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722A -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 Google Patents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722A
KR20110088722A KR1020100008355A KR20100008355A KR20110088722A KR 20110088722 A KR20110088722 A KR 20110088722A KR 1020100008355 A KR1020100008355 A KR 1020100008355A KR 20100008355 A KR20100008355 A KR 20100008355A KR 20110088722 A KR20110088722 A KR 20110088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zoom
bevel
driven gear
rot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하
Original Assignee
태원광학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원광학 (주) filed Critical 태원광학 (주)
Priority to KR102010000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8722A/ko
Publication of KR2011008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가 개시된다. 개시된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포커스 조절을 위한 포커스조절링 및 상기 포커스 조절링에 이격되며 줌 조절을 위한 포커스 조절링을 구비한 베리포컬 렌즈부; 상기 포커스 조절링 및 상기 줌 조절링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후면을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결되는 하나의 회전봉만을 구비한 포커스/줌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커스/줌조절유닛은 상기 회전봉이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포커스 조절링 또는 상기 줌 조절링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포커스 조절 또는 줌 조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External vari-focal lens adjustment camera}
본 발명은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포커스조절과 줌조절을 할 수 있는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용 카메라는 원격지의 일정 장소에 설치되어 유/무선으로 동영상을 촬영전송하는 장치를 말하며, 은행이나 규모가 큰 상가, 지하주차장, 주택가 등의 방법용 또는 취약지구에서의 범죄예방용으로 사용되거나 도로의 교통상황 모니터링, 건물의 화재예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일반가정에서도 범죄예방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CCTV용 카메라는 렌즈의 줌과 포커스를 함께 조절할 수 있는 베리포컬렌즈(Verifocal lens)모듈을 구비하며, 베리포컬렌즈모듈을 카메라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카메라 본체 케이싱 외부에서 렌즈의 줌과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47820호에는 포커스 회전바와 줌 회전바 각각의 일단이 포커스 조절링과 줌조절링에 기어 결합되고, 포커스 회전바와 줌 회전바의 각각의 타단이 카메라 본체 케이싱의 후면 뚜껑 외부로 돌출되는 카메라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포커스 및 줌을 조절하기 위해, 포커스 조절바와 줌 조절바가 별도로 2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53938호에는 투명커버를 구비한 경통형상의 선회부재를 밀거나 당겨 선택적으로 초점조절부 또는 줌조절부를 선회시킴으로써, 렌즈의 초점 조절 또는 줌 조절을 할 수 있는 카메라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카메라 케이싱의 전방으로 경통형상의 선회부재가 렌즈모듈을 감싸는 정도의 부피가 가져 전체적인 카메라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뿐더러, 선회부재가 카메라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전후 이동하기 때문에, 선회부재를 밀거나 당겨 초점 또는 줌 조절을 행할 때, 선회부재의 전방에 설치된 투명커버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물질이 묻어 투명커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한 구성에서 오토아이리스(auto iris)를 위하여 초점조절부 및 줌 조절부사이의 측면에 DC모터가 장착될 경우, 경통형상의 선회부재의 크기가 더욱더 커지게 되어 사실상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예기치 않게 선회부재를 건드려 초점조절부 및 줌 조절부가 선회되면, 원치 않는 초점 또는 줌 조절이 이루어져 초점 또는 줌이 틀어지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보다 쉽게 포커스 조절 및 줌 조절을 할 수 있으면서도 부품수가 줄고 구조가 간단하며, 콤팩트한 개선된 구조의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가 줄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오조절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쉽게 포커스 조절 및 줌 조절을 할 수 있으면서도 카메라의 투명창을 오염시키지 않는 개선된 구조의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포커스 조절을 위한 포커스조절링 및 상기 포커스 조절링에 이격되며 줌 조절을 위한 포커스 조절링을 구비한 베리포컬 렌즈부; 상기 포커스 조절링 및 상기 줌 조절링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후면을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결되는 하나의 회전봉만을 구비한 포커스/줌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커스/줌조절유닛은 상기 회전봉이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포커스 조절링 또는 상기 줌 조절링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포커스 조절 또는 줌 조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커스/줌조절유닛은 상기 포커스 조절링의 외주면에 결합된 포커스 베벨종동기어; 상기 줌 조절링의 외주면에 결합된 줌 베벨종동기어; 상기 회전봉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봉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커스 