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184B1 -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184B1
KR102525184B1 KR1020180047324A KR20180047324A KR102525184B1 KR 102525184 B1 KR102525184 B1 KR 102525184B1 KR 1020180047324 A KR1020180047324 A KR 1020180047324A KR 20180047324 A KR20180047324 A KR 20180047324A KR 102525184 B1 KR102525184 B1 KR 102525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isposed
lens
protrusi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518A (ko
Inventor
신현수
Original Assignee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18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감시카메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렌즈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와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레일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Lens bracket for security camera and security camera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감시카메라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촬영할 수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감시카메라에서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를 다양한 각도로 배열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를 차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는 하우징에 나사, 볼트 등으로 하우징의 특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거하는 경우 나머지 렌즈어셈블리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못함으로써 감시카메라의 사각지대가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미국 공개특허 제2017-0299949호(발명의 명칭: OMNIDIRECTIONAL USER CONFIGURABLE MULTI-CAMERA HOUSING, 출원인: ARECONT VISION, LLC)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공개특허 제2017-029994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렌즈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와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레일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렌즈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측면을 감싸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된 걸림연결부와, 상기 걸림연결부로부터 상기 레일의 돌기 측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감싸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이동바디부와, 상기 이동바디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을 돌출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된 접촉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레일이 배치된 베이스하우징과,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렌즈브라켓과, 상기 베이스하우징과 결합하며, 상기 렌즈브라켓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렌즈브라켓을 상기 레일 측으로 가력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하우징과 결합하는 커버바디부와, 상기 커버바디부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브라켓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렌즈브라켓을 상기 레일 측으로 가력하는 가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력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브라켓은, 렌즈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와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측면을 감싸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된 걸림연결부와, 상기 걸림연결부로부터 상기 레일의 돌기 측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레일이 배치된 베이스하우징과,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렌즈브라켓과, 상기 베이스하우징과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브라켓은, 렌즈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와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감싸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이동바디부와, 상기 이동바디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을 돌출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된 접촉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하우징 및 상기 렌즈브라켓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렌즈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렌즈 어셈블리 중 하나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렌즈 어셈블리 중 다른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레일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브라켓은 레일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브라켓은 레일을 따라 이동 시 위치가 너무 빠르게 가변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브라켓은 레일 상에서 위치를 손쉽게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렌즈브라켓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복수개의 렌즈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일로부터 분리한 후 복수개의 렌즈브라켓 중 나머지를 레일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렌즈브라켓의 위치를 가변시킨 후 렌즈브라켓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화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즈브라켓 및 레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렌즈브라켓의 하면 및 레일의 하면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렌즈브라켓의 하면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면과 하면은 각 부재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감시카메라(100)는 베이스하우징(111), 고정하우징(112), 커버하우징(113), 렌즈브라켓(120), 커버(130) 및 렌즈어셈블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하우징(111)은 렌즈브라켓(1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하우징(111)은 고정하우징(1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하우징(111)은 렌즈브라켓(120)이 배치되는 레일(111a), 레일(111a)이 배치되는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 및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의 중심에 배치된 중심축(111c)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11a)은 환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111a)의 하면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일(111a)은 하면에 돌출된 레일돌기(111a-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일돌기(111a-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레일돌기(111a-1)는 레일(111a)의 하면을 따라 레일(111a)을 일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각 레일돌기(111a-1)는 각 레일돌기(111a-1)의 길이 방향이 레일(111a)의 중심을 향하도록 레일(111a)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는 레일(111a)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레일(111a)은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는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에 결합하거나 레일(111a)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렌즈브라켓(120)을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제1 홈(111b-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홈(111b-1)은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의 외면으로부터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의 중심 부분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111c)은 레일(111a)의 중앙에 배치되어 렌즈어셈블리(140) 중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심축(111c)은 렌즈어셈블리(140)가 삽입되는 형태, 렌즈어셈블리(140)가 고정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렌즈어셈블리(14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111c)은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별도로 형성되어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중심축(111c)이 별도로 결합하는 경우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중심축(111c)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중심축(111c)은 나사, 볼트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 또는 중심축(111c) 중 하나에 후크 등과 같은 돌기가 형성되고,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 또는 중심축(111c) 중 다른 하나에 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중심축(111c)이 서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베이스하우징바디부(111b)와 중심축(111c)은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하우징(112)은 베이스하우징(111)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정하우징(112)은 건물의 외벽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하우징(112)은 볼트, 나사 등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하우징(111)과 고정하우징(112)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하우징(111)과 고정하우징(112)은 볼트, 나사, 핀 등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베이스하우징(111)은 고정하우징(11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후크 등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하우징(113)은 고정하우징(112) 및 베이스하우징(11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며, 커버(1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하우징(113)은 커버(130)의 일부를 차폐시킬 수 있으며, 고정하우징(112) 및 베이스하우징(111)을 차폐시킬 수 있다.
