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702B1 - Cctv용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Cctv용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702B1
KR101921702B1 KR1020180110642A KR20180110642A KR101921702B1 KR 101921702 B1 KR101921702 B1 KR 101921702B1 KR 1020180110642 A KR1020180110642 A KR 1020180110642A KR 20180110642 A KR20180110642 A KR 20180110642A KR 101921702 B1 KR101921702 B1 KR 10192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tv
fixing
moving
cab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춘
Original Assignee
최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춘 filed Critical 최영춘
Priority to KR102018011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용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환경을 감시하는 CCTV(100)를 자유롭게 승하강시켜 높이조절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CCTV용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CTV용 승하강 장치{LIFTING DEVICE FOR CCTV}
본 발명은 CCTV용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환경을 감시하는 CCTV를 자유롭게 승하강시켜 높이조절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CCTV용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는 통칭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말하며, 특정 건축물이나 시설물에서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유선 또는 특수 무선 전송로를 이용해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 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용 등 용도가 다양하다.
여기서 CCTV 설치를 통해 범죄 예방 및 억제효과와 범인 발견 및 체포의 용이성,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 경찰인력 보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일반 시민들의 초상권 및 사생활 침해 문제 등도 함께 거론된다.
이러한 CCTV는 주변환경을 좀더 넓은 시야로 도로, 골목, 학교주변 등과 같은 특정 지역을 정확하게 관찰, 감지 또는 화상, 또는 소리데이터를 촬영, 녹음,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 조작이 어렵도록 손으로 쉽게 닿기 어려운 상당한 높이(3~20m)에 설치된다.
따라서 CCTV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해 고가사다리, 사다리차 등을 이용해야 하며, 고가사다리의 경우 위험요소가 많아 작업자들의 작업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고 사다리차는 시관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CCTV는 골목, 차도 등을 감시하기 위해 설치됨에 따라 점검 및 유지보수 시 골목은 차량의 통행이 불가능하고 차도 및 터널은 차선을 막고 작업이 이루어져 사고발생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 "승강식 지주대"는 승하강 브라켓을 윈치부 조작에 의해 지주대 상에서 쉽게 승/하강시킴으로써, 승하강 브라켓에 의하여 지지되는 CCTV나 조명과 같은 유니트의 유지 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지주대 및 승하강브라켓측에 결합되는 케이블 전선관의 양끝단을 회동이 가능한 스러스트 베어링 구조의 케이블 전환장치로 형성함으로써, CCTV 카메라나 조명과 같은 승강 대상물이 상기 승강레일형 보조지주를 따라 상하단을 운동할 때 케이블 전선관내의 케이블들이 함께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케이블 전환장치를 구비하여 케이블이 마찰되거나 꼬이는 것이 방지되며, 지주대의 중간부 이상, 즉 지주대 상측구간에서 케이블이 삽입 가이드되는 케이블 전선관 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지주대 상측에서의 강풍발생으로 인한 케이블의 흔들림 및 단락문제를 예방하고 있다.
하지만, 로브가 노후되어 끈어지거나 외부환경에 의해 절단되면, 승하강브라켓이 추락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승하강브라켓의 승하강 및 외부환경에 의해 절단되어 CCTV카메라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1382호(2009.04.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CCTV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편리한 조작을 통해 작업자는 CCTV를 하강시켜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감시 및 촬영시 승강시켜 높은 위치에서 특정지역을 관할 수 있는 CCTV용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후 및 외부환경에 의해 파손되어도 CCTV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CCTV용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공급 및 촬영내용을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환경에 의해 손상 및 절단 되는 것을 방지하고, CCTV의 승하강시 내부에서 정렬되어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CCTV용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매설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외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면 중앙에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양측면에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에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제1롤러가 구비된 이동부; 상기 지주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의 승하강을 조작하는 조작부;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고 CCTV가 결합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프레임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의 하강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가 포함되되,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이동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상부면이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하부면과 상기 이동부의 하부면을 연결하여 탄성수축을 통해 상기 몸체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이동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주의 상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로 배치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권치되며, 상기 지주의 하부에 설치된 권취부재와, 상기 권취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을 조작하는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이동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이동부의 승강시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부재가 포함되되, 상기 삽입부재에는 충격완화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고 끝단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을 압박하는 돌출돌기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고정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CCTV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CCTV용 승하강 장치에 따르면, CCTV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편리한 조작을 통해 작업자는 CCTV를 하강시켜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감시 및 촬영시 승강시켜 높은 위치에서 특정지역을 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후 및 외부환경에 의해 와이어가 끊어저 추락할 때 CCTV가 추락방지부재에 의해 승강프레임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공급 및 촬영내용을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환경에 의해 손상 및 절단 되는 것을 방지하고, CCTV의 승하강시 내부에서 정렬되어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프레임에 삽입된 케이블은 보호부에 의해 노출되지 않아 외부에서 파손 및 손상시킬 수 없으며, CCTV의 승하강시 개방 및 폐쇄되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CTV의 승하강시 케이블은 상기 삽입홈 내에 정렬 되어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CTV용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삽입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CTV의 승하강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CCTV용 승하강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CTV용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삽입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보호커버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CTV(100)의 승하강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CTV용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환경을 감시하는 CCTV를 자유롭게 승하강시켜 높이조절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CCTV용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점검 및 유지보수 및 설치높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주(10), 승강프레임(20), 이동부(30), 조작부(40) 및 고정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매설되며, 지면에서 수직으로 상승한다.
