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750B1 -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750B1
KR102384750B1 KR1020210184693A KR20210184693A KR102384750B1 KR 102384750 B1 KR102384750 B1 KR 102384750B1 KR 1020210184693 A KR1020210184693 A KR 1020210184693A KR 20210184693 A KR20210184693 A KR 20210184693A KR 102384750 B1 KR102384750 B1 KR 10238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post
camera
subjec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to KR102021018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H04N5/23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설치되되, 승강제어부(107)를 구비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주(10); 지주(10)에 설치되되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동작제어부(201)와 촬영제어부(202)를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20); 지주(10), 카메라(20)와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피사체를 분석하여 승강제어부(107),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가 연동되게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관제서버(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피사체와 이미지 크기를 설정하면, 그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설정된 피사체가 항상 촬영영역의 중앙에서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선명하게 위치하도록 지주와 카메라의 동작이 자동 제어되면서 피사체에 대한 추적촬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Up-down metal pole landlord remote control system for CCTV}
본 발명은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피사체와 이미지 크기를 설정하면, 그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설정된 피사체가 항상 촬영영역의 중앙에서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선명하게 위치하도록 지주와 카메라의 동작이 자동 제어되면서 피사체에 대한 추적촬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한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는 폐쇄 회로 텔레비전을 말하는 것으로서, 특정 건축물이나 시설물에서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유선 또는 특수 무선 전송로를 이용해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 정보 전달용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근래에는 CCTV 카메라가 일반도로가, 도심지, 주택가, 유흥가, 공원, 해변, 계곡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됨으로써 각종 범죄의 예방 및 억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즉, CCTV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각종 사고나 범죄를 밝히는 중요한 증거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설치만으로도 범죄의 예방 및 억제 효과가 크며, 그로 인해 카메라의 설치는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CCTV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각종 사고나 범죄를 밝히는 중요한 증거자료만 사용되는데 한정되지 않고, 근래에는 경찰의 범죄 예방이나 수사에도 활용되고 있는데, 일 예로서 원거리에서 피사체(사람이나 물체 등)에 대한 동태를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기도 한다.
한편, CCTV 카메라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장 등에 직접 고정되게 설치하거나, 소정 높이의 지주를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하고, 지주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대를 형성하여 설치대의 상부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CCTV 카메라용 지주는 그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를 이용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광각이나 망원 등 화각의 조절은 가능한 반면, 촬영화면의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됨으로써 카메라와 피사체 사이로 방해물이 진입하면 방해물에 의해 피사체가 가려지면서 피사체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게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41001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피사체와 이미지 크기를 설정하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설정된 피사체가 항상 촬영영역의 중앙에서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선명하게 위치하도록 지주와 카메라의 동작이 자동 제어되면서 피사체에 대한 추적촬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한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은,
지면에 설치되되, 승강제어부(107)를 구비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주(10);
상기 지주(10)에 설치되되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동작제어부(201)와 촬영제어부(202)를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20);
상기 지주(10), 카메라(20)와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피사체를 분석하여 승강제어부(107),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가 연동되게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관제서버(3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주(10)는,
하단부에 고정판(101a)이 형성되어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지주(101);
하단부가 하부지주(101)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지주(101)를 따라 승강 가능케 설치되며, 상단부 일측에는 수평으로 설치대(102a)가 구비된 상부지주(102);
상기 하부지주(101)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지주(102)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03);
상기 상부지주(102)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104);
상기 상부지주(102)의 높이와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서수단(105);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서버(30)와 연결되어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센서수단(105)에 의해 감지된 상부지주(102)의 제어상태를 관제서버(30)로 송신하는 제1입출력부(106);
상기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부(10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수단(103)은,
상기 하부지주(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103a);
상기 모터(103a)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나사축(103b);
상기 상부지주(102)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나사축(103b)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축(103b)의 회전에 의해 상부지주(102)가 승강되게 하는 볼너트(103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수단(104)은
상기 하부지주(101)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4a);
상기 상부지주(10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04a)을 따라 이송하는 되는 레일블록(104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메라(20)는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하회전, 좌우회전, 확대/축소를 제어하는 동작제어부(201);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제어부(202);