한편,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커버(130)는 베이스하우징(111)과 결합하여 커버(130)와 베이스하우징(111) 사이에 배치되는 부품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커버(130)는 커버바디부(131)와 가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바디부(131)는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바디부(131)는 베이스하우징(111)의 측면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대향하는 커버바디부(131)의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바디부(131)는 아크릴, 유리, 플라스틱 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바디부(131)와 베이스하우징(111)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바디부(131)와 베이스하우징(111)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버바디부(131)와 베이스하우징(111)은 별도의 클램프 등을 통하여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바디부(131) 또는 베이스하우징(111) 중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커버바디부(131) 또는 베이스하우징(111) 중 다른 하나에는 돌기가 수용되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되어 돌기가 홈 또는 홀에 삽입되어 커버바디부(131)와 베이스하우징(111)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력부(132)는 커버바디부(131)로부터 렌즈브라켓(12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력부(132)는 커버바디부(13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커버바디부(131)와 별개로 형성되어 커버바디부(131)와 결합할 수 있다. 가력부(132)가 커버바디부(13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가력부(132)는 커버바디부(13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력부(132)가 커버바디부(131)와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 가력부(132)는 별도의 접착부재를 통하여 커버바디부(131)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가력부(132)는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력부(132)가 커버바디부(131)와 별도로 형성되어 가력부(132)와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렌즈어셈블리(140)는 중심축(111c) 및 렌즈브라켓(12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렌즈어셈블리(1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렌즈어셈블리(140) 중 하나는 중심축(111c)에 결합하고, 나머지는 렌즈브라켓(1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렌즈브라켓(120)은 렌즈어셈블리(140)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즈브라켓 및 레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렌즈브라켓의 하면 및 레일의 하면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렌즈브라켓의 하면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렌즈브라켓(120)은 고정부(121), 이동부(122), 결합돌기(123), 걸림부(124), 가이드(125), 접촉돌기(126) 및 격벽(127)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1)는 렌즈어셈블리(1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1)는 이동부(122)로부터 커버(1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21)는 렌즈어셈블리(140)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21)는 렌즈어셈블리(14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에 렌즈어셈블리(140)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렌즈어셈블리(140)와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121)는 렌즈어셈블리(140)의 일부가 방향에 따라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홈(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렌즈어셈블리(140)의 일부가 삽입홈(121a)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고정부(121)는 렌즈어셈블리(140)와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렌즈어셈블리(140)와 고정부(121)가 핀 등으로 렌즈어셈블리(14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부(121)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121)에 삽입홈(121a)이 형성되어 렌즈어셈블리(140)가 고정부(121)에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부(122)는 이동바디부(122a) 및 손잡이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바디부(122a)는 레일(111a)의 상면(예를 들면, 레일돌기(111a-1)가 형성된 면과 대향하는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바디부(122a)는 레일(111a)의 지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지름을 갖는 부채꼴의 일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바디부(122a)의 형상은 레일(111a)의 일부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손잡이부(122b)는 이동바디부(122a)와 분리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22b)의 일단은 이동바디부(122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잡이부(122b)는 힘을 가하는 경우 이동바디부(122a)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부(122b)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부(122c)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122c)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미끄럼방지부(122c)는 손잡이부(122b) 표면에 배치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미끄럼방지부(122c)는 손잡이부(122b)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거칠기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미끄럼방지부(122c)는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122c)는 손잡이부(122b)의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끄럼방지부(122c)는 손잡이부(122b)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미끄럼방지부(122c)가 손잡이부(122b)의 상면 및 하면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돌기(123)는 이동부(122)에 배치되어 레일(111a)의 내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23)는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레일(111a)의 내면 및 레일(111a)의 하면을 감쌀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123)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결합돌기(123)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결합돌기(123)는 이동부(122)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돌기(123)가 2개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2개의 결합돌기(123) 사이의 거리는 이동바디부(122a)와 연결되는 손잡이부(122b)의 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걸림부(124)는 손잡이부(122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24)는 2개의 결합돌기(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걸림부(124)와 2개의 결합돌기(123)는 삼각형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24)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레일(111a)의 