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535B1 -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2535B1 KR102602535B1 KR1020200025397A KR20200025397A KR102602535B1 KR 102602535 B1 KR102602535 B1 KR 102602535B1 KR 1020200025397 A KR1020200025397 A KR 1020200025397A KR 20200025397 A KR20200025397 A KR 20200025397A KR 102602535 B1 KR102602535 B1 KR 1026025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king lot
- public parking
- management system
- barrier
- safety manag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400 Sire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영주차장 입구 도로의 양편에 입설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된 함체; 상기 함체에 설치되고 차단막 작동모터에 연결된 권취봉에 감기고 풀릴 수 있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가 표기된 진입차단막; 상기 공영주차장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영주차장 또는 상기 공영주차장 주변의 침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공영주차장에 대한 침수 재난 위험 시 진입하는 차량에 재난 발생을 알리는 경고수단; 및 상기 수위계의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이 되어 침수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진입차단막을 하강시켜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고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켜서 침수 재난상황을 경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수 재해의 발생 시 하천주변이나 주택단지 등의 공영주차장에 대한 차량 진입을 통제하여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주변이나 주택단지 등의 공영주차장은 다수의 차량이 집중적으로 주차하는 공간상의 특성상 침수나 화재 등과 같은 재난 발생시 신속히 대처를 하지 않으면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특허문헌 1은 하천주차장에 설치된 수위감지장치 및 주차관리서버와 보험회사서버를 구비하여, 하천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을 인식하고 하천주차장이 집중호우에 의해 침범될 위기에 처했을때 각 보험회사가 차량소유주에게 먼저 연락을 하고, 연락이 안되거나 차주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보험회사가 차량견인회사에 연락하여 차량을 대피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하천주차장의 차량 침수 예방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하천의 범람 등으로 인한 침수 재난의 발생 시 해당 하천주차장으로 새로운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통제하는 시설은 갖추어져 있지 않은 취약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침수 재난의 발생 시 공영주차장 내부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영주차장 주변의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침수 재난 발생을 알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영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차단막의 승강 이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리미트 스위치 시스템을 구비한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단막을 팽팽하게 당겨서 차단막이 바람에 의해 휘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경고문구에 대한 시인성을 높이면서도 차량 추돌시 차량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 구조를 가진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영주차장 입구 도로의 양편에 입설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된 함체; 상기 함체에 설치되고 차단막 작동모터에 연결된 권취봉에 감기고 풀릴 수 있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가 표기된 진입차단막; 상기 공영주차장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영주차장 또는 상기 공영주차장 주변의 침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공영주차장에 대한 침수 재난 위험 시 진입하는 차량에 재난 발생을 알리는 경고수단; 및 상기 수위계의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이 되어 침수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진입차단막을 하강시켜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고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켜서 침수 재난상황을 경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공영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차량번호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정해진 영역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침수 경고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고수단은 경광등 및 사이렌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권취봉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봉과 일체로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나선형 홈이 형성된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 및 상기 너트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로 이루어진 너트 어셈블리; 상기 스크류봉의 양편에 배치되어 상기 리미트 가이드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 브라켓; 및 상기 받침 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된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된 제2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봉 및 스크류봉이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너트 어셈블리가 상기 받침 브라켓 위에서 직선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권취봉 및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강이 정지되고,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상승이 정지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는 각각 봉형 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부재에 측면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되고,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 중에서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봉의 1회전 시 상기 너트 어셈블리는 10~15mm 만큼 직선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봉은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에 동축으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은 가이드 베어링에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파이프 형상의 관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부 가장자리단에 배치되어 상기 진입차단막을 수직으로 당기도록 하중을 가하는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부재의 상기 관형체는 상기 진입차단막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을 구비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진입차단막의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된 지탱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탱봉은 속이 찬 카본 환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의 하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이동레일의 내측에서 왕복이동되도록 레일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함체의 구동을 위해, 상기 레일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기 함체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함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권취되어 상기 함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주차장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나 차량사고 상황을 표시하여 차량의 진입금지를 안내하는 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하는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LED 스트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나 차량사고를 감지하여 원격으로 중앙통제실로 전송하는 주차장CCTV;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공영주차장의 침수 시 수위 또는 주변 안개를 감지하여 진입차단막을 자동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주차장 진입 차량에 대한 통제가 신속하게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둘째, 진입차단막 주변에 배치된 레이저 센서에서 차량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 접근 시에는 진입차단막의 하강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진입차단막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스크류봉의 1회전 시 너트 어셈블리가 육안 확인이 용이하게 10mm 이상의 충분한 거리로 직선 이동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차단막이 권취봉에 최대로 감기는 상태에 대응하는 지점과 최대로 풀린 상태에 대응하는 지점에 쉽게 리미트스위치를 셋팅할 수 있다.