상기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동작제어부(201)의 동작상태값과, 촬영제어부(202)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관제서버(30)로 송신하는 제2입출력부(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제서버(30)는
상기 지주(10)의 승강제어부(107) 및 카메라(20)의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원격관제부(301);
상기 카메라(20)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면서, 분석하여 영상 속 피사체를 식별하고, 특정 피사체와 이미지 크기가 설정되면, 설정된 피사체가 촬영영역의 중앙에서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선명하게 위치하도록 승강제어부(107),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가 상호 연동되게 제어신호를 자동 생성하는 영상분석제어부(302);
상기 지주(10), 카메라(20)와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영상데이터를 영상분석제어부(302)에 제공하고, 원격관제부(301)의 제어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네트워크연결부(3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제서버(30)는,
상기 카메라(20)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저장부(304);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피사체와 이미지 크기를 설정하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설정된 피사체가 항상 촬영영역의 중앙에서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선명하게 위치하도록 지주와 카메라의 동작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설정된 피사체에 대한 추적촬영을 통해 정확한 영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정된 피사체에 대한 추적촬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방해물에 의해 피사체가 가려지면, 이를 감지하고 지주와 카메라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여 피사체에 대한 추적촬영을 유지함으로써 정확한 영상데이터를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서 피사체와 이미지 크기를 설정하면, 설정된 피사체를 추적 촬영하도록 복수의 카메라가 연동하여 제어됨으로써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주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주의 승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의한 영상촬영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카메라와 피사체 간에 방해물이 진입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관제서버에 의한 지주와 카메라의 동작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주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주의 승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의한 영상촬영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카메라와 피사체 간에 방해물이 진입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관제서버에 의한 지주와 카메라의 동작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피사체와 이미지 크기를 설정하면, 그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설정된 피사체가 항상 촬영영역의 중앙에 선명하게 위치하게 지주(10)와 카메라(20)의 동작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주(10), 카메라(20), 관제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설치되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지주(101), 상부지주(102), 승강수단(103), 가이드수단(104), 센서수단(105), 제1입출력부(106), 승강제어부(107)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주(101)는 소정 길이의 관체로 형성되되,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단부에 고정판(101a)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판(101a)은 상기 하부지주(10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면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록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101a)은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지면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설치공이 원주 방향으로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은 장공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앵커볼트 체결 시 고정판(101a)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체결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부지주(101)의 외측면과 고정판(101a)의 상면 간에는 원주 방향으로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리브를 더 구비함으로써 하부지주(101)와 고정판(101a) 접합부의 강성을 보강하여 하부지주(101)의 구조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지주(101)의 상단부에는 하부지주(101) 내부에서 승강 가능케 설치되는 상부지주(102)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수밀성 및 기밀성을 유지하는 기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MC NYLON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하부지주(101)의 상단부에는 하부지주(101) 내부에서 승강 가능케 설치되는 상부지주(102)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체결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수나사부(101b), 체결너트(101c)를 포함한다.
상기 수나사부(101b)는 하부지주(101)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너트(101c)는 상기 수나사부(101b) 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하부지주(101) 내부에서 승강 가능케 설치되는 상부지주(102)의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필요할 때 하부지주(101)에 승강 가능케 설치된 상부지주(102)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상부지주(102)는 하단부가 하부지주(101)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지주(101)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하부지주(10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소정 길이의 관체로 형성되되, 상부 일측에는 상부지주(102)와 직각이 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설치대(102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설치대(102a) 일측에 카메라(20)가 설치되었을 때, 설치대(102a)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는 강성의 보강을 위하여 상부지주(102)의 상부 일측과 설치대(102a)의 외측 단부 간에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103)은 상부지주(102)를 승강 가능하도록 모터(103a), 나사축(103b), 볼너트(103c)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03a)는 하부지주(101)의 내부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우천 시 빗물 유입에 대비하여 하부지주(101)의 내부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모터(103a)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하여 하부지주(101)의 내부에는 모터(103a)거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103a)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감속모터(103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나사축(103b)은 모터(103a)의 구동축에 연결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모터(103a)의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볼너트(103c)는 상부지주(102)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나사축(103b)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나사축(103b)의 회전에 의해 나사축(103b)을 따라 상부지주(102)가 승강된다.
