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944B1 -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944B1
KR102638944B1 KR1020230131274A KR20230131274A KR102638944B1 KR 102638944 B1 KR102638944 B1 KR 102638944B1 KR 1020230131274 A KR1020230131274 A KR 1020230131274A KR 20230131274 A KR20230131274 A KR 20230131274A KR 102638944 B1 KR102638944 B1 KR 102638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mera
connection
camera assembl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무상
송현수
Original Assignee
송무상
송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무상, 송현수 filed Critical 송무상
Priority to KR102023013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안전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메인지주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스크류를 사용하여 카메라 어셈블리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승하강 동작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승하강 동작 중에 강풍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하강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Camera assembly auto-lift device for rotating CCTV camera and fixed surveillance cameras}
본 발명은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안전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메인지주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스크류를 사용하여 카메라 어셈블리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승하강 동작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승하강 동작 중에 강풍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하강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 감시, 단속 또는 교통정보 수집과, 생활주변 감시, 보안감시 또는 산업현장관리 등을 위한 CCTV 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도로변이나 사거리, 주택가 또는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CCTV 카메라 또는 감시카메라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카메라의 설치가 증가하는 한편,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하기 어려운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또는 높은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카메라의 유지보수 및 점검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고,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관리자에게 안전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
CCTV 카메라 또는 보안용 감시카메라는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치안 확보가 필요한 지역 또는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험지역이나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경우도 많다.
CCTV 카메라 또는 감시카메라는 사용 기간의 경과에 따라 영상의 선명도 상태 또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하여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고, 또한, 고장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점검 또는 수리를 하여야 한다. 그러나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CCTV카메라 또는 감시카메라는 관리자가 직접 접근하여 점검하기 어려워서 이동식 고가사다리차 등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게 되고, 작업상 위험요소가 있어서 사고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CCTV카메라 등을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선행기술인 국내특허 제10-1299121호(등록일; 2013.08.16.)는 CCTV카메라(1)에 설치되는 단자(8)가 안정적으로 접속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부에 고정되는 본체(10)와 하부에서 승하강이동하는 카메라(1)에 각각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암수소켓(22 또는 24)이 구비되어 있어서, 카메라(1)가 상승하면 두 소켓이 서로 접속되고, 카메라(1)가 하강하면 접속이 해제되어 카메라(1)에 대한 전원공급 및 영상신호와 제어신호의 전달이 차단된다는 내용이 나타나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다른 선행기술인 국내특허 제10-1737375호(등록일; 2017.05.12.)는 CCTV카메라 등에 적용되는 오토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인데, 이 장치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우징(100)에는 상부접속핀(410)을 포함하는 상부소켓(400)이 설치되고, 하우징(100)의 하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카메라어셈블리(500)에는 하부접속핀(610)을 포함하는 하부소켓(60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발명에서는 카메라어셈블리(500)가 상승하여 하우징(100)에 접근하면 하부접속핀(610)과 상부접속핀(410)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카메라어셈블리(500)가 하강하면 접속핀이 서로 분리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한편, 국내특허 제10-0914592호(등록일; 2009.08.21.)는 조명등 또는 화재감지기에 적용되는 ‘스파크 방지기능을 갖는 방폭형 승강릴’에 관한 것이며, 조명등 또는 화재감지기를 포함하고 있는 승강하체(200)가 상승 또는 하강시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상부접속단자(600)와 하부접속단자(610)가 구비되어 있고, 상, 하부접속단자가 접속되어 승강하체(20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또는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또 다른 선행기술인 국내특허 제10-1988170호(등록일; 2019.06.04.)는 ‘CCTV카메라 오토리프트 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으로서,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하로 이동하는 카메라어셈블리를 포함하는 CCTV카메라 오토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정부와 카메라어셈블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인 상, 하부소켓의 접속구조, 즉 접속단자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기술에 있어서 상, 하부소켓은 CCTV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연결수단임과 동시에 CCTV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데이터 또는 CCTV 카메라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수단인데, 본 발명은 상, 하부소켓의 접점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들 소켓 사이에 양호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상, 하부소켓에 구비되어 있는 오토리프트 접점 사이의 접속불량 또는 접속해제 상태를 감지하여 상, 하부소켓이 양호한 접속 상태를 회복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선행기술들은 카메라 또는 조명등 등을 하강시키고 승강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지만, 그 동작의 정확성이 떨어지거나 승하강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국내특허 제10-1299121호(등록일; 2013.08.16.) 국내특허 제10-1737375호(등록일; 2017.05.12.) 국내특허 제10-0914592호(등록일; 2009.08.21.) 국내특허 제10-1988170호(등록일; 2019.06.04.)