넷째, 스크류봉을 권취봉에 나사결합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교체나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다양한 규격의 스크류 피치를 가진 스크류봉들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섯째, 차단막의 최대 상승 위치와 최대 하강 위치에 각각 대응하게 리미트스위치를 두 개씩 겹쳐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리미트스위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차단막 구동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차단막의 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된 웨이트 부재에 의해 차단막이 팽팽하게 당겨져서 차단막이 바람에 의해 휘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 진입금지 경고문구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일곱째, 차단막의 하단에 대한 차량 추돌시 웨이트 부재가 파손되더라도 모래에 의해 차량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차단막을 권취봉에 권취하면서도 차단막이 바람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프레임에 설치된 전광판과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에 의해 공영주차장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나 차량사고, 침수사고, 낙석사고 등의 상황 정보를 표시하여 차량의 진입금지를 안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주요 부분에 대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함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함체 내부에 설치된 권취봉에 결합된 차단막 작동모터,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권취봉,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와 리미트 스위치의 배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진입차단막이 상한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리미트 가이드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진입차단막이 하한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리미트 가이드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대응하는 진입차단막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주요 부분에 대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주요 부분에 대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함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함체 내부에 설치된 권취봉에 결합된 차단막 작동모터,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권취봉,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와 리미트 스위치의 배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진입차단막이 상한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리미트 가이드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진입차단막이 하한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리미트 가이드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대응하는 진입차단막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주요 부분에 대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주요 부분에 대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공영주차장 입구의 도로 양측에 입설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설치된 소정 형상의 함체(20)와, 함체(20)에 설치되고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자가 표기된 진입차단막(30)과, 공영주차장의 침수를 감지하는 수위계와, 공영주차장에 대한 침수 재난 위험 시 재난 발생을 알리는 경고수단과, 진입차단막(30)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재난위험이 있는 공영주차장의 입구에 배치된 주차장 차단기(1)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격되게 방 주변 도로의 양측에 입설되는 수직부재(11)와, 상기 수직부재(11)의 양측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부재(1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레임(10)은 모듈화되어 이동식으로 현장에서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될 수 있다.
함체(20)는 내부에 진입차단막(30)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실질적인 사각관 형태로 구성된다.
진입차단막(30)은 함체(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봉(35)에 감겨서 설치되고, 일면에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자가 표기되어 있다.
경고수단(40)은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차장의 재난 위험시 진입되는 차량에 대해 진입금지를 알린다. 경고수단(40)은 경광등 및 사이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사고 진입차선의 차량만 집중적으로 통제되도록 직진형앰프와 스피커가 설치되고, 중앙통제실 측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재난상황을 통제하기 위한 마이크가 설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프레임(10)에는 진입차단막(30)이 가동되기 이전에 워터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한 순환펌프 및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워터스크린 주변에는 워터스크린에 진입금지 문자정보를 투사하는 영사장치가 설치된다.
수위계(101)는 공영주차장의 내부 또는 외부의 정해진 개소에 설치되어 공영주차장의 침수 수위를 측정한다. 공영주차장이 하천 주변에 설치된 경우 수위계(101)는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위계(101)의 측정값은 제어부(50)에 전달되어 수위가 정해진 수치 이상인 경우 진입차단막(30)의 자동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차량번호 감지기(102)는 소정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공영주차장을 출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제어부는 차량번호 감지기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번호의 주차장 이용정보를 차량관리 DB(104)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제어부(50)는 프레임(10)의 일측에서 경고수단(40), 진입차단막(30) 및 함체(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0)는 주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전원버튼과, 구동방식을 수동이나 자동으로 전환시키는 수동자동버튼과, 비상시 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버튼과, 진입차단막(30)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차단막제어버튼을 포함한다.
