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183B1 -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 Google Patents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183B1
KR102217183B1 KR1020200132148A KR20200132148A KR102217183B1 KR 102217183 B1 KR102217183 B1 KR 102217183B1 KR 1020200132148 A KR1020200132148 A KR 1020200132148A KR 20200132148 A KR20200132148 A KR 20200132148A KR 102217183 B1 KR102217183 B1 KR 102217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fixing bars
main
side fix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헌일
Original Assignee
문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문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00132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메인 전광판과 이동식 보조 전광판의 병행을 통해 전방 시야가 가려진 조건이나 원거리 및 곡선 도로에서도 전광판의 노면 상태 표시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은, 지면에 세워지는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서로 다른 높이의 캔틸레버 형태로 고정되는 제1,2고정바와; 상기 제1,2고정바에 설치되며 노면 상태를 표시하는 메인 전광판(60)과; 상기 제1,2고정바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전광판과 연동하여 노면 상태를 알려주는 서브 전광판(70)과; 상기 제1,2고정바에서 상기 서브 전광판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전광판은 강우 또는 폭설 시 상기 이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제1,2고정바는 제1,2메인측 고정바(20,30)와 제1,2서브측 고정바(40,50)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서브 전광판이 설치되는 상기 제1,2서브측 고정바는 상기 메인 전광판이 설치되는 제1,2메인측 고정바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서브 전광판을 상기 메인 전광판과 다른 각도로 설치한다.

Description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DIGITAL ELECTRIC SIGN BOARD FOR ROAD CONDITION SIGN OF ACCIDENT AREA}
본 발명은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전광판과 보조 전광판의 병행을 통해 전방 시야가 가려진 조건이나 원거리 및 곡선 도로에서도 전광판의 노면 상태 표시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용 포장 도로는 비를 자주 동반하는 여름철과 겨울철 혹한에서는 약간의 비와 눈 등에 의해 노면을 평상시보다 상당히 미끄럽게 하고, 쉽게 결빙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악천후를 동반하는 여름과 겨울철에 차량 사고를 대폭 증대시키는 비안전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 현상은 평상시에도 원심력이 심하게 작용하여 주행 안정성에 크나큰 장애를 제공하는 굴곡이 심한 도로와 급경사 도로 구간대에서 심각하게 발생되었다.
즉, 이러한 도로의 노면이 젖어 있거나 살얼음과 같은 결빙이 발생시에는 운전자의 육안으로는 어느 정도의 미끄럼이 발생될지의 가늠과 확인이 불가하여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굴곡이 심한 도로 구간대와 급경사 도로 구간대의 양측 진입로 상에는 여러 종류의 안전 경고 표시판과 같은 도로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로 시설물은 전방의 위험을 개략적으로 표시하고 있어, 식별력이 결여되고, 구체성 결여에 따른 신뢰감의 결여로 효과적인 안전 운행을 계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최근까지도 이러한 사고다발지역으로 교통을 연계하는 양측 진입로 상에는 수시로 노면 상태에 따른 진입 가능 여부와 위험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는 가 표지판이 수시로 제작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0568734호는 바닥에 지지되고 상향으로 길게 뻗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고, 태양을 향해 작동되도록 트랙커가 형성된 태양전지부;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충전지; 상기 태양전지부 또는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기후 또는 주변상황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전시하기 위해 다수의 발광소자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기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갖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읽어들인 데이터에 따른 메시지를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센서부에 설치된 상기 센서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할 수 있는 선택스위치부가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태양전지부에 형성된 트랙커를 제어하는 도로안내전광판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캔틸레버형태의 전광판은 포스트에 도로 안쪽을 점유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전방에 대형 차량이 있는 경우 전광판을 확인하지 못하여 결국 사고를 일으키고 또한, 곡선 도로의 주행 시 원거리에서 전광판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전광판 자체는 정지 상태이기 때문에 전광판 안에 표시되는 내용(문구, 이미지 등)이 점멸 등으로 표시된다 하여도 그 알림 효과가 크지 못하다.
