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843B1 - Cctv용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Cctv용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843B1
KR102595843B1 KR1020220031014A KR20220031014A KR102595843B1 KR 102595843 B1 KR102595843 B1 KR 102595843B1 KR 1020220031014 A KR1020220031014 A KR 1020220031014A KR 20220031014 A KR20220031014 A KR 20220031014A KR 102595843 B1 KR102595843 B1 KR 10259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guide rail
cctv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3708A (ko
Inventor
문수희
Original Assignee
문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희 filed Critical 문수희
Priority to KR102022003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843B1/ko
Publication of KR2023013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0Chain, belt, or friction drives, e.g. incorporating sheaves of fixed or vari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2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 B66D1/225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variable ratio or reversing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32Detent devices
    • B66D5/34Detent devices having la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승강 장치는, 지면에 고정되고, 일 면에 제1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지주,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고, 일 면에 CCTV가 고정된 이동 대차, 및 지주의 하부에 결합되고, 이동 대차를 동력전달부재를 이용하여 승하강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기어부는, 탈부착식 손잡이와 결합되는 제1 축에 고정된 제1 기어, 제2 축의 일 단에 고정되고, 제1 기어와 맞물린 제2 기어, 제2 축의 타 단에 고정되고, 제2 기어와 대향되게 배치된 제3 기어, 및 제3 축에 고정되고, 제3 기어와 맞물린 제4 기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CCTV용 승강 장치{LIFTING DEVICE FOR CCTV}
본 발명은 CCTV용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는, 특정 건축물이나 시설물에서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유선 또는 특수 무선 전송로를 이용해 영상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 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용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CCTV용 카메라는, 보안상 관리자가 아닌 외부인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대체로 높은 곳에 설치된다. 따라서 CCTV용 카메라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해 고가사다리, 사다리차 등을 이용해야 하는데, 고가사다리의 경우 위험요소가 많아 작업자들의 작업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고 사다리차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CCTV용 카메라를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점검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CCTV용 승강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도로 및 철도 등 교통 관제용 감시 목적으로 이용되는 CCTV용 승강 장치는, 실내가 아닌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가 통상적이며, 고장 방지 차원에서 전자식 장치가 아닌 기계식 장치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기계식 장치에 있어서, CCTV용 카메라를 승하강시킬 때, 관리자의 조작이 보다 용이하고, 관리자의 실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리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CCTV용 카메라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CCTV용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관리자의 실수에 의해 CCTV용 카메라가 급격히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CCTV용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바람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촬영 중인 CCTV용 카메라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CCTV용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승강 장치는, 지면에 고정되고, 일 면에 제1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지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고, 일 면에 CCTV가 고정된 이동 대차, 및 상기 지주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 대차를 동력전달부재를 이용하여 승하강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부는, 탈부착식 손잡이와 결합되는 제1 축에 고정된 제1 기어, 제2 축의 일 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제2 기어, 상기 제2 축의 타 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기어와 대향되게 배치된 제3 기어, 및 제3 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린 제4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결합 형태는 감속 기어이고, 상기 제3 기어와 상기 제4 기어의 결합 형태는 가속 기어일 수 있다.
