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426B1 - 비 고정식 차단봉 - Google Patents

비 고정식 차단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426B1
KR920006426B1 KR1019880701626A KR880701626A KR920006426B1 KR 920006426 B1 KR920006426 B1 KR 920006426B1 KR 1019880701626 A KR1019880701626 A KR 1019880701626A KR 880701626 A KR880701626 A KR 880701626A KR 920006426 B1 KR920006426 B1 KR 920006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locking rod
blocking
vehicle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0722A (ko
Inventor
쿠안테 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아르모 게젤샤프트 휘어 바우엘레멘테, 바우 운트 보흔베 드라프트 게엠베하
귄트헤르 베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8705304U external-priority patent/DE8705304U1/de
Priority claimed from DE19873712019 external-priority patent/DE3712019A1/d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모 게젤샤프트 휘어 바우엘레멘테, 바우 운트 보흔베 드라프트 게엠베하, 귄트헤르 베닝 filed Critical 아르모 게젤샤프트 휘어 바우엘레멘테, 바우 운트 보흔베 드라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9070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 E01F13/085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specially adapted for individual parking sp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576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crew and nu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 고정식 차단봉
제1도는 본 발명의 눕힘 상태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을 반쯤 세운 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세운 상태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을 세운 상태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을 반쯤 세운 상대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제4도중 회전축의 세부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 헤드부위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 눕힘 상태에서의 회전축 헤드부위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 세운 상태에서의 회전축 헤드부위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중 차단봉을 반쯤 세운 상태의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횡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설치 안전장치.
제13도는 본 발명중 도로에 설치된 케이블 루프를 장착한 설치 안정장치 개요도.
제14도는 2중 힌지가 장착된 본 발명의 측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본 발명 배치 계획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단봉 3 : 베이스
4 : 힌지 5 : 튜브
6 : 하부조인트 7 : 상부조인트
8 : 가이드 9 : 슬라이드 가이드
10, 16 : 핀 11 : 회전축
12 : 기어유니트 13 : 모터
14 : 제어장치 15 : 가동너트
17, 18, 25 : 나사 19 : 키
21 : 베어링쉘 22 : 스프링
23 : 단말 26, 27 : 경사면
28, 29 : 분리대 31 : 공동관
42 : 밀봉장치 45 : 브라컷
53, 54 : 한개 스위치 57 : 신호수신장치
58 : 안전장치
본 발명은 차량 진입로, 주차용 공간과 주차설비용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표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수평위치에서 수직위치로 또는 그와 반대 방향으로 힌지를 증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튜브와, 튜브안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와 기어유니트 그리고 신호 수신장치 또는 제어장치등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신호 수신장치 또는 제어장치는 휴대용 전송장치와 연결하여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튜브안에 장착될 수도 있다. 차단봉이나 문설비는 주차장이나 도로로 차량이 진입되는 것을 막는 설비로서 이들 설비는 작동장치로 작동시키기에 적당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원격 조정장치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들 차단장치에는 대부분이 주물 강제로 된 고형물과 베이스가 있는데 베이스의 상단부는 구체 모형으로 되어 있어 기기에 차단봉을 90도 내외의 각으로 장축하기에 적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PS, 19 60 669·0은 바로 이와같은 종류의 차단 설비이다. DE-PS, 27 125 46·8에서는 이와같은 원리로 작동되는 차단설비가 설명되어 있으나, 이 설비에서는 고정된 고형 주물봉의 도면이 빠져있다. 여기에서도 실질상의 차단장치가 주물봉의 정상에 장착되어 있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설명되어 있으며, 잠금장치는 손으로 간단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 밖에도 출입구 차단장치라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몇개의 원주형 또는 직육체면형의 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출입구를 열고자 할때에는지표면에 평편하게 눕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예를 든 장치들은 거의가 차단봉을 손으로 눕힐 수있도록 고안된 장치들이기 때문에 이것을 조작하자면 량의 운전자가 차를 내리지 않으면 아니되기 때문에 편하였으며 목적을 위해서 차 한대 주차시키면 그 차 자체가 교통상 장애물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 위 차단장치에서는 허가받은 사람이 아니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자면 열쇠가 필요하게 된다.
끝으로 DE-OS 35 14 626.5는 도로 표면위에 설치된 수평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차단봉을 설명하고 있다. 회전식 작동을 해야하는 모터와 기어유니트는 이 차단봉의 회전부위 내부 즉, 튜브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유지비 측면에서 볼때 상당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 표면상의 주차 타워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차단봉이나 베이스의 높이를 크게 줄일 수도 있고 주차 구조물의 바닥에 이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 준비공사가 필요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 장치의 모터에는 이용자가 차에 탄채로 차단봉을 세우거나 눕힐 수 있도록 원격조정되는 제어장치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 차단장치가 가지는한가지 단점은 힌지부위에 핀치포인트가 있어서 이로 인하여 이 차단장치를 조작, 설치 또는 철거하는 과정에서 잘못하면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 장치에서는 차단봉을 세우거나 눕히기 위해 상당한 동력이 필요한 것도 단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차단봉을 세울때에는 또하나의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케이블을 사용해야 할 뿐더러 그렇게 하자면 케이블 안내수단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유로 말미암아 이 장치에서는 자재비가 상대적으로 과대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핀포인트를 회피하고 적은 에너지로 안전하게 조작할수 있는 차단장치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서로 보완적 장치인 상부조인트와 하부조인트로 구성되어 있는 힌지조인트가 한편으로는 튜브와 베이스를 다른 한편으로는 회전축을 각각 연결하고, 회전축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끝이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다른 한끝은 베이스에 의하여 튜브에 안내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안내작용은 동너트를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회전축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튜브안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으면서 가동너트가 회전축에 끼워져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위와 같은 과제를 결하고 있다.
이들 힌지는 서로 다른 별도의 단을 구성하면서 한펀으로는 튜브와 베이스를 연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끝이 베이스에 연결된 회전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며, 회전축의 다른 한끝은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튜브위로 안내된다.
