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658B1 -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 Google Patents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658B1
KR101993658B1 KR1020170155329A KR20170155329A KR101993658B1 KR 101993658 B1 KR101993658 B1 KR 101993658B1 KR 1020170155329 A KR1020170155329 A KR 1020170155329A KR 20170155329 A KR20170155329 A KR 20170155329A KR 101993658 B1 KR101993658 B1 KR 101993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flame
detector
senso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876A (ko
Inventor
서영우
이용선
Original Assignee
(주)도요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요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도요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70155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6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Abstract

본 발명은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 본체를 화재 감시 대상 공간의 천정, 벽면 또는 기둥 등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 관절 구조를 통해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트 아암을 통해 연결하되, 상기 고정브라켓과 틸트 아암이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틸트 아암과 감지기 본체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다축 회동 구조의 불꽃감지기를 구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공고히 고정하여 불꽃감지기의 감지 범위를 더욱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으며, 또한 감지기 본체의 전면에 불꽃감지센서와 함께 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화상카메라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상술한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A flame detector with multi-axis rot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 본체를 화재 감시 대상 공간의 천정, 벽면 또는 기둥 등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 관절 구조를 통해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트 아암을 통해 연결하되, 상기 고정브라켓과 틸트 아암이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틸트 아암과 감지기 본체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다축 회동 구조의 불꽃감지기를 구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공고히 고정하여 불꽃감지기의 감지 범위를 더욱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으며, 또한 감지기 본체의 전면에 불꽃감지센서와 함께 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화상카메라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상술한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공장, 발전소, 종합시장 또는 그 이외의 화재에 민감한 구역에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동 불꽃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다.
불꽃감지기는 화재 발화시에 발생되는 불꽃(flame)에서 방사되는 자외선(ultra violet : UV)이나, 또는 적외선(Infrared: IR)의 특정 파장대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화재 초기에 불꽃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응답 속도가 빠른 화재감지기의 일종이다.
이와 같은 불꽃감지기는 통상 화재 감시 대상 공간의 천정, 벽면 또는 기둥 등에 고정 설치되는데, 설치가 완료되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가 일정하게 고정됨으로써,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재조정하기 위해서는 불꽃감지기를 설치된 공간에서 분리하여 다시 설치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다양하게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 구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78833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70120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불꽃감지기(또는 화재감지기)에 볼 조인트 구조를 구비하여, 볼 조인트 구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기 본체를 다각도로 회동시킴으로써,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볼 조인트 구조를 통해 감지기 본체를 다양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기는 하나, 볼 조인트 구조상 이를 고정하는 구조가 부실하여, 장기간 사용시 감지기 본체의 무게에 의해 감지 각도가 변경될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충격이나 감지기 본체에 연결된 신호선 등을 건드리는 경우 감지 각도가 쉽게 변경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불꽃감지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화상카메라를 설치하여, 불꽃감지기를 통한 화재 발생 감지시, 화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재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화재 진행 상황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불꽃감지기가 설치된 장소마다 화상카메라를 설치하기에는 비용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어, 복수의 불꽃감지기가 설치되는 장소 중 일정 장소에만 화상카메라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화상카메라가 없는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진행 상황을 정확히 확인하여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불꽃감지기와 화상카메라를 일체로 구성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 변경에 따라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동시에 변경됨으로써, 정확한 촬영 영상을 얻기 위한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78833호(등록일: 2015.11.13)의 "화염 감지기"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70120호(등록일: 2002.03.18)의 "불꽃감지장치의 하우징 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 본체를 화재 감시 대상 공간의 천정, 벽면 또는 기둥 등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 관절 구조를 통해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트 아암을 통해 연결하되, 상기 고정브라켓과 틸트 아암이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틸트 아암과 감지기 본체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다축 회동 구조의 불꽃감지기를 구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공고히 고정하여 불꽃감지기의 감지 범위를 더욱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으며, 또한 감지기 본체의 전면에 불꽃감지센서와 함께 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화상카메라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상술한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불꽃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감시 대상 공간의 천정, 벽면 또는 기둥에 고정 설치되며 전면에 연결축이 돌출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일측이 상기 고정브라켓의 연결축에 연결되고, 관절 구조를 통해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트 아암; 및 일측 단부에는 상기 틸트 아암에 연결되는 결합축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불꽃감지센서와 화상카메라가 구비되는 