상기 감속 기어의 기어비는 1: 23/30이고, 상기 가속 기어의 기어비는 1: 23/20일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3 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4 기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칫(ratchet) 기어, 및 상기 래칫 기어의 역 회전을 방지하는 폴(Paw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지주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대차는, 상기 지주의 일부를 감싸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일부를 커버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지주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지주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 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는, 타 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타 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와이어 로프이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3 축의 중앙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와이어 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 단은 상기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타 단은 상기 제2 결합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1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상부 롤러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2 방향에서 제3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와이어 로프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하부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상기 상부 롤러부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롤러부를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고정시키는 제1 긴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상기 하부 롤러부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롤러부를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고정시키는 제2 긴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지주의 내부에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롤러부는, 상기 CCTV 카메라의 연결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3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CTV 카메라의 연결 케이블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상단 양측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롤러쌍, 및 하단 양측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 롤러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체인이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3 축의 중앙에 고정되고 상기 체인과 맞물려 회전시키는 스프로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인의 일 단은 상기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체인의 타 단은 상기 제2 결합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체인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1 가이드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상부 스프로킷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체인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2 방향에서 제3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가이드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하부 스프로킷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상기 상부 스프로킷부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스프로킷부를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고정시키는 제1 긴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상기 하부 스프로킷부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스프로킷부를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고정시키는 제2 긴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지주의 내부에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스프로킷부는, 상기 CCTV 카메라의 연결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3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CTV 카메라의 연결케이블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상단 양측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롤러쌍, 및 하단 양측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 롤러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승강 장치는, 복수의 기어들 사이의 기어비를 이용하여, 관리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CCTV용 카메라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승강 장치는, 래칫 기어 및 폴을 이용하여, 관리자의 실수에 의해 CCTV용 카메라가 급격히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승강 장치는, 지주와 이동 대차의 결속을 강화함으로써, 바람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촬영 중인 CCTV용 카메라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당향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승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승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대차(20)를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대차(20)를 I-I'선를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대차(20)를 II-II'선를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대차(20)를 III-III'선를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를 확대 도시한 투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기어부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래칫 기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롤러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긴장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롤러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지주 내부에서 무게추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스프로킷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스프로킷부의 평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를 확대 도시한 투시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기어부의 측면도이다.
도 11c는 래칫 기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승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용 승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원의 CCTV용 승강 장치(100)는, 지주(10), 이동 대차(20), 및 기어부(30)를 포함한다.
지주(10)는, 원 형상의 하부 플레이트(PLT)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고,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지주(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기둥, 육각 기둥, 및 팔각기둥과 같은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지주(10)는, 일 면에 제1 가이드 레일(GDRL1) 및 가이드 샤프트(GDS)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GDRL1)은 일 면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며, 가이드 샤프트(GDS)는 일 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GDS)의 하 단에는 체결된 이동 대차(20)가 더이상 아래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제1 멈춤부재(STP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멈춤부재(STP1)의 배치 위치는 관리자가 CCTV용 카메라(CMR)를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높이에 기초하여 설계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GDRL1)은 일체로 형성되고, "ㄷ"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주(10)의 길이가 긴 경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제1 가이드 레일(GDRL1)을 상호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샤프트(GDS)는 일체로 형성되고,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주(10)의 길이가 긴 경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가이드 샤프트(GDS)를 상호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지주(10)는 일 면의 상측면에 배치된 상부 롤러부(TRU), 및 일 면의 하측면에 배치된 하부 롤러부(BRU)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롤러부(TRU)는 연결된 동력전달부재(PTM)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DR1)에서 제2 방향(DR2)으로(또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고, 하부 롤러부(BRU)는 연결된 동력전달부재(PTM)의 이동 방향을 제2 방향(DR2)에서 제3 방향(DR3)으로(또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R1)은 기어부(30)와 상부 롤러부(TRU)를 잇는 방향이고, 제2 방향(DR2)은 수직 방향이고, 제3 방향(DR3)은 하부 롤러부(BRU)와 기어부(30)를 잇는 방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동력전달부재(PTM)는 기어부(30), 상부 롤러부(TRU), 및 하부 롤러부(BRU) 각각을 꼭짓점으로 하여 삼각형 폐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동력전달부재(PTM)가 와이어 로프인 경우,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 로프는 기어부(30)에서 복수회 권취된 후 상부 롤러부(TRU)에 체결될 수 있다.
지주(10)의 상 면에는 헤드캡(CAP)이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대차(20)는 헤드캡(CAP)에 의해 더 이상 위로 진행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헤드캡(CAP)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에 의해 지주(10)의 상 면에 결합되므로, 지주(10)의 내부 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유지보수를 위해 용이하게 탈거 가능하다.
