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081B1 -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081B1
KR102369081B1 KR1020200160854A KR20200160854A KR102369081B1 KR 102369081 B1 KR102369081 B1 KR 102369081B1 KR 1020200160854 A KR1020200160854 A KR 1020200160854A KR 20200160854 A KR20200160854 A KR 20200160854A KR 102369081 B1 KR102369081 B1 KR 102369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arcuate
seated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준
Original Assignee
에스제이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제이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제이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0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를 한 번의 커팅 공정을 통해 균일하게 절단시킴으로써 절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들이 놓이게 되는 베이스;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들을 절단하는 커팅유닛;상기 커팅유닛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유닛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의 전단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유닛; 상기 커팅유닛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유닛의 일측과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커팅유닛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유닛의 다른 일측과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측면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CUTTING DEVICE FOR MANUFATURING PRINTING PAPER FOR DIGITAL PRINTING PRESS}
본 발명은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를 한 번의 커팅 공정을 통해 균일하게 절단시킴으로써 절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인쇄에 사용할 수 있는 피인쇄체는 다이어리, 수첩, 양초, 액자, 유리창면, 냉장고, 씽크대, 벽면, 타일, 머그잔, 각종 세라믹 그릇, 자동차 윈도우 등 사진 부착을 원하는 평면 또는 굴곡면을 갖는 표면는 모두 적합하다. 적용 소재는 여기에 언급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최근 디지털카메라, 카메라폰 등 디지털촬영기기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디지털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지털사진 출력 산업분야가 크게 성장하고 있다. 종래 은염사진기술에서는 촬영된 필름을 현상소에 보내 수동적으로 사진 출력을 하는 반면, 디지털사진출력은 이미지가 저장된 메모리카드에서 원하는 사진만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고, 소형 디지털 포토프린터만 있으면, 공간적 제한없이 어디에서나, 언제나 사진출력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진출력 방식의 전환기를 맞아, POD(Printing on Demand)형태의 디지털사진을 출력하는 포토프린팅 기술이 각광 받고 있다. 사진수준의 풀칼라 디지털 프린팅기술로는 잉크젯방식, 전자사진방식, 감열전사법, 레이저열전사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잉크젯방법은 저렴한 프린터 가격과 더불어 초미세 잉크 카트리지 기술 및 포토용지의 잉크수용층 코팅기술 발전으로 거의 사진수준의 해상도를 구현하며 디지털사진출력의 표준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용지의 안정적인 제작을 위한 커팅 장치가 필요한 실정에 이르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24089 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3419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량의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를 한 번의 커팅 공정을 통해 균일하게 절단시킴으로써 절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는,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들이 놓이게 되는 베이스;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들을 절단하는 커팅유닛; 상기 커팅유닛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유닛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의 전단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유닛; 상기 커팅유닛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유닛의 일측과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커팅유닛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유닛의 다른 일측과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측면 지지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팅유닛은, 커팅날; 상기 커팅날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 시 상기 커팅날이 하강하여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들을 절단하고 반대로 후진 시 상기 커팅날이 상승하여 원위치 하도록 안내하는 두 개의 커팅구동수단; 상기 커팅날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1 측면 지지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커팅날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안착편; 및 상기 커팅날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커팅날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거치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팅구동수단은, 상기 커팅날의 상부면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승하여 만나는 경사형 슬로프; 상기 경사형 슬로프에 안착되어 구름운동을 하게 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를 수평 방향으로 진퇴 동작케 하는 롤러구동부; 상기 구동롤러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구동부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 진퇴 동작 시 상기 구동롤러를 지지하게 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커팅날의 상단 전후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되, 상기 경사형 슬로프와 서로 상응한 경사각을 이루게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구동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 진퇴 동작 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 유닛은, 상기 상기 커팅유닛과 대향하며 상기 커팅유닛의 전단에 배치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거치시키는 거치 프레임;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대향하면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커팅유닛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거치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가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하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커팅날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팅날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지지부는, 상기 제1 안착편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제1 안착홈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편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안착홈의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지지부는, 상기 제1 안착홈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편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편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량의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를 한 번의 커팅 공정을 통해 균일하게 절단시킴으로써, 절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커팅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커팅구동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2의 커팅날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제1 측면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1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제1 측면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1 측면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5의 제1 측면 지지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1)는, 베이스(10), 커팅유닛(20), 상부 지지 유닛(30), 제1 측면 지지부(40) 및 제2 측면 지지부(5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평평한 바닥면을 형성하며,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P)들이 놓이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기용 인쇄용지(P)를 절단한 커팅날(21)이 바닥면에 부딪히지 아니하고 삽입되기 위한 안착 공간(13)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팅유닛(20)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베이스(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P)들을 절단한다.
