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943B1 - 후방경고용 안전바 - Google Patents

후방경고용 안전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943B1
KR101317943B1 KR1020120145435A KR20120145435A KR101317943B1 KR 101317943 B1 KR101317943 B1 KR 101317943B1 KR 1020120145435 A KR1020120145435 A KR 1020120145435A KR 20120145435 A KR20120145435 A KR 20120145435A KR 101317943 B1 KR101317943 B1 KR 101317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elevating
pipe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도명디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명디앤이 filed Critical (주)도명디앤이
Priority to KR102012014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후속차량에 경고하여 추돌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후방경고용 안전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는 도로(1)에 매입설치되어 차량이 도로(1)에 정차된 경우, 차량의 탑승자가 차량의 후방에 위치된 후방경고용 안전바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별도로(1) 삼각대를 싣고 있지 않은 사용자도 손쉽게 설치하여 후속 차량에게 경고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차량의 후방으로 옮겨 설치한 후 회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후방경고용 안전바{safety bar for rear warning}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후속차량에 경고하여 추돌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후방경고용 안전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사고가 발생되어 차량이 도로상에 정차할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에 삼각대를 설치하여, 후속차량에게 고장차 또는 사고차가 도로상에 정차되어 있음을 알림으로써, 수속차량이 정차된 차량에 추돌하는 2차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삼각대를 싣고 다녀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삼각대를 싣고 다니지 않는 차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삼각대는 차량이 도로상에 정차된 후 차량의 탑승자가 차량의 후방위치로 운반한 후 설치하고, 차량이 출발하기 전에 회수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삼각대와 관련해서는 공개특허 10-2008-0006954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이 정차되었을 때, 손쉽게 꺼내어 후방의 차량에 경고를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후방경고용 안전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1) 또는 도로(1) 양측에 매입설치되며 내부에는 승강블록(22)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A)와, 상기 승강블록(22)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측면에는 반사판(31) 또는 점등수단(32)이 구비된 경고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경고용 안전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A)는 지지관체(10)와, 상기 지지관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관체(2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관체(20)는 상기 지지관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승강블록(22)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관본체(21)와, 상기 관본체(21)에 구비되어 관본체(21)와 승강블록(22)이 상호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연동기구(23)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기구(23)는 상기 승강관체(20)의 상하단에 구비된 한 쌍의 로울러(23a)와, 폐루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로울러(23a)의 둘레부에 감겨지며 중간부가 상기 지지관체(10)와 상기 승강블록(22)에 고정된 연동와이어(2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경고용 안전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관체(20)에 연결되어 승강관체(20)가 상승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40)과, 상기 승강관체(20)와 지지관체(10)에 구비되어 승강관체(20)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51,52)과, 상기 지지관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관체(20)와 결합되어 승강관체(20)의 상승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본체(21)의 외측면에는 랙기어(21c)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감속수단(60)은 상기 지지관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62)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랙기어(21c)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63)와, 상기 회전축(62)에 결합된 원웨이베어링(64)과, 상기 원웨이베어링(64)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체(10)에 고정된 마찰부재(65)를 포함하며, 상기 원웨이베어링(64)은 상기 관본체(21)가 상승될 때 내륜(64a)과 외륜(64b)이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본체(21)가 상승되어 원웨이베어링(64)의 외륜(64b)이 회전될 때 상기 외륜(64b)이 마찰부재(65)와 마찰되어 회전속도가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경고용 안전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관체(20) 또는 경고바(30)의 승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1)과, 상기 도로(1)가 구비된 터널 또는 교량의 입구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수단(11)의 신호를 수신하여 승강관체(20) 또는 경고바(30)가 상승되면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수단(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경고용 안전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는 도로(1)에 매입설치되어 차량이 도로(1)에 정차된 경우, 차량의 탑승자가 차량의 후방에 위치된 후방경고용 안전바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별도로(1) 삼각대를 싣고 있지 않은 사용자도 손쉽게 설치하여 후속 차량에게 경고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차량의 후방으로 옮겨 설치한 후 회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의 연동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의 감속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경고용 안전바를 도시한 것으로, 터널 내부의 도로(1)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후방경고용 안전바는 도로(1) 또는 도로(1) 양측에 매입설치된 지지대(A)와, 상기 지지대(A)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측면에는 반사판(31) 또는 점등수단(32)이 구비된 경고바(30)와, 상기 승강관체(20)에 연결되어 승강관체(20)가 상승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40)과, 상기 승강관체(20)와 지지관체(10)에 구비되어 승강관체(20)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51,52)과, 상기 지지관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관체(20)와 결합되어 승강관체(20)의 상승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60)으로 구성된 것으로, 터널 내부의 도로(1)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A)는 도로(1)의 바닥면에 매입설치된 지지관체(10)와, 상기 지지관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관체(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체(10)는 상하로 길고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도로(1)에 매입설치된다.