이동 대차(20)는 체결된 동력전달부재(PTM)의 움직임에 의해 제1 가이드 레일(GDRL1) 및 가이드 샤프트(GDS)를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이동 대차(20)의 일 면에는 거치부(BRK)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BRK)는 CCTV용 카메라(CMR)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보호부(PRU), 및 보호부(PRU)와 이동 대차(20)의 일 면을 고정시키는 연결부(CNU)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PRU)의 하측 반구는, CCTV용 카메라(CMR) 촬영을 위해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대차(20)는 CCTV용 카메라(CMR)를 고정하는 수단이므로, CCTV용 카메라(CMR)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에는 강풍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한 흔들림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CCTV용 카메라(CMR)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때에도 지주(10)를 따라 이동 시 진동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흔들림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이동 대차(20)를 지주(10)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해,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기어부(30)는 지주(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관리자는 기어부(30)의 조작을 통해 이동 대차(2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 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30)는 관리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CCTV용 카메라(CMR)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30)는 관리자의 실수에 의해 CCTV용 카메라(CMR)가 급격히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대차(20)를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대차(20)를 I-I'선를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대차(20)를 II-II'선를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대차(20)를 III-III'선를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a를 참조하면, 이동 대차(20)는 제1 가이드 레일(GDRL1) 및/또는 가이드 샤프트(GDS)와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지주(10)의 일부를 감싸는 바디부(21), 및 바디부(21)로부터 돌출되어 제1 가이드 레일(GDRL1)의 일부를 커버하는 고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1)의 단면의 형상은 지주(10)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지주(10)가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바디부(21)의 단면의 형상은 대체로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부(21)는, 지주(10)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지주(10)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RL)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롤러(RL)들은 지주(10)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롤러(RL)들은 이동 대차(20)의 높이에 비례하여 복수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롤러(RL)들은 두 개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부(21)가 복수의 롤러(RL)들을 포함하는 경우, 지주(10)와 이동 대차(20)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므로, 외부 요인에 의한 이동 대차(20)의 흔들림도 감소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대차(20)의 승하강 시 롤러(RL)가 지주(10)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므로 마찰이 감소되어, 떨림 현상이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도 1a 내지 도 2a를 참조하면, 고정부(22)의 일 면(S1) 상에는 거치부(도 1a의 BRK)가 배치되고, 고정부(22)의 타 면(S2) 상에는 제1 샤프트 베어링(23) 및 제1 결합 부재(2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a에서는 제1 샤프트 베어링(23)이 타 면(S2)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 결합 부재(25)가 타 면(S2)의 우측면에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다만, 제1 샤프트 베어링(23) 및 제1 결합 부재(25)의 배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샤프트 베어링(23)이 타 면(S2)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 결합 부재(25)가 타 면(S2)의 좌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샤프트 베어링(23)이 타 면(S2)의 좌측면에 배치되고, 제1 결합 부재(25)가 타 면(S2)의 우측면에 배치되거나 그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2)는 이동 대차(20)의 높이에 비례하여 제2 샤프트 베어링(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GDS)는 베이스 부재(GDS_BS)를 통해 지주(1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샤프트 베어링(23) 및 제2 샤프트 베어링(24)은 가이드 샤프트(GDS)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샤프트 베어링(23) 및 제2 샤프트 베어링(24) 각각의 내경은, 가이드 샤프트(GDS)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제1 샤프트 베어링(23) 및 제2 샤프트 베어링(24) 각각의 내경과, 가이드 샤프트(GDS)의 외경 사이의 공차는 장치의 내구성 및 흔들림 허용 정도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대차(20)는 제1 샤프트 베어링(23) 및 제2 샤프트 베어링(24)과, 가이드 샤프트(GDS)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외부 요인에 의한 이동 대차(20)의 흔들림 감소, 및 이동 대차(20)의 승하강 시 떨림 현상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재(25)는 고정부(22) 타 면(S2)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결합부재는 