원격제어부(60)는 제어부(50)와 예컨대, 이더넷 통신규격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중앙통제실의 중앙통제기기(61) 및/또는 휴대폰(62)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프레임(10)의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전방에는 레이저 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 센서(100)는 레이저빔이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차량(1)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 접근 시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진입차단막(30)의 하강을 자동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이 진입차단막(3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레이저 센서(100)는 도로의 일편에 배치되어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발광모듈(100a)과 도로의 타편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빔을 수신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모듈(100b)로 구성된다. 대안으로, 레이저 센서(100)는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레이저빔의 경로에 진입한 차량(1)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도록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권취봉(35)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봉(35)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크류봉(70)과, 스크류봉(70)에 끼워져서 직선 운동을 하는 너트 어셈블리(80)와, 너트 어셈블리(80)와 접촉 가능한 제1 리미트스위치(84) 및 제2 리미트스위치(85)를 구비한 감지부(83)를 포함한다.
권취봉(35)의 일단에는 차단막 작동모터(38)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스크류봉(70) 및 너트 어셈블리(80)가 조립된다. 권취봉(35)의 양 끝부분은 베어링 커버판(36)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베어링(37)에 끼워져서 지지된다.
스크류봉(70)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나선형 홈(도 8의 71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에는 권취봉(35)의 일단에 고정된 제1 연결부재(33)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체결볼트(72)가 마련되어 있다. 체결볼트(72)의 직경은 스크류봉(70)의 직경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봉(70)에 형성된 나선형 홈(71)의 피치는 스크류봉(70)의 1회전 시 너트 어셈블리(80)를 상기 스크류봉(70)을 따라서 10~15mm 만큼 직선 이동시키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33)는 권취봉(35)의 내부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제1 원반(33a)과 상기 제1 원반(33a)으로부터 이격되어 권취봉(35)을 캡핑하는 제2 원반(33b)으로 구성된다. 스크류봉(70)의 체결볼트(72)가 연결될 수 있는 암나사부(33c)는 제2 원반(33b)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태로 구성된다. 권취봉(35)의 타단에는 제2 연결부재(34)가 고정되어 차단막 작동모터(38)와 연결된다. 제2 연결부재(34)는 제1 연결부재(33)와 마찬가지로 권취봉(35)의 내부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제1 원반(34a)과 상기 제1 원반(34a)으로부터 이격되어 권취봉(35)을 캡핑하는 제2 원반(34b)으로 구성된다. 다만, 제2 연결부재(34)에는 차단막 작동모터(38)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는 키홈(34c)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81)와, 너트부재(81)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는 각각 봉형 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부재(81)에 측면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된다. 제1 리미트스위치(84) 및 제2 리미트스위치(85)는 받침 브라켓(39)의 측면에 배치되므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 중에서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 브라켓(39)은 스크류봉(70)의 양편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를 각각 하부에서 지지한다. 스크류봉(70)의 회전 시 너트부재(81) 및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에 회전력이 가해지게 되나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는 받침 브라켓(39)의 상면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회전이 억제되므로 받침 브라켓(39)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83)는 받침 브라켓(39)의 일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제2 리미트스위치(8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리미트스위치(84)는 진입차단막(30)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되고, 제2 리미트스위치(85)는 진입차단막(30)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된다. 도 8에서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제2 리미트스위치(85)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제2 리미트스위치(85)는 각각 두 개씩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서로 겹쳐진 리미트스위치들(84,85) 중 어느 하나가 오동작을 하거나 파손되더라도 다른 하나가 제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진입차단막(30)의 정지 오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막 작동모터(38)에 의해 권취봉(35)과 일체로 스크류봉(70)이 회전함에 따라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 상에서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너트 어셈블리(80)의 리미트 가이드(82)는 제1 리미트스위치(84),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하여 진입차단막(30)을 정해진 지점에 정지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
웨이트 부재(31)는 진입차단막(30)의 하단에 배치되어 진입차단막(30)을 수직으로 당기도록 하중을 가한다. 웨이트 부재(31)는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파이프 형상의 관형체로 이루어진다. 웨이트 부재(31)의 관형체는 상기 진입차단막(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 몸체(31a)와 상기 원통형 몸체(31a)의 양단에 끼움결합되는 캡(31b)을 구비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웨이트 부재(31)는 차량과의 충돌시 캡(31b)이 분리되거나 원통형 몸체(31a)가 파손되어 모래를 배출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차량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한다.