일 예로서, 모터(103a)에 의해 나사축(103b)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볼너트(103c)에 의해 상부지주(102)가 상승하고, 나사축(103b)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볼너트(103c)에 의해 상부지주(102)가 하강함으로써 상부지주(102)의 승강이 가능케 된다.
이때, 상부지주(102)의 하단부 일측에는 나사축(103b)을 따라 승강하는 상부지주(10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축(103b)을 따라 승강하는 가이드부시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가이드수단(104)은 상부지주(102)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하여 가이드레일(104a), 가이드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04a)은 레일블록(104b)을 안내하기 위하여 하부지주(101)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레일(104a)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일부 구간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레일블록(104b)은 상부지주(102)의 하단부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레일블록(104b)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는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즉, 레일블록(104b)은 필요에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가 설치되거나, 상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층 구조로 설치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승강수단(103)에 의해 상부지주(102)가 승강할 때, 가이드수단(104)이 상부지주(102)의 승강을 안내함으로써, 상부지주(102)가 흔들림 없이 정밀한 승강 작동이 가능케 된다.
한편, 레일블록(104b)은 가이드레일(104a)에서 이탈된 후 다시, 가이드레일(104a)과 접하면서 가이드레일(104a)을 따라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안내볼 또는 안내롤러로 대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센서수단(105)은 상부지주(102)의 제어상태, 즉 상부지주(102)의 높이와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상기 제1입출력부(106)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서버(30)와 연결되어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센서수단(105)에 의해 감지된 상부지주(102)의 제어상태를 관제서버(30)로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상기 승강제어부(107)은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수단(103)을 제어함으로써 상부지주(102)의 승강을 통해 상부지주(102)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케 된다.
상기 카메라(20)는 지주(10)에 설치되되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동작제어부(201)와 촬영제어부(202)를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관제서버(30)로 전송하도록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 제2입출력부(203)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제어부(201)는 관제서버(3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하회전, 좌우회전, 확대/축소를 제어하도록 복수의 구동부가 카메라(20)의 본체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구동부 중 제1구동부는 카메라(20)의 렌즈가 상하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구동부 중 제2구동부는 카메라(20)의 렌즈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구동부 중 제3구동부는 화각이 확대/축소되도록 카메라(20)의 렌즈가 전후로 슬라이딩되게 제어한다.
상기 촬영제어부(202)는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제2입출력부(203)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서버(30)와 연결되어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동작제어부(201)의 동작상태값과, 촬영제어부(202)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관제서버(30)로 송신한다.
상기 관제서버(30)는 지주(10), 카메라(20)와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피사체를 분석하여 승강제어부(107),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가 연동되게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원격관제부(301), 영상분석제어부(302), 네트워크연결부(303)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관제부(301)는 지주(10)의 승강제어부(107) 및 카메라(20)의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주(10) 및 카메라(20)에 각각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생성되거나, 서로 동일한 제어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분석제어부(302)는 카메라(20)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면서, 분석하여 영상 속 피사체를 식별한다.
그리하여 관리자가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영상 속에서 특정 피사체와 이미지 크기를 설정하면, 영상분석제어부(302)는 설정된 피사체가 촬영영역의 중앙에서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선명하게 위치하도록 승강제어부(107),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가 상호 연동되게 하는 제어신호를 자동 생성한다.