등록특허 제10-056873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전광판과 보조 전광판의 병행을 통해 전방 시야가 가려진 조건이나 원거리 및 곡선 도로에서도 전광판의 노면 상태 표시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은, 지면에 세워지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서로 다른 높이의 캔틸레버 형태로 고정되는 제1,2고정바와; 상기 제1,2고정바에 고정되며 노면 상태를 표시하는 메인 전광판과; 상기 제1,2고정바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전광판과 연동하여 노면 상태를 알려주는 서브 전광판과; 상기 제1,2고정바에서 상기 서브 전광판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전광판은 강우 또는 폭설 시 상기 이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고정바는 제1,2메인측 고정바 및 제1,2서브측 고정바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2서브측 고정바는 도로의 선형에 맞춰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에 의하면, 메인 전광판을 통해 종래 전광판과 동일하게 노면 상태를 알려주고 메인 전광판의 반대쪽인 도로 변 위치에서 서브 전광판을 통해 노면 상태를 표시하여 전방의 대형 차량으로 시야가 가려진 상태에서도 노면 상태를 알려줄 수 있고 곡선 도로에서 메인 전광판을 확인할 수 있는 거리보다 더 먼 거리에서 서브 전광판을 통해 노면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안전운전에 큰 도움을 주고 결국 노면 상태와 전방 상황을 확인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서브 전광판이 좌우로 반복 이동하여 정지 상태보다 더 큰 시인성을 줄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노면 상태 확인이 빠르고 정확하므로 사고 방지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에 적용된 제1,2메인측 고정바와 제1,2서브측 고정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에 적용된 이동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이 직선 도로와 곡선 도로에 설치되는 예를 보인 평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100)은, 지면에 세워지는 포스트(10), 포스트(10)에 캔틸레버 형태로 고정되는 고정바로서 제1,2메인측 고정바(20,30) 및 제1,2서브측 고정바(40,50), 제1,2메인측 고정바(20,30)에 설치되는 메인 전광판(60), 제1,2서버측 고정바(40,50)에 설치되는 서브측 고정바(70)를 포함한다.
포스트(10)는 도로 변에 설치되는 통상의 제품이며 저부가 앵커링, 콘크리트 기초 등 다양한 기초를 통해 지반에 고정되며, 전원선과 신호선의 배선을 위하여 내부가 빈 중공이다.
포스트(10)는 제1,2메인측 고정바(20,3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제1,2메인측 고정바(20,30)가 각각 관통 고정되는 제1,2고정홀(11,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서브측 전광판(70)을 함께 사용하고 특히 서브측 전광판(70)을 도로의 선형에 맞춰 메인 전광판(60)과 다른 각도로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를 제1,2메인측 고정바(20,30)와 제1,2서브측 고정바(40,50)로 분할하고 제1,2메인측 고정바(40,50)를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2메인측 고정바(20,30)는 관, 빔 다양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고 도면 기준 우측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는 곳에 각각 제1,2고정판(21,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2고정판(21,31)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은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와 연결되는 서버측 연결부이고 반대의 좌측은 메인 전광판(60)이 설치되는 전광판 설치부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2메인측 고정바(20,30)는 제1,2고정판(21,31)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이 포스트(10)의 제1,2고정홀(11,12)에 삽입되고 제1,2고정판(21,31)은 포스트(10)에 다수개의 볼트를 통해 포스트(10)에 고정된다.
제1,2메인측 고정바(20,30)는 예를 들어, 메인 전광판(60)의 배면에 클램프를 통해 고정된다.
제1,2메인측 고정바(20,30)는 상기 서브측 연결부가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와 힌지 연결되도록 구성(예를 들어 힌지홀)된다.
제1,2서브측 고정바(40,50)는 도면 기준 좌측이 제1,2메인측 고정바(20,30)의 서브측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며, 이 부분은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의 좌측 단부는 각각 힌지홀이 구성되어 각각 제1,2서브측 고정바(20,30)의 단부에 형성된 힌지홀과 함께 제1,2축핀(22,32)을 통해 연결되며, 제1,2축핀(22,32)은 상하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2서브측 고정바(40,50)가 횡방향을 따라 스윙하도록 한다.
제1,2축핀(22,32)은 2개의 분할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1개의 축핀이 제1,2서브측 고정바(20,30) 모두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단일형도 가능하다.