고정부(22) 타 면(S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PTM)의 일 단은 제1 결합부재(25)와 결합되고, 동력전달부재(PTM)의 타 단은 제2 결합부재(26)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대차(20)의 양 단에 결합된 동력전달부재(PTM)는, 폐루프를 형성하므로, 이동 대차(20)의 일 단에만 결합되는 경우보다 단선 위험이 감소하고, 보다 능률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를 확대 도시한 투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기어부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래칫 기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때,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기어부(30)는 동력전달부재(PTM)가 와이어 로프(WRR)인 경우에 해당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30)는 제1 축(AX1)에 고정된 제1 기어(G1), 제2 축(AX2)의 일 단에 고정되고, 제1 기어(G1)와 맞물린 제2 기어(G2), 제2 축(AX2)의 타 단에 고정되고, 제2 기어(G2)와 대향되게 배치된 제3 기어(G3), 및 제3 축(AX3)에 고정되고, 제3 기어(G3)와 맞물린 제4 기어(G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3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관리자는 필요 시 탈부착식 손잡이(HDL)의 홈을 제1 축(AX1)의 돌출부에 끼우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탈부차식 손잡이(HDL)는 작업 종료 시 기어부(30)에서 탈거할 수 있으므로 고정식 손잡이보다 회전 반경을 크게 설계 가능하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적은 힘으로 제1 축(AX1)을 회전시킬 수 있고, 관리자가 아닌 외부인에 의해 기어부(30) 조작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어부(30)의 조작을 통해, 이동 대차(20)가 상승하는 과정을 먼저 설명한다. 관리자가 탈부착식 손잡이(HDL)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1 축(AX1)에 연결된 제1 기어(G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기어(G1)와 맞물린 제2 기어(G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G2)와 동일한 제2 축(AX2)에 결합된 제3 기어(G3)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3 기어(G3)와 맞물린 제4 기어(G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4 기어(G4)와 동일한 제3 축(AX3)에 결합된 와이어 시버(WS)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와이어 로프(WRR)는 권취되므로, 제1 결합부재(도 2d의 25)에 결합된 와이어 로프(WRR)에 의해 이동 대차(20)는 지주(10)의 상단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반대의 경우, 와이어 시버(WS)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와이어 로프(WRR)는 권출되고, 이동 대차(20)는 자신의 하중에 의해 지주(10)의 하단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30)는 조작 시 소요되는 힘과 이동 대차(20)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제1 내지 제4 기어(G1 내지 G4)의 잇수를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어부(30)는 제1 기어(G1)와 제2 기어(G2)의 결합 형태가 감속 기어이고, 제3 기어(G3)와 제4 기어(G4)의 결합 형태는 가속 기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G1)의 잇수 : 제2 기어(G2)의 잇수 : 제3 기어(G3)의 잇수 : 제4 기어(G4)의 잇수 = 23 : 30: 26 : 20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기어(G1)와 제2 기어(G2) 사이의 기어비(즉, 감속 기어의 기어비)는 1: 23/30이고, 제3 기어(G3)와 제4 기어(G4) 사이의 기어비(즉, 가속 기어의 기어비)는 1: 23/20일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적은 힘(또는, 토크)으로 제2 기어(G2)를 회전시키고, 제4 기어(G4)보다 잇수가 많은 제3 기어(G3)에 의해 와이어 로프(WRR)의 권취 또는 권출 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기어부(30)는, 제3 축(AX3)에 고정되고 제4 기어(G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칫(ratchet) 기어(RG), 및 래칫 기어(RG)의 역 회전을 방지하는 폴(PW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래칫 기어(RG)는 시계 방향을 순방향으로 하고, 반시계 방향을 역방향으로 한다. 폴(PWL)은 제4 축(AX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래칫 기어(RG)의 역방향 운동(즉, 이동 대차(20)의 하강 운동)이 필요한 경우, 손잡이(HDL')를 이용하여 폴(PWL)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래칫 기어(RG)와 맞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탈부착식 손잡이(HDL)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대차(20)는 상승한다. 이 때, 관리자의 부주의로 탈부착식 손잡이(HDL)의 제어를 상실하는 경우, 와이어 시버(WS)로부터 와이어 로프(WRR)가 권출되어 이동 대차(20)(또는, CCTV용 카메라(도 1a의 CMR))가 급격히 추락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어부(30)는 래칫 기어(RG)의 역 회전을 방지하는 폴(PWL)을 포함하는 바, 이러한 급격한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어부(30)는, 지주(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어(G1) 내지 제4 기어(G4), 및 제1 축(AX1) 내지 제3 축(AX3) 모두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기어 박스(GB)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기어 박스(GB)는 제1 볼트(BT1)들에 의해 좌측면에 제1 조립부재(ASB1)와 결합되고 우측면에 제2 조립부재(ASB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립부재(ASB1) 및 제2 조립부재(ASB2)는 제2 볼트(BT2)들에 의해 지주(10)의 내부 벽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어부(30)는 기어 박스(GB) 단위로 지주(10)의 내부 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고장 발생 시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롤러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b의 AA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긴장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롤러부의 평면도이다. 