감지기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의 연결축과 틸트 아암이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틸트 아암과 감지기 본체의 결합축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삼방향(3-way)의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는, 고정브라켓, 틸트 아암 및 감지기 본체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불꽃감지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틸트 아암에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절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과 틸트 아암의 연결부위와, 상기 틸트 아암과 감지기 본체의 연결부위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다축 회동 구조의 불꽃감지기를 구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하고 이를 공고히 고정할 수 있어, 불꽃감지기의 감지 범위를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꽃감지기의 전면에 불꽃감지센서와 함께 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화상카메라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는 휴대단말기와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휴대단말기에서 불꽃감지기의 센서값 및 촬영 영상을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어, 불꽃감지기의 화재 발생 감지시, 관리자가 휴대단말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확인하여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불꽃감지기에서 고정브라켓과 틸트 아암의 연결부위, 틸트 아암과 감지기 본체의 연결부위 및 틸트 아암의 관절부위에 각각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불꽃감지기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를 불꽃감지기에 구비된 각각의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동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작을 통해 불꽃감지기의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관리자가 불꽃감지기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불꽃감지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간편하게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 및 촬영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세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회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정하기 전과 조정한 후의 촬영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회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는, 화재 감시 대상 공간의 천정, 벽면 또는 기둥에 고정 설치되며 전면에 연결축(111)이 돌출 형성된 고정브라켓(110)과; 전면에 불꽃감지센서(122)와 화상카메라(123)가 구비되며, 후면에 결합축(125)이 돌출 형성되는 감지기 본체(120)와; 상기 고정브라켓(110) 및 감지기 본체(120) 사이에 연결되어, 몸체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연결축(111)과 상기 감지기 본체(120)의 결합축(1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 중앙에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절 구조가 형성되는 틸트 아암(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불꽃감지기는, 상기 고정브라켓(110)과 틸트 아암(130)의 연결부위와, 상기 틸트 아암(130)과 감지기 본체(120)의 연결부위가 각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더불어 상기 틸트 아암(130)에는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관절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 본체를 화재 감시 대상 공간의 천정, 벽면 또는 기둥 등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 관절 구조를 통해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트 아암을 연결하되, 상기 고정브라켓과 틸트 아암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와, 상기 틸트 아암과 감지기 본체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다축 회동 구조의 불꽃감지기를 구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공고히 고정하여 불꽃감지기의 감지 범위를 더욱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으며, 또한 감지기 본체의 전면에 불꽃감지센서와 함께 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화상카메라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상술한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정브라켓(110)은 불꽃감지기를 화재 감시 대상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화재 감시 대상 공간의 천정, 벽면 또는 기둥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0)에는 브라켓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체결공(113)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체결공(113)에 볼트 체결을 통해 고정브라켓(110)을 천정, 벽면 또는 기둥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110)의 전면 중앙부에는 내부에 관통공(112)이 형성된 연결축(11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111)에는 후술되는 틸트 아암(130)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 결합축(13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고정브라켓(110)의 연결축(111)에는 상기 연결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트 아암(130)의 보조 결합축(132)을 고정하는 제1 고정볼트(141)가 체결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불꽃감지기의 감지기 본체(120)는 전면에 불꽃감지센서(122)와 화상카메라(123)를 구비하여, 불꽃감지센서(122)를 통해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화상카메라(123)를 통해 불꽃감지기 주변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 본체(120)는, 전면이 투명창으로 형성되는 본체 케이스(121)와, 상기 본체 케이스(121)에 내장되어 본체 케이스(121)의 투명창을 통해 불꽃감지기의 전방 및 측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불꽃감지센서(122)와, 상기 본체 케이스(121)의 투명창을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영역을 촬영하는 화상카메라(123) 및 상기 본체 케이스(121)에 내장되어 불꽃감지센서(122) 및 화상카메라(1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불꽃감지센서(122)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불꽃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화상카메라(123)는 불꽃감지기의 감지영역을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제어부(미도시)에 구비되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거나, 불꽃감지기와 연결되는 신호선(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불꽃감지기에는 열화상 카메라(12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124)는 불꽃감지센서(122)에 의한 화재 감지를 보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불꽃감지센서(122) 및 화상카메라(123)와 함께 감지기 본체(120)는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열을 추적하여 화재 발생시 작은 화재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열화상 카메라(124) 역시, 촬영된 열화상 데이터를 제어부(미도시)에 구비되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거나, 불꽃감지기와 연결되는 신호선(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감지기 본체(120)의 후면에는 틸트 아암(130)의 타측에 형성된 보조 연결축(13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125)이 돌출 형성된다.