베벨종동기어에 맞물리는 포커스 베벨구동기어; 상기 회전봉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봉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줌 베벨종동기어에 맞물리는 줌 베벨구동기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스/줌조절유닛은 상기 회전봉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포커스 베벨구동기어 및 줌 베벨구동기어가 상기 포커스 베벨종동기어와 상기 줌 베벨종동기어사이에 위치하도록 유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스/줌조절유닛은 상기 포커스 베벨종동기어와 상기 줌 베벨종동기어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리포컬렌즈부의 전/후방측 외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회전봉이 삽입관통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제 1 가이드편 및 제 2 가이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은, 상기 제 1 가이드편과 상기 포커스 베벨구동기어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스프링; 및 상기 제 2 가이드편과 상기 줌 베벨구동기어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스프링부;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스 베벨중동기어는 상기 포커스 조절링의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되어 부채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줌 베벨종동기어는 상기 줌 조절링의 외주 일부에만 설치되어 부채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스 베벨종동기어 및 상기 줌 베벨종동기어는 45도 각도의 부채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커스 베벨종동기어 및 상기 줌 베벨구동기어는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회전봉을 전/후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포커스 베벨구동기어를 포커스 베벨종동기어에 맞물리거나 줌 베벨구동기어를 줌 베벨종동기어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포커스 조절 또는 줌 조절을 행할 수 있어 보다 쉽게 포커스 및 줌 조절을 할 수 있으면서도 부품수가 줄고 구조가 간단하며 콤펙트한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봉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1 스프링 및 제 2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포커스 베벨구동기어와 줌 베벨구동기어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와 줌 베벨종동기어 중 어느 쪽에도 맞물리지 않은 중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오조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커스 베벨종동기어와 줌 베벨종동기어가 포커스 조절링 및 줌 조절링의 외주면 일부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외주면 전체에 설치되는 것에 비해, 부품을 줄일 수 있어 부품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봉이 케이싱의 후면을 형성하는 덮개부를 관통삽입되어, 사용자가 회전봉의 끝단에 설치된 조절부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선택적으로 포커스 조절 또는 줌 조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쉽게 포커스 및 줌 조절을 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손에 의해 투명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의 케이싱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의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가 초점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가 줌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가 초점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서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가 줌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100)를 자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의 케이싱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의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100)는 케이싱(110), 카메라 구동회로유닛(130), 베리포컬렌즈부(140), 포커스/줌조절유닛(150) 및 적외선 조사유닛(160)을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내부에 베리포컬렌즈부(140)와 포커스/줌조절유닛(150)이 설치되며, 원통부(111)와 덮개부(115)를 포함한다.
원통부(111)는 원통형상으로 전후가 개방되고, 전단측에는 원판형상의 투명창(113)이 결합되며, 후단측 내주면에는 제 1 나사산(114)이 형성된다.
덮개부(115)는 원통부(111)의 개방된 후단을 덮어 원통부(111)의 후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덮개부(115)의 외주면에는 제 2 나사산(116)이 형성되어 원통부(111)의 제 1 나사산(114)에 나사결합이 가능하다. 덮개부(115)는 전면에 카메라 구동회로유닛(130)이 다수의 지지대(118)에 의해 고정된다.
카메라 구동회로유닛(130)은 다수의 지지대(118)에 의해 케이싱(110)의 덮개부(115) 전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된다. 카메라 구동회로유닛(130)은 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소자가 실장된 카메라 구동회로기판(131)와, 카메라 구동회로기판(131) 일면에 실장된 CCD(chargecoupled device, 133)를 포함한다. 아울러 카메라 구동회로유닛(130)은 덮개부(115)를 관통하는 제 1 배선(171)이 구비되며, 제 1 배선(171)의 자유단에는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전원커넥터(173)와 피사체의 촬상 디지털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비디오커넥터(175)가 설치된다.