외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걸림연결부(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걸림연결부(124a)는 결합돌기(123)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4)는 레일돌기(111a-1) 측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돌기(124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돌기(124b)는 이동부(122)의 이동 시 레일(111a)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위치고정돌기(124b)는 이동부(122)의 이동 시 레일돌기(111a-1)와 접촉하거나 인접하는 레일돌기(111a-1)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돌기(124b)는 이동부(122)의 이동 시 이동부(122)의 속도가 너무 빨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부(122)의 이동 후 이동부(122)의 위치를 어느 정도 고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125)는 이동바디부(122a)로부터 레일(111a)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125)는 걸림부(124)가 배치된 동일한 이동바디부(122a)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125)는 레일(111a)의 측면을 차폐할 수 있다. 가이드(125)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125)는 이동바디부(122a)의 측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가이드(125)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가이드(125)는 이동바디부(122a)의 측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이드(125)는 복수 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가이드(125)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접촉돌기(126)는 이동바디부(122a)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접촉돌기(126)는 이동바디부(122a)의 하면으로부터 레일(111a)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접촉돌기(126)는 이동부(122)가 정지하는 경우 레일(111a)과 점 접촉 또는 면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돌기(126)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접촉돌기(126)는 이동바디부(122a)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접촉돌기(126)는 이동부(122)가 레일(111a)에 안착되는 경우 위치고정돌기(124b)를 레일돌기(111a-1) 또는 인접하는 레일돌기(111a-1) 사이의 레일(111a)의 하면과 접촉시킬 수 있다.
격벽(127)은 이동부(12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127)이 이동부(122)와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격벽(127)은 이동부(122)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레일(111a)에 결합하며, 레일(111a)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격벽(127)은 렌즈브라켓(120)과 유사하게 고정부(121), 이동부(122), 결합돌기(123), 걸림부(124), 가이드(125), 접촉돌기(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격벽(127)이 이동부(12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격벽(127)은 고정부(1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격벽(127)은 이동바디부(122a)로부터 커버(1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벽(127)은 이동부(122)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격벽(127)은 이동부(122)에 설치된 렌즈어셈블리(140)로 입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격벽(127)은 렌즈어셈블리(14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격벽(127)은 레일(111a)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에 배치된 경우 렌즈어셈블리(14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렌즈어셈블리(140)의 개수를 조정하는 등의 이유로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일(111a)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은 손잡이부(122b)를 레일(111a)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잡이부(122b)는 이동바디부(122a)를 기준으로 레일(111a)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122b)와 함께 걸림부(124)가 레일(111a)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22b)가 상기와 같이 휘어지는 경우 걸림연결부(124a)의 일부는 레일(111a)의 하면으로부터 레일(111a)의 외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걸림연결부(124a)는 레일(111a)의 하면 및 측면 일부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위치고정돌기(124b)는 레일(111a)의 하면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22b)를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렌즈브라켓(120)은 결합돌기(12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레일(111a)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후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돌기(123)를 레일(111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로부터 분리하는 장소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베이스하우징(111)의 제1 홈(111b-1)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 중 하나를 분리하거나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일(111a) 상에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브라켓(120)을 통하여 렌즈어셈블리(140)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살펴보면,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에 결합하여 레일(11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부(122b)를 레일(111a)측으로 가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잡이부(122b)는 레일(111a)의 상면측으로 근접하면서 휘어질 수 있으며, 손잡이부(122b)와 함께 걸림부(124)도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걸림부(124)의 위치고정돌기(124b)는 레일(111a)의 하면에 형성된 레일돌기(111a-1)로부터 이탈되거나 레일돌기(111a-1) 사이의 홈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124)가 운동하는 경우 위치고정돌기(124b)는 레일돌기(111a-1)와의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외에도 사용자는 손잡이부(122b)를 가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위치고정돌기(124b)는 렌즈브라켓(120)과 같이 이동하면서 레일돌기(111a-1)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위치고정돌기(124b)는 레일돌기(111a-1)에 의해 위치가 가변할 수 있으며, 위치고정돌기(124b)의 위치에 따라 손잡이부(122b)가 일정 거리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고정돌기(124b)가 레일돌기(111a-1)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지점에 도달하면, 손잡이부(122b)는 레일(111a)측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위치고정돌기(124b)가 레일돌기(111a-1) 사이의 홈에 배치되면, 손잡이부(122b)는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렌즈브라켓(120)의 회전 시 렌즈브라켓(120)은 위치고정돌기(124b)로 인하여 레일(111a) 상의 위치가 원활하게 움직이지는 않지만 위치가 너무 빠르게 가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돌기(126)는 렌즈브라켓(120)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 상을 움직이는 경우 접촉돌기(126)는 위치고정돌기(124b)와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위치고정돌기(124b)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부(122)를 가력할 수 있다. 