진입차단막(30)의 하부 가장자리단에는 상기 진입차단막(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소정의 웨이트용 포켓이 마련되고, 웨이트 부재(31)는 상기 웨이트용 포켓에 종입되어 설치된다. 웨이트용 포켓은 진입차단막(30)의 하부 가장자리단을 둥글게 말아서 봉제처리함으로 형성된다.
지탱봉(32)은 진입차단막(30)의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가로로 배치된다. 지탱봉(32)의 설치를 위해 진입차단막(30)에는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용 포켓에 비해 구경이 작은 지탱봉 포켓이 형성된다. 지탱봉(32)은 상기 지탱봉 포켓에 종입되어 상기 진입차단막(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지탱봉(32)은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고인장성의 특성을 가진 속이 찬 카본 환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입차단막(30)이 지탱봉(32)과 함께 권취봉(35)의 둘레에 쉽게 권취될 수 있도록 지탱봉(32)은 예컨대, 5mm 내외 정도의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는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주차장 내부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침수사고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경고수단(40)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진입차단막(30)을 하강시켜서 실시간으로 사고 상황을 알리는 동시에 차량의 주차장진입을 차단한다. 또한, 주차장 내부의 사고 상황은 주차장CCTV에 의해 감지되어 중앙통제실의 중앙통제기기(61) 및/또는 휴대폰(62)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진입차단막(30)은 최초 경고 발생 전에는 권취봉(35)에 최대로 권취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가이드(82)가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한 상태로 대기한다. 이때, 진입차단막(30)의 하단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A)에 위치한다.
진입차단막(30)은 차단막 작동모터(38)의 회전력에 의해 함체(20)의 내측에 설치된 권취봉(35)에서 서서히 풀리면서 하강하여 펼쳐져서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를 표시한다.
진입차단막(30)의 하강 시 차단막 작동모터(38)에 의해 권취봉(35)과 스크류봉(70)은 일체로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스크류봉(70)에 결합된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의 안쪽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너트 어셈블리(80)가 스크류봉(70)의 안쪽으로 진행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가이드(82)가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접촉한 순간에 차단막 작동모터(38)는 자동 정지된다. 이때, 진입차단막(30)의 하단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B)에 위치한다.
진입차단막(30)은 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된 웨이트 부재(31)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져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고 바람에 의해 휘날리는 것이 방지된다. 웨이트 부재(31)가 하강한 상태에서 차량이 웨이트 부재(31)와 충돌한 경우에는 웨이트 부재(31)의 캡(31b)이 분리되거나 원통형 몸체(31a)가 파손되어 모래가 배출됨으로써 차량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진입차단막(30)의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지탱봉(32)에 의해 진입차단막(30)은 바람에 의해 뒤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재난 복구가 종료되어 진입차단막(30)을 권취하는 제어를 하게 되면, 차단막 작동모터(38)의 회전력에 의해 권취봉(35)이 서서히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진입차단막(30)을 끌어 올리는 동작을 하게 된다.
차단막 작동모터(38)에 의해 권취봉(35)과 스크류봉(70)은 일체로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스크류봉(70)에 결합된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의 바깥쪽(끝부분쪽)으로 직선 이동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어셈블리(80)의 리미트 가이드(82)가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한 순간에 차단막 작동모터(38)는 자동 정지된다. 이때, 진입차단막(30)의 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A)에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권취봉(35)의 회전에 연동하는 스크류봉(70) 및 너트 어셈블리(80)를 구비하여 차단막을 정위치에 자동 정지시키는 리미트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진입차단막(30)이 권취봉(35)에 최대로 감기는 지점과 최대로 풀린 지점에 대응하는 지점에 쉽게 리미트스위치들(84,85)을 셋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설치된 전광판(90),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 및 LED 스트링(92)을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전광판(90)은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에 설치되어 공영주차장 또는 공영주차장 주변 하천 등의 침수 재난 시 진입되는 이를 알려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한다.
전광판(90)과 관련하여 제어부(50)에는 전광판(90)의 작동을 제어하는 VMS(정보표시판) 제어버튼(미도시)이 구비되고, 원격제어부(60)의 휴대폰(61)이나 중앙통제기기(62)는 원격으로 전광판(90)의 점등을 조절하는 VMS원격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은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에 설치되어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50)에는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의 작동을 제어하는 LCS제어버튼(미도시)이 구비되고, 원격제어부(60)의 중앙통제기기(61)나 휴대폰(62)에는 원격으로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의 점등을 조절하는 LCS원격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된다.