베리포컬렌즈부(140)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측이 CCD(133)와 연결되며, 포커스 조절링(141) 및 줌 조절링(143)을 포함한다. 포커스 조절링(141)과 줌 조절링(143)은 고정부(145a,145b)를 기준으로 동일축상에 배치되며, 고정부(145a,145b)를 기준으로 일방향 및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다. 포커스 조절링(141)과 줌 조절링(143) 각각의 선회 시, 상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포커스 및 줌 조절을 행한다. 이때, 고정부(145a,145b)는 연결관(147)에 고정되어 포커스 조절링(141) 및 줌 조절링(143)의 선회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포커스/줌 조절유닛(150)은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커스조절링(141) 및 줌 조절링(143)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케이싱(110)의 덮개부(115)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포커스 조절링(141) 또는 줌 조절링(143)을 회전시켜 포커스 조절 또는 줌 조절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 줌 베벨종동기어(151b), 한 쌍의 가이드편(152a, 152b) 회전봉(153), 조절부(154),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 줌 베벨구동기어(155b), 한 쌍의 스프링(157a, 157b)을 포함한다.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는 포커스 조절링(141)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줌 베벨종동기어(151b)는 줌 조절링(143)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 및 줌 베벨종동기어(151b)는 전후방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 및 줌 베벨종동기어(151b)는 포커스 조절링(141) 및 줌 조절링(143)의 외주면 전체를 둘러싸지 않고 외주면 일부만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채꼴 형상은 45도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의 포커스 조절링(141) 및 줌 조절링(143)이 포커스 및 줌 조절을 위해 45도 정도 선회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부품을 감소하기 위하여, 외주면 전체를 둘러싸지 않고 일부에만 베벨기어를 형성한다.
한 쌍의 가이드편(152a, 152b)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줌 베벨종동기어(151b)를 사이에 두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 1 가이드편(152a) 및 제 2 가이드편(152b)을 포함한다. 제 1 가이드편(152a)은 베리포컬렌즈부(140)의 전방에 형성된 고정부(145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제 2 가이드편(152b)은 베리포컬렌즈부(140)의 후방에 형성된 고정부(145b)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한 쌍의 가이드편(152a,152b)에는 회전봉(153)이 관통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회전된다.
회전봉(153)은 케이싱(110)의 후면 즉, 케이싱(110)의 덮개부(115)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되고, 한 쌍의 가이드편(152a,152b)에 관통삽입되게 설치된다. 회전봉(153)은 포커스 조절링(141) 및 줌 조절링(143)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회전봉(153)의 후측단에는 조절부(15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절부(154)를 잡고 회전봉(153)을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으며, 회전봉(153)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봉(153)은 한 쌍의 가이드편(152a,152b)에 삽입된 채로 지지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회전할 수 있다.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는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과 마주하도록 회전봉(153)에 결합설치된다. 줌 베벨구동기어(155b)는 줌 베벨종동기어(151b)과 마주하도록 회전봉(153)에 결합설치된다.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과 줌 베벨구동기어(155b)는 기어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과 줌 베벨구동기어(155b)는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줌 베벨종동기어(151b)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봉(153)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맞물리고, 회전봉(153)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줌 베벨구동기어(155b)가 줌 베벨종동기어(151b)와 맞물린다.
한 쌍의 스프링(157a,157b)은 회전봉(153)을 밀거나 당기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 및 줌 베벨구동기어(155b)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줌 베벨종동기어(151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스프링(157a)과 제 2 스프링(157b)을 포함한다.
제 1 스프링(157a)은 회전봉(153)에 삽입되어 제 1 가이드편(152a)과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제 2 스프링(157b)은 회전봉(153)에 삽입되어 제 2 가이드편(152b)과 줌 베벨구동기어(155b)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회전봉(153)을 전방으로 밀면 제 1 스프링(157a)이 압축되어지면서,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에 맞물리게 되고, 사용자가 밀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제 1 스프링(157a)에 이완되면서 회전봉(153)이 후방으로 후퇴하여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가 분리되어 맞물림이 해제된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봉(153)을 후방으로 당기면 제 2 스프링(157b)이 압축되어지면서, 줌 베벨구동기어(155b)가 줌 베벨종동기어(151b)에 맞물리게 되고, 사용자가 당기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제 2 스프링(157b)이 이완되면서 회전봉(153)이 전방으로 전진하여 줌 베벨구동기어(155b)와 줌 베벨종동기어(151b)가 분리되어 맞물림이 해제된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스프링(157a)과 제 2 스프링(157b)의 탄성력에 의해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 및 줌 베벨구동기어(155b)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줌 베벨종동기어(151b) 어디에도 맞물리지 않고 중립상태가 되도록, 그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유지한다.