틸트 아암(130)은 고정브라켓(110) 및 감지기 본체(120) 사이에 연결되어, 몸체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고정브라켓(110)의 연결축(111)과 감지기 본체(120)의 결합축(1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틸트 아암(130)에는 몸체 중앙에 관절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절 구조를 통해 일방향으로 꺽이며 회동하여 각도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트 아암(130)은, 몸체 일측에 고정브라켓(110)의 연결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결합축(132)이 형성되며, 몸체 타측에는 전면 및 상·하부가 관통된 링크홈(133)이 형성되는 제1 아암(131)과; 몸체 일측에 상기 링크홈(133)에 삽입 결합되는 링크부(137)가 돌출 형성되며, 몸체 타측에는 감지기 본체(120)의 결합축(12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연결축(135)이 형성되는 제2 아암(134); 및 상기 제1 아암(131)의 링크홈(133)에 결합되는 제2 아암(134)의 링크부(137)를 축고정하되, 상기 제2 아암(134)을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축볼트(13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아암(131)의 몸체 일측에 형성된 보조 결합축(132)은 고정브라켓(110)의 연결축(111)에 형성된 관통공(1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데, 이때 고정브라켓(110)의 연결축(111) 측면 일측에는 상기 연결축(111)의 관통공(112)에 삽입 결합된 제1 아암(131)의 보조 결합축(132)을 고정하는 제1 고정볼트(141)가 관통 체결된다.
이때, 체결된 제1 고정볼트(141)를 풀게 되면 고정브라켓(110)의 연결축(111)에 결합된 제1 아암(131)이 상기 연결축(111)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제1 고정볼트(141)를 조이게 되면 제1 고정볼트(141)의 끝단이 제1 아암(131)의 보조 결합축(132)에 지지되어 제1 아암(131)이 고정브라켓(110)의 연결축(111)에 고정된다.
또한, 제2 아암(134)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보조 연결축(135)에도 내부에 관통공(136)이 형성되어, 보조 연결축(135)의 관통공(136)에 감지기 본체(120)의 결합축(125)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이때에도 제2 아암(134)의 보조 연결축(135) 측면 양측에, 상기 보조 연결축(135)의 관통공(136)에 삽입 결합된 감지기 본체(120)의 결합축(125)을 고정하는 한 쌍의 제2 고정볼트(142)가 각각 관통 체결된다.
이때에도 역시, 체결된 한 쌍의 제2 고정볼트(142)를 풀게 되면 제2 아암(134)의 보조 연결축(135)에 결합된 감지기 본체(120)가 상기 보조 연결축(135)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한 쌍의 제2 고정볼트(142)를 조이게 되면 제2 고정볼트(142)의 끝단이 감지기 본체(120)의 결합축(125)에 지지되어 감지기 본체(120)가 제2 아암(134)의 보조 연결축(135)에 고정된다.
또한, 제1 아암(131)의 몸체 타측에 형성되는 링크홈(133)에는 제2 아암(134)의 몸체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링크부(137)가 삽입 결합되고, 링크홈(133)에 결합된 링크부(137)가 축볼트(138)에 의해 축고정되어 관절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불꽃감지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0)과 틸트 아암(130)의 연결부위와, 틸트 아암(130)과 감지기 본체(120)의 연결부위가 각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틸트 아암(130)에는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관절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3-way 다축 회동 구조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때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브라켓(110)과 틸트 아암(130)의 연결부위와, 틸트 아암(130)과 감지기 본체(120)의 연결부위에 각각 체결되는 제1 고정볼트(141) 및 제2 고정볼트(142)를 조이거나 풀어, 틸트 아암(130)과 감지기 본체(120)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고, 더불어 틸트 아암의 관절부위에 축고정된 축볼트(138)를 조이거나 풀어, 틸트 아암(130)에 연결된 감지기 본체(12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볼트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공고히 고정하여,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더욱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으며,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세팅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와 촬영 각도를 세팅하는 과정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고정브라켓(110)의 연결축(111)에 체결된 제1 고정볼트(141)를 부분적으로 풀어 고정브라켓(110)에 연결된 틸트 아암(130)과 감지기 본체(1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틸트 아암(130)의 관절부위가 감지방향 쪽으로 꺽여져 회동될 수 있도록 설정한 후, 다시 풀려진 제1 고정볼트(141)를 조임으로써 고정브라켓(110)에 연결된 틸트 아암(130)과 감지기 본체(120)를 고정한다.