이때 튜브위로 안내되는 회전축의 한끝은 회전축으로 연동되는 가동너트가 안내하며, 회전축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튜브안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류의 차단봉에서는 각 개별 부품들은 서로 밀려들어가거나 서로 타고 넘어서 손상 위험이 미리 배제되기 때문에 핀치포인트는 더 이상 있을 수 없게 된다. 또 이 차단봉은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장착되는 가동너트가 매우 간편한 작동시스템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편리하고 안전하며 아주 적은에너지로도 작동될 수 있다. 여기의 회전축을 기어유니트를 구동시키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고, 회전축의회전각도에 따라 가동너트는 회전축위에서 상, 하운동을 하며 여기에 따라 눕혀지거나 세워지게 된다. 가동너트는 튜브내에서 모터와 더불어 슬라이드 가이드가 부착되는 방향이 어느 쪽이냐에 따라서 회전축이 가동너트내에서 을라가기도 하고 내려오기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간단한 조작으로 그 설비가 잘 작동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보면 모든 부품은 잘 보호되어 이용될 수 있도록 모두 튜브안에 장착되어야 한다. 신호 수신장치, 변속장치 및 제이용 부품은 작동장치나 모터와 서로연개될 수 있어야 하며 그와같이 구성되어야만 원격조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회전축이 록키 혹은 권총형의 브라컷 통하여 베이스와 결합되어 있는 하부조인트에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 가동너트가 회전축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튜브의 상단부위내에서 안전하게 장착되어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특징점의 하나이다. 회전축은 모터와 함께 위에 설명한 브라컷 어셈블리에 아주 잘 장착되어 있는데 여기서 브라컷 어셈블리는 또 하나의 하우징을 이루고 있으면서 모터와 회전축의 작동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브라컷에 전달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은 하부조인트 부위상에서 이루어져 가동너트가 안전하면 차단봉의 복원위치 즉 튜브내에서의 복원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두번째의 유리한 구조는 상부조인트가 튜브가 내부 분기점 부위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조인트는튜브의 외부 분기점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본질적 요소는 상, 하 두 조인트가 서로 오프셀 형식이 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점으로서 이와같은 구조 때문에 회전축 또는 브라컷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컷은 전술한 바와같이 튜브의 하부 분기점에 형성된 하부조인트에 힌지로 장착된 록커형 브라컷을 말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부품 구성 때문에 회전축이나 브라컷부 모터는 차단봉이 세워지거나 눕혀졌을때 상응하는 회전통로를 커버해야 한다. 이렇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부품을 안전하게 장착되게 하려면 모터와 회전축을 하부 조인트와 가동너트에 장착하여 튜브의 내면벽과 접촉되는 긴 구멍이 있는 홀더위에서 모터와 회전축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핀치포인트를 회피할 수 있다는 것, 특히 동작 범위상에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장점의 하나인데 이것은 전술한 바와같이 브라컷이 권총 형상으로 되어있으며 하부 조인트가 그릴의 외부 단말상에 장착되어 있고 또 튜브 벽면이 그릴의 내부 끝까지 연장되어있기 때문에 그렇게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릴의 하부 부위 혹은 하부 단말은 차단봉을 수직으로 세웠을때는 튜브의 벽 또는 외벽의 연장면을 형성하게 된다. 회전 과정에서 그릴은 아무런 부작용 없이 튜브의 벽면선을 통과하면서 작동한다. 이렇게 하여 튜브의 벽면은 상응적으로 굽어있는 그릴의 단말 부위에 까지 연장되어 있다.
한편으로는 차단봉을 안전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화재시와 같은 경우 소방원들에게 긴급 진입로를 터주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튜브에는 상, 하부 조인트 사이에 베이스 부위에까지 연장될 수 있는 록커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이 록커는 잠금장치의 실린더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한계의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실린더록커는 외벽면 또는 베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본래는 회전축의 힘을 지지하려고 설치한 것이지만, 회전축이회전함으로써 차단봉이나 튜브가 눕혀질 수 있도록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장점은 회전축이 튜브의 상부에서 안전하게 보호되고 있다는 점과 가동너트가 튜브위에서 작동될 수 있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통해서 한개의 가이드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인데 여기서 위 가이드는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으면서 그 한쪽 끝은 상부조인트 부위에서 베이스와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드 가이드 혹은 가이드 튜브의 작동 또는 안내 작동에 의하여 튜브를 간접적으로 세우기도 하고 눕힐 수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튜브에는 기온에 더한 보호 조처가 필요한 몇가지추가 부품이 더 있어야 하지만 핀치포인트에 구애되지 않을 수 있는 튜브가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점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최종적 특징은 여러 부위의 가장자리나 튜브와 베이스의 연결 부위는 수시 손질을 거의 하지 않아도 무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인데 그 이유는 이들 부품의 설치부위는 모두 기후에 대하여 안전이 보장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베이스와 튜브에는 각기 하부조인트에서 시작되는 상응적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와 베이스에는 각기 상보조인트에서 부터 연장된 수직의 분리선이 있다.
이들 경사면과 분리선은 가장 쓸모있게 경사면을 덮어주거나 경사면에 접쳐지는 후면벽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와 더불어 갈라진 틈을 없이하여 핀치포인트나 기후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드 가이더는 튜브가 내장되는 구멍을 형성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통이힌지를 통하여 가이드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튜브에 의하여 안내작용이 아주 확실하게 이루어지기게 알맞다.그래서 슬라이드 가이드는 별개 조인트를 통하여 튜브위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어 가동너트로 부터의 힘이 핀을 통하여 슬라이드 가이드와 가이드의 다른 부위에까지 원활히 전달될 수 있다. 핀은 착탈식이기 때문에 분리할 수 있으며 차단봉을 손으로 눕힐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특히 경찰이나 소방원이 차단장치를 쉽사리 통과해야 할 경우에 필요하다.
이와같은 필요 때문에 본 발명에서 핀은 가동너트에 스크류로 꽂아 놓아 핀의 외부 단말에 맞는 삼각키로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의 삼각키는 경찰관서나 소방기관이 가지고 있어서 언제든 그것으로 진입로를열 수 있도록 한다.
그와같은 비상 진입이 긴요하지 않은 장소, 예컨대 주차점이나 주차 타원같은 곳에서는 핀을 분리할 수없도록 하면 된다.
또 한가지는 튜브 표면에 평행으로 형성한 구멍에 핀을 꽂아 놓아도 똑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구멍은 핀의 모양에 정확히 부합되어야 한다. 예를들면 그 구멍에 고무조작을 덧입히면 그 구멍의신축적인 밀봉효과를 놓혀줄 수 있다. 튜브안에 곡선으로 형성된 구멍안에서 슬라이드와 가이드 슬라이드로 핀을 잡아주는 별도의 유니트를 구성하는 것도 또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한쪽 가이드와 한쪽 가이드만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에서는 가이드와 슬라이드 가이드의 길이에 맞추어 구멍에 곡선을 이루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관련 부품 끼리 서로 얽히게 되는 것이 단점이다.