상기 승강프레임(20)은 상기 지주(10)의 외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면 중앙에는 케이블(110)이 삽입되는 삽입홈(21)과 양측면에 가이드레일(2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프레임(20)은 상기 지주(10)의 외주면에 별도의 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지주(10)의 길이가 긴 경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상기 승강프레임(20)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2)은 "H"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홈(21)을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22)의 단면형상은 좌/우측이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브라켓에 연결되어 "H"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승강프레임(20)은 좌/우측은 중앙 부분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삽입홈(21)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2)에 설치되는 제1롤러(3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30)의 후면에는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삽입되는 끼움홈부(32)가 형성되며, 상기 끼옴홈부(32)의 양쪽 내측면에 제1롤러(31)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지주(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30)의 승하강을 조작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40)는 외부에서 조작을 통해 상기 이동부(30)의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와이어(41), 권취부재(42) 및 레버(43)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41)는 상기 이동부(3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주(10)의 상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로 배치된다.
상기 권취부재(42)는 상기 와이어(41)가 권치되며, 상기 지주(10)의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41)의 타측이 상기 지주(10)의 하부에서 상기 권취부재(42)에 권취되도록 배치한다.
상기 레버(43)는 상기 권취부재(42)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41)를 권취 또는 권출을 조작한다.
이를 통해 상기 레버(43)를 통해 조작되는 상기 권취부재(42)에서 상기 와이어(41)는 권취 또는 권출이 이루어져 상기 이동부(30)의 승하강을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41)를 상기 이동부(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10)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와이어(4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가 형성된 마감커버(11)가 결합된다.
이대, 상기 가이드부(12)는 상기 마감커버(1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부(12)에는 제2롤러(13)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30)에서 상승되는 상기 와이어(41)를 상기 지주(10)의 내부를 향해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이동부(30)에 결합되고 CCTV(10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5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이동부(30)에 결합되고 끝단에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110)을 압박하는 돌출돌기(51)가 형성되며, 타측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고정판(52)에 상기 CCTV(1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부(50)는 일측 끝단이 돌출된 상기 돌출돌기(51)가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부(30)의 하부 또는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부(50)가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110)은 상기 고정부(50)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5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CCTV(1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110)은 상기 고정부(5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관통공(53)을 통해 타측으로 노출시켜 상기 케이블(110)의 손상 및 절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승하강 시 상기 케이블(110)이 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3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프레임(20) 및 상기 이동부(30)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고정공(23)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30)에는 상기 고정공(23)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30)의 하강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33)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추락방지부(33)는 상기 고정공(23)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30)의 하강을 방지하는 고정축(34), 몸체(35) 및 탄성부재(36)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축(34)은 상기 이동부(30)의 내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축(34)은 상기 이동부(3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35)가 회동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위치레 형성된다.