적외선 조사유닛(160)은 야간에도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베리포컬렌즈부(140)의 선단측을 감싸도록 중공부(161a)가 형성된 LED 구동회로기판(161)이 케이싱(110)의 원통부(111) 내면에 설치되고, LED 구동회로기판(161)의 전면에는 투명창(113)을 통해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다수의 적외선 LED(165)가 설치된다. 이 경우, LED 구동회로기판(161)은 제 2 배선(177)을 통해 카메라 구동회로기판(131)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사용자가 포커스/줌 조절유닛(150)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100)가 초점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100)가 줌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절부(154)를 잡고 회전봉(153)을 밀거나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는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 및 줌 베벨구동기어(155b)는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줌 베벨종동기어(151b) 사이에 위치하여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나 줌 베벨구동기어(155b)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나 줌 베벨종동기어(151a)에 결합되지 않은 중립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조절부(154)를 돌려 회전봉(153)이 회전하더라도 회전력이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나 줌 베벨종동기어(151b)에 전달되지 않는다.
도 2와 같은 중립상태에서, 포커스 조절을 원할 경우,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조절부(154)를 잡고 회전봉(153)을 전방으로 밀면 회전봉(153)이 한 쌍의 가이드편(152a,152b)에 안내되어 전방으로 이동되어,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에 맞물리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조절부(154)를 잡고 돌리면 회전봉(153)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이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를 통해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에 전달되어 포커스 조절링(141)이 회전되게 됨으로써, 베리포컬렌즈부(140)의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조절부(154)를 잡고 있던 손을 놓아 조절부(154)를 밀고 있던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 1 스프링(157a)가 이완하여, 회전봉(153)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맞물려 있던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가 서로 분리된 다음, 제 1 스프링(157a)과 제 2 스프링(157b)의 탄성력에 의해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 및 줌 베벨구동기어(155b)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줌 베벨종동기어(151b) 사이에 위치하도록 유지된다(도 2와 같은 중립상태)
한편, 도 2와 같은 중립상태에서, 줌 조절을 원할 경우,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조절부(154)를 잡고 회전봉(153)을 후방으로 당기면 회전봉(153)이 한 쌍의 가이드편(152a,152b)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어, 줌 베벨구동기어(155b)가 줌 베벨종동기어(151b)에 맞물리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조절부(154)를 잡고 돌리면 회전봉(153)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이 줌 베벨구동기어(155b)를 통해 줌 베벨종동기어(151b)에 전달되어 줌 조절링(143)이 회전되게 됨으로써, 베리포컬렌즈부(140)의 줌을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조절부(154)를 잡고 있던 손을 놓아 조절부(154)를 당기고 있던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 2 스프링(157b)이 이완하여, 회전봉(153)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줌 베벨종동기어(151b)와 맞물려 있던 줌 베벨구동기어(155b)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줌 베벨종동기어(151b)와 줌 베벨구동기어(155b)가 서로 분리된 다음, 제 1 스프링(157a)과 제 2 스프링(157b)의 탄성력에 의해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 및 줌 베벨구동기어(155b)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줌 베벨종동기어(151b) 사이에 위치하도록 유지된다(도 2 와같은 중립상태).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봉(153)을 전후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를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에 맞물리거나 줌 베벨구동기어(155b)를 줌 베벨종동기어(151b)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포커스 조절 또는 줌 조절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보다 쉽게 포커스 조절과 줌 조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회전봉(153)만을 설치하여 포커스 조절과 줌 조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100)의 부품수가 줄고, 구조가 단순화되어 전체적인 카메라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봉(15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1 스프링(157a) 및 제 2 스프링(157b)의 탄성력에 의해, 포커스 베벨구동기어(155a)와 줌 베벨구동기어(155b)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줌 베벨종동기어(151b)사이에서 어느쪽에도 맞물리지 않은 중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회전봉(153)을 