상기 승강관체(20)는 상기 지지관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관본체(21)와, 상기 관본체(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상기 경고바(30)가 힌지결합된 승강블록(22)과, 상기 관본체(21)에 구비되어 관본체(21)와 승강블록(22)이 상호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연동기구(23)로 구성된다.
상기 관본체(21)는 상하단이 개방된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감속수단(60)에 구비된 피니언기어(63)가 결합되는 랙기어(21c)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승강블록(22)은 상단이 상기 승강관체(2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승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브라켓(22a)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22a)에 상기 경고바(30)를 상향되거나 측방향으로 직각되도록 회동되도록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연동기구(23)는 상기 승강관체(20)의 상하단에 구비된 한 쌍의 로울러(23a)와, 폐루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로울러(23a)의 둘레부에 감겨지며 중간부가 상기 지지관체(10)와 상기 승강블록(22)에 고정된 연동와이어(23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동와이어(23b)는 둘레면의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관체(10)와 승강블록(22)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블록(23c)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기구(23)는 상기 관본체(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본체(21)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슬롯(21a)을 통해 상기 고정블록(23c)이 상기 지지관체(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블록(22)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의 오목홈(22b)이 형성되어 승강블록(22)이 상기 연동기구(23)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이러한 연동기구(23)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호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1 내지 제3 부재(24,25,26) 중에서 중간부에 구비된 제2 부재(25)에 상기 연동기구(23)를 구비하고, 상기 연동기구(23)의 연동와이어(23b)를 상기 제1 및 제3 부재(24,26)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또는 제3 부재(24,26)를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연동와이어(23b)가 로울러(23a)의 둘레부를 순환하면서, 제1배지와 제3 부재(24,2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상기 지지관체(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관본체(21)가 상승되면, 상기 연동와이어(23b)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블록(22)이 연동되어 관본체(21)가 승강된 높이의 2배만큼 승강된다.
상기 경고바(30)는 길이가 긴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되며 후측면에는 반사판(31)과 점등수단(32)이 구비되어, 후속 차량의 헤드라이트 빛을 반사함과 동시에 빛을 출력하여 후속차량의 운전자가 육안으로 경고바(30)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승강관체(20)의 수직방향에서 측방향으로 90°회동되도록 상기 승강블록(22)의 브라켓(22a)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경고바(30)의 점등수단(32)은 여러개의 LED램프로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경고바(30)를 상기 지지바와 승강관체(20)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90°회동시키면 상기 브라켓(22a)에 구비된 도시 안 된 스위치가 on되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고바(30)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관체(10)의 내경에 대응되는 형태의 마개(33)가 구비되어, 경고바(3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지지관체(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마개(33)가 지지관체(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막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고바(30)를 브라켓(22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34)에는 탄성부재(35)가 구비되어, 상기 경고바(30)가 지지관체(10)의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탄성부재(35)는 양단이 상기 경고바(30)와 브라켓(22)에 고정된 토션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지지관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단이 상기 관본체(21)의 하단에 연결되어 관본체(21)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관본체(21)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스프링(40)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부(21b)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51,52)은 상기 관본체(21)의 하단과 상기 지지관체(10)의 상단에 구비된 원터치고정기구(51)와 상기 원터치고정기구(51)에 맞물리는 걸림돌기(5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원터치고정기구(51)와 걸림돌기(52)는 상기 관본체(21)가 하강되면 상호 맞물려 관본체(21)가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원터치고정기구(51)와 걸림돌기(52)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관본체(21)가 다시 한번 하강되면 상기 원터치고정기구(51)와 걸림돌기(52)의 결합이 해제되어 관본체(21)가 상승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원터치고정기구(51)와 걸림돌기(52)의 구성은 장식장의 도어나 기타 다양한 장치의 잠금장치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속수단(6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62)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랙기어(21c)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63)와, 상기 회전축(62)에 결합된 원웨이베어링(64)과, 상기 원웨이베어링(64)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체(10)에 고정된 마찰부재(65)로 구성된다.