그러므로 베이스와 베이스와 튜브 가이드 및 슬라이드 가이드의 접촉 단면들이 내부 공간쪽을 향하여 경사면을 이루게하면 핀치포인트에 대해서도 안전하게 되고 부품끝이 서로 얽히거나 잡히는 일도 없게할 수있다. 조인트를 통해서 베이스와 슬라이드에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의 힘을 전달하는 슬라이드 캡으로 이용하면 베이스와 연관시켜 확실하게 튜브를 세울 수 있다. 모터가 가동을 시작할때 발생되는 힘이 본 발명의특성에 따라 가능한 최대 한도에 이르도록 하려면 회전축이 베어링에 의해서 상, 하조인트 위쪽으로 지지되고 베어링과 가동너트 사이에서 한개의 스프링은 튜브가 눕혀지면 가동 너트에 의하여 눌려지는데, 이러한 상태가 되기 위한 힘은 자체 하중으로 하강하는 튜브가 단독으로 내는 힘이다. 그와 반대로 튜브가 세워지면 스프링의 탄력은 가동너트 또는 모터와 기어유니트를 회전축 쪽으로 밀어서 제자리로 복귀시켜 준다. 이스프링은 특이하게 굽어 있으며 그 탄력은 차단봉을 일으키는 힘과 거의 완벽한 균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밀봉장치를 적절히 해놓아서 각 가동부품으로 습기가 들어갈 수 있다. 차량이 차단봉 위쪽에 주차하고 있을때 차단봉을 잘못하여 일으키는 일은 차단봉을 구조로 방지되는데 차단봉을 이와같이 구성하거나 유지하는 것은 아주 손쉽게 되어 있다. 가동너트 혹은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는 튜브의 헤드안에 위치하여 모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신호 수신장치는 차단된 주차장에 있는 차중의 통신자가 차단시킬 수도 있고 튜브안에 장착되어 원하는 때에 차단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통신장치의 구성 방법은 차단봉 자체 즉, 튜브속에 장착되어 있는 수신장치 및 잠금는 장치를 포함한 모든 부품 때문에 설치하기가 아주 간단하다. 나아가서 이와같은 형식의 차단봉은 설치했을때의 높이가 낮아서 그것을 눕혀 놓았을 때에 차량의 하부가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없으므로 아주 안전하다. 더욱이 작동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신호 수신장치는 원격 조정장치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차량이지나가도록 차단봉이 눕혀졌을때에는 신호 수신장치를 잠거버릴 수 있기 때문에 원격 조정장치를 잘못 조작하여 차단봉이 세워지는 일은 절대로 있을 수 없게 되어있다. 그러므로 고의로든 과실로든 차량의 하부부위가 어떤 손상을 입을 가능성은 없다.
이와같이 구성된 차단봉은 관계 교통법규를 준수할 수도 있고 차량 운전자가 차단봉을 통과했을때 마다 차에서 내려 차량의 하부를 점검할 필요도 없게 해준다.
본 발명의 특수한 장점의 하는 안전 장치인데 튜브의 헤드내에 장착되는 마이크로 웨이브 전송장치 또는신호 수신장치는 도플러효과를 원리로 작동되는 것으로서 이 도플러 효과가 발생했을때에는 신호 수신장치가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안전장치이다. 수평위치에서 눕혀져 있는 차단봉 위에 차량이 주차했을때에는 신호 수신장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차단되어 도플러효과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그와 반대로, 차량이 눕혀진 차단봉 위에 없을때에는 도플러 효과는 발생되지 않고 신호 수신장치는 작동상태를 유지하여 언제든 원하는 시간에 차단봉을 일으켜 세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차량이 차단봉 위치를 이탈한 후이므로 허용된 지점에 주차를 했는지의 여부 만이 문제이다.
이러한 장치를 최대한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노면 위의 하중에 감지되는 접촉패드로 연결되는 마이크로 웨이브 전송장치와 신호 수신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장치에서는 세워진 차단봉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차량이 도플러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가 압력스위치 위를 통과하든가 그 위에 주차하고 있는 동안에는 수신장치는 필요한 만큼의 시간동안 차단될 수 있다. 차가 압력 스위치 위를 벗어나면 적당한 시간차를 두고 신호 수신장치는 제작동되어 차가 일단 떠났으면 차단봉을 다시 세울 수 있다. 시간에따라 신호 수신장치를 차단하기 위해서 신호 수신장치에 수신기 차단 전송 태그시스템을 장착할 수도 있으며 이 장치에서의 태그는 금속재로서 차량에 장착된 전송장치와 통신되는 것이다. 예를들면 여기의 안전태그는 소매상점에서 들치기범을 경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떨어지는 라벨이나 스티커 같은 것들이다. 태그를 전면 범퍼 또는 후면 범퍼밑에 첨부해 두어 차단봉에 장착되어 있는 신호 수신장치로 확인한다.
이렇게 하면 그 차량이 원격조정 수신기 위에 머물러 있는 동안은 차단봉이 잘못하여 일으켜지는 일은 불가능하게 된다. 자력선이 있는 공간에 들어가면 신경질성 소리를 내는 합금 조각을 태그속에 넣으면 이 소리가 수신장치에 전달되어 적당한 신호로 이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하나의 안전장치는 차량이 신호 수신장치를 차단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차도밀 지하에 물이 제어장치에 연결된 유도루프로 신호 수신장치를 차단시키는 방법이다. 차량이 유도루프를기능 정지시키고 기기에 따라 신호 수신장치가 차단되도록 한다. 이 장치에서는 작동장치는 150N 이하로되도록 하여 핀치 현상 등에 의한 손상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 하부조인트 이외에 튜브의 종단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또 하나의 조인트를 형성하여 작동장치에 추가하며 또 하나의 회전식 작동장치를 둠으로써 더욱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차단봉이 먼저 수직위치에서 수평위치로 내려진 다음 수평면에서 회전하게 된다. 차량이 통과하여 작동했던 차단봉은 회전하여 제자리로 돌아온 다음 다시 세워질 수 있다. 차량은 차단봉을 파괴하지 않는 한 불법적으로 주차 위치를 떠날 수 없게 되므로 이 방법은 2중 안전장치를 만들어 주는 셈이다. 부정확한 신호를 회피하기 위하여 2개의 조인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발명된 차단봉을 보다 확실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 수평 조인트는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고 모터와 작동장치는 또 하나의 작동장치에 의해서도 교대로 반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모터가 작동되어 있더라도 2가지 작동장치가 작동하는 시간 동안에는 고정된 튜브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써 차단봉으로 봉쇄된 주차장으로 차량이 접근해 오면 제1작동장치는 차단봉이 수직위치에서 수평위치로 눕혀질 수 있도록 반응하는 작동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오직 제1작동장치의 전원이 끊어졌을때에 한하여 회전 작동장치의 전원이 연결될 수 있게 하거나 제1작동장치는 회전 작동장치에 자동적으로 연결되어 차단봉이 차량 접근 방향으로 횡단작동된 다음 회전작동 할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하여 차량은 아무 지장없이 차단봉 위를 통과할 수 있다. 차가 일단 주차장에 자리를 잡으면 회전 작동장치는 자동적으로 시동되어 제1작동장치가 차단봉이나 튜브를 수직위치로 바꾸기 전에 차단봉이 수평위치에서 회전한 다음 차량진행 방향에서 수평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차단봉은 세워진 상태에서 주차장과 진입로를 폐쇄하여 차단봉을 잘못 조작하여 손실을 입지 않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차단봉을 연결하는 방식이 차단봉을 차단 위치로 환원시켜 차량의 하부에 어떤 손실도 입히지 않도록 해준다.
