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579B1 -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 Google Patents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579B1
KR102369579B1 KR1020200166119A KR20200166119A KR102369579B1 KR 102369579 B1 KR102369579 B1 KR 102369579B1 KR 1020200166119 A KR1020200166119 A KR 1020200166119A KR 20200166119 A KR20200166119 A KR 20200166119A KR 102369579 B1 KR102369579 B1 KR 102369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using
cctv
arcu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성
Original Assignee
박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성 filed Critical 박진성
Priority to KR102020016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H04N5/22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로부터 CCTV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역시 CCTV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한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에 관한 것으로, CCTV; 정면과 배면이 개방되는 사각 파이프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측면판과, 상기 CCTV가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투명유리를 구비하며 상기 네 개의 측면판으로 이루어진 전단을 막은 정면커버와, 상기 CCTV를 내측 전단 하부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각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단열판넬; 상기 단열판넬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각 측면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단열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공기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CCTV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 상기 단열판넬의 내측 전단 상부에 고정되어 압전소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밴드 형상의 진동판을 진동시켜 내부 공기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압전팬;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CCTV의 촬영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을 회동시켜 주는 케이스 거치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CCTV WITH HEAT DISSIPATION AND SEISMIC STRUCTURE}
본 발명은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CTV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로부터 CCTV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역시 CCTV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한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보안용, 산업용, 교통감시 및 교통단속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 산업용의 경우, 제철소, 발전소 등 조업 환경이 어려운 곳에 카메라를 설치함에 따라, 조업 상황을 관찰하면서 이상 유무를 원격으로 감시함으로써, 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선명하여야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진동으로 인해 촬영되는 영상 또한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다른 예로, 교통시스템의 경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하여 레이저, 레이더 등을 카메라와 같이 설치함에 따라, 차량을 검지하고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여 교통법규 위반 차량을 단속하거나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가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번호판의 각도가 수평 상태에서 최고의 인식율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고, 카메라와 같이 설치되는 레이저 및 레이더의 경우는 정확한 검지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6840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3845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CCTV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로부터 CCTV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역시 CCTV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한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는, CCTV; 정면과 배면이 개방되는 사각 파이프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측면판과, 상기 CCTV가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투명유리를 구비하며 상기 네 개의 측면판으로 이루어진 전단을 막은 정면커버와, 상기 CCTV를 내측 전단 하부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각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단열판넬; 상기 단열판넬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각 측면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단열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공기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CCTV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 상기 단열판넬의 내측 전단 상부에 고정되어 압전소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밴드 형상의 진동판을 진동시켜 내부 공기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압전팬;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CCTV의 촬영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을 회동시켜 주는 케이스 거치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넬 지지대는, 상기 단열판넬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단열판넬을 지지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넬 지지대는,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단열판넬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단열판넬에 안착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단열판넬에 안착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단열판넬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거치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지지대;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측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상기 수직 지지대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도 조절 요청에 대응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켜 주는 제2 기어; 상기 하우징의 전단이 하측으로 낙하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의 전단으로부터 상측 전단의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도 방지대; 및 상기 전도 방지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상기 하우징과의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충격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하우징의 안착 각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하우징의 안착 각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CCTV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로부터 CCTV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역시 CCTV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3의 판넬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판넬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판넬 지지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3의 판넬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9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2의 케이스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충격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6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1)는, CCTV(10), 하우징(20), 단열판넬(30), 판넬 지지대(40), 냉각모듈(50), 압전팬(60) 및 케이스 거치대(70)를 포함한다.
CCTV(10)는, 단열판넬(30)의 내측에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다.
하우징(20)은, 정면과 배면이 개방되는 사각 파이프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측면판(21)과, CCTV(10)가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투명유리(23)를 구비하며 네 개의 측면판(21)으로 이루어진 전단을 막은 정면커버(22)와, CCTV(10)를 내측 전단 하부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2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측면판(21)은, 정면커버(22) 및 냉각모듈(50)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C1, C2)를 각 면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할 수 있다.