상기 원웨이베어링(64)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내륜(64a) 및 외륜(64b)과, 상기 내륜(64a) 및 외륜(64b)의 사이에 구비된 복수개의 베어링핀(64d)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륜(64a) 또는 외륜(64b)에는 상기 베어링핀(64d)이 삽입되는 경사홈(64c)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륜(64a)이 일방향(도면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핀(64d)이 경사홈(64c)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내륜(64a)이 내륜(64a)과 외륜(64b)의 사이에 기워짐으로써 내륜(64a)과 외륜(64b)이 감께 회전되고, 내륜(64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핀(64d)이 경사홈(64c)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내륜(64a)과 외륜(64b)의 고정이 해제되어 내륜(64a)이 공회전된다.
상기 마찰부재(65)는 마찰력이 높은 재질의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외륜(64b)의 외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외주면이 상기 지지관체(10)에 고정되어 상기 외륜(64b)이 회전되면 외륜(64b)의 외주면과 마찰되어 외륜(64b)이 천천히 회전되도록 감속시킨다.
따라서, 상기 관본체(21)가 상승되어 관본체(21)의 랙기어(21c)에 치합된 피니언기어(6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축(62) 및 내륜(64a)이 피니언기어(63)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외륜(64b)이 내륜(64a)과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원웨이베어링(64)의 외륜(64b)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외륜(64b)과 마찰부재(65)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원웨이베어링(64) 전체와 회전축(62) 및 피니언기어(63)가 천천히 회전되어 관본체(21)가 천천히 상승된다.
반대로, 상기 관본체(21)가 하강될 때는 상기 피니언기어(63)와 회전축(62) 및 내륜(64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원웨이베어링(64)의 내륜(64a)과 외륜(64b)의 고정이 해제되어 외륜(64b)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관본체(21)가 하강될 때는 상기 마찰부재(65)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되지 않아서 관본체(21)가 저항없이 빠르게 하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전바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승강관체(20)와 경고바(30)가 상기 지지관체(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수단(51,52)에 의해 승강관체(20)가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경고바(30)의 상단을 하측으로 누르면, 상기 고정수단(51,52)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상기 승강관체(20)가 상승된다.
이때, 상기 연동기구(23)에 의해 상기 관본체(21)에 비해 승강블록(22)이 2배 빠르게 상승되어 경고바(30)가 관본체(21)의 상측으로 상승되며, 또한, 상기 관본체(21)는 상기 감속수단(60)에 의해 천천히 상승되도록 감속된다.
그리고, 상기 관본체(21)와 승강블록(22)이 완전히 상승되어, 상기 경고바(30)가 관본체(21)의 상부로 완전히 노출되면 상기 탄성부재(35)에 의해 상기 경고바(30)가 측방향으로 90°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경고바(30)에 구비된 점등수단(32)이 점등된다.
