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447B1 - 감시용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용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447B1
KR101605447B1 KR1020140096001A KR20140096001A KR101605447B1 KR 101605447 B1 KR101605447 B1 KR 101605447B1 KR 1020140096001 A KR1020140096001 A KR 1020140096001A KR 20140096001 A KR20140096001 A KR 20140096001A KR 101605447 B1 KR101605447 B1 KR 10160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ns
main gear
lens hold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755A (ko
Inventor
임대순
윤학구
최명원
정혜정
이동성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filed Critical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Priority to KR102014009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4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1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4Viewfinders
    • G02B23/145Zoom viewfin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03B13/12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to compensate for change of camera lens or size of pi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감시용 카메라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감시용 카메라 장치는 줌 조절수단 및 초점 조절수단을 구비한 베리포컬렌즈부; 상기 베리포컬렌즈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구동부; 및 상기 렌즈 구동부 후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베리포컬렌즈부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도록 상기 베리포컬렌즈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시용 카메라 장치{CAMERA DEVICE FOR SURVEILLANCE}
본 발명은 오토포커싱이 가능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베리포컬렌즈와 연결되어 오토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폐쇄회로 텔레비전: Closed Circuit Television)는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곳이나 산업설비, 공사현장, 주거환경, 재난 모니터링 등을 감시 및 관리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운용된다.
최근에는 백화점, 은행, 전시장 등은 물론 학교주변, 주택가와 같은 곳까지 설치가 확대 운영되고 있는데, 각종 범죄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이며,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CCTV는 촬상수단으로 CCD(전하결합소자센서, 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가 탑재된 감시카메라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CCD 카메라는 일반 광학용 카메라와 같이 렌즈의 배율을 조정하는 줌 기능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항상 고정된 배율의 화상만 촬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여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CCD 카메라는 줌 기능과 포커싱 기능을 갖추고 있고, 상기 CCD 카메라의 촬상수단은 카메라의 하우징 안쪽에 2개의 모터를 설치하고 이 모터를 이용하여 포커스와 줌을 조절하는 베리포컬렌즈를 통하여 오토포커싱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토포커싱 카메라는 고가(高價)이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높지 않았는바, 이를 대체하기 위해 수동포커싱 카메라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수동포커싱 카메라는 가격은 저렴하나, 초점을 맞추기 위해 반복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모터만을 사용하여 오토포커싱이 가능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감시용 카메라 장치의 제조비용을 줄이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포커싱 장치에 비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포커싱을 할 수 있는 오토포커싱이 가능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수동포커싱 장치에 본 발명을 결합함으로써 호환성이 뛰어난 오토포커싱이 가능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줌 조절수단 및 초점 조절수단을 구비한 베리포컬렌즈부; 상기 베리포컬렌즈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구동부; 및 상기 렌즈 구동부 후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베리포컬렌즈부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도록 상기 베리포컬렌즈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가이드부; 상기 베리포컬렌즈부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홀더;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렌즈홀더와 연동되는 메인기어; 및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홀더와 메인기어는 상호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홀더는 외주에 메인기어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기어 결합부는 제1 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기어는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렌즈홀더의 메인기어 결합부가 광축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메인기어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기어 사이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기어 및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기어 및 상기 렌즈홀더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핀; 및 상기 렌즈홀더의 직선 왕복 구동을 가이드하는 렌즈홀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리포컬렌즈부의 초기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렌즈홀더에 돌출 형성되는 피감지부; 및 상기 피감지부의 상하구동을 감지하는 포토 인터럽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기어에 돌출 형성되는 피감지부; 및 상기 피감지부의 회전구동을 감지하는 포토 인터럽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주간 촬영 시 적외선을 필터링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부는, 하우징; 상기 적외선 필터를 구비한 블레이드;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 모터만으로도 포커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부피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수동포커싱 장치에서 요구되는 초점 및 줌의 재조정 단계가 생략되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수동포커싱 장치에 본 발명을 결합하여 오토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뛰어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포커싱이 가능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에서 베리포컬렌즈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의 렌즈 구동부 및 적외선 차단필터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a의 기어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기어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기어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 장치에서 베리포컬렌즈부가 후방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 장치에서 베리포컬렌즈부가 전방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포토 인터럽터 및 피감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피감지부가 포토 인터럽터에 감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피감지부가 포토 인터럽터에 감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구비되는 포토 인터럽터 및 피감지부를 나타내며, 피감지부가 포토 인터럽터에 감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피감지부가 포토 인터럽터에 감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토포커싱이 가능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1)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a, 도 1b,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토포커싱이 가능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1)는 베리포컬렌즈부(100), 렌즈 구동부(200), 적외선 차단필터부(300) 및 인쇄회로기판(400)을 포함한다.