본 발명 차단봉에 청각과 또는 시각신호를 장착하여 베이스와 모터의 양측면에 붙어 있는 감지기와 함께 작동시켜 시설을 부수거나 손상을 입히려는 행위에 대해서 경고를 발할 수 있다. 감지기는 차단봉이 조금만움직여도 이것을 감지하여 작동장치가 고정되기만 하면 감지장치는 위험에 대하여 경고를 발하는 신호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기타의 반응방법과 금지신호 또는 전송장치도 가능하다. 예컨대 레이다, 적외선,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장치 등이 그것이다. 작동장치 또는 전기 장치용 전지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작동장치용 전류는 경보장치가 반응하는 경우에만 연결되도록 하면 더욱 좋다. 되도록이면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폐쇄회로가 작동되지 않는한 적절한 장치로 폐쇄회로가 작동된 다음에는 전지의 수평을 연장하기 위하여 그 폐쇄회로는 바로 단절시키는 것이 좋다.
전송장치가 반응할때는 일정한 시간 동안만은 작동장치가 작동되도록해야 하겠지만 폐쇄회로 전류는 5초간격으로 흐르게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기타 전원은 차량의 조명등과 같은 제어장치에도 쓰이는 태양전지등이다.
본 발명은 구성방법이 우수하여 극히 안전하고 핀치포인트에 구애되지 않으며 설치와 보수작업이 간편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조작에 소요되는 구동력은 모터와 기어유니트 및 튜브내에 장착되어 있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극대화 되도록 생성된다. 여기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이와같은 구성은 장치의보수와 건설이라는 측면에서 보아도 유리한 점이 있다. 차단봉을 을리고 내리는 동력은 최대 효과적으로 진동되는 한편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최소 수준까지 절약할 수 있다. 안전장치 또한 교통법규와 조작효과 관리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차단봉은 일반적인 법규만을 준수하는 것이 아니라 차단봉의 작동이나 사전 상승은 철저히 구제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아니면 운전자는 주차장을 나을때마다 차량의 하부를 점검해야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렇게 할 필요가 없도록 해주는 것이다. 차체가 낮은 차량에도 본 발명 차단봉을쓸 수 있다는 점도 하나의 장점이다. 구성방법으로 인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하고 시설비가 저렴하다.
본 발명은 다른 부대공사를 하지 않고서도 기존 도로상에나 주차공간 또는 파킹타워의 각층에 설치할 수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차단봉(1)은 수평위치에 있다. 차단봉(1)은 도로 표면(2)에 눕혀있고 차단봉(1)의 베이스(3)는 도로 표면에 지지볼트등으로고정되어 있다. 베이스(3)는 도로 표면(2)에 주물방식, 용접 기타 고정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3)이외에 차단봉(1)에는 힌지(4)로 베이스(3)에 결합되어 있는 튜브(5)에 형성되어 있다. 제2, 3도에서 볼 수있는 바와같이 튜브(5)는 힌지(4)를 통하여 수평위치에서 수직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제1도-제3도에서 도시된 본 발명 구성에서는 힌지(4)는 하부조인트(6)와 상부조인트(7)로 형성되어 있는데 하부조인트(6)는 베이스(3)와 회전축(11)이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조인트(7)는 베이스(3)와튜브(5)를 직접 연결하고 있다. 제4도는 차단봉(1)의 직립 위치 즉 세운상태에서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상부조인트(7)와 하부조인트(6)는 따로 튜브(5)의 양쪽 벽면에 자리잡고 있다.
이들 두 조인트 사이의 중심부에는 실린더록(44)이 자리잡고 있는데 이 실린더록이 정확하게 잠기게되면래치(51)가 구멍(52)안에 고정된다. 회전축(11)은 가이드(8)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베이스(3)와 튜브(5)에연결되어 있으면서 차단봉(l)을 세우고 눕히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회전축(1l)은 기어유니트(12)와 모터(13)에 의하여 회전되는데 모터(13)는 여기에서는 설명이 생략된 제어장치(14)로써 동력회로가 연결 또는단절된다.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회전축(11)으로 관통 연결되어 있는 가동너트(15)는 튜브(5)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11)이 작동되면 튜브(5)가 상부조인트(7)를 중심으로 수평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이 단축장치는 짧아지게 된다. 회전축(11)이 모터(13)에 연동되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차단봉(1)은 직립 위치로복귀된다. 기어유니트(12)가 장착되어 있는 모터(13)와 회전축(11)은 하부에 있는 브라컷(45)에 의하여 고정되고 있다. 이 브라컷(45)은 권총모양으로 되어 있어 그립으로 하부 조인트(6)에 결합되어 있다.
이 브라컷(5)은, 튜브(5)의 벽면(50)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홈(47)을 형성하고 있는 홀더(46)에 의하여 안내되는데 제5도는 이와같이 홈(47)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46)의 배치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립의 외부단말(48)은 하부조인트(6)에 수용되어 있는 반면 그립의 내부단말(49)은 튜브(5)의 벽면(50)과 항상 간격을유지하고 있다. 이와같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립의 내부 단말(49)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차단봉(1)이 눕혀지면 단말(49)은 튜브 벽면으로 부터 약간 떨어지게 된다.