따라서, 정지된 차량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속차량에 경고를 하여, 후속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에 차량이 정차된 것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고바(30)를 상승시킨 후 경고바(30)를 하측으로 누르면 상기 경고바(30)와 승강블록(22)이 하강되면서 이에 연동하여 상기 관본체(21)가 하강되며, 상기 관본체(21)와 승강블록(22) 및 경고바(30)가 상기 지지관체(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고정수단(51,52)에 의해 관본체(21)가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11)은 원웨이베어링(64)의 외륜(64b)이 공회전됨에 따라 피니언기어(63)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지 않으므로, 관본체(21)를 손쉽게 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후방경고용 안전바는 도로(1)에 매입설치되어 차량이 도로(1)에 정차된 경우, 차량의 탑승자가 차량의 후방에 위치된 후방경고용 안전바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별도로(1) 삼각대를 싣고 있지 않은 사용자도 손쉽게 설치하여 후속 차량에게 경고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차량의 후방으로 옮겨 설치한 후 회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관체(20)는 상기 지지관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관본체(21)와, 상기 관본체(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상기 경고바(30)가 힌지결합된 승강블록(22)과, 상기 관본체(21)에 구비되어 관본체(21)와 승강블록(22)이 상호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연동기구(23)로 구성되어, 상기 관본체(21)가 상승되면 이에 연동되어 승강블록(22)이 더욱 빠르게 상승되어, 경고바(30)가 승강관체(20)의 상부로 상승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관본체(21)와 승강블록(22) 및 경고바(30)가 일정하게 승강되어, 작동신뢰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관체(20)에 연결되어 승강관체(20)가 상승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40)과, 상기 승강관체(20)와 지지관체(10)에 구비되어 승강관체(20)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51,52)과, 상기 지지관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관체(20)와 결합되어 승강관체(20)의 상승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60)이 더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경고바(30)의 단부를 누르면 자동으로 승강관체(20)와 경고바(30)가 상승되어 사용이 더욱 편리할 뿐 아니라, 승강관체(20)가 너무 빠른 속도로 상승되어 사용자가 상승된 승강관체(20)에 부딪혀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승강관체(20)의 관본체(21)가 스프링(40)에 의해 상승되도록 가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경고바(30)의 단부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경고바(30)의 단부를 상측으로 당겨 경고바(30)와 승강관체(20)를 상측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경고용 안전바는 터널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안전바는 교량이나 일반도로(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경고용 안전바는 도로(1) 양측의 갓길이나, 도로(1)의 양측에 구비된 시설물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A)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1)의 바닥면에 매입설치된 지지관체(10)와, 상기 지지관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관체(20)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대(A)는 1개의 관체로 구성되어 도로(1)에 하단이 매입고정되어 도로(1)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블록(22)은 상기 지지대(A)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동기구(23)의 구성은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승강블록(22)의 하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51,52)은 상기 승강블록(22)과 지지대(A)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A)의 외측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시트 또는 점등수단이 구비되어, 운전자가 지지대(A)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관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관체(20)가 완전히 승강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1)이 구비되고, 상기 도로(1)가 구비된 터널의 입구부분에는 상기 감지수단(11)의 신호를 감지하여 승강관체(20)가 상승되면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수단(70)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수단(11)은 상기 지지관체(10)의 일측에 구비된 터치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관체(2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일측에 구비된 버튼이 눌려 off되고, 상기 승강관체(20)가 하강되면 상기 버튼을 누르는 힘이 해제되어 on된다.
상기 경고수단(70)은 터널의 내부에 차량이 정차되었음을 알리는 경고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수단(11)이 on되면 점등되어 경고문구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도로(1)에 정차된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경고바(30)와 승강관체(20)를 상승시키면, 상기 경고수단(70)이 on되어 터널로 진입하는 후속차량에 터널 내부의 도로(1)에 차량이 정차되어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후방경고용 안전바는 후속차량이 터널의 내부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경고를 하여, 차량이 외곽차선에서 다른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차량이 터널의 내부에서 경고바(30)를 발견하여 급격하게 차선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지관체 20. 승강관체
30. 경고바 40. 스프링
51,52. 고정수단 60. 감속수단
70. 경고수단

Claims (4)

  1. 도로(1) 또는 도로(1) 양측에 매입설치되며 내부에는 승강블록(22)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A)와,
    상기 승강블록(22)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측면에는 반사판(31) 또는 점등수단(32)이 구비된 경고바(3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A)는
    지지관체(10)와, 상기 지지관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관체(2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관체(20)는
    상기 지지관체(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승강블록(22)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관본체(21)와, 상기 관본체(21)에 구비되어 관본체(21)와 승강블록(22)이 상호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연동기구(23)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기구(23)는
    상기 승강관체(20)의 상하단에 구비된 한 쌍의 로울러(23a)와, 폐루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로울러(23a)의 둘레부에 감겨지며 중간부가 상기 지지관체(10)와, 상기 승강블록(22)에 고정된 연동와이어(23b)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관체(20)에 연결되어 승강관체(20)가 상승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40)과,
    상기 승강관체(20)와 지지관체(10)에 구비되어 승강관체(20)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51,52)과,
    상기 지지관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관체(20)와 결합되어 승강관체(20)의 상승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본체(21)의 외측면에는 랙기어(21c)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감속수단(60)은
    상기 지지관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62)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랙기어(21c)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63)와,
    상기 회전축(62)에 결합된 원웨이베어링(64)과, 상기 원웨이베어링(64)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체(10)에 고정된 마찰부재(65)를 포함하며,
    상기 원웨이베어링(64)은 상기 관본체(21)가 상승될 때 내륜(64a)과 외륜(64b)이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관본체(21)가 상승되어 원웨이베어링(64)의 외륜(64b)이 회전될 때 상기 외륜(64b)이 마찰부재(65)와 마찰되어 회전속도가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경고용 안전바.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관체(20) 또는 경고바(30)의 승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1)과,
    상기 도로(1)가 구비된 터널 또는 교량의 입구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수단(11)의 신호를 수신하여 승강관체(20) 또는 경고바(30)가 상승되면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수단(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경고용 안전바.