상기 베리포컬렌즈부(100)는 초점 조절이 가능한 베리포컬렌즈 및 줌 조절수단(101a), 초점 조절수단(102a) 및 결합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줌 조절수단(101a) 및 초점 조절수단(102a)은 줌 및 초점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베리포컬렌즈부(100)는 결합부(103)가 렌즈 구동부(200)의 렌즈홀더(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베리포컬렌즈가 본 발명의 렌즈 구동부(20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수동포커싱만이 가능한 일반적인 베리포컬렌즈도 본 발명에 결합되어 오토포커싱이 가능하게 되는바, 호환성이 뛰어나다.
상기 렌즈 구동부(200)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부(300)는 야간에도 촬영 가능하도록 해주는 장치이며, 주간 촬영만을 위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의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부(300)는 지지부(243)에 형성된 삽입구멍(244)에 삽입되어 본 발명에 장착된다.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부(300)는 하우징, 상기 적외선 필터를 구비한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위치는 주간촬영시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필터가 위치하는 광축 상의 위치를 말하며, 제2 위치는 야간촬영시 적외선을 이용해 촬영을 하기 위해 필터가 위치하는 광축에서 벗어난 위치를 말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포커싱이 가능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1)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이미지 센서(410)가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410)에서 빛을 전하로 변환시켜 화상을 얻어내게 된다.
상기 렌즈 구동부(200)는 렌즈홀더(210), 메인기어(220), 판스프링(230), 가이드부(240), 베이스부(250) 및 기어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홀더(210)는 상기 베리포컬렌즈부(10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메인기어(220) 및 상기 가이드부(240)와 결합한다. 상기 렌즈홀더(210)의 내경은 상기 베리포컬렌즈부(100)의 결합부(103)의 외경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렌즈홀더(210)는 방사상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복수의 메인기어 결합부(211)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기어 결합부(211)는 상기 메인기어(220)와 결합하여 렌즈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구동을 수행한다. 즉, 상기 메인기어 결합부(211)의 외경은 상기 메인기어(220)의 내경과 대응된다. 또한, 상기 메인기어 결합부(211)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상기 메인기어(2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222)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기어(220)의 회전운동을 상기 렌즈홀더(210)의 상하운동으로 전환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기어 결합부(211)는 4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기어(220)는 상기 가이드부(240)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기어(220)의 내경은 상기 렌즈홀더 가이드(241)의 외경에 대응된다. 상기 메인기어(220)는 모터(268)에 의한 회전 구동력을 렌즈홀더(210)의 상하 구동력으로 전환해주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판스프링(230)은 상기 메인기어(220) 및 상기 베이스부(250)의 사이에 배치되며, 설정된 초점이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부(250)로부터 상기 메인기어(220) 측으로 예압을 가한다.
상기 가이드부(240)는 복수의 렌즈홀더 가이드(241), 복수의 이탈방지핀(242), 지지부(243) 및 가이드홈(245)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렌즈홀더 가이드(241)는 렌즈홀더(210)가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상기 렌즈홀더 가이드(241)의 사이에는 복수의 가이드홈(24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렌즈홀더(210)에 구비된 메인기어 결합부(211)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24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기어(220)가 모터(268)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기어부(260)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할 때, 상기 렌즈홀더(210)는 상기 메인기어(22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렌즈홀더 가이드(241)는 상기 메인기어 결합부(211)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기어 결합부(211)가 4개이므로 상기 렌즈홀더 가이드(241)는 4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핀(242)은 렌즈홀더 가이드(241)에 결합되며, 메인기어(220)가 회전하는 도중에 광축 방향을 따라 렌즈홀더(210) 및 가이드부(24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턱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핀(242)은 상기 렌즈홀더(210)가 가이드부(2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요홈(217)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렌즈홀더(210)가 메인기어(220)의 회전에 의해 렌즈홀더 가이드(241)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시, 최대지점에서 이탈방지핀(242)이 요홈(217)에 걸려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한한다.
상기 지지부(243)는 상기 가이드부(24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렌즈 구동부(20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43)는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부(300)가 삽입되는 삽입구멍(24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250) 및 상기 기어부(260)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4a 내지 4c 및 도 5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부(250)는 상기 제1 기어(261)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251), 제2 기어(262)가 안착되는 제2 안착홈(252), 제3 기어(263)가 안착되는 제3 안착홈(253) 및 제4 기어(264)가 안착되는 제4 안착홈(25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어부(260)의 제1 샤프트 내지 제3 샤프트(272,273,274)가 각각 결합되는 제1 결합구멍 내지 제3 결합구멍(252a,253a,254a) 및 상기 가이드부(240)가 관통하는 메인홀(254)을 구비한다.