밀거나 당기지 않는 한, 회전봉(153)을 회전시켜도 포커스 조절 및 줌 조절이 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커스 베벨종동기어(151a)와 줌 베벨종동기어(151b)가 포커스 조절링(141) 및 줌 조절링(143)의 외주면 일부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외주면 전체에 설치되는 것에 비해, 부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회전봉(153)이 케이싱(110)의 후면을 이루는 덮개부(115)를 관통삽입되어 사용자가 회전봉(153)의 끝단에 설치된 조절부(154)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선택적으로 포커스 조절 또는 줌 조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쉽게 포커스 및 줌 조절을 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손에 의해 투명창(113)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가 초점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서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가 줌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100)의 포커스/줌 조절유닛(150)에 비해, 포커스/줌 조절유닛(250)의 구성에 대해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며,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커스/줌 조절유닛(250)은 원형링 형상의 제 1 와셔(259a)가 제 1 가이드편(252a)과 포커스 베벨구동기어(255a) 사이에 배치되도록 회전봉(253)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 1 가이편(252a)과 제 1 와셔(259a)사이에 제 1 스프링(257a)을 설치하고, 제 1 와셔(259a)와 포커스베벨구동기어(255a)사이에 제 2 스프링(257b)을 설치한다. 또한, 원형링 형상의 제 2 와셔(259b)가 줌 베벨구동기어(255b)와 제 2 가이드편(252b) 사이에 배치되도록 회전봉(253)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줌 베벨구동기어(255b)와 제 2 와셔(259b) 사이에 제 3 스프링(257c)을 설치하고, 제 2 와셔(259b)와 제 2 가이드편(252b) 사이에 제 4 스프링(257d)을 설치한다.
이 경우, 제 1 와셔(259a)는 회전봉(25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스프링(257a) 및 제 2 스프링(257b)에 의해 포커스 베벨종동기어(251a)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2 와셔(259b)는 회전봉(25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 3 스프링(257c) 및 제 4 스프링(257d)에 의해 줌 베벨종동기어(251b)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는 외부환경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포커스 조절링(241) 및 줌 조절링(243)이 회전하여 맞춰진 초점과 줌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카메라가 도로에 설치된 경우, 도로를 지나는 차량들의 진동에 의해 포커스 조절링(241) 및 줌 조절링(243)이 회전되어 포커스 및 줌이 틀어 질 수 있으나, 회전봉(25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마찰에 의해 포커스 조절링(241) 및 줌 조절링(243)이 회전하지 않도록 제 1 와셔(259a)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251a)와 접촉하고, 제 2 와셔(259b)가 줌 베벨종동기어(251b)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초점을 맞추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조절부(254)를 밀어 회전봉(253)이 전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스프링(257a) 및 제 2 스프링(257b)이 압축되어 제 1 와셔(259a)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 1 와셔(259a)가 포커스 베벨종동기어(251a)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절부(254)를 돌려 회전봉(253)을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이 포커스 베벨구동기어(255a)를 통해 포커스 베벨종동기어(251a)에 전달되어 포커스 조절링(241)이 회전되게 됨으로써,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줌을 맞추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조절부(254)를 당겨 회전봉(253)이 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3 스프링(257c) 및 제 4 스프링(257d)이 압축되어 제 2 와셔(259b)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 2 와셔(259b)가 줌 베벨종동기어(251b)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절부(254)를 돌려 회전봉(253)을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이 줌 베벨구동기어(255b)를 통해 줌 베벨종동기어(251b)에 전달되어 줌 조절링(243)이 회전되게 됨으로써, 줌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케이싱 130...카메라 구동회로유닛
140...베리포컬렌즈부 141...포커스 조절링
143...줌 조절링 145a,145b...고정부
150...포커스/줌조절유닛 151a...포커스 베벨종동기어
151b...줌 베벨종동기어 152a...제 1 가이드편
152b...제 2 가이드편 153...회전봉
154...조절부 155a...포커스 베벨구동기어
155b...줌 베벨구동기어 157a...제 1 스프링
157b...제 2 스프링 160...적외선 조사유닛

Claims (7)

  1.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포커스 조절을 위한 포커스조절링 및 상기 포커스 조절링에 이격되며 줌 조절을 위한 포커스 조절링을 구비한 베리포컬 렌즈부;
    상기 포커스 조절링 및 상기 줌 조절링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후면을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결되는 하나의 회전봉만을 구비한 포커스/줌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커스/줌조절유닛은 상기 회전봉이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포커스 조절링 또는 상기 줌 조절링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포커스 조절 또는 줌 조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포커스/줌조절유닛은
