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784B1 -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 Google Patents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784B1
KR102351784B1 KR1020210105907A KR20210105907A KR102351784B1 KR 102351784 B1 KR102351784 B1 KR 102351784B1 KR 1020210105907 A KR1020210105907 A KR 1020210105907A KR 20210105907 A KR20210105907 A KR 20210105907A KR 102351784 B1 KR102351784 B1 KR 102351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lower fixed
cctv
pol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to KR102021010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부에 베이스플레이트(101)가 형성되어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하부고정지주(10); 하단부가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고정지주(10)를 따라 승강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CCTV가 설치되는 설치대(201)가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승강지주(20);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수단(40);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CCTV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50); 하부고정지주(10)의 외부에 설치되어 CCTV의 전원 공급과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컨트롤박스(6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고정지주 내부에 레일전원공급부를 설치함으로써 상부승강지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부승강지주의 위치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며, 상부승강지주를 승강시키는 직교축모터를 컨트롤박스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전기적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Height Adjustable Pole for CCTV}
본 발명은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고정지주 내부에 레일전원공급부를 설치함으로써 상부승강지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부승강지주의 위치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상부승강지주를 승강시키는 직교축모터를 컨트롤박스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킨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에 관한 것이다.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는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흔히 ‘폐쇄 회로 텔레비전’이라고도 하며,
특정 건축물이나 시설물에서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유선 또는 특수 무선 전송로를 이용해 화상을 전송하기 때문에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 정보 전달용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교통관제나 범죄 예방을 위하여 주요 도로뿐만 아니라, 보안이 필요한 은행이나 관공서 등 주요 건물뿐만 아니라, 골목길 등과 같은 우범지대에도 많은 수의 CCTV가 설치되어 범죄 예방 및 억제 효과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노상에 설치되는 CCTV는 안정적인 화각 확보를 위하여 지면에서 3 내지 5m의 높이로 설치되며, 이를 위해 폴대(또는 ‘지주’라 함)를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인 폴대는 가로등용 폴대와 같이 단일체의 긴 관체로 되어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상단부에서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대가 돌출 형성되어 그 설치대에 CCTV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실외에 노출된 상태에서 하루 24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CCTV의 특성상, 주기적으로 점검 및 유지 보수가 필요한데, CCTV가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CCTV의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리프트카(고소작업차)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리프트카를 이용하더라도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CCTV의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수행해야 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고, 작업시간이 지연되며, 점검 및 유지 보수에 드는 비용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지주와, CCTV의 설치를 위한 설치대가 구비되어 하부지주에서 승강하게 설치된 상부지주로 구성된 높이 조절형 폴대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높이 조절형 폴대는 하부지주의 내측 하단부에 구동모터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나사축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하부지주의 하단부에 나사축에 나사 결합되는 볼너트가 형성됨으로써 나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부지주가 승강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높이 조절형 폴대는 구동모터가 하부지주의 내측 하단부에 위치함으로써 강우 시 침수 및 누전 가능성이 있고, 그로 인해 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CCTV에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박스는 지면에서 작업자가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부지주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승강하게 설치된 상부지주에 설치되는 CCTV와 하부지주에 고정된 컨트롤박스 간을 연결하는 배선이 상부지주의 승강 과정에서 수시로 움직이면서 배선의 꼬임이나 마찰, 노후화 등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여 전원 공급의 불량을 유발하는 단점도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08054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고정지주의 내부에 레일전원공급부를 설치하여 상부승강지주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원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부승강지주를 승강시키는 직교축모터를 컨트롤박스 내부에 설치하여 전기적 안전성이 향상되게 한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는,
하단부에 베이스플레이트(101)가 형성되어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하부고정지주(10);
하단부가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고정지주(10)를 따라 승강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CCTV가 설치되는 설치대(201)가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승강지주(20);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수단(40);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CCTV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50);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외부에 설치되어 CCTV의 전원 공급과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컨트롤박스(6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수단(30)은,
모터부가 컨트롤박스(60) 내부에 설치되고, 감속구동부가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직교축모터(301);
상기 직교축모터(301)의 감속구동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볼너트(302);
상기 상부승강지주(20)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너트(302)에 나사 결합되어 볼너트(302)의 회전에 의해 상부승강지주(20)가 승강되게 하는 나사축(3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직교축모터(301)의 제어부에 제공하는 센서수단(30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수단(40)은,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봉(401);
상기 안내봉(401)이 관통하게 상부승강지주(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승강지주(2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안내판(4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공급수단(50)은,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레일전원공급부(501);
상기 상부승강지주(2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레일전원공급부(5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부재(5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레일전원공급부(501)가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가 승강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전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부승강지주(20)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강풍 등 기상악화나 각종 장애물에 의한 간섭 발생으로 인한 CCTV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일전원공급부(501)를 사용함으로써 CCTV로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배선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케이블 배선의 꼬임이나 마찰, 노후화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는 상부승강지주(20)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원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전기적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부고정지주(10), 상부승강지주(20), 승강수단(30), 안내수단(40), 전원공급수단(50), 컨트롤박스(6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지주(10)는 소정 직경의 관체로 되되,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1)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는 하부고정지주(10)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면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록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1)는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지면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설치공(101a)이 원주 방향으로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101a)은 장공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앵커볼트 체결 시 베이스플레이트(101)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체결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부고정지주(10)의 관체 외측면과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면 간에는 원주 방향으로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리브(102)를 형성함으로써 관체와 베이스플레이트(101) 접합부의 강성을 보강하여 하부고정지주(10)의 구조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고정지주(10)의 상단부에는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서 승강하게 설치되는 상부승강지주(2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수밀성 및 기밀성을 유지하는 기밀부재(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103)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MC NYLON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상부승강지주(20)는 하단부가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고정지주(10)를 따라 승강하게 설치되도록 하부고정지주(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관체로 되되, CCTV가 설치되는 설치대(201)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대(201)는 소정 직경의 관체로 되어 상부승강지주(20)의 상부에서 일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설치대(201)의 일측에 CCTV가 설치된다.