이와 동시에 틸트 아암(130)을 구성하는 제1 아암(131) 및 제2 아암(134)을 축고정하는 축볼트(138)를 부분적으로 풀어 제1 아암(131)에 축고정된 제2 아암(134)을 회동시킴으로써, 제2 아암(134)에 연결된 감지기 본체(120)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감지기 본체(120)를 감지방향 쪽으로 향하도록 세팅한 후, 다시 풀려진 축볼트(138)를 조임으로써 감지기 본체(120)의 감지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세팅한 다음에는, 틸트 아암(130)의 보조 연결축(135)에 체결된 제2 고정볼트(142)를 부분적으로 풀어 틸트 아암(130)에 연결된 감지기 본체(1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지기 본체(120)의 전면에 구비된 화상카메라(122)의 촬영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으며, 화상카메라(122)의 촬영 각도를 조정한 후에는 다시 풀려진 제2 고정볼트(142)를 조여 화상카메라(122)의 촬영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세팅하는 과정에서는, 감지기 본체의 감지 각도 변경에 따라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변경되어, 도 4의 (a)와 같이, 화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틀어지게 제공될 수 있는데,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세팅한 다음, 불꽃감지기의 감지기 본체를 회전시켜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도 4의 (b)와 같이, 화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반듯한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는, 각도 세팅하는 과정에서, 감지기 본체의 감지 각도를 조절하여 불꽃감지센서의 감지 범위를 설정한 다음, 감지기 본체를 회전시켜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화상카메라의 촬영 영상이 원하는 각도로 반듯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꽃감지기를 통한 화재 발생 감지시 명확한 화재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할 수 있어, 관리자가 촬영 영상을 통해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히 확인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불꽃감지기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또는 전용단말기 등의 개인 휴대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연동하는 휴대단말기에 불꽃감지기의 불꽃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센서값 및/또는 화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에 불꽃감지기와 연동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하며, 또한, 불꽃감지기에는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불꽃감지센서의 센서값 및 화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관리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자신의 휴대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불꽃감지기의 센서값이나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제공받아 확인할 수 있으며, 불꽃감지기의 화재 발생 감지시, 불꽃감지기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확인하여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불꽃감지기는, 상기 연동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작에 의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 및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불꽃감지기 역시, 고정브라켓(110), 틸트 아암(130) 및 감지기 본체(120)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볼트 및 축볼트 조절을 통해 불꽃감지기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정하는 일 없이, 불꽃감지기에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구동수단(151,152,153)을 구비하여 휴대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불꽃감지기의 구동수단(151,152,153)을 제어함으로써 불꽃감지기의 각도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불꽃감지기는, 고정브라켓(110)과 틸트 아암(130)의 연결부위에 틸트 아암(130)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제1 구동수단(151)이 구비되고, 틸트 아암(130)과 감지기 본체(120)의 연결부위에는 감지기 본체(12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제2 구동수단(152)이 구비된다.