제1,2서브측 고정바(40,50)는 각도 조절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제1,2축핀(22,32)을 볼트형으로 하여 록너트를 체결하는 방법, 다단의 길이조절공이 구비된 텔레스코픽 타입의 길이조절대가 제1,2메인측 고정바(20,30)와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길이조절공 중 어느 하나의 길이조절공에 고정핀을 체결하여 각도를 유지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한편, 제1,2서브측 고정바(40,50)는 좌우측 연결바(41,51)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단일형으로 구성되어 설치와 사용을 위한 작업수를 줄이는 효과를 도출한다.
좌우측 연결바(41,51)는 상하 양쪽이 제1,2메인측 고정바(20,30)와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에 각각 용접이나 링형상의 클램프를 통해 고정된다.
좌우측 연결바(41,51)를 이용하여 서브 전광판(7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가이드봉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은 좌우 양측이 좌우측 연결바(41,51)에 형성되는 구멍을 관통한 후 너트로 고정되어 설치되고, 서브 전광판(70)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봉을 감싸는 원형의 띠가 고정된다.
본 발명은 서브 전광판(70)의 이동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와 좌우측 연결바(41,51)를 이용하는데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와 좌우측 연결바(41,51)는 각각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중공이며,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의 도면 기준 우측 단부는 제1,2캡(42,52)의 결합을 통해 개폐된다.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와 좌우측 연결바(41,51)는 이동수단의 조립과 분해를 위하여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2개의 부재(40-1,50-1)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와 좌우측 연결바(41,51)의 조립체는 제1,2메인측 고정바(20,30)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메인측 고정바(20,30)를 중공형으로 구성하면서 다단의 길이조절공(24-1,24-2)(34-1,34-2)을 형성하고,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의 도면 기준 좌측을 제1,2메인측 고정바(20,30)의 내부에 인출과 삽입을 위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한 후 체결구를 다단 중에서 하나의 길이조절공(24-1,24-2)(34-1,34-2)과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의 체결공에 체결하여 길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모터(80), 모터(80)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서브 전광판(7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 와이어(81), 서브 전광판(70)의 좌우측 전환을 위한 좌우측 리미트 센서(82,83), 이동 와이어(81)의 경로를 형성하는 아이들 롤러(84), 이동 와이어(81)와 서브 전광판(70)을 연결하는 연결구(85)를 포함한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이동수단은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와 좌우측 연결바(41,51)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되며, 즉, 모터(80), 이동 와이어(81), 아이들 롤러(84)는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와 좌우측 연결바(41,5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모터(80)는 전원을 인가받아 양방향(정회전/역회전)하는 모터로서, 제2고정바(50)의 내부로서 도면 기준 우측 끝에 설치된다.
모터(80)는 서브 전광판(70)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전원(배터리 등)을 인가받아 가동하며, 그 조건은 예를 들어 강우 또는 폭설로 인하여 노면이 미끄러운 조건이다.
이동 와이어(81)는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와 좌우측 연결바(41,51) 내부의 공간에 모터(80)와 함께 사각형으로 배열되는 아이들 롤러(84)를 통해 사각형으로 배선된다.
좌우측 리미트 센서(82,83)는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와 좌우측 연결바(41,51)의 설치 위치는 내부와 외부 모두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제1서브측 고정바(40,50)에 설치되어 서브 전광판(70)의 접촉을 통해 접점이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연결구(85)의 경로에 설치되어 연결구(85)의 접촉을 통해 접점이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연결구(85)에 의한 서브 전광판(70)과 이동 와이어(81)의 연결을 위하여 제1서브측 고정바(40)에는 좌우 횡방향을 따라 제1레일(43)이 형성되며, 연결구(85)는 제1레일(4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서브 전광판(70)의 배면에 형성된 보스(71)에 볼트와 너트 등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서브 전광판(70)의 안정적인 좌우 이동을 위하여 제2서브측 고정바(50)에는 제1레일(43)과 평행한 제2레일(53)이 형성되고 서브 전광판(70)의 배면에는 제2레일(5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가이드봉(72)이 형성된다.
제1,2레일(43,53)은 제1,2서브측 고정바(40,50)에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형태이다.
