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279Y1 -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279Y1
KR200370279Y1 KR20-2004-0027313U KR20040027313U KR200370279Y1 KR 200370279 Y1 KR200370279 Y1 KR 200370279Y1 KR 20040027313 U KR20040027313 U KR 20040027313U KR 200370279 Y1 KR200370279 Y1 KR 200370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eaker
circuit breaker
safety
ro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행
Original Assignee
이수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행 filed Critical 이수행
Priority to KR20-2004-0027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상도로, 지하차도, 철도건널목, 주차장 등에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차단기 주위에 위험감지센서나 CC-TV가 설치되어 주위상황을 감시하고 위험상황이 발생시에는 자동적으로 경보음이 발생하며 통제부의 제어실에 상황이 전달되고 차단기는 자동적으로 하강하여 외부 차량의 진입을 막고 현재의 위험상황을 안내표시 전광판으로 디스플레이 시키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단기는 고정부와 이동동작부로 구분되고 고정부 상부로는 각종 정보 및 홍부물을 제공하는 전광판이 설치되고 이동동작부의 양 지지축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류바나 레일, 기어, 유압실린더, 볼스크류, L.G베어링(Liner Guide Bearing) 등에서 선택되는 이동수단과 감속모터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차단바가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단기의 차단봉은 양쪽으로 나뉘어 설치하거나 어느 한쪽으로만 설치될 수 있으며, 차단봉은 차량과 충돌할시 앞,뒤로 프렉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는 연질의 차단봉이 설치되어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힌지 또는 장석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구조를 갖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Barrier gate containing control system}
일반적으로 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도로에는 장애물이 없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으나 각종 특정용도 도로의 진입로나 또는 주차장 등에서는 차량의 출입을 제한할 필요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가도교나 하상도로, 언더패스, 지하차도 등의 특정용도 도로의 진입로나 또는 주차장 등에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높이제한 안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원격제어 높이제한 안전 차단기는 높이 제한용 시설물 양 기둥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레일이나 스크류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압이나 각종기어, 볼스크류, 모터 등의 구동을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차량 통행 높이제한용 시설물은 그 높이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조변경이 쉽지 않고 상황변경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인류의 선조들은 옛 부터 대부분 강이나 하천을 끼고 마을을 형성하고 도시화 형태를 이루며 발전해 온바 현재의 대부분 도시 및 지방자치단체들은 강이나 하천을 끼고 있으며 최근의 지가상승 등으로 공용하천변을 따라 도로를 이루는 곳이 많은 실정이다.
예를들어 대전지역은 대전천, 갑천, 유등천 등의 하천이 흐르고 있고 하천 변을 따라 시민을 위한 휴식공간 및 각종 체육시설 등이 시민을 위해 준비 되어 있으며, 특히 이들 하천을 이용한 교통시설(하상도로, 하상 주차장, 언더패스 등)은 대전광역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시설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통시설은 일년에도 몇 차례씩 집중호우 등으로 침수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인명 및 차량의 유실사고 등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
또한 현대는 정보화, 홍보화의 시대인바 본 고안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상부에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홍보를 위한 전광판이 설치되어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관리 주체의 각종 정보와 홍보물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홍보용 전광판 겸용 안전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각 관리주체 또는 각 지방자치단체는 각종 정보의 제공이나 홍보의 필요성을 갖게 되는바, 본 고안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홍보용 전광판 겸용 안전차단기는 지면의 한계를 극복하고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방법으로 24시간 각종 정보나 홍보물, 또 인근의 명소, 음식점 등의 협찬을 받아 광고 선전물을 제공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지방자치단체 등은 시청이나 구청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하지 않아도 주요사항에 대하여 시민에게 직접 전달하여 각종 캠페인, 행사 등에 시민의 관심을 증폭시키고 적극적 참여를 유도 할 수 있으며 구정의 새로운 상황을 신속히 전달 또는 홍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각 지방자치단체는 통제실에서 시민들에게 신속한 재난발생 정보, 대기오염 정보, 시내의 교통상황 정보 등의 각종 필요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여 줌으로 시민들의 신뢰를 얻을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가도교나 하상도로, 언더패스, 지하차도 등의 특정용도 도로의 진입로나 또는 주차장 등에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높이제한 안전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원격제어 높이제한 안전 차단기는 높이 제한용 시설물 양 기둥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레일이나 스크류바, 지지축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양한 기어, 볼스크류, 유압실린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차단기를 제공하고 또한 차단기 고정부의 상부로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홍보를 위한 전광판이 설치되어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관리 주체의 각종 정보와 홍보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재난방지와 홍보를 겸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높이제한 안전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차단기의 통제시스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차단기의 외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차단기의 볼스크류 사용예시도.
도 4는 본 고안 차단기의 피니언기어 사용예시도.