또한, 틸트 아암(130)을 구성하는 제1 아암(131)과 제2 아암(134)의 관절부위에도 제1 아암(131)에 축고정된 제2 아암(134)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동하는 제3 구동수단(15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구동수단(151,152,153)은 구동모터와 기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지기 본체(120) 내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구동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는 회전량 제어가 용이한 스테핑 모터나 서보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불꽃감지기는, 상기 불꽃감지기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 조작을 통해 불꽃감지기의 제어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151,152,153)의 구동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 및 촬영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불꽃감지기의 각도 조절시, 관리자는 불꽃감지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할 필요 없이, 불꽃감지기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불꽃감지기의 제어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제1 구동수단(151)과 제2 구동수단(152)을 구동시킴으로써, 불꽃감지기의 틸트 아암(130)과 감지기 본체(120)를 각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감지기 본체(120)를 원하는 양만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3 구동수단(153)을 구동시킴으로써, 틸트 아암(130)에서 제1 아암(131)에 축고정된 제2 아암(134)의 각도를 조절하여 제2 아암(134)에 결합된 감지기 본체(120)의 틸트 각도를 원하는 각도만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는, 관리자가 불꽃감지기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불꽃감지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도, 불꽃감지기와 연동되는 휴대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서 간편하게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 및 촬영 각도를 효과적으로 조정하여 세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는, 고정브라켓, 틸트 아암 및 감지기 본체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불꽃감지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틸트 아암에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절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과 틸트 아암의 연결부위와, 상기 틸트 아암과 감지기 본체의 연결부위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다축 회동 구조의 불꽃감지기를 구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하고 이를 공고히 고정할 수 있어, 불꽃감지기의 감지 범위를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꽃감지기의 전면에 불꽃감지센서와 함께 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화상카메라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는 휴대단말기와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휴대단말기에서 불꽃감지기의 센서값 및 촬영 영상을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어, 불꽃감지기의 화재 발생 감지시, 관리자가 휴대단말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확인하여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불꽃감지기에서 고정브라켓과 틸트 아암의 연결부위, 틸트 아암과 감지기 본체의 연결부위 및 틸트 아암의 관절부위에 각각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불꽃감지기와 연동하는 휴대단말기를 불꽃감지기에 구비된 각각의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동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작을 통해 불꽃감지기의 삼방향(3-way) 다축 회동 구조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관리자가 불꽃감지기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불꽃감지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간편하게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 및 촬영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세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0 : 고정브라켓 111 : 연결축
112,136 : 관통공 113 : 체결공
120 : 감지기 본체 121 : 본체 케이스
122 : 불꽃감지센서 123 : 화상카메라
124 : 열화상 카메라 125 : 결합축
130 : 틸트 아암 131 : 제1 아암
132 : 보조 결합축 133 : 링크홈
134 : 제2 아암 135 : 보조 연결축
137 : 링크부 138 : 축볼트
141 : 제1 고정볼트 142 : 제2 고정볼트
151 : 제1 구동수단 152 : 제2 구동수단
153 : 제3 구동수단

Claims (11)

  1.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불꽃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감시 대상 공간의 천정, 벽면 또는 기둥에 고정 설치되며 전면에 연결축이 돌출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일측이 상기 고정브라켓의 연결축에 연결되고, 관절 구조를 통해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트 아암; 및
    일측 단부에는 상기 틸트 아암에 연결되는 결합축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불꽃감지센서와 화상카메라가 구비되는 감지기 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연결축과 틸트 아암이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틸트 아암과 감지기 본체의 결합축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고정브라켓과 틸트 아암의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된 상기 틸트 아암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제1 구동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틸트 아암과 감지기 본체의 연결부에는 상기 틸트 아암에 연결된 감지기 본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제2 구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틸트 아암의 관절 부위에는 관절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제3 구동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제2 및 제3 구동수단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단말기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관리자가 휴대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상기 제1, 제2 및 제3 구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삼방향(3-way)의 다축 회동 구조를 통해 불꽃감지기의 감지 각도를 조절하는 동시에, 감지기 본체의 회전 각도 조절을 통해 화상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아암은,
    일측에 상기 고정브라켓의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 결합축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면 및 상·하부가 관통된 링크홈이 형성되는 제1 아암과;