특히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을 이동할 때, 접촉돌기(126)는 레일(111a)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렌즈브라켓(120)의 이동 시 렌즈브라켓(120)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촉돌기(126)는 위치고정돌기(124b)가 레일돌기(111a-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할 때 레일(111a)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접촉돌기(126)는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손잡이부(122b)를 레일(111a) 측으로 가력하는 경우에도 레일(111a)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으로 인하여 접촉돌기(126)는 렌즈브라켓(120)의 운동 시 렌즈브라켓(120)에 어느 정도의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렌즈브라켓(120)의 속도가 너무 빨라져 렌즈브라켓(120)의 위치가 급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돌기(126)는 렌즈브라켓(120)이 정지하는 경우 접촉돌기(126)와 함께 렌즈브라켓(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브라켓(120)이 정지하는 경우 위치고정돌기(124b)는 인접하는 레일돌기(111a-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위치고정돌기(124b)의 끝단과 접촉돌기(126)의 끝단 사이의 거리는 레일돌기(111a-1)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지점에서 레일(111a)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렌즈브라켓(120)이 움직이려고 할 때 위치고정돌기(124b)가 레일돌기(111a-1)의 외면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렌즈브라켓(120)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 상에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렌즈어셈블리(140)를 렌즈브라켓(120)에 배치한 후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상에 결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의 상면에서 렌즈브라켓(120)에 힘을 가하거나 결합돌기(123) 또는 걸림부(124) 중 하나를 먼저 레일(111a)에 결합한 후 렌즈브라켓(120)을 회전하여 레일(111a)에 렌즈브라켓(120)을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상에 배치한 후 렌즈브라켓(120)에 힘을 가하는 경우 결합돌기(123)와 걸림부(12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23)와 걸림부(124)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이 있으므로 렌즈브라켓(120)을 중심으로 결합돌기(123)의 끝단 및 걸림부(124)의 끝단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4)는 손잡이부(122b)에 연결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경우 손잡이부(122b)가 이동바디부(122a)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걸림부(124)와 결합돌기(123) 사이의 거리가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결합돌기(123) 또는 걸림부(124) 중 하나를 레일(111a)에 결합한 후 렌즈브라켓(120)을 회전하여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결합돌기(123)를 레일(111a)에 결합한 후 렌즈브라켓(120)을 결합돌기(123)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부(122b)를 렌즈브라켓(1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게함으로써 걸림부(124)와 결합돌기(123)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4)를 레일(111a)에 먼저 결합하는 경우 사용자는 렌즈브라켓(120)을 걸림부(124)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23)가 레일(111a)과 접촉하는 경우 손잡이부(122b)의 위치가 가변함으로써 결합돌기(123)와 걸림부(124) 사이의 거리가 가변할 수 있어 렌즈브라켓(120)이 레일(111a)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렌즈브라켓(120)은 위치가 가변한 후 렌즈어셈블리(1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렌즈브라켓(120)은 상기에 설명한 것과 같이 접촉돌기(126) 및 위치고정돌기(124b) 이외에도 베이스하우징(111)의 결합한 후 커버(130)를 통하여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렌즈브라켓(120)의 배치가 완료되면, 베이스하우징(111)과 커버(130)를 결합하여 렌즈어셈블리(140)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130)가 베이스하우징(111)과 결합하면, 커버(130) 내면에 배치된 가력부(132)가 렌즈브라켓(120)의 일부와 접촉하여 렌즈브라켓(120)을 레일(111a) 측으로 가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력부(132)는 커버(130)의 평평한 부분의 내면을 일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130)가 베이스하우징(111)과 결합하면, 가력부(132)는 렌즈브라켓(120)의 고정부(121) 및 격벽(127)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고정부(121) 및 격벽(127) 중 적어도 하나를 가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력부(132)의 두께는 고정부(121) 및 격벽(127) 중 하나의 끝단과 커버(130)의 평평한 부분의 내면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커버(130)가 베이스하우징(111)에 결합하는 경우 가력부(132)는 고정부(121) 및 격벽(127) 중 하나를 레일(111a) 측으로 가력함으로써 렌즈브라켓(120)이 외력 등에 의하여 레일(111a)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을 따라 이동 시 위치가 너무 빠르게 가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브라켓(120)은 레일(111a) 상에서 위치를 손쉽게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감시카메라(100)는 렌즈브라켓(120)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감시카메라(100)는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일(111a)로부터 분리한 후 복수개의 렌즈브라켓(120) 중 나머지를 레일(111a)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시카메라(100)는 렌즈브라켓(120)의 위치를 가변시킨 후 렌즈브라켓(12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화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감시카메라
111: 베이스하우징
112: 고정하우징
113: 커버하우징
120: 렌즈브라켓
121: 고정부
122: 이동부
123: 결합돌기
124: 걸림부
125: 가이드
126: 접촉돌기
127: 격벽
130: 커버
131: 커버바디부
132: 가력부
140: 렌즈어셈블리

Claims (18)

  1. 렌즈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와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레일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렌즈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측면을 감싸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된 걸림연결부; 및
    상기 걸림연결부로부터 상기 레일의 돌기 측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렌즈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감싸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된 렌즈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이동바디부; 및
    상기 이동바디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렌즈브라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을 돌출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렌즈브라켓.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된 접촉돌기;를 더 포함하는 렌즈브라켓.