상기 기어부(260)는 상기 베이스 부(250)의 일측 상면에 배치되며,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모터(268)를 구비한다.
또한, 기어부(260)는 상기 모터(268)에 연결되는 제1 기어(261) 및 상기 제 1 기어(261)의 구동력을 상기 메인기어(220)까지 전달하기 위해 구비된 제2 기어 내지 제4 기어(262,263,26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260)는 상기 제2 기어(262)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1 샤프트(272), 상기 제3 기어(263)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2 샤프트(273), 상기 제4 기어(264)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3 샤프트(274)를 구비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포커싱이 가능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의 초점 조절 구동방법에 관해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를 살펴보면, 상기 모터(268)와 연결된 상기 제1 기어(26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기어(261)는 상기 모터(268)의 회전에 의한 회전 운동을 하며, 상기 제2 기어 하부(262a)와 맞물려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기어(261)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제2 기어 하부(262a)로 전달된다.
상기 제2 기어 하부(262a)가 제1 샤프트(272)를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2 기어 상부(262b)도 상기 제2 기어 하부(262a)와 함께 제1 샤프트(272)를 축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기어 상부(262b)는 상기 제3 기어 하부(263a)와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제2 기어 상부(262b)의 회전운동은 상기 제3 기어 하부(263a)로 전달된다.
상기 제3 기어 하부(263a)가 제2 샤프트(273)를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3 기어 상부(263b)도 상기 제3 기어 하부(263a)와 함께 제2 샤프트(273)를 축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3 기어 상부(263b)는 상기 제4 기어 하부(264a)와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제3 기어 상부(263b)의 회전운동은 상기 제4 기어 하부(264a)로 전달된다.
상기 제4 기어 하부(264a)가 제3 샤프트(274)를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4 기어 상부(264b)도 상기 제4 기어 하부(264a)와 함께 제4 샤프트(274)를 축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제4 기어 상부(264b)는 상기 메인기어(220)와 맞물려 있는 위치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4 기어 상부(264b)의 회전운동은 상기 메인기어(220)로 전달된다. 즉, 모터의 회전 구동력이 상기 기어부(260)에 의해 상기 메인기어(220)로 전달된다.
상기 메인기어(220)가 전달받은 모터(268)의 회전 구동력에 의한 상기 베리포컬렌즈부(100)의 초점 조절을 위한 상하 운동모습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a를 살펴보면, 상기 메인기어 결합부(211)가 메인기어(220)의 내측에 완전히 결합하고 있으며, 이는 베리포컬렌즈부(100)가 최하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반면에, 도 6b를 살펴보면, 상기 메인기어 결합부(211)가 메인기어(220)의 외측으로 빠져 있으며, 이는 베리포컬렌즈부(100)가 최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는 베리포컬렌즈부(10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로서 포토 인터럽터(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토 인터럽터(214)는 상기 베이스부(250)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포토 인터럽터(214)의 단자(216)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감지한 위치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포토 인터럽터(214)에 의해 감지되는 피감지부(213)는 상기 렌즈홀더(210)의 외주면에 돌기 형상으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토 인터럽터(214)의 경우에는 상기 렌즈홀더(210)의 상하 운동에 따른 피감지부(213)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초기 위치를 확인한다. 즉, 도 7b와 같이 피감지부(213)가 포토 인터럽터(214)의 감지부(215)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토 인터럽터(214)가 피감지부(213)를 인식하게 되고, 도 7c와 같이 피감지부(213)가 포토 인터럽터(214)의 감지부(215)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렌즈홀더(210)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포토 인터럽터(214)가 피감지부(213)를 인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피감지부(223)는 상기 메인기어(220)의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포토 인터럽터(224)는 상기 베이스부(25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이 포토 인터럽터(224)의 단자(226)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감지한 위치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토 인터럽터(224)의 경우에는 상기 메인기어(220)의 회전 운동에 따른 피감지부(223)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초기 위치를 확인한다. 즉, 도 8a와 같이 피감지부(223)가 포토 인터럽터(224)의 감지부(225)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토 인터럽터(224)가 피감지부(223)를 인식하게 되고, 도 8b와 같이 피감지부(223)가 포토 인터럽터(224)의 감지부(225)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메인기어(220)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포토 인터럽터(224)가 피감지부(223)를 인식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인쇄회로기판(400)에 의한 본 발명의 촬영수단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렌즈 구동부(200)의 제어에 관해 살펴보면, 베리포컬렌즈부(100)의 줌 조절수단(101a) 및 초점조절수단(102a)을 이용해 렌즈의 대략적인 줌 및 초점을 조절한다. 이어서, 베리포컬렌즈부(100)를 렌즈 구동부(200)에 결합한다.