이 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상부 롤러부(TRU), 및 하부 롤러부(BRU)는 동력전달부재(PTM)로서 와이어 로프(WRR)가 사용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롤러부(TRU)는, 와이어 로프(WRR)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DR1)에서 제2 방향(DR2)으로(또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1 가이드 롤러(GDR1), 및 CCTV 카메라(CMR)의 연결 케이블(EWR)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DR1)에서 제2 방향(DR2)으로(또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3 가이드 롤러(GDR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롤러부(TRU)는 제1 가이드 롤러(GDR1)의 일 측에 제1 가이드 롤러(GDR1)에 체결되는 와이어 로프(WRR)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바(GDB1)를 포함하고, 제3 가이드 롤러(GDR3)의 일 측에 제3 가이드 롤러(GDR3)에 체결되는 연결 케이블(EWR)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바(GDB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롤러부(TRU)는 제1 긴장용 볼트(BLT1)에 의해 지주(10)의 일 면과 결합되는 제1 체결부(JNT1), 및 후술할 제2 긴장용 볼트(BLT2)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JNT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JNT1)는 지주(10)의 연장 방향(또는, 제2 방향(DR2))을 따라 형성된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 형상의 체결공일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JNT2)는 지주(10)의 연장 방향(또는, 제2 방향(DR2))을 따라 형성된 나사홈일 수 있다.
제1 긴장부(TSU)는 제1 긴장용 지지대(SPT), 제1 긴장용 볼트(BLT1), 및 제2 긴장용 볼트(BL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긴장용 지지대(SPT)는, 지주(10)의 일 면에서 상부 롤러부(TRU)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긴장용 볼트(BLT2)는 제1 긴장용 지지대(SPT)에 형성된 통공(HL)을 통해 제2 체결부(JNT2)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2 긴장용 볼트(BLT2)의 헤드의 단면적은 제1 긴장용 지지대(SPT)의 통공(HL)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2 긴장용 볼트(BLT2)가 풀리는 경우, 상부 롤러부(TRU)는 제2 방향(DR2)(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1 긴장용 볼트(BLT1)를 조임으로써 지주(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 로프(WRR) 및 연결 케이블(EWR)의 장력은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긴장용 볼트(BLT2)가 조여지는 경우, 상부 롤러부(TRU)는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또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1 긴장용 볼트(BLT1)를 조임으로써 지주(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 로프(WRR) 및 연결 케이블(EWR)의 장력은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긴장용 지지대(SPT)에 체결된 제2 긴장용 볼트(BLT2)와 제2 체결부(JNT2)의 결합 길이 조정을 통해, 와이어 로프(WRR) 및 연결 케이블(EWR)의 장력을 제어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RR) 및 연결 케이블(EWR)의 꼬임 현상이나 슬립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롤러부(BRU)는, 와이어 로프(WRR)의 이동 방향을 제2 방향(DR2)에서 제3 방향(DR3)으로(또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가이드 롤러(GDR2), 및 와이어 로프 고정 부재(P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 고정 부재(PB)는 와이어 로프(WRR)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볼트일 수 있다. 상기 볼트는, 제5 체결부(JNT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상기 볼트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볼트의 헤드로 제5 체결부(JNT5) 위를 지나가는 와이어 로프(WRR)를 지주(10)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 로프(WRR)의 슬립이 방지될 수 있다.
하부 롤러부(BRU)는 제3 체결부(JNT3), 및 제4 체결부(JNT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부(JNT3)는 지주(10)의 연장 방향(또는, 제2 방향(DR2))을 따라 형성된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 형상의 체결공일 수 있다. 또한, 제4 체결부(JNT4)는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주(10)의 연장 방향(또는, 제2 방향(DR2))을 따라 형성된 나사홈일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4 체결부(JNT4)가 두 개인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하부 롤러부(BRU)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부 롤러부(BRU)와 결합되는 제2 긴장부(미도시)는, 도 5에 도시된 제1 긴장부(TSU)와 마찬가지로 긴장용 지지대, 및 긴장용 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긴장부의 긴장용 지지대는, 지주(10)의 일 면에서 하부 롤러부(BSU)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긴장부는 상기 제1 긴장부(TSU)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인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긴장부도 제1 긴장부(TSU)와 같이, 와이어 로프(WRR) 및 연결 케이블(EWR)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RR) 및 연결 케이블(EWR)의 꼬임 현상이나 슬립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7은 지주 내부에서 무게추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 1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주(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지주(10)의 내부에 제2 가이드 레일(GDRL2) 및 케이블 고정용 폴(STR)을 포함할 수 있다.