  7. 레일이 배치된 베이스하우징;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렌즈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하우징과 결합하며, 상기 렌즈브라켓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렌즈브라켓을 상기 레일 측으로 가력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하우징과 결합하는 커버바디부; 및
    상기 커버바디부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브라켓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렌즈브라켓을 상기 레일 측으로 가력하는 가력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브라켓은,
    렌즈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와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레일이 배치된 베이스하우징;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렌즈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하우징과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브라켓은,
    렌즈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와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의 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측면을 감싸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된 걸림연결부; 및
    상기 걸림연결부로부터 상기 레일의 돌기 측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감싸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된 감시카메라.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이동바디부; 및
    상기 이동바디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로부터 상기 레일 측을 돌출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레일 측으로 돌출된 접촉돌기;를 더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 및 상기 렌즈브라켓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렌즈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렌즈 어셈블리 중 하나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중심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렌즈 어셈블리 중 하나를 제외한 상기 복수개의 렌즈 어셈블리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레일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감시카메라.
KR1020180047324A 2018-04-24 2018-04-24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KR102525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324A KR102525184B1 (ko) 2018-04-24 2018-04-24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324A KR102525184B1 (ko) 2018-04-24 2018-04-24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18A KR20190123518A (ko) 2019-11-01
KR102525184B1 true KR102525184B1 (ko) 2023-04-25

Family

ID=6853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324A KR102525184B1 (ko) 2018-04-24 2018-04-24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1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4302A (ja) 2011-09-06 2013-03-21 Nikon Corp レンズアセンブリ、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3065012A (ja) 2011-09-19 2013-04-11 Lg Innotek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926B1 (ko) * 2000-06-26 2002-07-27 삼성전기주식회사 화상 카메라의 렌즈 어셈블리 장착 구조
KR101058679B1 (ko) * 2009-02-16 2011-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066937B1 (ko) * 2013-03-25 2020-01-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US9438782B2 (en) 2014-06-09 2016-09-06 Arecont Vision, Llc. Omnidirectional user configurable multi-camera hous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4302A (ja) 2011-09-06 2013-03-21 Nikon Corp レンズアセンブリ、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3065012A (ja) 2011-09-19 2013-04-11 Lg Innotek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18A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916B1 (ko)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및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설치 방법
KR102525183B1 (ko) 감시 카메라
KR101617792B1 (ko) 렌즈 탈착식 카메라
EP3214493B1 (en) Lens limiting assembly, camera body, and camera
KR102511533B1 (ko) 감시카메라용 렌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US7791820B2 (en) Retractable zoom lens
KR102525184B1 (ko) 감시카메라용 렌즈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JP5679744B2 (ja) レンズ鏡筒
CN102243358A (zh) 透镜镜筒
US20230121605A1 (en) Camera
KR101820824B1 (ko) 카메라모듈 제조 공정용 지그
JP2018036599A (ja) ドームカメラ
KR101828534B1 (ko) 렌즈 배럴 조립체
CN218350680U (zh) 相机镜头安装结构
US7636210B1 (en) Ocular focus device for a sight
CN220626830U (zh) 一种快拆把手及保护装置
KR102066935B1 (ko) 감시 카메라
KR101795597B1 (ko) 경통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JP6285099B2 (ja) 回転式操作装置及びこれを具えた電子機器
CN220020075U (zh) 镜头壳、镜头组件及拍摄装置
KR101469897B1 (ko) 카메라 모듈
JP5419489B2 (ja) 沈胴式レンズ鏡筒
JP3171290U (ja) レンズカバー
KR20110101768A (ko) 광 개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2016024336A (ja) レンズ鏡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