LED 스트링(92)은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수직으로 배치되어 주차장 주변 도로의 양편에 입설된 한 쌍의 수직부재(11)의 설치 위치를 표시 및 안내한다. 부가적으로, LED 스트링(92)은 진입차단막(30)의 일면에 표기되어 있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자의 윤곽선을 따라 추가로 배열되어 야간에 경고문자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는 주택가나 하천 주변에 위치한 공영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공영주차장 내부나 주변에서 침수 재난이 발생했을 때 경고수단(40)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전광판(90)에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사고 상황을 알리는 동시에 진입차단막(30)을 자동으로 하강시켜서 차량의 주차장진입을 차단한다. 또한,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에 설치된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은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한다. 주차장 내부의 사고 상황은 주차장CCTV에 의해 감지되어 중앙통제실의 중앙통제기기(61) 및/또는 휴대폰(62)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주차장 내부의 일측에 설치된 수위계(101)는 주차장의 침수 수위를 감지한 후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수위가 정해진 수치 이상인 경우 진입차단막(30)의 자동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진입차단막(30)이 하강하는 도중에 레이저 센서(100)는 진입차단막(30) 주변에 대한 차량(1)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 접근 시에는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진입차단막(30)의 하강을 자동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이 진입차단막(30)의 하단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프레임 11: 수직부재
12: 수평부재 20: 함체
21: 이동레일 22: 이동롤러
23: 레일 슬라이드홈 24: 레일 구동부
25: 와이어 30: 진입차단막
31: 웨이트 부재 32: 지탱봉
33: 제1 연결부재 34: 제2 연결부재
35: 권취봉 36: 베어링 커버판
37: 가이드 베어링 38: 차단막 작동모터
39: 받침 브라켓 40: 경고수단
50: 제어부 60: 원격제어부
70: 스크류봉 71: 나선형 홈
72: 체결볼트 80: 너트 어셈블리
81: 너트부재 82: 리미트 가이드
84: 제1 리미트스위치 85: 제2 리미트스위치
90: 전광판 91: 차로이용규제신호등
92: LED 스트링 100: 레이저 센서
101: 수위계 102: 안개 센서
12: 수평부재 20: 함체
21: 이동레일 22: 이동롤러
23: 레일 슬라이드홈 24: 레일 구동부
25: 와이어 30: 진입차단막
31: 웨이트 부재 32: 지탱봉
33: 제1 연결부재 34: 제2 연결부재
35: 권취봉 36: 베어링 커버판
37: 가이드 베어링 38: 차단막 작동모터
39: 받침 브라켓 40: 경고수단
50: 제어부 60: 원격제어부
70: 스크류봉 71: 나선형 홈
72: 체결볼트 80: 너트 어셈블리
81: 너트부재 82: 리미트 가이드
84: 제1 리미트스위치 85: 제2 리미트스위치
90: 전광판 91: 차로이용규제신호등
92: LED 스트링 100: 레이저 센서
101: 수위계 102: 안개 센서
Claims (16)
- 공영주차장 입구 도로의 양편에 입설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된 함체;
상기 함체에 설치되고 차단막 작동모터에 연결된 권취봉에 감기고 풀릴 수 있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가 표기된 진입차단막;
상기 공영주차장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영주차장 또는 상기 공영주차장 주변의 침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공영주차장에 대한 침수 재난 위험 시 진입하는 차량에 재난 발생을 알리는 경고수단;
상기 수위계의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이 되어 침수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진입차단막을 하강시켜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고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켜서 침수 재난상황을 경고하는 제어부;
상기 권취봉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봉과 일체로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나선형 홈이 형성된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 및 상기 너트부재에 연결된 리미트 가이드로 이루어진 너트 어셈블리;
상기 스크류봉의 양편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리미트 가이드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 브라켓; 및
상기 받침 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된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된 제2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봉 및 스크류봉이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받침 브라켓 위에서 직선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권취봉 및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강이 정지되고,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상승이 정지되고,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받침 브라켓의 일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 가이드는 봉형 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너트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리미트 가이드 중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는 각각 봉형 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부재에 양측면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되고, 상기 받침 브라켓의 상면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상기 너트부재의 회전을 억제하고 상기 받침 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 이동을 하고,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는 각각 두 개씩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공영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차량번호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정해진 영역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침수 경고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경광등 및 사이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봉의 