단열판넬(30)은, 단열 재질로 제작되며, 하우징(20)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우징(2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내측에서 하우징(20)의 각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S2)되어 배치되며, 내측에 설치되는 CCTV(10)를 외부 열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판넬 지지대(40)는, 단열판넬(30)과 하우징(20) 사이의 이격 공간(S2)을 따라 각 측면 마다 설치되어 하우징(20)의 내측에서 단열판넬(30)을 지지한다.
냉각모듈(50)은, 하우징(20)의 후단에 설치되며, 하우징(20)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공기를 이송시키면서 CCTV(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모듈(50)은, 열을 흡수하는 제1 히트싱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정면이 상기 제1 히트싱크의 배면과 밀착하는 열전소자(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정면이 상기 열전소자와 밀착하고 후방에 방열핀이 형성되는 제2 히트싱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외부 공기를 제2 히트싱크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히트싱크를 냉각시키는 제2 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상기 측면판(21)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하우징(20)의 후방을 덮고 설치된다.
냉각을 위한 수단으로 팬이나 히트싱크를 이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원이 적용될 환경이 단순한 고온의 환경이 아닌 가열된 공기뿐만 아니라 복사열까지 작용하는 사막이나 용광로와 같은 상황에서는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내부의 열을 배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때문에 본원에서 냉각모듈(50)은 내부의 열이 제1 히트싱크에 빨리 전달하기 위한 제1 팬과, 제1 히트싱크의 열을 제2 히트싱크로 전달하는 열전소자와, 외부 공기로 제2 히트싱크를 냉각시키는 제2 팬의 구성에 의하여 외기와의 유통 없이 냉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압전팬(60)은, 단열판넬(30)의 내측 전단 상부에 고정되어 압전소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밴드 형상의 진동판을 진동시켜 내부 공기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케이스 거치대(70)는, 하우징(20)의 하측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CCTV(10)의 촬영 각도에 대응하여 하우징(20)을 회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1)는, 수냉 모듈(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50)을 구비하더라도 외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사실상 방열 및 냉각이 불가능하게 되며 이에 본원인은 후방이 개방되어 상기 제1 히트싱크의 방열핀이 형성되는 전방을 덮고 정면에는 제1 팬의 바람이 통과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관통된 제1 에어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커버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제1 팬의 전방에 장착되어 내부에 냉각수가 충진되는 제1 워터팩(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과,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182)의 하단과 연통하고 상기 제1 워터팩을 관통하여 내부에 나선형으로 경로를 가진 뒤 끝단은 제1 워터팩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배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수냉모듈(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1)는, CCTV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로부터 CCTV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역시 CCTV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도3의 판넬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대(200)는, 박스형 케이스(210),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제3 지지부(240) 및 간격조절볼트(250)를 포함한다.
박스형 케이스(210)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되며, 단열판넬(30)과 하우징(20) 사이의 이격 공간(S2(도 13 참조)에 배치된다.
제1 지지부(22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24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2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하우징(2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0)는,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25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23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단열판넬(30)을 지지한다.
제3 지지부(24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26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4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하우징(20)을 지지한다.
간격조절볼트(250)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2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250)는, 볼트 본체(2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2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2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251)는,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2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1, 252-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253-1, 253-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254-1, 254-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판넬 지지대(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단열판넬(30)과 하우징(20) 사이의 이격 간격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단열판넬(30)과 하우징(20) 간의 완충 정도 뿐만 아니라, 하우징(20)의 크기만을 달리하여 단열판넬(30)과 하우징(20) 사이의 단열층을 통한 단열판넬(30)의 단열 성능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3의 판넬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대(300)는, 상부 지지대(310), 하부 지지대(3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310)는,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우징(20)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320)는, 단열판넬(30)과 하우징(20) 사이의 이격 공간(S2)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부 지지대(3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단열판넬(30)에 안착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단열판넬(30)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 지지대(300)는, 하우징(20)으로부터 단열판넬(30)로 전달되는 직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20)으로부터 단열판넬(30)로 전달되는 경사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단열판넬(30)의 내측에 설치되는 CCTV(10)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310)는, 지지 플레이트(311), 하부홈(312), 간격 지지 탄성체(313), 제1 제동 프레임(314) 및 제2 제동 프레임(3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을 지지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313)에 의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312)은, 간격 지지 탄성체(3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313)는, 지지 플레이트(311)와 하부 지지대(3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314)은,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315)은, 제1 제동 프레임(3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320)는, 지지 본체(321), 제1 상하 관통홈(322), 제2 상하 관통홀(323),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3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3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322)은, 제1 제동 프레임(3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323)은, 제2 제동 프레임(3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3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3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3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12은 도 9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제3 스프라켓(333), 구동 벨트(334), 제동 플레이트(335) 및 제동 스프링(3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331)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332)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333)은, 제1 설치 공간(3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334)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3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3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단열판넬(30)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332)와 제3 스프라켓(333)은, 구동 벨트(334)의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33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면(3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3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336)은,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3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3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판넬 지지대(300)가 제동 스프링(3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3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판넬 지지대(3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3은 도 2의 케이스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케이스 거치대(70)는, 수직 지지대(71), 제1 기어(72), 제2 기어(73), 전도 방지대(74) 및 충격 완충부(75)를 포함한다.