상부 지지 유닛(30)은, 커팅유닛(20)이 일정 높이 이하(즉, 커팅날(21)이 베이스(10)와 부딪힐 정도의 높이)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팅유닛(20)의 전단에 배치되어 커팅유닛(20)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1 측면 지지부(40)는, 커팅유닛(20)이 일정 높이(예를 들어, 커팅날(21)이 안착 공간(13)의 바닥면에 닿을 정도의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팅유닛(20)의 일측과 대향하며 베이스(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11)에 설치되어 커팅유닛(2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측면 지지부(50)는, 커팅유닛(20)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팅유닛(20)의 다른 일측과 대향하며 베이스(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11)에 설치되어 커팅유닛(2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1)는, 다량의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를 한 번의 커팅 공정을 통해 균일하게 절단시킴으로써 절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일부 구성의 파손으로 인해 커팅탈(21)이 자유 낙하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장비의 파손 또는 이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커팅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팅유닛(20)은, 커팅날(21), 두 개의 커팅구동수단(22-1, 22-2), 제1 안착편(23) 및 제2 거치편(24)을 포함한다.
커팅날(21)은, 하측을 따라서 따른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P)를 절개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칼날을 형성하며, 커팅구동수단(22-1, 22-2)에 의해 거치 및 상하 방향의 구동이 수행된다.
커팅구동수단(22-1, 22-2)은, 커팅날(21)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 시 커팅날(21)이 하강하여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P)들을 절단하고 반대로 후진 시 커팅날(21)이 상승하여 원위치 하도록 안내한다.
제1 안착편(23)은, 커팅날(21)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면 제1 측면 지지부(4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커팅날(21)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2 거치편(24)은, 커팅날(21)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면 제2 측면 지지부(5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커팅날(21)의 일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지지 유닛(30)은, 안착 플레이트(31), 거치 프레임(32), 거치 플레이트(33) 및 커팅날 지지부(34)를 포함한다.
안착 플레이트(31)는, 거치 프레임(32)에 의해 거치되어 커팅유닛(20)과 대향하며 커팅유닛(20)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측에 커팅날 지지부(34)가 설치된다.
거치 프레임(32)은, 안착 플레이트(31)가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거치시킨다.
거치 플레이트(33)는, 안착 플레이트(31)와 대향하면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커팅유닛(20), 즉 커팅날(21)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어 커팅날(21)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커팅날(21)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될 경우 커팅날 지지부(34)에 의해 지지되어 급속한 하강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 플레이트(31)에 밀착됨에 따라 커팅날(21)이 더 이상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팅날 지지부(34)는, 안착 플레이트(31)의 상측에 설치되어 커팅유닛(20), 즉 커팅날(21)이 일정 높이(즉, 안착 플레이트(31)가 밀착되는 높이) 이하로 하강하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거치 플레이트(33)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팅유닛(20)은, 커팅날(21)을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베이스(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P)들을 균일하게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 부 구성, 특히 커팅구동수단(22-1, 22-2)이 파손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부 지지 유닛(30)을 이용하여 커팅날(21)을 거치시킴으로써 커팅날(21)이 자유낙하함에 따라 베이스(10)와의 충돌에 따른 파손 또는 작업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커팅구동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구동수단(100)은, 경사형 슬로프(110), 구동롤러(120), 롤러구동부(130), 가이드블록(140), 가이드홈(150) 및 가이드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형 슬로프(110)는, 커팅날(21)의 상부면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승하여 만나며, 상측을 따라 구동롤러(120)가 구름운동을 수행한다.