도 5는 집중호우 시 차량 피해 예시도.
**도면부호의 설명**
10 : 고정부 11 : 초음파 감지센서
12 : 전광판 13 : PLC제어부
14 : 모터박스 15 : 경보용 벨
17 : 수위감지센서 20 : 이동동작부
21 : 지지축 22 : 회전축
23 : 래크기어 24 : 피니언기어
30 : 차량 차단기 31 : 장석 또는 힌지 결합부
32 : 차단봉 33 : 충격감지센서
본 고안의 원격제어 높이 제한 안전 차단기는 바닥의 지면부와 고정되어 일정높이를 갖는 고정부를 갖고 고정부 상부로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홍보를 위한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부 내부 안쪽으로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차단바가 제어부의 제어장치에 의해 상. 하로 움직이는 구조의 이동동작부를 갖고, 이동동작부는 마찰을 줄이기 위해 스크류바나 레일, 기어, 유압실린더, 볼스크류, L.G베어링(Liner Guide Bearing) 등에서 선택되는 이동수단과 감속모터의 구동수단 등을 구동시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제어부는 원격 또는 로컬에서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도록 차단바의 높 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지면으로부터 약 1.5 미터 정도의 위치에서 차단기의 역활을하게되며 평상시에는 4.5 미터 정도의 높이에서 전광판 후면으로 가리워지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전광판의 하단부로는 초음파센서 또는 CC-TV 가 부착되어 이용자의 접근을 파악하고 운전자에게 필요한 운전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센서 및 CC-TV는 특정조건의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로 예를 들어 강이나 하천의 교각이나 수위를 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감지내용을 제어부에 송출하고 제어부에서는 입력된 정보에 따라 차단기의 높낮이를 제어할 필요성을 판단하여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제어장치는 중앙감시반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총괄적으로 통제 및 제어가 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의 초음파센서 및 CC-TV는 관리주체의 필요에 따라 특정위치에 설치되어 비단 수위측정만이 아니라 각종 대기오염 정보, 각종 재난발생 및 재난방재 정보를 감지 또는 측정하여 중앙감시반에서 지역 국부적인 재난발생상황, 위험발생상황을 감지하고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기능도 수행케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의 높낮이 제어기능은 감속기 모터나 기어모터 또는 유압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이동동작부의 양 지지축이 차단바를 상,하로 이동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류바나 레일, 기어, 유압실린더, 볼스크류, L.G베어링(Liner Guide Bearing) 등에서 선택되는 이동수단과 감속모터의 구동수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차단바를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의 통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수위감지센서1은 예를들어 대덕대교 수위를 감지하고, 수위감지센서2는 신성교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아황산가스감지센서3은 갑천변에 설치되어 설치장소 주변의 환경오염치를 측정하여 중앙통제실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특별한 관찰이나 감시가 필요한 장소에는 CC-TV가 설치되어 중앙통제실에서 감시 및 관찰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들 측정결과는 상황실에서 통제되거나 기준치를 입력하여 상황에 따른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을 이루는 구조로서 예를들어 전광판을 통하여 현재 대덕대교 수위가 위험수준에 이르러 차량의 진입을 통제한다는 내용이 디스프레이 되면서 대덕대교 하상도로 입구의 차단기1이 작동되어 차량진입을 통제시키게 하거나, 감천변에 아황산가스 농도가 얼마에 이르러 사람의 출입을 통제한다 라는 등의 안내문을 디스프레이 하거나 위험이 임박한 상황에서는 경보음도 발하게 되는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 차단기가 H빔 또는 C형강 형태의 고정부(10)를 갖고 고정부 상부로는 초음파감지센서(11)를 갖는 전광판(12), PLC제어부(13), 모터박스(14), 경보용벨(15)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PLC제어부(13)는 엔코더와 연계되는 구조이고 모터구동신호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어 회전축(22)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볼스크류는 차단바를 지지하여 상하 이동되고 엔코더와 연계되어 높,낮이를 제어하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안전차단기는 내부 양쪽으로 지지축(21)이 있고 지지축 상,하로 차단기의 차단봉(32)이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갖는 이동동작부(20)를 갖는 구조를 나태내고 있다.
상기의 차단봉(32)은 좌,우측의 지지축에 완전 고정되는 구조도 물론 가능할 것이나 이 경우에는 차량의 손상을 가저오고 차단봉(32)도 파손되는 사고가 있을 수 있는 것이어서 본 고안의 차단봉(32)은 좌,우 지지축 중 어느 한쪽으로만 설치되는 것 도 가능하고 중앙부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양 지지축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과 충돌할시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봉이 차량과 접촉시 앞,뒤로 프렉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의 합성수지재, 고무재, 기타의 연성부재로 된 차단봉(32)을 차단기(30)와 힌지 또는 장석으로 결합부(31)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또한 본 고안의 차단봉(32)에는 결합부(31)주위로 외부충격감지센서(33)가 설치되어 차단기가 내려와 있음에도 외부차량이 무리하게 통과하는 경우에는 경고용 벨(15)이 울리도록 작동되는 구조이다.