상기 네트워크연결부(303)는 지주(10), 카메라(20)와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영상데이터를 영상분석제어부(302)에 제공하고, 원격관제부(301)의 제어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제서버(30)는 카메라(20)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저장부(30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은, 특정 위치에 고정된 지주(10)에 설치된 카메라(20)가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된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관제서버(30)로 실시간으로 전송되면, 관제서버(30)에서 그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영상 속 피사체를 식별하게 된다.
그리하여 분석한 영상 속 피사체 중 특정 피사체와 이미지 크기를 설정하면, 관제서버(30)는 해당 피사체가 촬영영역의 중앙에서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선명하게 위치하도록 승강제어부(107),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가 상호 연동되게 하는 제어신호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지주(10)와 카메라(20)는 관제서버(3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지주(10)의 높낮이와 카메라(20)의 상하회전, 좌우회전 및 확대/축소가 연동하여 자동 제어되면서 설정된 피사체가 카메라(20)의 촬영영역의 정중앙에서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위치하도록 설정된 피사체에 대한 추적촬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카메라(20)와 피사체 사이로 방해물이 진입하여 방해물에 의해 피사체가 가려지면, 관제서버(30)는 설정된 피사체가 방해물에 가려진 것을 식별하고, 피사체가 방해물에 의해 가려진 위치, 방향, 각도를 산출하여 피사체가 사전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촬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그리하여 설정된 피사체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이미지 크기가 설정된 이미지 크기보다 작으면,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승강제어부(107),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가 상호 연동되게 하는 제어신호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지주(10)와 카메라(20)의 연동에 의해 방해물을 회피하여 피사체에 대한 추적촬영이 유지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정확한 영상데이터를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지주(10)와 카메라(20)가 관제서버(30)와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경우에, 복수의 카메라(20)에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 중 특정 카메라(20)의 영상데이터의 영상 내에서 특정 피사체와 이미지 크기를 설정한 상태에서 복수의 지주(10)와 카메라(20)가 앞서 설정된 피사체를 동시에 추적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단일 피사체에 대하여 복수의 카메라(20)가 다양한 위치와 각도에서 추적촬영이 이루어짐으로써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촬영영역 B: 피사체
C: 이미지 크기 D: 방해물
10: 지주 101: 하부지주
101a: 고정판 102: 상부지주
102a: 설치대 103: 승강수단
103a: 모터 103b: 나사축
103c: 볼너트 104: 가이드수단
104a: 가이드레일 104b: 레일블록
105: 센서수단 106: 제1입출력부
107: 승강제어부 20: 카메라
201: 동작제어부 202: 촬영제어부
203: 제2입출력부 30: 관제서버
301: 원격관제부 302: 영상분석제어부
303: 네트워크연결부 304: 데이터저장부

Claims (5)

  1. 지면에 설치되되, 승강제어부(107)를 구비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주(10);
    상기 지주(10)에 설치되되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동작제어부(201)와 촬영제어부(202)를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20);
    상기 지주(10), 카메라(20)와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피사체를 분석하여 승강제어부(107),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가 연동되게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관제서버(30); 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10)는,
    하단부에 고정판(101a)이 형성되어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지주(101);
    하단부가 하부지주(101)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지주(101)를 따라 승강 가능케 설치되며, 상단부 일측에는 수평으로 설치대(102a)가 구비된 상부지주(102);
    상기 하부지주(101)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지주(102)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03);
    상기 상부지주(102)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104);
    상기 상부지주(102)의 높이와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서수단(105);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서버(30)와 연결되어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센서수단(105)에 의해 감지된 상부지주(102)의 제어상태를 관제서버(30)로 송신하는 제1입출력부(106);
    상기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승강제어부(107);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103)은,
    상기 하부지주(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103a);
    상기 모터(103a)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나사축(103b);
    상기 상부지주(102)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나사축(103b)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축(103b)의 회전에 의해 상부지주(102)가 승강되게 하는 볼너트(103c);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20)는,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하회전, 좌우회전, 확대/축소를 제어하는 동작제어부(201);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제어부(202);