구동롤러(120)는, 경사형 슬로프(110)에 안착되어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롤러구동부(130)는, 구동롤러(120)를 수평 방향으로 진퇴 동작케 한다.
가이드블록(140)은, 구동롤러(120)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롤러구동부(130)에 의해 구동롤러(120) 진퇴 동작 시 구동롤러(120)를 지지하게 된다.
가이드홈(150)은, 커팅날(21)의 상단 전후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되, 경사형 슬로프(110)와 서로 상응한 경사각을 이루게 형성된다.
가이드롤러(160)는, 구동롤러(120)에 연결되어 구동롤러(120) 진퇴 동작 시 가이드홈(15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구동수단(100)은, 커팅날(21)에 의한 안정된 인쇄기용 인쇄용지(P) 절단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커팅날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날 지지부(200)는, 받침 플레이트(210), 하부 플레이트(220) 및 회동형 완충부(2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받침 플레이트(2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 플레이트(33)를 지지하며, 회동형 완충부(2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플레이트(2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플레이트(31)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회동형 완충부(230)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 플레이트(2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회동형 완충부(230)는, 받침 플레이트(210)와 하부 플레이트(2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210)의 상측에 안착되는 거치 플레이트(33)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2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2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완충부(230)는, 제1 아치형 지지대(231), 제2 아치형 지지대(232), 제3 아치형 지지대(233) 및 지지대 연결 링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지지대(231)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210)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210)를 지지하고,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220)의 상측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210)의 상측에 안착되는 거치 플레이트(33)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22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된다.
제2 아치형 지지대(232)는,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2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3 아치형 지지대(233)는, 제2 아치형 지지대(2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231)를 사이에 두고 제2 아치형 지지대(23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2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지지대 연결 링크(234)는, 제2 아치형 지지대(2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제3 아치형 지지대(2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아치형 지지대(2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팅날 지지부(200)는, 커팅구동수단(22-1, 22-2)이 파손되는 경우에 있어서 거치 플레이트(3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거치 플레이트(33)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커팅날(21)이 자유낙하함에 따라 베이스(10)와의 충돌에 따른 파손 또는 작업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2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232)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제3 아치형 지지대(233)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240)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안착 공간(240)은, 단부 안착 공간(240)에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2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233)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235)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23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235)는, 단부 안착 공간(24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T1)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T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플레이트(2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232) 또는 제3 아치형 지지대(233)가 제1 아치형 지지대(2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아치형 지지대(2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23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인 단부 안착 공간(240)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치형 지지대(2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233)는, 일 단부 안착 공간(240)으로부터 다른 단부 안착 공간(240)으로 그 형상이 절곡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면서 제1 아치형 지지대(2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은 도 5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참조하면, 지지대 연결 링크(234)는, 제1 고정 블록(2341), 제2 고정 블록(2342) 및 슬라이딩 블록(234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2341)은, 제2 아치형 지지대(2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2343)의 제1 체결핀(P1)에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2342)은, 제1 고정 블록(2341)과 대향하며 제3 아치형 지지대(2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2343)의 제2 체결핀(P2)에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2343)은, 제1 고정 블록(2341)과 제2 고정 블록(234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2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P1)이 제1 고정 블록(2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P2)이 제1 고정 블록(2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231)가 받침 플레이트(21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 블록(2341)과 제2 고정 블록(2342)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 연결 링크(234)는, 제1 아치형 지지대(231)이 움직임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2343)에 의해 제2 아치형 지지대(2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23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2341)과 제2 고정 블록(2342)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아치형 지지대(2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23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2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231)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2311)에 안착되어 가이드홈(23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지지대(2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234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2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23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2344)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2345)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지지대(231)는, 