제6도는 차단봉(1)이 눕혀지거나 세워질때 상한 스위치(53)와 하한 스위치(54)의 조정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축(11)이 가동너트(15)를 통과할때 이 두개의 스위치(53, 54)는 가동너트(15)의 상단면(53)또는 하단면(55')에 닿게 된다. 회전축(11)에 끼워있는 스프링(22)의 장착으로 차단봉(1)이 세워지는 작용이 거들어지는 점에 관하여는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차단봉(1)의 헤드부위(56)는 제7도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가동너트(15)위에 각 제어 스프링을 위한 신호 수신장치(57)와 타이머 제어장치(59)가 장착되어 있는데 그 위쪽에 세움 안전장치(56)가 장착되어 있다. 신호 수신장치(57)는 헤드(56)의 끝부분에 장착될 수 있고, 안전장치(58)과 연결될 수도 있다. 안전장치(58)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8도에서 부터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은 위에 설명한 내용 즉, 회전축(11)이 고정되는 한편 가동너트(15)가 가이드(8)에 의하여 세워지기도 하고 눕혀지기도 한다는 내용과는 다르다. 다시한번, 슬라이드 가이드(9)는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8)에 연결되어 있고, 제10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같이 상부조인트(7) 또한 작동장치는 튜브(5)안에 장착되어 있다. 이 작동장치는 핀(10)이 상승하면 슬라이드 가이드(9)가 세워지고 결국 튜브(5) 전체가 세워지도록 핀(10)으로 가이드(8)에 연결되어 있다. 이점에 관해서는 다음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0도는 슬라이드 가이드(9)와 가이드(8)가 이렇게 튜브(5)를 움직이게 하여 수직 위치로 되는가를 도시하고 있다. 위에 설명한 회전축(11) 역시 튜브(5)에 장착되어 있으면서 기어유니트(12)와 모터(13)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가동너트(15)를 을라가거나 내려오도록 연동시킨다. 이와같이 가동너트(15)가 을라가거나 내려오는 위치 변경작용을 회전축(11)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그렇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11)의 회전 방향은 제어장치(14)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제어장치(14)에 장착된 원격 조정장치를 간단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차단봉(1)을 원격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가동너트(15)에는 슬라이드 가이드(9)를 연결시키는 두개의 핀(10, 16)이 구성되어 있다. 가동너트(15)에는 삼각형 키(19)가 작동될때 두개의 나사(17, 18)에 따라 분리될 수 있는 두개의핀(10, 16)이 장착되어 있다. 이 두개의 핀(10, 16)이 가동너트(15)에서 분리되면 차단봉(1)은 손으로 조작될수있다.
즉, 튜브(5)가 세워졌을때에는 가이드(8)와 슬라이드 가이드(9)는 튜브(5)가 수직 또는 수평위치가 될때까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이다. 베어링쉘(2l)안에 들어있는 베어링(20)의 밑바닥에 회전축(11)을 지지시킬으로써 회전축(11)은 아무 지장없이 작동될 수 있다. 스프링(22)은 베어링쉘(21)위 또는 베이스(3)상의 상응부위에서 지지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은 운동력의 증대기 기능을 담당하며, 특이한 곡선형태와 탄력은 세워지는 운동력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발명되어 있다.
작동장치는 스프링의 보조를 받아 차단봉(1)을 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제8도의 우하단 제11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두개의 핀(10, 16)의 단말에는 삼각형 열쇠(19)를 걸어 놓을 수 있다. 이 열쇠는 예를들면 소방관들에게 진입로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차단봉(1)을 손으로 조작할때 쓰인다. 회전축(11)에는 나사(24)가 형성되어 있고 가동너트(15)에는 연결 나사(25)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튜브(5)를 움직이게 하면서 회전축(11)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가동너트(15)가 을라가기도 하고 내려오기도 한다. 제9도는 스프링(22)이 압력을 받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차단봉(1)의 위치는제3도에서 볼 수 있는 위치와 같은 상태의 위치이다.
차단봉(1)이나 튜브(5)가 각각 눕혀질때 스프링(22)이 제8도가 도시하고 있는 위치에 을때까지 가동너트(15)가 스프링(22)을 다시 누르게 된다. 가이드(8)와 슬라이드 가이드(9)의 특수한 설치 상태를 명백히 하기 위하여 제10도는 제2도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서로 결합되도록 설계된 두 경사면은 베이스(3)의 경사면(26)과 튜브(5)의 경사면(27)으로서 핀치포인트의 발생을 확실히 예방하는 역할을 하는 베이스의 후면벽(30)이 베이스(3)의 경사면(26)과 함께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로 인하여 핀치포인트가 방지된다.나아가서 베이스(3)의 분리선(28)과 가이드(8)의 분리선(29) 역시 핀치포인트를 방지한다. 경사면(26, 27)과분리선(28, 29)은 말하자면 접촉면(36, 37, 38)들과 전향 접촉되면서 이들이 서로 잡아 다니거나 얽히더라도 부품들이 서로 끼이지 않도록 해준다. 슬라이드 가이드(9)는 튼튼한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튜브(5)가 안전한 안내기능을 하도록 원활한 운동을 하여 가동너트(15)의 작동력을 슬라이드 가이드(9) 및 차단봉(1)에 연동시켜 준다. 이와같이 형성된 공동관(31) 즉, 슬라이드 가이드(9)는 전술한 바와같이 힌지(32)를 통하여 가이드(8)와 힌지 결합되어 튜브(5)의 모든 벽면이나 튜브(5)의 표면(34, 35)과 언제나 평행을 이루면서 공동관(31)의 벽면부들의 작동을 확실하게 해준다. 구멍(33)의 벽면 방향은 튜브(5)의 표면(34, 35)과 평행을 이룬다. 접촉면(36)(37)(38)들은 튜브(5)의 내부 공간(39) 방향에서 서로 끼이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향 접촉된다는 점은 전술했다. 슬라이드 가이드(9)의 상단면(40)과 하단면(41)은 밀봉장치(42)와 꼭들어맞아서 언제나 물이 침투하지 못하게 한다. 이것은 제1도에 도시되고 있다.
제12도는 접근하는 차중에서 원격 조정장치로 차단봉(1)을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차단봉(1)안에서 헤드(56)의 부근에 안전장치(58)의 추가적 전송장치와 신호 수신장치(57)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들 장치는 도플러 효과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같은 통신장치는 레이다 감지장치와 초음파장치 또는 적당한 광학 전자장치로써도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것은 차량이 그 위를 통과할때는 장애를 받으며 수신기로 청취되고, 신호 수신장치를 차단하거나 스위치를 꺼버리는 역할을 맡는다.