    상기 관제서버(3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동작제어부(201)의 동작상태값과, 촬영제어부(202)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관제서버(30)로 송신하는 제2입출력부(203); 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서버(30)는,
    상기 지주(10)의 승강제어부(107) 및 카메라(20)의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원격관제부(301);
    상기 카메라(20)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면서, 분석하여 영상 속 피사체를 식별하고, 특정 피사체와 이미지 크기가 설정되면, 설정된 피사체가 촬영영역의 중앙에서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선명하게 위치하도록 승강제어부(107), 동작제어부(201), 촬영제어부(202)가 상호 연동되게 제어신호를 자동 생성하는 영상분석제어부(302);
    상기 지주(10), 카메라(20)와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영상데이터를 영상분석제어부(302)에 제공하고, 원격관제부(301)의 제어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네트워크연결부(303); 및
    상기 카메라(20)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저장부(304); 를 더 구비하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설정된 피사체가 항상 촬영영역의 중앙에서 설정된 이미지 크기로 선명하게 위치하도록 지주와 카메라의 동작이 자동 제어되면서 피사체에 대한 추적촬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84693A 2021-12-22 2021-12-22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384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693A KR102384750B1 (ko) 2021-12-22 2021-12-22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693A KR102384750B1 (ko) 2021-12-22 2021-12-22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750B1 true KR102384750B1 (ko) 2022-04-08

Family

ID=8118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693A KR102384750B1 (ko) 2021-12-22 2021-12-22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83112A (zh) * 2022-07-07 2022-10-14 陕西科技大学 一种烘缸流道同步流形拍摄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1196A (ja) * 2005-04-28 2006-11-09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20100103293A (ko) * 2009-03-13 2010-09-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208054B1 (ko) * 2019-08-26 2021-01-27 주식회사 위츠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KR20210141001A (ko)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가우테크닉스 방범용 cctv 카메라 설치용 지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1196A (ja) * 2005-04-28 2006-11-09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20100103293A (ko) * 2009-03-13 2010-09-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208054B1 (ko) * 2019-08-26 2021-01-27 주식회사 위츠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KR20210141001A (ko)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가우테크닉스 방범용 cctv 카메라 설치용 지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83112A (zh) * 2022-07-07 2022-10-14 陕西科技大学 一种烘缸流道同步流形拍摄装置及方法
CN115183112B (zh) * 2022-07-07 2024-03-26 陕西科技大学 一种烘缸流道同步流形拍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4626B2 (en) Monitoring camera device
EP1341383B1 (en) Composite camera system, zoom camera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zoom camera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7479979B2 (en) Omnidirectional monitoring control system, omnidirectional monitoring control method, omnidirectional monitoring control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37423B1 (ko) 다기능 승강 폴 시스템
KR102384750B1 (ko)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737380B1 (ko) 오토리프트, 카메라 및 감지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51877B1 (ko) 통합형 다방향 무인 감시카메라와 이를 이용한 다목적 무인 감시시스템
KR101369735B1 (ko) 팬/틸트 볼 카메라
KR102351784B1 (ko)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KR101581724B1 (ko) 설치구조물에 대한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장치
KR20150107506A (ko) 목표 피사체 정밀 추적 및 촬영용 팬틸트 일체형 감시카메라
KR101017527B1 (ko) 보안용 촬영장치
KR102208054B1 (ko)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KR101378586B1 (ko)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KR20170100962A (ko) 조명 및 촬영을 위한 무선 비행체
KR20110114098A (ko) 파노라마 카메라 및 팬틸트줌 카메라 일체형 감시용 카메라 장치와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US103720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security camera focusing
KR102260186B1 (ko)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촬영이 가능한 cctv용 ptz 카메라
KR101676444B1 (ko)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2329137B1 (ko) 주차장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0157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제어 무인 이동감시 카메라
KR102482341B1 (ko) 차량 단속영역좌표 자동 보정 시스템
CN110985844B (zh) 一种工程监理建管信息化装置
US20100259613A1 (en) Watching camera
KR101023854B1 (ko) 스쿨존의 경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