제2 아치형 지지대(2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233)와는 달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210)에 의한 가압에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바퀴의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지대(2312)가 일측 및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234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210)의 상측에 안착되는 거치 플레이트(33)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2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아치형 지지대(231)가 함께 회전할 경우, 받침 플레이트(210)가 평행한 경우의 안착 위치인 기준선(L)으로부터 제1 아치형 지지대(2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제1 측면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지지부(300)는, 상부 지지대(310), 하부 지지대(3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310)는,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 지지 유닛(30)이 일부 구성의 파손 등의 원인으로 인해 설정된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경우에 제1 안착편(23)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320)는, 제1 안착홈(11)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부 지지대(3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제1 안착홈(11)에 안착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제1 안착홈(11)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지지부(300)는, 커팅구동수단(22-1, 22-2) 등이 파손되어 커팅유닛(20)이 낙하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안착편(23)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제1 안착편(23)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방향 또는 경사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커팅날(21)이 자유낙하함에 따라 베이스(10)와의 충돌에 따른 파손 또는 작업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310)는, 지지 플레이트(311), 하부홈(312), 간격 지지 탄성체(313), 제1 제동 프레임(314) 및 제2 제동 프레임(3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안착편(23)을 지지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313)에 의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312)은, 간격 지지 탄성체(3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313)는, 지지 플레이트(311)와 하부 지지대(3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314)은,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315)은, 제1 제동 프레임(3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320)는, 지지 본체(321), 제1 상하 관통홈(322), 제2 상하 관통홀(323),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3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3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322)은, 제1 제동 프레임(3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323)은, 제2 제동 프레임(3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3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3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3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14는 도 11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제3 스프라켓(333), 구동 벨트(334), 제동 플레이트(335) 및 제동 스프링(3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331)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332)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333)은, 제1 설치 공간(3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334)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3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3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안착홈(11)의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332)와 제3 스프라켓(333)은, 구동 벨트(334)의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33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면(3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3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336)은,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3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3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제1 측면 지지부(300)가 제동 스프링(3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3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제1 측면 지지부(3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의 제1 측면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지지부(400)는, 박스형 케이스(410),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제3 지지부(440) 및 간격조절볼트(450)를 포함한다.
박스형 케이스(410)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되며, 제1 안착홈(11)에 배치된다.
제1 지지부(42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44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42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낙하하는 제1 안착편(23)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42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4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430)는,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45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43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안착홈(11)에 안착된다.
제3 지지부(44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46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44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낙하하는 제1 안착편(23)을 지지한다.
간격조절볼트(450)는,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4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4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450)는, 볼트 본체(4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4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4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4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451)는, 박스형 케이스(4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4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452-1, 452-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4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4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453-1, 453-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4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4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454-1, 454-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4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4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측면 지지부(4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4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안착편(23)의 지지 높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10: 베이스