한편 설치대(201) 일측에 CCTV가 설치되었을 때, 설치대(201)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는 강성의 보강을 위하여 상부승강지주(20)를 구성하는 관체의 외측면과, 설치대(201)의 외측면 간에는 보강리브(102)를 형성하거나, 상부승강지주(20)를 구성하는 관체의 외측면과 설치대(201)의 외측 단부 간에 보강와이어(20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30)은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가 승강하도록 직교축모터(301), 볼너트(302), 나사축(303)을 포함한다.
상기 직교축모터(301)는 모터부(301a), 감속구동부(301b)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부(301a)는 하부고정지주(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60)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방수 시공 없이도 전기적 안전성이 확보된다.
상기 감속구동부(301b)는 모터부에 결합되되,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감속구동부(301b)의 하부고정지주(10) 내 설치를 위하여 하부고정지주(10)의 주벽 일측에는 감속구동부(301b)가 결합되는 설치브래킷(301c)과 감속구동부가 투입되는 통공부(301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통공부의 주변에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고정지주(10) 내벽에는 감속구동부(301b)를 지지하는 지지브래킷(301e)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너트(302)는 직교축모터(301)의 감속구동부(301b)에 설치되어 직교축모터(301)에 의해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한다.
상기 나사축(303)은 상부승강지주(20)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볼너트(302)에 나사 결합되어 볼너트(30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함으로써 상부승강지주(20)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CCTV의 신규 설치나, 이미 설치된 CCTV에 대한 유지 보수가 필요할 때, 리프트카를 동원할 필요 없이, 상부승강지주(20)를 하강시켜 상부승강지주(20)의 설치대(201)를 지면에 근접하게 함으로써 CCTV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리프트카의 동원에 따른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이 가능케 되고, 리프트카의 도로 점유에 따른 교통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풍과 같은 날씨 변화나, 각종 장애물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CCTV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수단(30)은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직교축모터(301)의 제어부에 제공하는 센서수단(3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수단(304)은 승강하는 상부승강지주(20)의 최고점과 최저점에 해당하는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센서수단(304)은 터치센서, 리미트센서, 광센서 등 상부승강지주(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센서수단(304)은 상부승강지주(20)가 최저높이까지 하강하거나, 최고높이까지 상승한 지점을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직교축모터(301) 제어부에 제공함으로써 직교축모터(301)의 정확한 동작 제어를 통해 상부승강지주(20)의 과상승 및 과하강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부승강지주(20)의 과도한 승강에 따른 직교축모터(301)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수단(40)은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안내봉(401), 승강안내판(402)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봉(401)은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수직으로 다수가 설치되되, 안내봉(401)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는 지지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안내판(402)은 안내봉(401)이 관통하는 관통공(402a)이 형성되어 상부승강지주(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승강안내판(402)은 소정 간격으로 복수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승강수단(30)에 의해 상부승강지주(20)가 승강할 때, 상부승강지주(20)의 하단부에 일체로 된 승강안내판(402)이,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안내봉(40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승강지주(20)의 승강을 안내함으로써, 상부승강지주(20)가 흔들림 없이 정밀한 승강 작동이 가능케 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50)은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CCTV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레일전원공급부(501), 접속단자부재(502)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전원공급부(501)는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지중으로 연결된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컨트롤박스(60) 내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속단자부재(502)는 상부승강지주(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레일전원공급부(5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전원케이블을 이용해 CCTV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승강지주(20)가 승강수단(30)에 의해 승강하는 과정에서 CCTV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단자부재(502)가 레일전원공급부(501)에 항상 접속된 상태이므로 상부승강지주(20)의 위치에 관계없이 CCTV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케 되며, 그로 인해 상부승강지주(20)를 원하는 높이에 편리하게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박스(60)는 소정 크기의 함체로 되어 하부고정지주(10)의 외부에 설치되되, CCTV의 전원 공급과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도록 내부에 제어회로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회로는 주지된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박스(60)는 합성수지나 금속재로 되며,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박스(60)를 하부고정지주(10)의 외부에 설치하는 방법은 주지된 기존의 컨트롤박스 설치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CCTV 10: 하부고정지주
101: 베이스플레이트 101a: 설치공
102: 보강리브 103: 기밀부재
20: 상부승강지주 201: 설치대
202: 보강와이어 30: 승강수단
301: 직교축모터 302: 볼너트
303: 나사축 304: 센서수단
40: 안내수단 401: 안내봉
402: 승강안내판 402a: 관통공
50: 전원공급수단 501: 레일전원공급부
502: 접속단자부재 60: 컨트롤박스

Claims (5)

  1. 하단부에 베이스플레이트(101)가 형성되어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하부고정지주(10);