수직 지지대(71)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제1 기어(7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기어(72)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의 하측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수직 지지대(71)의 상측에서 제2 기어(73)에 맞물려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기어(73)는, 제1 기어(72)에 맞물려 수직 지지대(71)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도 조절 요청에 대응하여 회전됨에 따라 제1 기어(72)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CCTV(1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한다.
전도 방지대(74)는, 하우징(20)의 전단이 하측으로 낙하되는 경우 하우징(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 지지대(71)의 전단으로부터 상측 전단의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충격 완충부(75)는, 전도 방지대(74)의 단부에 형성되는 전단홈(S1)에 설치되며,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3) 간의 맞물림이 풀리거나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하여 낙하되는 하우징(20)과의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케이스 거치대(70)는, CCTV(10)의 촬영 각도를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20)이 어떠한 이유에서 수직 지지대(71)에 체결된 상태에서 전단이 낙하되는 경우 충격 완충부(75)를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하우징(2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각 구성들이 낙하에 따른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충격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충격 완충부(400)는, 받침 플레이트(410), 하부 플레이트(420) 및 회동형 완충부(4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받침 플레이트(4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이 낙하되는 경우 하우징(20)의 하측을 지지하며, 회동형 완충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플레이트(4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회동형 완충부(430)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 플레이트(4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회동형 완충부(430)는, 받침 플레이트(410)와 하부 플레이트(4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우징(20)의 안착 각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4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4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완충부(430)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 제2 아치형 지지대(432), 제3 아치형 지지대(433) 및 지지대 연결 링크(4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지지대(431)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410)를 지지하고,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420)의 상측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우징(20)의 안착 각도에 따라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42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된다.
제2 아치형 지지대(432)는,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4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3 아치형 지지대(433)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431)를 사이에 두고 제2 아치형 지지대(43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4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아치형 지지대(4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완충부(400)는, 하우징(20)의 안착 각도에 구애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하우징(20)의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20)을 하나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지지하여 파손으로부터 하우징(20) 및 이의 내측에 설치되는 각 구성들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4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440)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안착 공간(440)은, 단부 안착 공간(440)에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435)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43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435)는, 단부 안착 공간(44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T1)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T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플레이트(4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또는 제3 아치형 지지대(433)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인 단부 안착 공간(440)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는, 일 단부 안착 공간(440)으로부터 다른 단부 안착 공간(440)으로 그 형상이 절곡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면서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6은 도 14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1 고정 블록(4341), 제2 고정 블록(4342) 및 슬라이딩 블록(434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4341)은, 제2 아치형 지지대(4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4343)의 제1 체결핀(P1)에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4342)은, 제1 고정 블록(4341)과 대향하며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4343)의 제2 체결핀(P2)에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P1)이 제1 고정 블록(4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P2)이 제1 고정 블록(4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431)가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이 움직임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4343)에 의해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줄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6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4311)에 안착되어 가이드홈(43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434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4344)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4345)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지지대(431)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와는 달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410)에 의한 가압에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바퀴의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지대(4312)가 일측 및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4343)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우징(20)의 안착 각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4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아치형 지지대(431)가 함께 회전할 경우, 받침 플레이트(410)가 평행한 경우의 안착 위치인 기준선(L)으로부터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10: CCTV