20: 커팅유닛
30: 상부 지지 유닛
40: 제1 측면 지지부
50: 제2 측면 지지부

Claims (10)

  1.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들이 놓이게 되는 베이스;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들을 절단하는 커팅유닛;
    상기 커팅유닛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유닛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의 전단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유닛;
    상기 커팅유닛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유닛의 일측과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커팅유닛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팅유닛의 다른 일측과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팅유닛은,
    커팅날;
    상기 커팅날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 시 상기 커팅날이 하강하여 적층된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들을 절단하고 반대로 후진 시 상기 커팅날이 상승하여 원위치 하도록 안내하는 두 개의 커팅구동수단;
    상기 커팅날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1 측면 지지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커팅날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안착편; 및
    상기 커팅날이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커팅날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거치편;을 포함하며,
    상기 커팅구동수단은,
    상기 커팅날의 상부면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승하여 만나는 경사형 슬로프;
    상기 경사형 슬로프에 안착되어 구름운동을 하게 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를 수평 방향으로 진퇴 동작케 하는 롤러구동부;
    상기 구동롤러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구동부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 진퇴 동작 시 상기 구동롤러를 지지하게 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커팅날의 상단 전후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되, 상기 경사형 슬로프와 서로 상응한 경사각을 이루게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구동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 진퇴 동작 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 유닛은,
    상기 커팅유닛과 대향하며 상기 커팅유닛의 전단에 배치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거치시키는 거치 프레임;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대향하면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커팅유닛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거치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유닛가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하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커팅날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날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는,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부는,
    상기 제1 안착편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제1 안착홈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편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KR1020200160854A 2020-11-26 2020-11-26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KR102369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854A KR102369081B1 (ko) 2020-11-26 2020-11-26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854A KR102369081B1 (ko) 2020-11-26 2020-11-26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081B1 true KR102369081B1 (ko) 2022-02-28

Family

ID=8049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854A KR102369081B1 (ko) 2020-11-26 2020-11-26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0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089B1 (ko) 2000-10-05 2004-03-24 우의구 초박형 전사필름을 갖는 전사인쇄지, 이의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한 전사 인쇄 방법
KR100834199B1 (ko) 2006-09-29 2008-05-30 김순옥 그라비아 또는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디지털 포토프린트이색 펄용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882616B1 (ko) * 2007-06-21 2009-02-06 권영광 절단기에서 판재의 변형방지 및 낙하안내장치
KR101115363B1 (ko) * 2004-03-18 2012-02-15 다이도오고교가부시기가이샤 이동식 레스트를 구비한 용지 절단 장치
KR102102374B1 (ko) * 2019-08-19 2020-04-20 (주)브레인엠알오 프린트 인쇄용지 제조용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089B1 (ko) 2000-10-05 2004-03-24 우의구 초박형 전사필름을 갖는 전사인쇄지, 이의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한 전사 인쇄 방법
KR101115363B1 (ko) * 2004-03-18 2012-02-15 다이도오고교가부시기가이샤 이동식 레스트를 구비한 용지 절단 장치
KR100834199B1 (ko) 2006-09-29 2008-05-30 김순옥 그라비아 또는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디지털 포토프린트이색 펄용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882616B1 (ko) * 2007-06-21 2009-02-06 권영광 절단기에서 판재의 변형방지 및 낙하안내장치
KR102102374B1 (ko) * 2019-08-19 2020-04-20 (주)브레인엠알오 프린트 인쇄용지 제조용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8268A (en) Printer circuit board positioning apparatus
US5329825A (en) Precision moving stage
CN102259505B (zh) 输送装置和包括输送装置的图像记录设备
CN100379572C (zh) 媒体输送装置
KR102369081B1 (ko) 디지털 인쇄기용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절단장치
JP2009073143A (ja) 記録装置
US5691825A (en) Optical image scanner
US20030122883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djusting a head gap in an inkjet printer
JP2912729B2 (ja) 刷本移送路装置
US7985031B2 (en) Guide rail for carriage printer
US6886897B2 (en) Apparatus to adjust the head gap in ink-jet printers
KR102462533B1 (ko) 앨범 포장 장치
JP2018086885A (ja) スライドレール支持構造
US3889838A (en) Self-braking follower mechanism for card files and the like
JPH0754189Y2 (ja)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US7883082B2 (en) Sheet feed devices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comprising such sheet feed devices
JPH107262A (ja) 給紙装置
JPH01292370A (ja) 光学走査用のキヤリツジの支持装置
JP4053438B2 (ja) 用紙補給装置
US3787889A (en) Facsimile recorder with guided styli
JP3212186B2 (ja) 用紙搬送装置
JP2003048353A (ja) 記録装置
CN218054016U (zh) 传动模组及3d打印设备
JPH114320A (ja) 画像読取装置
JP3050471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