    일측에 상기 링크홈에 삽입 결합되는 링크부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감지기 본체의 결합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 연결축이 형성되는 제2 아암; 및
    상기 제1 아암의 링크홈에 결합되는 상기 제2 아암의 링크부를 축고정하되, 상기 제2 아암을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축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연결축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연결축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아암의 보조 결합축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의 보조 연결축에는,
    상기 제2 아암의 보조 연결축에 연결되는 상기 감지기 본체의 결합축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꽃감지기는,
    상기 불꽃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센서값과 상기 화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연동하는 휴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구동수단은 각각,
    구동모터와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스테핑모터 또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본체에 형성된 불꽃감지센서 및 화상카메라의 전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본체에는,
    불꽃감지기의 감지영역에 대한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KR1020170155329A 2017-11-21 2017-11-21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KR101993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29A KR101993658B1 (ko) 2017-11-21 2017-11-21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29A KR101993658B1 (ko) 2017-11-21 2017-11-21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76A KR20190057876A (ko) 2019-05-29
KR101993658B1 true KR101993658B1 (ko) 2019-06-27

Family

ID=6667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329A KR101993658B1 (ko) 2017-11-21 2017-11-21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397B1 (ko) 2021-12-01 2022-08-31 김재명 불꽃감지기 설치용 거치대
KR102618556B1 (ko) 2022-07-01 2023-12-27 지에스이피에스 주식회사 불꽃감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658B1 (ko) * 2020-12-23 2024-01-12 서말희 Iot 기반 복용 알림 장치
CN113654805B (zh) * 2021-09-09 2024-01-30 中国航发沈阳黎明航空发动机有限责任公司 一种离子火焰探测器空间位置调整装置及调整方法
KR102421912B1 (ko) * 2022-01-28 2022-07-20 주식회사 지에스파워 전력품질 향상 및 전기적 사고 검출 장치
CN115100811B (zh) * 2022-06-22 2024-01-30 招商局重庆公路工程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公路隧道火焰探测器的探测空间调试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3434A (ja) * 2010-07-12 2012-02-02 Canon Inc 撮影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012848A (ja) * 2011-06-28 2013-01-17 Canon Inc カメラ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50823B1 (ko) * 2014-05-23 2014-10-17 유한회사 홍석 카메라 연동 원격 화재 진화 시스템
JP2016033571A (ja) * 2014-07-31 2016-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雲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120B1 (ko) 1996-12-14 2000-10-16 이구택 고로주상 백필터 더스트를 이용한 용선용 탈린제
KR200478833Y1 (ko) 2014-04-30 2015-11-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화염 감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3434A (ja) * 2010-07-12 2012-02-02 Canon Inc 撮影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012848A (ja) * 2011-06-28 2013-01-17 Canon Inc カメラ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50823B1 (ko) * 2014-05-23 2014-10-17 유한회사 홍석 카메라 연동 원격 화재 진화 시스템
JP2016033571A (ja) * 2014-07-31 2016-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雲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397B1 (ko) 2021-12-01 2022-08-31 김재명 불꽃감지기 설치용 거치대
KR102618556B1 (ko) 2022-07-01 2023-12-27 지에스이피에스 주식회사 불꽃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76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658B1 (ko)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JP5366323B2 (ja) ビデオ監視システムの視野を位置合わせ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00229452A1 (en) Firearm system having camera unit with adjustable optical axis
JP4589261B2 (ja) 監視カメラ装置
US9264625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management and correction of inclinations
US20160269629A1 (en) Wide angle fisheye security camera having offset lens and image sensor
US9772541B2 (en) Adjusting seat and photograph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95260A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KR101378586B1 (ko)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CN107466413B (zh) 视场对准的系统和方法
KR102066937B1 (ko)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0558021B1 (ko) 팬/틸트 돔형 카메라
KR102200671B1 (ko) 수평 방향의 기울기를 자동 보정하는 영상장치 및 시스템
KR101322481B1 (ko)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KR101711433B1 (ko) 폴대를 이용하여 천정과 바닥에 고정이 용이한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KR102482341B1 (ko) 차량 단속영역좌표 자동 보정 시스템
KR101405413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설치용 멀티 브래킷
KR100614840B1 (ko) 360°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KR101650413B1 (ko) 스마트폰 연동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KR100782420B1 (ko)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모듈
JP2013106175A (ja) カメラシステム
KR20180001553U (ko) 촬상 장치
KR102222626B1 (ko) 디지털 컴퍼스를 이용한 cctv의 팬틸트 초기화 방법
KR20200071630A (ko) 연속적인 회전과 순간포착 촬영을 이용한 3차원 다방향 영상 추출 장치 및 시스템
KR20120133512A (ko) 위치 추적 감시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