CCTV용 승강 장치(100)는 CCTV 카메라(CMR)의 연결 케이블(EWR)에 체결되고(또는 걸쳐지고), 제2 가이드 레일(GDRL2)을 따라 승강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무게추(WG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롤러부(TRU)로부터 인입된 연결 케이블(EWR)은 무게추(WGT)의 바디부(WGT_BD)와 제1 샤프트(SHP1) 사이에 형성된 갭(GAP)을 관통한 뒤, 케이블 고정용 폴(STR)을 경유하여, 지주(10)의 하측 방향으로 늘어뜨려질 수 있다. 연결 케이블(EWR)은 지주(10)의 하부에 형성된 홈을 통해 외부의 전자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케이블(EWR)은 무게추(WGT)의 하중으로 인해 지면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이동 대차(20)가 지면에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무게추(WGT)는 지주(10)의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동 대차(20)가 지주(10)의 상단에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무게추(WGT)는 지주(1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되므로, 연결 케이블(EWR)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 고정용 폴(STR)에 연결 케이블(EWR)이 체결되는 롤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레일(GDRL2)의 일 지점에 제2 멈춤 부재(STP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이동 대차(20)가 지주(1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무게추(WGT)에 의한 과도한 장력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2 멈춤 부재(STP2)는 지면으로부터 2.5m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무게추(WGT)는 상단 양측면에 제2 가이드 레일(GDRL2)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롤러쌍(RLP1), 및 하단 양측면에 제2 가이드 레일(GDRL2)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 롤러쌍(RL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쌍(RLP1)은 제1 샤프트(SHF1)의 양단에 배치되고, 제2 롤러쌍(RLP2)은 제2 샤프트(SHP2)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스프로킷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스프로킷부의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상부 스프로킷부(TRU_1)는, 도 4에 도시된 상부 롤러부(TRU)에서 제1 가이드 롤러(GDR1) 대신에 제1 가이드 스프로킷(GSPK1)을 포함하고, 도 10에 도시된 하부 스프로킷부(BRU_1)는, 도 6에 도시된 하부 롤러부(BRU)에서 제2 가이드 롤러(GDR2) 대신에 제2 가이드 스프로킷(GSPK2)을 포함한다는 점 및 하부 롤러부(BRU)에 형성된 제5 체결부(JNT5)와 와이어 로프 고정 부재(PB)가 생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을 뿐,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상부 스프로킷부(TRU_1), 및 하부 스프로킷부(BRU_1)는 동력전달부재(도 1a의 PTM)로서 체인(또는, 롤러 체인)이 시용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스프로킷부(TRU_1)는, 체인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DR1)에서 제2 방향(DR2)으로(또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1 가이드 스프로킷(GSPK1), 및 CCTV 카메라(CMR)의 연결 케이블(EWR)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DR1)에서 제2 방향(DR2)으로(또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3 가이드 롤러(GDR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 스프로킷부(BRU_1)는, 체인의 이동 방향을 제2 방향(DR2)에서 제1 방향(DR1)으로(또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가이드 스프로킷(GSPK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를 확대 도시한 투시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기어부의 측면도이다. 도 11c는 래칫 기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때,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기어부(30_1)는 동력전달부재(PTM)가 체인(또는, 롤러 체인)인 경우에 해당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어부(30_1)가 와이어 시버(WS) 대신 스프로킷(SPK)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체인의 일 단은 이동 대차(20)의 타 면(S2)에 배치된 제1 결합부재(25)에 결합되고, 상기 체인의 타 단은 이동 대차(20)의 타 면(S2)에 배치된 제2 결합부재(26)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10)는, 제1 가이드 레일(GDRL1)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체인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DR1)에서 제2 방향(DR2)으로(또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1 가이드 스프로킷(GSPK1)을 포함하는 상부 스프로킷부(TRU_1), 및 제1 가이드 레일(GDRL1)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체인의 이동 방향을 제2 방향(DR2)에서 제3 방향(DR3)으로(또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가이드 스프로킷(GSPK2)을 포함하는 하부 스프로킷부(BRU_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인은 기어부(30)의 스프로킷(SPK), 상부 스프로킷부(TRU_1)의 제1 가이드 스프로킷(GSPK1), 및 하부 스프로킷부(BRU_1)의 제2 가이드 스프로킷(GSPK2) 각각을 꼭짓점으로 하여 삼각형 폐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PTM)가 체인인 경우, 스프로킷(SPK), 제1 가이드 스프로킷(GSPK1), 및 제2 가이드 스프로킷(GSPK2)과의 체결성이 우수하여 슬립 현상이 더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10)는, 상부 스프로킷부(TRU_1)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부 스프로킷부(TRU_1)를 제2 방향(DR2) 또는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고정시키는 제1 긴장부(TSU)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10)는, 하부 스프로킷부(BRU_1)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부 스프로킷부(BRU_1)를 제2 방향(DR2) 또는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고정시키는 제2 긴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지주(10)의 내부에 제2 가이드 레일(GDRL2) 및 케이블 고정용 폴(STR)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10)는, CCTV 카메라(CMR)의 연결 케이블(EWR)에 체결되고, 제2 가이드 레일(GDRL2)을 따라 승강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무게추(WG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WGT)는 상단 양측면에 제2 가이드 레일(GDRL22)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롤러쌍(RLP1), 및 하단 양측면에 제2 가이드 레일(GDRL2)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 롤러쌍(RL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스프로킷부(TRU_1)로부터 지주(10)의 내부로 인입된 연결 케이블(EWR)은 무게추(WGT)의 하중으로 인해 지면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이동 대차(20)가 지면에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무게추(WGT)는 지주(10)의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동 대차(20)가 지주(10)의 상단에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무게추(WGT)는 지주(1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되므로, 연결 케이블(EWR)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 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 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CCTV용 승강 장치