가이드봉(72)은 이동 와이어(81)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고 제2레일(53)을 따라 이동하여 서브 전광판(70)의 전후좌우 흔들림을 막는 것이다. 즉, 가이드봉(72)은 서브 전광판(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나사식 등)되며 제2레일(53)을 따라 옆으로 회전되어 제2레일(53)에 삽입되고 이후에 예를 들어 90도 회전되어 제2레일(53)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메인 전광판(60)은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광판과 동일한 제어를 통해 노면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서브 전광판(70)은 메인 전광판(60)과 연동하여 동일한 내용(문구, 이미지 등)을 표시하거나 다른 내용을 표시하며, 본 발명은 서브 전광판(70)이 도로의 선형에 따라 메인 전광판(60)과 다른 각도로 설치되고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어 관련 내용은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평상 시.
평상시는 강우와 폭설 및 안개 등의 위험상황을 제외한 기상 조건이며, 메인 전광판(60)과 서브 전광판(70) 모두 고정(정지)상태에서 노면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메인 전광판(60)은 통상적인 전광판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종래와 동일하게 노면 상태를 확인한다.
반면, 서브 전광판(70)은 메인 전광판(60)의 우측 즉 도로의 반대쪽에 돌출되는 위치에서 노면 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전방에 대형 차량이 있어 메인 전광판(60)의 시야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서브 전광판(70)을 통해 노면 상태를 확인한다.
2. 주의 시.
주의시는 강우와 폭설로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 안개로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태이고, 서브 전광판(70)은 정지 상태를 벗어나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시인성을 높여준다.
이동수단의 모터(80)는 컨트롤러의 제어(또는 관리자의 수동 제어)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고, 이 회전력을 통해 이동 와이어(81)가 회전하며, 이동 와이어(81)에 고정된 연결구(85)를 통해 서브 전광판(70)이 좌우로 왕복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브 전광판(70)은 우측 끝을 초기 위치로 하고 있으며, 모터(80)는 초기에 정극성을 인가받아 정회전하고 따라서 이동 와이어(81)가 정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하게 되고 결국 서브 전광판(70)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서브 전광판(70)이 좌측으로 이동하다가 좌측 리미트 센서(82)와 접촉되면 모터(80)에 부극성이 인가되어 이동 와이어(81)가 역회전하게 되고, 서브 전광판(70)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서브 전광판(70)이 우측으로 이동하다가 우측 리미트 센서(83)와 접촉되면 모터(80)가 다시 정극성을 인가받아 결국 서브 전광판(70)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서브 전광판(70)은 좌우 왕복이동을 하면서 노면 상태를 표시하며, 따라서, 노면 상태를 알리는 LED가 점멸식이 아니어도 서브 전광판(70)의 좌우 이동을 통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기상조건에서도 원거리에서 서브 전광판(70)을 확인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로의 선형에 맞춰 서브 전광판(70)의 설치 각도를 맞춰 메인 전광판(60)와 다른 각도에서 노면 상태를 알려준다.
도 4의 (A)는 직선 도로이고 (B)는 곡선 도로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직선 도로에서는 메인 전광판(60)과 서브 전광판(70) 모두 동일한 각도 즉, 서브 전광판(70)은 메인 전광판(60)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설치된다.
한편, 곡선 도로에서는 메인 전광판(60)을 통상의 전광판과 동일한 각도로 설치하고, 서브 전광판(70)을 메인 전광판(60)과 다른 각도로 설치한다. 예를 들어 메인 전광판(60)의 설치 각도를 곡선 도로의 진입 시점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각도로 한다면 서브 전광판(70)의 설치 각도를 곡선 도로의 진입 시점 직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각도로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곡선부의 진입 전인 원거리에서 서브 전광판(70)을 확인하여 노면 상태와 곡선 도로를 확인함으로써 속도를 줄이는 등 안전운전을 하고, 곡선부에 진입하면서 메인 전광판(60)을 확인한다.