또한, 고정부(10)의 하단에는 외부의 특정한 제어가 없거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자체적인 수위감지센서(17)를 구성하여 통신이 두절되거나, 위험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차량차단기를 작동하여 사고를 예방할수 있도록 수위감지센서(17)를 구성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안전 차단기가 H빔 형태나 C형강 형태의 외곽고정부를 생략한 상태로 내부 양쪽으로 지지축(21)을 갖고 볼스크류와 연계된 차단기(30)가 회전축(22)을 이용하여 차량차단기(30)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갖는 이동동작부(20)의 구조를 나태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 차단기가 H빔 형태, 또는 C형강 형태의 외곽고정부를 생략한 상태로 내부 양쪽으로 지지축에 래크기어(23)를 구성하고 래크기어(23)에 응하여 작동하는 피니언기어(24)를 이용하여 차량차단바(30)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갖는 이동동작부(20)의 구조를 나태내고 있다.
감속모터와 피니언기어(24)가 연동되어 정회전을 하면 차단바가 상향으로, 역회전을하면 차단바가 하향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예시 외에도 본 고안의 차단바가 제어부의 제어시스템에 의해 차단기를 상. 하로 움직이는 구조를 이루는 수단은 스크류바나 레일, 기어, 유압실린더, 볼스크류, L.G베어링(Liner Guide Bearing) 등에서 선택되는 이동수단으로 얼마든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사상이 될 것이다.
도 5는 집중호우 발생시 하상도로에 진입한 차량들이 피해를 입는 사례도를 나타낸 사진도이다.
본 고안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피해 사례들을 목도하고 이를 예방하는 방법을 찾고 이와 연계하여 다방면에 유용한 방제시스템을 구현해 보고자 하는 차원에서 본고안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연구하여 왔던 것이다.
본 고안의 원격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관리주체 또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재난방제 시스템과 연결시켜 비상기획실 등의 상황실에서 다른 통제시스템과 연결되거나 병합되어 통제 또는 제어될 수 있는 구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높이제한 안전 차단기는 가도교나 하상도로, 언더패스, 지하차도 등의 특정용도 도로의 진입로나 또는 주차장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안전출입을 담보하게 되고, 또한 본 고안의 안전 차단기 상부에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홍보를 위한 전광판이 설치되어 관리 주체의 각종 정보와 홍보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면 관리주체나 또는 지방자치단체는는 시청이나 구청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하지 않아도 주요사항에 대하여 시민에게 직접 전달하여 각종캠페인, 행사 등에 시민의 관심과 적극적 참여를 유도 할 수 있으며 각종 구정 현황, 재난발생 정보, 대기오염 정보, 교통상황 정보 등의 각종 필요 정보를 전달하거나 홍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각종 가도교나 하상도로, 언더패스도로, 자하차도, 철도 건널목 등의 특정용도 도로나 그 진입로나 또는 주차장 등에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차량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주위에 위험감지센서(수위, 대기오염, 재난발생) 또는 CC-TV가 설치되어 주위상황을 감시하고 위험상황이 발생시에는 자동적으로 경보음이 발생하며 통제부의 제어실에 상황이 전달되고 위험상황 발생시 차단기는 자동적으로 하강하여 외부 차량의 진입을 막고 현재의 위험상황을 안내표시 전광판으로 디스플레이 시키는 시스템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고정부와 이동동작부로 구분되고 고정부 상부로는 각종 정보 및 홍부물을 제공하는 정광판이 설치되고 이동동작부의 양 지지축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류바나 레일, 기어, 볼스크류, L.G베어링(Liner Guide Bearing),유압실린더 등에서 선택되는 이동수단과 감속모터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차단바가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차단기의 차단봉은 양쪽으로 나뉘어 설치하거나 어느 한쪽으로만 설치될 수 있으며, 차단봉은 차량과 충돌할시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 또는 장석을 부착하여 차단바가 앞,뒤로 프렉시블하게 움직이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KR20-2004-0027313U 2004-09-23 2004-09-23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KR200370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313U KR200370279Y1 (ko) 2004-09-23 2004-09-23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313U KR200370279Y1 (ko) 2004-09-23 2004-09-23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193A Division KR100527791B1 (ko) 2004-09-23 2004-09-23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279Y1 true KR200370279Y1 (ko) 2004-12-13

Family

ID=4944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313U KR200370279Y1 (ko) 2004-09-23 2004-09-23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279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59B1 (ko) 2006-07-04 2007-05-04 주식회사 지티 차량용 소독 시스템
KR101317943B1 (ko) * 2012-12-13 2013-10-16 (주)도명디앤이 후방경고용 안전바
WO2017179952A1 (ko) * 2016-04-15 2017-10-19 디테코 주식회사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
CN110219264A (zh) * 2019-07-03 2019-09-10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道路限高装置
KR20200088207A (ko) *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인바디 장애물 보행 검사 장치 및 방법
