25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744A KR20140116744A (ko) 2014-10-06
KR102066937B1 true KR102066937B1 (ko) 2020-01-16

Family

ID=5199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709A KR102066937B1 (ko) 2013-03-25 2013-03-25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209B1 (ko) * 2015-11-09 2022-06-0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2525184B1 (ko) * 2018-04-24 2023-04-25 한화비전 주식회사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KR102369579B1 (ko) * 2020-12-01 2022-03-02 박진성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KR102334883B1 (ko) * 2021-03-31 2021-12-03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모듈 탈착식 서라운드 카메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727A (ko) 2002-01-18 2003-07-28 고윤화 팬틸트 카메라
KR100651688B1 (ko) * 2004-12-02 2006-12-01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KR100858110B1 (ko) * 2006-12-28 2008-09-10 (주)시큐원 보안장치
KR101229057B1 (ko) * 2011-04-28 2013-02-04 주식회사 네오콤 멀티비젼 돔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744A (ko) 201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937B1 (ko)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US9635224B2 (en) Pan and tilt camera with robotic movement
EP2728386B1 (en) Millimeter-wave inspection apparatus
KR101993658B1 (ko)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US8727644B2 (en) Camera
US20170315427A1 (en) Image pickup apparatus resistant to environments, and image monitoring system
JP4977419B2 (ja) 監視カメラ
KR20160002366A (ko) 감시 장치, 및 고정식 감시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
US20150198866A1 (en) Adjusting seat and photographing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267595A1 (en) Rotating surveillance camera
JP2017118440A (ja) 車両用室内撮影装置
KR101424151B1 (ko)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07054B1 (ko)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179063B1 (en) Camera triggering system for panorama imaging
CN107466413B (zh) 视场对准的系统和方法
JP2007303913A (ja) 異物検知装置、それを用いたロボット装置、異物検知方法および異物検知プログラム
JP6241778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
KR101405413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설치용 멀티 브래킷
CN105745573A (zh) 旋转检测装置、具备该旋转检测装置的相机、以及具备该相机的摄像装置
KR20070111200A (ko) 감시카메라용 수평 수직 회전 장치
KR101650413B1 (ko) 스마트폰 연동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KR20180001553U (ko) 촬상 장치
KR102043233B1 (ko) 적외선 감지 시스템
KR102085866B1 (ko) 촬영 장치, 촬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6636833B2 (ja) アクチュエータ、絞り装置、光学機器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