상기 몸체(35)는 상기 고정축(3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상부면이 상기 조작부(40)와 결합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고정공(23)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5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35)의 상면은 상기 이동부(3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회동을 억제하여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110)은 상기 몸체(35)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35)에 의해 상기 이동부(30)가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30)에는 상기 삽입돌기(35a)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와이어(41)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6)는 상기 몸체(35)의 일측 하부면과 상기 이동부(30)의 하부면을 연결하여 탄성수축을 통해 상기 몸체(35)를 일방향으로 회동킨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6)는 상기 몸체(35)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41)가 이탈되면 탄성수축에 의해 상기 몸체(3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삽입돌기(35a)를 상기 이동부의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고정공(23)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상단에는 상기 이동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6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재(60)는 상기 와이어(41)와 간섭을 받지 않으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이탈방지부재(60)는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20)에 결합되며 타측 저면이 상기 이동부(30)에 접촉되어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와이어(41)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절개홈(6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3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이동부(3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재(6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62)과, 상기 이동부(30)의 승강시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부재(6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63)에는 충격완화부재(64)가 결합되며, 상기 충격완화부재(64)는 코일스프링, 고무패킹 등의 탄성을 통해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삽입부재(63)는 상기 이동부(30)의 승강시 상기 이탈방지부재재(60)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예방하고 상기 이동부(3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삽입홈(21)에는 삽입된 상기 케이블(110)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24)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돌기(24)는 상기 삽입홈(21)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삽입된 상기 케이블(110)을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30)의 승강시 상기 고정부(50)에 형성된 상기 돌출돌기(51)에 의해 상기 케이블(110)이 상기 삽입홈(21)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고정돌기(24)에 의해 고정되어 임의로 상기 삽입홈(2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30)의 하강시 상기 케이블(110)은 상부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고정돌기(24)에서 이탈하여 상기 케이블(110)이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예방하고, 상기 케이블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1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부(70)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보호부(70)는 보호판(71), 수납부(72), 끼움부재(7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판(71)은 상기 삽입홈(21)의 개방된 부분에 인접하도록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5)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25)에 탈착 또는 탈거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71)은 접철식 또는 플레시블하게 이루어져 권취 또는 접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부(72)은 상기 이동부(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20)에서 탈거된 상기 보호판(71)을 수납한다.
이때 상기 수납부(72)는 상기 보호판(71)을 권취 또는 접어서 수납이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재(73)는 상기 고정부(50) 또는 상기 이동부(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호판(71)을 압박하여 상기 끼움홈(25)에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70)는 승하강 되는 상기 이동부(30)와 같이 이동하며, 승강시 상기 보호판(71)은 상기 끼움부재(73)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20)에 탈착시키고, 하강시 상기 보호판(71)은 상기 돌출돌기(51)에 의해 탈거되어 상기 수납부(72)에 보관한다.
다음으로는 CCTV(100)의 승하강 및 추락방지 상태에 대한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CTV(100) 승하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CCTV(100)가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강을 위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조작부(40)의 상기 레버(43)를 조작하여 권취된 상기 와이어(41)를 권출시키면, 상기 와이어(41)는 상기 지주의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와이어(41)가 풀리면서 상기 가이드부(12)를 통해 방향이 변경되어 느슨해지면, 상기 이동부(30)의 하중에 의해 하강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30)와 같이 상기 고정부(50)가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110)은 상기 이동부(30)의 하강에 의해 상부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하강이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돌기(24)에 의해 상기 삽입홈(21) 내에 고정된 상기 케이블(110)은 상기 이동부(30)의 하강시 일정량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서 상기 고정돌기(24)에서 이탈된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블(110)은 상기 이동부(30)의 하강시 상기 케이블(110)이 느슨해져 상기 삽입홈(2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블(110)을 깔금하게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30)의 하강시 상기 보호판(71)은 상기 고정돌기(24)에 의해 상기 끼움홈(25)에서 이탈되어 상기 수납부(72) 내부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작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30)의 하강을 통해 높이가 낮아진 상기 CCTV(100)는 작업자가 편이하게 점검, 유지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상기 CCTV(100)와 연결된 상기 케이블(11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파손, 절단 등의 문제를 예방하고 용이하게 하갈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30)의 승강시 상기 레버(43)를 조작하여 권출된 상기 와이어(41)를 상기 권취부재(42)에 권취시키면, 상기 지주(10)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부(30)를 승강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부(30)와 같이 상기 고정부(50)가 승강하여 상기 CCTV(100)를 촬영이 필요한 높이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110)은 상기 이동부(30)의 승강시 상기 돌출돌기(51)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돌기(24)에 의해 고정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케이블(110)이 엉키거나 상기 이동부(30)와 접촉되어 절단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30)의 승강시 상기 보호판(71)은 상기 수납부(72)에서 인출되어 상기 끼움부재(73)에 의해 상기 끼움홈(25)에 결합된다.