10 : 포스트, 11,12 : 제1,2고정홀
20,30 : 제1,2메인측 고정바, 21,31 : 제1,2고정판
22,32 : 제1,2축핀,
40,50 : 제1,2서브측 고정바, 41,51 : 좌우측 연결바
42,52 : 제1,2캡, 43,53 : 제1,2레일
60 : 메인 전광판,
70 : 서브 전광판, 71 : 보스
72 : 가이드봉,
80 : 모터, 81 : 이동 와이어
82,83 : 좌우측 리미트 센서, 84 : 아이들 롤러
85 : 연결구,

Claims (4)

  1. 지면에 세워지는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서로 다른 높이의 캔틸레버 형태로 고정되는 제1,2고정바와;
    상기 제1,2고정바에 설치되며 노면 상태를 표시하는 메인 전광판(60)과;
    상기 제1,2고정바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전광판과 연동하여 노면 상태를 알려주는 서브 전광판(70)과;
    상기 제1,2고정바에서 상기 서브 전광판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2고정바는 제1,2메인측 고정바(20,30)와 제1,2서브측 고정바(40,50)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2서브측 고정바는 상기 제1,2메인측 고정바에 횡방향을 따라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서브 전광판을 상기 메인 전광판과 다른 각도로 설치하는 한편 좌우측 연결바를 통해 서로 조립되는 일체형이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2서브측 고정바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2레일(43,53), 상기 제1레일의 좌우 양쪽 끝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서브 전광판을 감지하는 좌우측 리미트 센서(82,83), 전원을 인가받아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80), 상기 모터와 제1,2레일을 따라 배선되며 상기 서브 전광판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으로 상기 서브 전광판을 양방향으로 반복 이동시키는 이동 와이어(81)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서브측 고정바와 좌우측 연결바는 내부가 빈 중공이며, 상기 모터와 이동 와이어는 상기 제1,2서브측 고정바와 좌우측 연결바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서브측 고정바와 좌우측 연결바의 조립체는 상기 제1,2메인측 고정바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KR1020200132148A 2020-10-13 2020-10-13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KR102217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148A KR102217183B1 (ko) 2020-10-13 2020-10-13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148A KR102217183B1 (ko) 2020-10-13 2020-10-13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183B1 true KR102217183B1 (ko) 2021-02-18

Family

ID=7468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148A KR102217183B1 (ko) 2020-10-13 2020-10-13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780A (ko) 2022-04-14 2023-10-24 모루시스템 주식회사 전광판 표출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734B1 (ko) 2005-07-27 2006-04-07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도로안내전광판
KR100946806B1 (ko) * 2009-09-25 2010-03-11 주식회사 삼도 사고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KR101150240B1 (ko) * 2011-11-24 2012-06-12 주식회사 그록스톤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101896451B1 (ko) * 2018-05-16 2018-09-07 이미경 관리유지가 용이한 도로용 전광판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734B1 (ko) 2005-07-27 2006-04-07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도로안내전광판
KR100946806B1 (ko) * 2009-09-25 2010-03-11 주식회사 삼도 사고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KR101150240B1 (ko) * 2011-11-24 2012-06-12 주식회사 그록스톤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101896451B1 (ko) * 2018-05-16 2018-09-07 이미경 관리유지가 용이한 도로용 전광판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780A (ko) 2022-04-14 2023-10-24 모루시스템 주식회사 전광판 표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7895B1 (en) Flush mount breakaway post coupler
US20070160420A1 (en) Traffic lane separation unit, component member thereof, and mobile traffic lane separation device
KR102217183B1 (ko)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US20110081201A1 (en) Reflective roadway warning system indicating incorrect vehicular travel direction
EP1264936A2 (en) Guide device and car park
KR200370279Y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US20180155887A1 (en) Ragsblock traffic barrier
CN2628580Y (zh) 多功能防暴路障
KR102411348B1 (ko)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CN216527579U (zh) 封闭式高速公路动态指向数据传输系统
WO2019161437A1 (en) An adaptive and adaptable message display system
CN111395222A (zh) 一种桥梁工程用车辆限行装置
GB2334735A (en) Rod traffic control device
CN221000742U (en) Highway protection is with limit for height device
KR200269793Y1 (ko) 경사각도 조정용 문형식 도로표지판
CN217078540U (zh) 高速公路应急提示装置
CN218060046U (zh) 一种快速路夜间安全警示隔离墩
KR101380549B1 (ko) 회동각도 및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교통표지판
CN219175073U (zh) 一种智能道路桥梁隧道多维限高装置
CN213092690U (zh) 一种翻转式标识牌
CN216238222U (zh) 一种太阳能雷达交通安全标志牌
CN212052404U (zh) 一种高速公路特殊情况电子警示装置
CN216474675U (zh) 一种斜面道闸
CN214695308U (zh) 一种借道左转隔离栏杆
CN214401543U (zh) 一种市政智能变道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