20: 하우징
30: 단열판넬
40: 판넬 지지대
50: 냉각모
60: 압전팬
70: 케이스 거치대

Claims (10)

  1. CCTV;
    정면과 배면이 개방되는 사각 파이프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측면판과, 상기 CCTV가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투명유리를 구비하며 상기 네 개의 측면판으로 이루어진 전단을 막은 정면커버와, 상기 CCTV를 내측 전단 하부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각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단열판넬;
    상기 단열판넬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각 측면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단열판넬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공기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CCTV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
    상기 단열판넬의 내측 전단 상부에 고정되어 압전소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밴드 형상의 진동판을 진동시켜 내부 공기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압전팬;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CCTV의 촬영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을 회동시켜 주는 케이스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판넬 지지대는,
    상기 단열판넬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단열판넬을 지지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되는,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하는,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거치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지지대;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측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상기 수직 지지대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도 조절 요청에 대응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켜 주는 제2 기어;
    상기 하우징의 전단이 하측으로 낙하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의 전단으로부터 상측 전단의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도 방지대; 및
    상기 전도 방지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상기 하우징과의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충격 완충부;를 포함하는,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하우징의 안착 각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하우징의 안착 각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는,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KR1020200166119A 2020-12-01 2020-12-01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KR102369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19A KR102369579B1 (ko) 2020-12-01 2020-12-01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19A KR102369579B1 (ko) 2020-12-01 2020-12-01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579B1 true KR102369579B1 (ko) 2022-03-02

Family

ID=8081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119A KR102369579B1 (ko) 2020-12-01 2020-12-01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5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239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포스코 카메라의 단열 하우징
KR20100012881U (ko) * 2009-06-18 2010-12-28 정성호 감시카메라 장치의 카메라모듈 3축 회전 브라켓 어셈블리
KR20140116744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1468401B1 (ko) 2013-08-02 2014-12-04 주식회사 토페스 시시티비(cctv) 흔들림 방지 및 수평조절장치
KR101838453B1 (ko) 2017-10-31 2018-04-27 (주)세웅정보통신 Cctv 카메라 시공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239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포스코 카메라의 단열 하우징
KR20100012881U (ko) * 2009-06-18 2010-12-28 정성호 감시카메라 장치의 카메라모듈 3축 회전 브라켓 어셈블리
KR20140116744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1468401B1 (ko) 2013-08-02 2014-12-04 주식회사 토페스 시시티비(cctv) 흔들림 방지 및 수평조절장치
KR101838453B1 (ko) 2017-10-31 2018-04-27 (주)세웅정보통신 Cctv 카메라 시공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653B2 (en) Dome camera device
KR102369579B1 (ko) 방열 및 내진 구조를 구비한 cctv
US9654692B2 (en) Vibration attenuating camera mount
US20060257136A1 (en) Number plate combination type camera apparatus for rear monitoring of vehicle
US11587594B2 (en) Heat-dissipating, shock-absorbing structure
CN110430713A (zh) 一种安防监控设备安装用具有散热结构的定位装置
KR101692296B1 (ko) 감시시스템 카메라 보호용 방열 냉각 하우징
KR102439433B1 (ko)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산업용 전자 장치 케이스
KR102462533B1 (ko) 앨범 포장 장치
CN110850932A (zh) 一种计算机硬盘防震保护装置
KR200484419Y1 (ko) 방진 구조를 갖는 카메라
KR102467541B1 (ko) 가로등 거치대
JP2006077395A (ja) 橋梁用支承装置
KR102626110B1 (ko) Cctv 설치 구조
KR102287278B1 (ko) 다중 내진 구조를 구비한 방수 이중 천정
CN219549477U (zh) 一种安防监控防破坏结构
TW202231969A (zh) 隔震裝置
KR101781736B1 (ko) 방진 구조를 갖는 카메라
KR100708472B1 (ko) 감시 카메라
KR102369081B1 (ko)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KR102630088B1 (ko) 통신 케이블 배선용 덕트
CN211718680U (zh) 一种便携且防护性能好的互联网教学用投影装置
JP2009017434A (ja) 多視野撮影装置
KR101093991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방진 구조
JP2009517099A (ja) X線画像を生成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