1회전 시 상기 너트 어셈블리는 상기 스크류봉을 따라서 10~15mm 만큼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봉은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에 용접된 연결부재에 동축으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은 가이드 베어링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파이프 형상의 관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부 가장자리단에 배치되어 상기 진입차단막을 수직으로 당기도록 하중을 가하는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부재의 상기 관형체는 상기 진입차단막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을 구비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차단막의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된 지탱봉;을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봉은 속이 찬 카본 환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주차장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나 차량사고 상황을 표시하여 차량의 진입금지를 안내하는 전광판;을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하는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을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LED 스트링;을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영주차장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나 차량사고를 감지하여 원격으로 중앙통제실로 전송하는 주차장CCTV;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5397A KR102602535B1 (ko) | 2020-02-28 | 2020-02-28 |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5397A KR102602535B1 (ko) | 2020-02-28 | 2020-02-28 |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0017A KR20210110017A (ko) | 2021-09-07 |
KR102602535B1 true KR102602535B1 (ko) | 2023-11-14 |
Family
ID=7779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5397A KR102602535B1 (ko) | 2020-02-28 | 2020-02-28 |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253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48077B (zh) * | 2022-01-04 | 2023-09-05 |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栏木动作状态表示装置及栏木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0279Y1 (ko) * | 2004-09-23 | 2004-12-13 | 이수행 |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
KR101536248B1 (ko) * | 2014-09-29 | 2015-07-14 |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 전동식 터널진입차단장치 |
KR102057808B1 (ko) * | 2019-09-04 | 2020-01-22 | 문대원 | 강변주차장 주차 관리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46767A (ja) * | 1995-03-07 | 1996-09-24 | Yoshio Hirata | ブラインドの自動昇降装置 |
KR20050034766A (ko) | 2003-10-07 | 2005-04-15 | (주)벡텔시스 | 네트워크를 이용한 하천주차장의 차량 침수 예방시스템 및그 방법 |
-
2020
- 2020-02-28 KR KR1020200025397A patent/KR1026025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0279Y1 (ko) * | 2004-09-23 | 2004-12-13 | 이수행 |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
KR101536248B1 (ko) * | 2014-09-29 | 2015-07-14 |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 전동식 터널진입차단장치 |
KR102057808B1 (ko) * | 2019-09-04 | 2020-01-22 | 문대원 | 강변주차장 주차 관리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0017A (ko) | 2021-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8784B1 (ko) |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 |
KR101922509B1 (ko) | 터널진입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245778B1 (ko) | 스마트 터널진입 차단장치 | |
KR100847153B1 (ko) | 도로 등 토목용터널 진입차단장치 | |
KR920006426B1 (ko) | 비 고정식 차단봉 | |
US20190197892A1 (en) | Flood warning system and process for detecting a level of water in a waterway | |
KR102539862B1 (ko) | 터널진입차단장치 | |
KR102148421B1 (ko) |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는 도로 전광판(vms) 시스템 | |
KR102126118B1 (ko) | 지그비통신과 높이측정을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 |
KR102602535B1 (ko) |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 |
KR101607318B1 (ko) |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 |
KR20090026240A (ko) | 터널 진입 차단장치 | |
KR101146608B1 (ko) | 상하이동이 가능한 전동식 자동볼라드 | |
KR101447991B1 (ko) |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 |
KR101505116B1 (ko) |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시스템 | |
KR102492493B1 (ko) | 침수도로 및 침수발생 지역의 차량진입 차단 장치 | |
KR102682224B1 (ko) | 에어봉을 이용한 터널진입차단장치 | |
KR102355297B1 (ko) | 가상체험 방식에 기반한 도로의 통행 높이 안내장치 | |
CN214042510U (zh) | 一种电子围栏用外界入侵者警示装置 | |
KR102477275B1 (ko) | 공기작동식 통행차단장치 | |
KR20230147903A (ko) | 위험 지역으로의 진입 차단 시스템 | |
KR102195411B1 (ko) | 건축물 옥외 소방용수 시설 위치감시 및 경보장치 | |
KR102006844B1 (ko) | 위험경보 알람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울타리 | |
KR20240014706A (ko) | 차량통제용 차단기 | |
CN113106899A (zh) | 一种道路用防跨越护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