    하단부가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고정지주(10)를 따라 승강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CCTV가 설치되는 설치대(201)가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승강지주(20);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수단(40);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CCTV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50);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외부에 설치되어 CCTV의 전원 공급과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컨트롤박스(60);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30)은,
    모터부(301a), 감속구동부(301b)를 포함하는 직교축모터(301);
    상기 직교축모터(301)의 감속구동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볼너트(302);
    상기 상부승강지주(20)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너트(302)에 나사 결합되어 볼너트(302)의 회전에 의해 상부승강지주(20)가 승강되게 하는 나사축(303); 을 포함하되,
    상기 모터부(301a)는 하부고정지주(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6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속구동부(301b)는 모터부(301a)에 결합되되,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고정지주(10)는,
    주벽 일측에 형성되어 감속구동부(301b)가 결합되되, 컨트롤박스(60)의 내부로 투입되는 설치브래킷(301c);
    주벽 일측에 형성되어 감속구동부(301b)가 투입되되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주변이 방수 마감된 통공부(301d);
    내벽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투입된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로 투입된 감속구동부(301b)를 지지하는 지지브래킷(301e);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승강지주(20)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직교축모터(301)의 제어부에 제공하는 센서수단(304);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수단(40)은,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봉(401);
    상기 안내봉(401)이 관통하게 상부승강지주(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승강지주(2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안내판(4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50)은,
    상기 하부고정지주(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레일전원공급부(501);
    상기 상부승강지주(2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레일전원공급부(5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부재(5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KR1020210105907A 2021-08-11 2021-08-11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KR102351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907A KR102351784B1 (ko) 2021-08-11 2021-08-11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907A KR102351784B1 (ko) 2021-08-11 2021-08-11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784B1 true KR102351784B1 (ko) 2022-01-17

Family

ID=8005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907A KR102351784B1 (ko) 2021-08-11 2021-08-11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7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029B1 (ko) 2022-05-10 2022-08-11 신흥섭 가변형 폴대
KR102504470B1 (ko) 2022-08-30 2023-02-27 김태옥 전원공급용 케이블이 구비된 높이조절용 폴대
KR20230120248A (ko) 2022-02-09 2023-08-17 임정희 Cctv 3단 높이조절 등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702B1 (ko) * 2018-09-17 2018-11-23 최영춘 Cctv용 승하강 장치
KR20200089105A (ko) * 2019-01-16 2020-07-24 박수조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의 지주길이 가변방법
KR102208054B1 (ko) 2019-08-26 2021-01-27 주식회사 위츠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702B1 (ko) * 2018-09-17 2018-11-23 최영춘 Cctv용 승하강 장치
KR20200089105A (ko) * 2019-01-16 2020-07-24 박수조 가로수 친화형 가로등의 지주길이 가변방법
KR102208054B1 (ko) 2019-08-26 2021-01-27 주식회사 위츠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248A (ko) 2022-02-09 2023-08-17 임정희 Cctv 3단 높이조절 등주
KR102432029B1 (ko) 2022-05-10 2022-08-11 신흥섭 가변형 폴대
KR102504470B1 (ko) 2022-08-30 2023-02-27 김태옥 전원공급용 케이블이 구비된 높이조절용 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784B1 (ko)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KR102037423B1 (ko) 다기능 승강 폴 시스템
US6447150B1 (en) Pole with lifting mount
US6626606B1 (en) Retractable pylon arrangement
KR102248784B1 (ko)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154509B1 (ko) 승강식 cctv 메탈 폴 지주
KR101894913B1 (ko) 특별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대
KR102208054B1 (ko)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KR20150027900A (ko)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CN210561849U (zh) 一种公路工程用限高报警装置
CN111366741A (zh) 一种无刷直流电机的转速检测装置
KR101497661B1 (ko) 접이식 폴
JP4387959B2 (ja) 昇降ポール装置
CN203754305U (zh) 一种小吊机的可伸缩臂杆
CN210777157U (zh) 一种智慧交通导流装置
KR102389154B1 (ko) 등기구 승강구조를 갖는 가로등
US20050235537A1 (en) Display unit
CN204950031U (zh) 一种可升降的快递柜
KR102384750B1 (ko)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602535B1 (ko)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220082744A (ko)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 깃발 게양 장치
CN113668427A (zh) 一种道路用智能管控的升降路障
CN113356617A (zh) 一种可遥控的轨道移动式收缩防雨棚
JP2532812B2 (ja) 車両等の進入退出路用柵装置
KR101037631B1 (ko) 씨씨티브이용 승강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