KR1020120145435A 2012-12-13 2012-12-13 후방경고용 안전바 KR101317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435A KR101317943B1 (ko) 2012-12-13 2012-12-13 후방경고용 안전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435A KR101317943B1 (ko) 2012-12-13 2012-12-13 후방경고용 안전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943B1 true KR101317943B1 (ko) 2013-10-16

Family

ID=4963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435A KR101317943B1 (ko) 2012-12-13 2012-12-13 후방경고용 안전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108A (zh) * 2018-07-11 2018-12-14 戴翔 一种离合升降式工程路段警示装置
CN114373405A (zh) * 2021-12-25 2022-04-19 钟宝明 一种基于信息安全推广的告示全方位展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022A (ja) * 1994-10-31 1996-05-21 Toyo Exterior Co Ltd 電動車止めのギヤードワイヤー負荷軽減装置
KR200370279Y1 (ko) * 2004-09-23 2004-12-13 이수행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KR20050047144A (ko) * 2003-11-17 2005-05-20 조영택 우레탄 러버 탄성체를 이용한 도로 표시병
KR20060012508A (ko) * 2004-08-03 2006-02-08 주식회사 엔컴 자동차용 비상 경광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022A (ja) * 1994-10-31 1996-05-21 Toyo Exterior Co Ltd 電動車止めのギヤードワイヤー負荷軽減装置
KR20050047144A (ko) * 2003-11-17 2005-05-20 조영택 우레탄 러버 탄성체를 이용한 도로 표시병
KR20060012508A (ko) * 2004-08-03 2006-02-08 주식회사 엔컴 자동차용 비상 경광등
KR200370279Y1 (ko) * 2004-09-23 2004-12-13 이수행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108A (zh) * 2018-07-11 2018-12-14 戴翔 一种离合升降式工程路段警示装置
CN114373405A (zh) * 2021-12-25 2022-04-19 钟宝明 一种基于信息安全推广的告示全方位展示设备
CN114373405B (zh) * 2021-12-25 2024-06-07 北京和枫书缘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基于信息安全推广的告示全方位展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1883B2 (en) Ramp assembly with tilt sensor
KR100608974B1 (ko) 지하주차장 진출입구의 안전시설 시스템
KR101317943B1 (ko) 후방경고용 안전바
KR101693619B1 (ko) 기계식 주차설비의 안전장치
KR101838882B1 (ko)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CN206902615U (zh) 一种自动防止汽车逆行的装置
KR200442468Y1 (ko) 출입게이트용 드롭식 개폐장치
US5281069A (en) Lift device and automated high-raised parking system having the lift device
CN108149604B (zh) 一种道路安保装置
KR101566977B1 (ko) 포토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슬라이딩 도어
KR200452724Y1 (ko) 개폐형 볼라드
CN110886258A (zh) 省级闸道毒品安检坡面逼停拦截装置
KR100647522B1 (ko) 철도건널목의 자동차 차단장치
KR101229792B1 (ko)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주차안내장치
JP2007056534A (ja) 駐車管理装置
KR102602535B1 (ko)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505116B1 (ko)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시스템
KR20150077879A (ko) 견인차량의 경광등 회동 구조
KR101255225B1 (ko) 자동 접이식 벤치
KR20050090674A (ko) 보행자 안내용 입출차 차단기를 구비한 주차관리시스템
KR200388746Y1 (ko) 차량 도주 방지 장치
CN217629586U (zh) 一种机动车限高检测装置
CN216915884U (zh) 一种铁路尽头线防脱线信号报警装置
KR101672493B1 (ko) 주차시 차량 측면 보호장치
KR102677302B1 (ko) 스마트 주차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주차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