이를 상기 삽입홈(21)의 개방된 부분은 상기 보호판(71)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케이블(110)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30)의 승강을 통해 원하는 높이로 이동하여 주변환경 및 특정지역을 촬영 및 감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지주 11: 마감커버
12: 가이드부 13: 제2롤러
20: 승강프레임 21: 삽입홈
22: 가이드레일 23: 고정공
24: 고정돌기 25: 끼움홈
30: 이동부 31: 제1롤러
32: 끼움홈부 33: 추락방지부
34: 고정축 35: 몸체
35a: 삽입돌기 36: 탄성부재
40: 조작부 41: 와이어
42: 권취부재 43: 레버
50: 고정부 51: 돌출돌기
52: 고정판 53: 관통공
60: 이탈방지부 61: 절개홈
62: 삽입공 63: 삽입부재
64: 충격완화부재 70: 보호부
71: 보호판 72 수납부
73: 끼움부재 100: CCTV
110: 케이블

Claims (7)

  1. 지면에 매설되는 지주(10);
    상기 지주(10)의 외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면 중앙에는 케이블(110)이 삽입되는 삽입홈(21)과 양측면에 가이드레일(22)이 구비되고 일면에는 다수개의 고정공(23)이 형성된 승강프레임(20);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2)에 설치되는 제1롤러(3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공(23)에 삽입되어 하강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33)가 형성된 이동부(30);
    상기 지주(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30)의 승하강을 조작하는 조작부(40);
    상기 이동부(30)에 결합되고 CCTV(100)가 결합되는 고정부(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추락방지부(33)는,
    상기 이동부(30)의 내부에 결합되는 고정축(34)과,
    상기 고정축(3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상부면이 상기 조작부(40)와 결합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고정공(23)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5a)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35)의 일측 하부면과 상기 이동부(30)의 하부면을 연결하여 탄성수축을 통해 상기 몸체(35)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부재(3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승하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20)에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1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부(70)가 더 포함되되,
    상기 보호부(70)는 상기 삽입홈(21)의 개방된 부분에 인접하도록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5)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25)에 탈착되는 보호판(71)과 상기 이동부(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20)에서 탈거된 상기 보호판(71)을 수납하는 수납부(72)와 상기 고정부(50) 또는 상기 이동부(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호판(71)을 압박하여 상기 끼움홈(25)에 삽입하는 끼움부재(7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승하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이동부(3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주(10)의 상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로 배치된 와이어(41)와,
    상기 와이어(41)가 권치되며, 상기 지주(10)의 하부에 설치된 권취부재(42)와,
    상기 권취부재(42)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41)를 권취 또는 권출을 조작하는 레버(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승하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상단에는 상기 이동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승하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6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62)과,
    상기 이동부(30)의 승강시 상기 삽입공(62)에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부재(63)가 포함되되,
    상기 삽입부재(63)에는 탄성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완화부재(6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승하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이동부(30)에 결합되고 끝단에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110)을 압박하는 돌출돌기(5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CCTV(100)가 결합되는 고정판(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승하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10)은 상기 고정부(50)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5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CCTV(1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용 승하강 장치.