    상기 포커스 조절링의 외주면에 결합된 포커스 베벨종동기어;
    상기 줌 조절링의 외주면에 결합된 줌 베벨종동기어;
    상기 회전봉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봉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커스 베벨종동기어에 맞물리는 포커스 베벨구동기어;
    상기 회전봉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봉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줌 베벨종동기어에 맞물리는 줌 베벨구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줌조절유닛은
    상기 회전봉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포커스 베벨구동기어 및 줌 베벨구동기어가 상기 포커스 베벨종동기어와 상기 줌 베벨종동기어사이에 위치하도록 유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줌조절유닛은
    상기 포커스 베벨종동기어와 상기 줌 베벨종동기어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리포컬 렌즈부의 전/후방측 외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회전봉이 삽입관통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제 1 가이드편 및 제 2 가이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은
    상기 제 1 가이드편과 상기 포커스 베벨구동기어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스프링; 및
    상기 제 2 가이드편과 상기 줌 베벨구동기어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스프링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베벨중동기어는 상기 포커스 조절링의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되어 부채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줌 베벨종동기어는 상기 줌 조절링의 외주 일부에만 설치되어 부채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베벨종동기어 및 상기 줌 베벨종동기어는 45도 각도의 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베벨종동기어 및 상기 줌 베벨구동기어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KR1020100008355A 2010-01-29 2010-01-29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KR20110088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355A KR20110088722A (ko) 2010-01-29 2010-01-29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355A KR20110088722A (ko) 2010-01-29 2010-01-29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722A true KR20110088722A (ko) 2011-08-04

Family

ID=4492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355A KR20110088722A (ko) 2010-01-29 2010-01-29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87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409B1 (ko) * 2021-12-31 2022-05-12 주식회사 제이시스 영상을 이용한 철도시설물의 검측시스템
CN116683649A (zh) * 2023-06-17 2023-09-01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电网调相机集控监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409B1 (ko) * 2021-12-31 2022-05-12 주식회사 제이시스 영상을 이용한 철도시설물의 검측시스템
CN116683649A (zh) * 2023-06-17 2023-09-01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电网调相机集控监测装置
CN116683649B (zh) * 2023-06-17 2024-03-12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电网调相机集控监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8105B2 (ja) 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の制御方法
JP2015052775A (ja) カメラ装置およびフィルタユニット
JP2008102427A (ja) 光学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7006159A (ja) 撮像素子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JP5501885B2 (ja) 遠隔調整装置、及び撮像装置
US11178321B2 (en) Optical apparatus
KR20110088722A (ko) 베리포컬렌즈 외부조절카메라
JP2011043705A (ja) レンズ装置
KR100683623B1 (ko)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JP2004145133A (ja) 光学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WO2015174065A1 (ja) カメラ装置
JP5065196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影装置
KR102673827B1 (ko) 자동 초점 장치를 채용하는 감시카메라
US5146260A (en) Lens barrel
KR101605447B1 (ko) 감시용 카메라 장치
WO2018042753A1 (ja) 撮像装置
JP5659057B2 (ja) 監視用レンズ装置及び監視カメラ
JP4834537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レンズシステム
US20210099623A1 (en) Image pickup apparatus
KR100853938B1 (ko) 초점조절 및 줌조절이 가능한 cctv용 카메라
KR200445675Y1 (ko) 배율과 초점을 외부에서 조절하는 감시카메라
KR101109590B1 (ko) 경통 모듈
KR101118244B1 (ko) 초점조절이 가능한 cctv카메라
JP5300632B2 (ja) レンズ装置
WO2010125723A1 (ja) 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