10: 지주
20: 이동 대차
30: 기어부
TRU: 상부 롤러부
BRU: 하부 롤러부
PTM: 동력전달부재
BRK: 거치부
CMR: CCTV용 카메라

Claims (26)

  1. 지면에 고정되고, 일 면에 제1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지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고, 일 면에 CCTV가 고정된 이동 대차; 및
    상기 지주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 대차를 동력전달부재를 이용하여 승하강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부는,
    탈부착식 손잡이와 결합되는 제1 축에 고정된 제1 기어;
    제2 축의 일 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제2 기어;
    상기 제2 축의 타 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기어와 대향되게 배치된 제3 기어; 및
    제3 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린 제4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와이어 로프이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3 축의 중앙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와이어 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1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상부 롤러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2 방향에서 제3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와이어 로프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하부 롤러부;를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결합 형태는 감속 기어이고, 상기 제3 기어와 상기 제4 기어의 결합 형태는 가속 기어인 CCTV용 승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어의 기어비는 1: 23/30이고, 상기 가속 기어의 기어비는 1: 23/20인 CCTV용 승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3 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4 기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칫(ratchet) 기어, 및 상기 래칫 기어의 역 회전을 방지하는 폴(Pawl)을 더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지주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CCTV용 승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차는,
    상기 지주의 일부를 감싸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일부를 커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지주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지주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CCTV가 배치되는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 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는, 타 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타 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 단은 상기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타 단은 상기 제2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CCTV용 승강 장치.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상부 롤러부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롤러부를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고정시키는 제1 긴장부를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하부 롤러부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롤러부를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고정시키는 제2 긴장부를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지주의 내부에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부는, CCTV 카메라의 연결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3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의 연결 케이블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상단 양측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롤러쌍, 및 하단 양측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 롤러쌍을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18. 지면에 고정되고, 일 면에 제1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지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고, 일 면에 CCTV가 고정된 이동 대차; 및
    상기 지주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 대차를 동력전달부재를 이용하여 승하강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부는,
    탈부착식 손잡이와 결합되는 제1 축에 고정된 제1 기어;
    제2 축의 일 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제2 기어;
    상기 제2 축의 타 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기어와 대향되게 배치된 제3 기어; 및
    제3 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린 제4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체인이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3 축의 중앙에 고정되고 상기 체인과 맞물려 회전시키는 스프로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체인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1 가이드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상부 스프로킷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체인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2 방향에서 제3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가이드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하부 스프로킷부;를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차는,
    상기 지주의 일부를 감싸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일부를 커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CCTV가 배치되는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 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는, 타 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타 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의 일 단은 상기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체인의 타 단은 상기 제2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CCTV용 승강 장치.