그렇기 때문에 차단봉(1)의 위쪽에 차량이 위치할 때에는 신호 수신장치(57)는 응답할 수가 없으며 작동장치를 작동시킬 수가 없게 된다. 그 차량이 주차 위치를 벗어나면 감시 구역은 장애상태를 벗어나고 신호수신장치가 다시 작동됨으로써 작동장치 및 모터를 다시 구동시켜 차단봉(1)을 일으켜 세울 수 있게 된다.안테나(63)와 부속 확성기(64)는 그 자체로써 자동수신기능 또는 자동 스위치 폐쇄기능이 있는데 이 장치에서 차단봉(l)이 눕혀졌을때에는 차단봉헤드(56)에 장착되어 있는 접촉패드(61)가 안테나(63)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촉패드(61)를 도로 표면에서 차단봉(1)의 받침장치(61) 구실을 하도록 구성한 것은 유용한 조치이다.
제13도는 차량(60)이 그 위를 통과할 때에는 신호 수신장치(57)가 차단되도록 하는 지하 유도루프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때에는 신호 수신장치(57)는 작동될 수 없다. 그 차량이 주차 위치 또는 특정 도로 표면(2)을 이탈하면 유도루프(62)는 제2의 작동을 하여 신호 수신장치(57)가 응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13도는이와같은 매설된 케이블 루프(62)위쪽에 차량이 주차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단계별 전자식 제어방식 기능을 사용하여 안전장치(58)를 또 하나의 방식으로 작동케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것은 전자식 제어장치로 부터의 송신신호가 방향을 번갈아서 반대 방향으로 바꾸게 하는 방법이다. 또한 차단봉에 금속탐지기를 장착하여 차단봉이 전부든 일부든 차량에 의하여 덮힌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금속탐지기가 신호 수신장치로 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끝으로 전송장치를 온, 오프 스위치에 연결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안전장치를 사용케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에서는 다음 순차 단계로 스위치가 바뀌기 전에 같은 신호를 두세번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 전송장치를 잠그거나 차단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것은 개인별 주차공간에 해당차량이 주차 장소를 이탈하면 전송장치가 차단되고 차량이 그 자리에 돌아오면 전송장치의 기능이 회복되도록하는 방법이다. 또는 주차 공간 별로 차량의 자체 하중으로 작동되는 스위치 장치를 하여 그 주차 공간이비면 전송장치가 차단되고 돌아오면 다시 작동되게 하는 방법도 있다. 무선신호장치에 장착된 전송장치가 극성광을 발생시켜서 극성광이 제어장치에 대하여 작동될 때에만 무선신호가 신호를 연결하도록 하는 방법또한 가능하다. 안전태그를 사용하는 것은 소매상점에서의 방법수단과 아주 유사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태그는 통행 차량(60)의 범퍼밑에 붙이고 차단봉의 베이스에 장착된 신호 수신장치(57)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절차에서 목적 차량이 확인되면 신호 수신장치를 차단하게 되는데, 태그에는 특수 합금으로 만든 금속박을 넣어 특정 차량에 대하여서는 반응신호가 유도되도록 한다.
이 경우의 장점은 전송장치에 의해서 필요할 때마다 신호 수신장치(57)가 작동될 수 있다는 점으로 이것은 최소한 태그가 붙어있는 차량(60)에 대해서는 차단봉(1)이 세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4, 15도는차량 도난 방지 수단 역할을 하는 추가적인 안전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를 위해 수평 힌지 역할을 하는 힌지(4)외에 차단봉(1)에 맞추어 제2의 수직 힌지(66)을 장착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제15도에서 불 수 있는 바와같이 수평 힌지는 차량(도면에는 나타나있지 않음)의진행 방향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2힌지(4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다. 제14도에서 도로 표면(2)이나 주차 공간(67)이 사용되기 전에는 차단봉(1)은 도시된 위치에 있다. 허가받은 차량(60)이주차 장소에 도착하면, 차단봉(1)내에 장착되어 있는 작동장치는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전송장치로 원격 조정되어 힌지(4) 또는 상용 작동축이 작동되면서 도로 표면을 향해 차단봉(1)이 낮추어지도록 해준다.
차단봉(1)이 일단 도로 표면 위치에 도달하면 작동장치는 정지되고 힌지(66) 또는 상응축과 결합되어 있는 회전 작동 장치가 작동되어,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단봉이 횡단 위치로 부터 종단(수직)위치로 회전된다.
차단봉(1)이 종단 위치로 부터 횡단 위치로 복귀 회전한 주차장(67)의 해당 공간에는 차량(60)이 들어갈수 있게 되는데 차단봉(1)의 이러한 작용은 회전 작동장치가 목적 위치로 갔다가 힌지(4) 또는 상응축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장치에 연결되어 차단봉(1)을 다시 한번 수직 위치로 복귀 회전하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제15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차단봉(1)은 중앙으로 부터 약간 벗어나서 긴급한 경우에는 한편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특히 수평 위치의 차단봉(1)이 언제나 차량(60)밑에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확보해줄 수 있도록 해준다. 측면 벽체등이 주차 공간(67)의 경계선으로 이용되는데 이들 측면 벽체등은 차량이 주차장을 가로 질러 주차하는 행위도 방지해 준다.

Claims (20)

  1. 보호구역에 출입하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키 위하여 사용되는 차단봉으로서, 보호구역의 지면에 형성된 베이스(3)와, 상기 베이스(3)에 연결되어 상, 하, 좌, 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튜브(5)와, 상기 튜브(5)가 상, 하, 좌, 우로 회전하도록 베이스(3)와 튜브(5)를 연결하는 힌지(4)와, 상기 튜브(5)내에 장착되어 모터(l3)로 작동되는 회전축(11)과, 상기 회전축(1)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가동너트(15)와, 상기 가동너트(15)를 튜브(5)내에 부착하여 상기 회전축(11)의 회전과 가동너트(15)에 의하여 튜브(5)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고정식 차단봉.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11)은 래치모양의 브라컷(45)을 통하여 베이스(3)와 연결된 하부조인트(6)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11)에 결합되어 있는 가동너트(l5)는 튜브(5)내에서 튜브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된 차단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조인트(7)는 튜브(5)의 내부 분기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차단봉.