그 후, 결합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위치감지센서를 제어하여 베리포컬렌즈부(100)가 설정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렌즈 구동부(200)를 구동한다. 이 경우, 제어부는 렌즈 구동부(200)를 제어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베리포컬렌즈(101)의 초점을 맞춘다.
또한, 야간의 경우에는 적외선 차단필터부(300)를 제어하여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100; 베리포컬렌즈부 200; 렌즈 구동부
210; 렌즈홀더 213,223; 피감지부
214,224; 포토 인터럽터 220; 메인기어
240; 가이드부 260; 기어부
268; 모터 300; 적외선 차단필터부
400; 인쇄회로기판

Claims (14)

  1. 줌 조절수단 및 초점 조절수단을 구비한 베리포컬렌즈부;
    가이드부와, 상기 베리포컬렌즈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홀더와,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렌즈홀더와 연동되는 메인기어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부;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메인기어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부; 및
    상기 가이드부가 고정되며, 상기 렌즈 구동부 후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베리포컬렌즈부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도록 상기 베리포컬렌즈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동시키고
    상기 렌즈홀더와 메인기어는 상호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외주에 메인기어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기어 결합부는 제1 나사산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기어는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렌즈홀더의 메인기어 결합부가 광축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기어 사이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 및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기어 및 상기 렌즈홀더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핀; 및
    상기 렌즈홀더의 직선 왕복 구동을 가이드하는 렌즈홀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포컬렌즈부의 초기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렌즈홀더에 돌출 형성되는 피감지부; 및
    상기 피감지부의 상하구동을 감지하는 포토 인터럽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에 돌출 형성되는 피감지부; 및
    상기 피감지부의 회전구동을 감지하는 포토 인터럽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주간 촬영 시 적외선을 필터링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부는,
    하우징;
    적외선 필터부를 구비한 블레이드;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
KR1020140096001A 2014-07-28 2014-07-28 감시용 카메라 장치 KR10160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001A KR101605447B1 (ko) 2014-07-28 2014-07-28 감시용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001A KR101605447B1 (ko) 2014-07-28 2014-07-28 감시용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755A KR20160013755A (ko) 2016-02-05
KR101605447B1 true KR101605447B1 (ko) 2016-04-01

Family

ID=5535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001A KR101605447B1 (ko) 2014-07-28 2014-07-28 감시용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865B1 (ko) 2018-07-05 2019-10-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용 카메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0068B (zh) * 2021-11-05 2024-06-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790B1 (ko) 1986-05-12 1999-12-01 마츠모토 도루 카메라용 줌렌즈계 구동장치
KR101234770B1 (ko) 2011-08-12 2013-02-19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다양한 종류의 베리포컬렌즈에 사용되는 오토포커스줌 모듈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790B1 (ko) 1986-05-12 1999-12-01 마츠모토 도루 카메라용 줌렌즈계 구동장치
KR101234770B1 (ko) 2011-08-12 2013-02-19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다양한 종류의 베리포컬렌즈에 사용되는 오토포커스줌 모듈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865B1 (ko) 2018-07-05 2019-10-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용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755A (ko) 201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1389B2 (en) Auto-focus mechanism for vision system camera
EP2747414B1 (en) Monitoring method and camera
EP4220267A3 (en)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in a compact folded camera
US10139587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US20120194728A1 (en) Image sensor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07164065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CN110933261B (zh) 摄像装置
JP4147427B2 (ja) フォーカスコントロール装置
US10070040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focusing a camera
KR101605447B1 (ko) 감시용 카메라 장치
CN100580496C (zh) 光学设备
JP5868074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4030002B2 (ja) 可視赤外撮像カメラ
KR102673827B1 (ko) 자동 초점 장치를 채용하는 감시카메라
JP5451333B2 (ja) 監視用テレビカメラ装置
JP4692980B2 (ja) 光学装置
JP2010210691A (ja) 立体撮像装置
CN205647697U (zh) 一种1600万相位检测自动对焦摄像头
US20140294371A1 (en) Optical viewfinder
JP2015118131A (ja) 撮像装置
JP2020188348A (ja) 撮像装置、画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6106356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18074284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4035536A (ja) 撮影装置及び回転光学要素の回転駆動制御方法
JP5959997B2 (ja) 回転光学要素を有する動画撮影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動画撮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