CN111619987A (zh) * 2020-06-29 2020-09-04 侨益物流股份有限公司 粮食仓库抬杆装置
KR20210011862A (ko) * 2019-07-23 2021-02-02 장현실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20210110017A (ko) * 2020-02-28 2021-09-07 장현실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US20210293089A1 (en) * 2020-03-20 2021-09-23 Vincent SHEBIB LOISELLE Release mechanism for a gate or other apparatus subject to being impacted
KR20220048750A (ko) * 2020-10-13 2022-04-20 김현숙 공기작동식 통행차단장치
US11566389B2 (en) 2017-05-16 2023-01-31 Systemes Versilis Inc. Gate for controlling oncoming traffic on a roadway
KR102615686B1 (ko)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59B1 (ko) 2006-07-04 2007-05-04 주식회사 지티 차량용 소독 시스템
KR101317943B1 (ko) * 2012-12-13 2013-10-16 (주)도명디앤이 후방경고용 안전바
WO2017179952A1 (ko) * 2016-04-15 2017-10-19 디테코 주식회사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
KR101858538B1 (ko) * 2016-04-15 2018-05-1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
US11566389B2 (en) 2017-05-16 2023-01-31 Systemes Versilis Inc. Gate for controlling oncoming traffic on a roadway
US11913181B2 (en) 2017-05-16 2024-02-27 Systemes Versilis Inc. Gate for controlling oncoming traffic on a roadway
US11629465B2 (en) * 2017-05-16 2023-04-18 Systemes Versilis Inc. Gate for controlling oncoming traffic on a roadway
KR20200088207A (ko) *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인바디 장애물 보행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181133B1 (ko) * 2019-01-14 2020-11-20 주식회사 인바디 장애물 보행 검사 장치 및 방법
CN110219264A (zh) * 2019-07-03 2019-09-10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道路限高装置
KR20210011862A (ko) * 2019-07-23 2021-02-02 장현실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248784B1 (ko) * 2019-07-23 2021-05-06 장현실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20210110017A (ko) * 2020-02-28 2021-09-07 장현실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2602535B1 (ko) * 2020-02-28 2023-11-14 장현실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US20210293089A1 (en) * 2020-03-20 2021-09-23 Vincent SHEBIB LOISELLE Release mechanism for a gate or other apparatus subject to being impacted
CN111619987B (zh) * 2020-06-29 2020-11-24 侨益物流股份有限公司 粮食仓库抬杆装置
CN111619987A (zh) * 2020-06-29 2020-09-04 侨益物流股份有限公司 粮食仓库抬杆装置
KR20220048750A (ko) * 2020-10-13 2022-04-20 김현숙 공기작동식 통행차단장치
KR102477275B1 (ko) * 2020-10-13 2022-12-13 김현숙 공기작동식 통행차단장치
KR102615686B1 (ko)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0279Y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US5509753A (en) Retractable speed bump
US5648904A (en) Vehicle traffic system and method
Zhou et al. Guidelines for reducing wrong-way crashes on freeways
KR100777657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0527791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KR20180077094A (ko) 도로용 연결식 플랫폼에 대한 엘레베이션 메커니즘
US20190197892A1 (en) Flood warning system and process for detecting a level of water in a waterway
CN113984110A (zh) 一种桥梁安全与健康监测系统及方法
KR20060090374A (ko) 차량 충돌예방 시스템
KR20080006418U (ko) 차량높이제한장치
CN103050011B (zh) 车道信息指示系统
EP2478506A1 (en) A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near-accident situation in connection with a working area
Zhou et al. A Study of Wrong-Way Driving Crashes in Alabama, Volume 1: Freeways
Siques Effects of pedestrian treatments on risky pedestrian behavior
KR102217183B1 (ko)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Monsere et al. Measuring the impacts of speed reduction technologies: Evaluation of dynamic advanced curve warning system
EP1496487A2 (en) Warning system for road and/or motorway accidents using signal interruption
CN1586956A (zh) 具有路况路标检测报警制动功能的机动车及检测控制方法
CN202157274U (zh) 交通安全岛
AU2019101009A4 (en) A vehicle arrestor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Ellis et al. Evaluation of Blinkersign crosswalk lighting system.
Arai Railway safety for the 21st century
JP4351958B2 (ja) 踏切列車通過時間予告システム
Siques Pedestrian warning and control devices, guidelines, and case stu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