  4. 제3항에 있어서, 모터(13)와 회전축(11)은 튜브(5)의 내벽에 형성한 홀더(46)에 형성된 홈(47)을 횡단 작동할 수 있도록 하부조인트(6)와 가동너트(15)의 사이에서 지지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5. 제2항에 있어서, 브라컷(45)은 권총 손잡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조인트(6)는 그립의 외부 단말(48)에 형성되어 있으며, 튜브(5)의 내면벽은 그립의 내부 단말(49)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6. 제2항에 있어서, 튜브(5)에는 베이스(3) 내부로 연장된 래치(5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 하부조인트(6)(7)의 사이에서 실린더록(44)과 상응되도록 배열된 구멍(52)에 이 래치(51)가 결합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7.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11)은 튜브(5)의 상부내에 장착되고, 가동너트(15)는 슬라이드 가이드(9)의구멍(33)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이드(9)와 함께 미끄러질 수 있도록 튜브(5)위에서 지지되고, 가이드(8)는움직일 수 있도록 베이스(3)쪽의 단말부위는 상부조인트(7)와 관절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8. 제7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이드(9)는 튜브(5)를 둘러싸고 있는 튜브형으로서, 힌지(4)를 지나 가이드(8)와, 그리고 가동너트(15)에 형성된 착탈식 핀(10, 16)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9. 제8항에 있어서, 핀(10, 16)은 튜브(5)에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3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10. 제7항에 있어서, 회전축(11)은 베어링(20)을 통하여 상, 하부조인트(7, 6)위에서 지지되어 있으며, 베어링(20)과 가동너트(15)사이에는 관련된 운동력을 증대시켜주는 스프링(22)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11. 제10항에 있어서, 스프링(22)은 특별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차단장치를 세우는데 필요한 운동력 사이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탄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12. 제1항에 있어서, 튜브(5)의 헤드(56)부위내의 가동너트(l5) 혹은 회전축(11)의 윗쪽에는 모터(13)와 협동작용하도록 형성된 신호 수신장치(57)를 차중에 있는 통신자가 그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튜브(5)를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13. 제12항에 있어서, 튜브(5)의 헤드(56) 또는 신호 수신장치(57)에는 각각 마이크로 웨이브전송기 또는 수신기가 결합되어 있으며, 도플러 효과를 원리로 하는 이들 수신기가 도플러 효과가 탐지된 경우에는 차단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14.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웨이브 전송기와 수신기는 도로상의 접점에 반동되는 접촉패드(61)로써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15. 제12항에 있어서, 도로의 한쪽 차바퀴 자리에는 수신장치(57)를 차단할 수 있도록 연결된 압력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16. 제15항에 있어서, 차단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면서 태그 시스템의 한 부품인 전송장치는 신호 수신장치(57)와 결합되고, 집약적 금속대를 형성하고 있으면서 전송장치와 통신되는 태그는 차량에 부착할 수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17. 제12항에 있어서, 신호 수신장치(57)는 도로에 매설하여 제어장치(14)와 연결되면서, 유도루프(62)를 통하여 차단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18. 제1항에 있어서, 상부조인트(7)와 하부조인트(6)에 추가하여 튜브(5)의 축신에 대하여 직각으로 힌지형의 조인트를 장착하여 그 내부에서 작동장치에 추가하여 회동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19. 제18항에 있어서, 각 수평형 조인트는 차량의 진행 방향쪽으로 지지되어 있고, 모터(13)와 작동장치는 교대로 작동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튜브(5)가 세워지고 모터(13)가 작동되도록 스위치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다른 작동장치는 언제나 잠그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20. 제1항에 있어서, 청각 또는 시각 신호장치가 튜브(5)내에 결합되어 있고 이 신호장치는 튜브(5)의 측면, 베이스(3)의 표면 및 모터(13)에 배열된 감지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KR1019880701626A 1987-04-09 1987-10-02 비 고정식 차단봉 KR920006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8705304U DE8705304U1 (ko) 1987-04-09 1987-04-09
DEG8705304.7 1987-04-09
DE19873712019 DE3712019A1 (de) 1987-04-09 1987-04-09 Klemmstellenfreier absperrpfosten
DEP3712019.0 1987-04-09
PCT/DE1987/000448 WO1988008056A1 (en) 1987-04-09 1987-10-02 Non-clamping barrier pos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0722A KR890700722A (ko) 1989-04-27
KR920006426B1 true KR920006426B1 (ko) 1992-08-06

Family

ID=2585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1626A KR920006426B1 (ko) 1987-04-09 1987-10-02 비 고정식 차단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34097A (ko)
EP (1) EP0309488B1 (ko)
JP (1) JPH01502836A (ko)
KR (1) KR920006426B1 (ko)
AT (1) ATE66031T1 (ko)
CA (1) CA1299000C (ko)
DE (1) DE3772055D1 (ko)
WO (1) WO1988008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8215A (en) * 1989-02-16 1993-09-28 Manfred Fladung Gmbh Road barricade
FR2654125B1 (fr) * 1989-11-03 1994-04-01 Tubauto Borne de stationnement rabattable.