  20. 삭제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상부 스프로킷부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스프로킷부를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고정시키는 제1 긴장부를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22.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하부 스프로킷부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스프로킷부를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고정시키는 제2 긴장부를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23.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지주의 내부에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로킷부는, CCTV 카메라의 연결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3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의 연결케이블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상단 양측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롤러쌍, 및 하단 양측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 롤러쌍을 포함하는 CCTV용 승강 장치.
KR1020220031014A 2022-03-11 2022-03-11 Cctv용 승강 장치 KR102595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014A KR102595843B1 (ko) 2022-03-11 2022-03-11 Cctv용 승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014A KR102595843B1 (ko) 2022-03-11 2022-03-11 Cctv용 승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708A KR20230133708A (ko) 2023-09-19
KR102595843B1 true KR102595843B1 (ko) 2023-10-30

Family

ID=8819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014A KR102595843B1 (ko) 2022-03-11 2022-03-11 Cctv용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8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31Y1 (ko) 2006-08-10 2006-10-20 정연덕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KR101580786B1 (ko) 2015-07-30 2015-12-29 (주)페타네트워크 Cctv 수동 리프터
KR101845861B1 (ko) 2017-11-10 2018-04-05 주식회사 페타네트워크 Cctv 자동 및 수동 승강장치
KR101917524B1 (ko) 2017-06-29 2018-11-09 신봉호 감시카메라 승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8786A (ko) * 2008-05-13 2009-11-18 주식회사 케이엠에스 리프트와 회전장치가 있는 다용도 대형 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31Y1 (ko) 2006-08-10 2006-10-20 정연덕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KR101580786B1 (ko) 2015-07-30 2015-12-29 (주)페타네트워크 Cctv 수동 리프터
KR101917524B1 (ko) 2017-06-29 2018-11-09 신봉호 감시카메라 승강장치
KR101845861B1 (ko) 2017-11-10 2018-04-05 주식회사 페타네트워크 Cctv 자동 및 수동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708A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7440A (en) Mobile hoist system and method
KR101921702B1 (ko) Cctv용 승하강 장치
JP2013019195A (ja) 足場用昇降機の制動装置
KR20090041382A (ko) 승강식 지주대
KR101980157B1 (ko) 와이어로프 안내유도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KR101163530B1 (ko)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102595843B1 (ko) Cctv용 승강 장치
CN111364750A (zh) 一种全钢附着式升降脚手架防坠落装置
RU2704655C1 (ru) Фасадный подъемник с вертикальным и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перемещением люльки
WO2002095164A1 (fr) Procede de demolition de batiment
KR102012006B1 (ko) 가이드 케이블을 이용한 고소 시설물의 무인 외관 점검 장치 및 방법
US3223199A (en) Scaffolding hoist
CN113356547B (zh) 一种安全稳定的监理平台装置及通过其进行监理的方法
JP2010281072A (ja) 足場作業用リフト
CN211224674U (zh) 一种建筑装配式墙体用支撑装置
KR101074084B1 (ko) 씨씨티브이(cctv)용 승강식 구조물
KR101056442B1 (ko) 씨씨티브이용 승강식 구조물
JP2007008611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検査方法
KR100797536B1 (ko) 윈치형 리깅장치
KR100967174B1 (ko) 케이지 리프트
KR102187619B1 (ko) 감시카메라 옥외용 리프터
CN110492391B (zh) 顶升式全防护跨越架及其搭建方法
RU261499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виж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противовращения противоположных концов изогнутого гибкого элемента
JP4881289B2 (ja) 大型重量危険物保管庫
KR102625159B1 (ko) 승강 안정성이 확보된 cctv 카메라 자동 리프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