KR1020180110642A 2018-09-17 2018-09-17 Cctv용 승하강 장치 KR10192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642A KR101921702B1 (ko) 2018-09-17 2018-09-17 Cctv용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642A KR101921702B1 (ko) 2018-09-17 2018-09-17 Cctv용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702B1 true KR101921702B1 (ko) 2018-11-23

Family

ID=6456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642A KR101921702B1 (ko) 2018-09-17 2018-09-17 Cctv용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70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211B1 (ko) * 2019-05-31 2019-11-15 (주)태화시스템 카메라 승하강 장치
KR102093490B1 (ko) * 2019-11-06 2020-03-26 송정곤 카메라의 승하강을 구현하는 폴 시스템
KR102102629B1 (ko) * 2018-12-13 2020-04-22 주식회사 씨원 드론의 카메라를 이용한 cctv 관제시스템
CN111741197A (zh) * 2020-06-29 2020-10-02 成都柏阳林商贸有限公司 一种智能建筑安防器
CN111795271A (zh) * 2020-07-10 2020-10-20 重庆三峡学院 一种校园物联网用信息采集设备
KR102191526B1 (ko) * 2020-09-07 2020-12-15 김승진 터널용 cctv 회전식 승하강장치
KR102351784B1 (ko) * 2021-08-11 2022-01-17 주식회사 위츠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KR102442068B1 (ko) * 2022-02-18 2022-09-07 강재복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CN116906769A (zh) * 2023-09-07 2023-10-20 山东省煤田地质规划勘察研究院 一种无人值守的连续地质勘探观测站
CN116972302A (zh) * 2023-09-23 2023-10-31 湖南大唐电气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消防应急的机座、报警装置及照明疏散指向装置
KR102638944B1 (ko) * 2023-09-28 2024-02-21 송무상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516B1 (ko) * 2016-02-17 2016-07-11 주식회사 현승 Cctv용 조립식 폴
KR101647766B1 (ko) * 2016-03-25 2016-08-11 주식회사 릴테크 승강형 cctv 카메라 시스템
KR101701640B1 (ko) * 2015-10-13 2017-0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40B1 (ko) * 2015-10-13 2017-0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높이 조절장치
KR101638516B1 (ko) * 2016-02-17 2016-07-11 주식회사 현승 Cctv용 조립식 폴
KR101647766B1 (ko) * 2016-03-25 2016-08-11 주식회사 릴테크 승강형 cctv 카메라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629B1 (ko) * 2018-12-13 2020-04-22 주식회사 씨원 드론의 카메라를 이용한 cctv 관제시스템
KR102045211B1 (ko) * 2019-05-31 2019-11-15 (주)태화시스템 카메라 승하강 장치
KR102093490B1 (ko) * 2019-11-06 2020-03-26 송정곤 카메라의 승하강을 구현하는 폴 시스템
CN111741197A (zh) * 2020-06-29 2020-10-02 成都柏阳林商贸有限公司 一种智能建筑安防器
CN111795271A (zh) * 2020-07-10 2020-10-20 重庆三峡学院 一种校园物联网用信息采集设备
KR102191526B1 (ko) * 2020-09-07 2020-12-15 김승진 터널용 cctv 회전식 승하강장치
KR102351784B1 (ko) * 2021-08-11 2022-01-17 주식회사 위츠 Cctv용 높이 조절형 폴대
KR102442068B1 (ko) * 2022-02-18 2022-09-07 강재복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CN116906769A (zh) * 2023-09-07 2023-10-20 山东省煤田地质规划勘察研究院 一种无人值守的连续地质勘探观测站
CN116906769B (zh) * 2023-09-07 2024-01-30 山东省煤田地质规划勘察研究院 一种无人值守的连续地质勘探观测站
CN116972302A (zh) * 2023-09-23 2023-10-31 湖南大唐电气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消防应急的机座、报警装置及照明疏散指向装置
CN116972302B (zh) * 2023-09-23 2023-12-12 湖南大唐电气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消防应急的机座、报警装置及照明疏散指向装置
KR102638944B1 (ko) * 2023-09-28 2024-02-21 송무상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702B1 (ko) Cctv용 승하강 장치
JP6290311B2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KR101737375B1 (ko)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US11274948B2 (en) Remote facade inspection gantry
EP3489184A1 (en) Hoistway inspection device
KR101230711B1 (ko) 감시카메라 지주
KR20210008594A (ko) 스마트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317955B1 (ko) 드론운용 시스템
KR101056442B1 (ko) 씨씨티브이용 승강식 구조물
KR101074084B1 (ko) 씨씨티브이(cctv)용 승강식 구조물
KR200496750Y1 (ko) 전자기기 거치대
KR200485089Y1 (ko) 흔들림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곤돌라
JP6578837B2 (ja) 遠隔操作ロボットシステム
KR102595843B1 (ko) Cctv용 승강 장치
NL1011375C2 (nl) Inspectiebordes.
KR20210060206A (ko)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승강용 기지국 안테나 폴
JP7409801B2 (ja) 瓦礫内部調査装置
JP2019038695A (ja) 昇降路点検装置及び昇降路を点検する方法
KR101075581B1 (ko) 승하강식 볼라드 장치
KR200171319Y1 (ko) 소방용 고가 사다리 장치
KR102625159B1 (ko) 승강 안정성이 확보된 cctv 카메라 자동 리프트 장치
JP2829835B2 (ja) 防火シャッター装置
US11754132B2 (en) Safety brake for telescopic mast of several segments
KR102433173B1 (ko) 승하강 장치
KR200398665Y1 (ko) 수직벽체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