GB9008596D0 (en) * 1990-04-17 1990-06-13 Lukes Eng Co Ltd Parking post
EP0565128A1 (de) * 1992-04-10 1993-10-13 Marantec Antriebs- Und Steuerungstechnik Gmbh & Co., Produktions Kg Sperrpfosten
US5228237A (en) * 1992-07-28 1993-07-20 Nasatka Ralph G Vehicle barrier
GB9224887D0 (en) * 1992-11-27 1993-01-13 Fischer George Castings Ltd Vehicle barrier
US5482397A (en) * 1994-02-18 1996-01-09 Eagle Research Group, Inc. Tire deflator and method of deflating a tire
GB2339819A (en) * 1998-07-21 2000-02-09 Anthony Boswell A parking guide device
US6119399A (en) * 1999-02-09 2000-09-19 Mccain; Roy L. Channel guided parallelogram gate
US6150958A (en) * 1999-06-17 2000-11-21 Criminalistics, Inc. Remote controlled parking barrier apparatus
US6179517B1 (en) * 1999-07-22 2001-01-30 Kim L. Nelson Traffic access control system
DE10237644B4 (de) * 2002-08-13 2006-01-19 Zf Sachs Ag Federträger mit einem höhenverstellbaren Federteller
US20050095065A1 (en) * 2003-10-29 2005-05-05 Goff Leroy Illuminated work zone barrier
US7101112B2 (en) * 2004-04-27 2006-09-05 Robert Burns Security barrier
US7114874B2 (en) * 2004-04-27 2006-10-03 Robert Burns Security barrier
US7699558B2 (en) * 2004-07-26 2010-04-20 Rsa Protective Technologies, Llc Anti-ram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7264417B1 (en) * 2006-03-23 2007-09-04 Nasatka Barrier, Inc. Vehicle barrier system, and related method
US20070241894A1 (en) * 2006-04-18 2007-10-18 Thrasher Jim A Security system for mass transit vehicles
FR2909406B1 (fr) * 2006-12-01 2009-08-14 Michel Guy Rene Gelin Actionneur integre dans un battant
EP1930535B1 (fr) * 2006-12-01 2010-11-17 Michel Gelin Actionneur intégré dans un battant
WO2010132616A1 (en) 2009-05-12 2010-11-18 Rsa Protective Technologies, Llc Surface mount vehicle anti-ram security systems
US8618906B2 (en) * 2010-08-18 2013-12-31 Ahmed I.S.I. Al-Jafar Remote control parking barrier
US20120210646A1 (en) * 2011-02-23 2012-08-23 Invensys Rail Corporation Gate retraction device
US8794866B2 (en) 2012-04-25 2014-08-05 Taras Petryshyn Collapsible barricade apparatus
SI24113A (sl) 2012-06-14 2013-12-31 Jaka Fortuna Prekucni uliäśni koliäśek
US9272721B2 (en) 2013-04-18 2016-03-01 Siemens Industry, Inc. User configurable horizontal brake feature for railroad crossing gates
US11361662B2 (en) * 2018-03-15 2022-06-14 Saudi Arabian Oil Company Parking indicator comprising indicator retracting mechanism
CN108360870B (zh) * 2018-03-22 2019-11-08 鲁苑凯 伸缩式路边停车位
CN110374385B (zh) * 2019-07-24 2020-11-24 江西虔研科技咨询有限公司 停车阻挡系统
IT201900020592A1 (it) * 2019-11-08 2021-05-08 Alberto Mazza Sistema modulare di barriere fisse ed apribili per la gestione della folla in manifestazioni aperte al pubblico
US11939807B2 (en) * 2020-06-30 2024-03-26 AutoGate, Inc. Vertical pivoting gate op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5032C (ko) *
US3118352A (en) * 1964-01-21 Controllably extendable and retractable
FR662983A (fr) * 1928-02-11 1929-08-14 Engin porte-amarres
US3086430A (en) * 1959-01-28 1963-04-23 David T Emmel Traffic control equipment
US3017146A (en) * 1959-10-26 1962-01-16 Eleanor I Wagner Jet engine blast fence
US3061960A (en) * 1961-02-23 1962-11-06 Rolland O Dull Reserved parking post
US3202414A (en) * 1962-01-15 1965-08-24 Gen Motors Corp Vehicle door actuator
US3141639A (en) * 1962-04-10 1964-07-21 Mark Falk Retractable blast deflector and acoustic barrier
US3398484A (en) * 1965-06-04 1968-08-27 Katsumura Toru Car door actuator
FR1469470A (fr) * 1965-06-19 1967-02-17 Poteau escamotable pour place de parking automobile
CH564652A5 (en) * 1970-03-05 1975-07-31 Moret Rolland Temporary barrier ring for parking spaces - has anchor with slotted guides for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US3963363A (en) * 1974-03-04 1976-06-15 Roper David H Traffic control device
DE7437898U (de) * 1974-11-13 1975-03-20 Uekmann H Parkplatzsperre
FR2312634A1 (fr) * 1975-05-26 1976-12-24 Losserand Madoux Guy Dispositif pour les deplacements angulaires controles de portes et portails a deux vantaux
DE2819625A1 (de) * 1978-05-05 1979-11-08 Martin Wiegand Parkwaechter
US4333268A (en) * 1980-03-04 1982-06-08 Dumbeck Robert F Energy saving electrically actuated barrier gate control means operable from solar energy
DE3141701A1 (de) * 1981-10-21 1983-05-05 Festo-Maschinenfabrik Gottlieb Stoll, 7300 Esslingen Vorrichtung zum reservieren eines parkplatzes mit einer zwischen einer die zufahrt sperrenden sperrstellung und einer die zufahrt freigebenden offenstellung gesteuert bewegbaren absperreinrichtung
DE3219657A1 (de) * 1982-05-26 1983-12-08 Julius Cronenberg Ohg, 5760 Arnsberg Umlegbarer sperrpfosten fuer parkplaetze
DE3303451A1 (de) * 1983-02-02 1984-08-02 Heinz 8060 Dachau Dalen Versenkbarer absperrpfosten
DE3514626A1 (de) * 1984-12-12 1986-06-19 Armo Gesellschaft für Bauelemente, Bau- und Wohnbedarf mbH, 4350 Recklinghausen Absperrpfosten fuer parkplaetze und durchfahrten
DE8705304U1 (ko) * 1987-04-09 1987-07-16 Armo Gesellschaft Fuer Bauelemente, Bau- Und Wohnbedarf Mbh, 4350 Recklinghaus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34097A (en) 1990-06-19
CA1299000C (en) 1992-04-21
WO1988008056A1 (en) 1988-10-20
KR890700722A (ko) 1989-04-27
EP0309488B1 (de) 1991-08-07
JPH01502836A (ja) 1989-09-28
ATE66031T1 (de) 1991-08-15
DE3772055D1 (de) 1991-09-12
EP0309488A1 (de) 198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426B1 (ko) 비 고정식 차단봉
US7075427B1 (en) Traffic warning system
US5466088A (en) Vehicle barrier having a pivotal vehicle barricade and a cooperating pivotal signal barrier
US4713910A (en) Barrier post for parking lots and passageways
US3086430A (en) Traffic control equipment
US5735492A (en) Railroad crossing traffic war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e
US10612200B2 (en) Ground-based vehicle barrier system
US5954299A (en) Railroad crossing traffic war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e
US20040088923A1 (en) Railroad grade crossing assembly
US4320380A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safety mechanism for highway exit ramp
US5551796A (en) Moveable barrier
US5711110A (en) Vehicle parking barrier
US7356966B2 (en) Railroad grade crossing assembly
US20070126598A1 (en) Portable boom gate apparatus
US5441359A (en) Collapsible vehicular barrier
US4916859A (en) Assault-resistant gate
WO2004099534A2 (en) Retractable security barricade
US48946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rving parking spaces and/or security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GB2282838A (en) Retractable traffic control barrier
AU730512B2 (en) Railroad traffic war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EP2397387A1 (en) Barrier installation, barrier and method therefor
KR102602535B1 (ko)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US20020162276A1 (en) Anti car-theft device
KR200386339Y1 (ko)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