본 발명은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오토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카메라 어셈블리의 승하강 동작이 정확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운 높이인 3m 이상 20m 이하의 높이에 카메라 어셈블리를 설치하고, 설치된 카메라 어셈블리가 관리자에 의한 수동제어 또는 원격제어수단을 통한 원격제어의 방법으로 동작하되,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수단과 동력변환수단을 이용하여 카메라 어셈블리가 자동으로 안전하게 승하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승하강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외력에 의한 충격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치가 정상 접속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상, 하부접속부가 서로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CCTV 카메라 또는 감시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손실 없이 안정적으로 전달하도록 하여, CCTV 카메라 또는 감시카메라를 활용한 감시 또는 안전관리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점검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관리자 등이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높은 곳으로 올라가서 작업하지 않고, 보수 또는 점검이 용이한 위치까지 카메라 어셈블리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장비사용에 따른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메인지주를 4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전방 및 후방지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 및 내부지주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원격제어수단을 사용하여, 원격 장소에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데이터 등을 외부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구동모터(71)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상부지지부(10), 카메라 어셈블리(20), 상부접속부(30), 하부접속부(40), 동력전달부(50), 메인지주(60), 하부함체(70), 제어반(80) 및 하부지주(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상부지지부(10), 카메라 어셈블리(20), 상부접속부(30), 하부접속부(40), 동력전달부(50), 메인지주(60), 하부함체(70), 제어반(80) 및 하부지주(90)에 원격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오토리프트 장치는 지상, 도로변, 건물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지주(90)의 상부에 구비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상기 일 실시예 또는 상기 다른 실시예와는 달리 하부지주(90)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그 대신 상부지지부(10) 또는 후방지주(61)와 하부함체(70)에 인접한 벽 또는 타 구조물의 측면에 장치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오토리프트 장치는 하부함체(70)의 상부에 메인지주(60), 하부접속부(40), 상부지지부(1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메인지주(60)의 측면을 따라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하부지주(90)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설치 장소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 적용되는 카메라 어셈블리(20)는 회전형 CCTV 카메라(21) 및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22. 23. 24)와, 카메라 지지부(25)와, 연결브라켓(26)과, 연결브라켓 지지부(27) 및 배선용 허브(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함체(70)의 내부에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80)이 구비되어 있고, 제어반(80)에는 전원부(81)와, 동작제어부(82)와, 상태표시부(83) 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태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인지주(60)는 4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지주, 즉, 전방지주(61)와 후방지주(6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메인지주(60)의 내부에는 동력전달부(50)가 구비되어 있다. 동력전달부(50)는 회전스크류(51)와, 동력변환부(52), 수직지지대(5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구동모터(71)의 회전에 의해 회전스크류(51)가 회전하면, 회전스크류(51)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동력변환부(52)가 상하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동력전달부에 구비되는 동력변환부(52)의 일측은 수직지지대(53)와 결합되어 있고, 수직지지대(53)의 타측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동력변환부(52)가 상승 또는 하강할 경우, 동력변환부(52)와 결합되어 있는 수직지지대(53)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연결브라켓 지지부(27)는 연결브라켓(26)과 결합되어 있고, 연결브라켓(26)의 타측은 카메라 지지부(25)와 결합되어 있으며, 카메라 지지부(25)에는 회전형 CCTV 카메라(21) 및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22, 23, 24)가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는 구동모터(71)의 동력에 의해 회전스크류(51)가 회전하면, 동력변환부(52)가 회전스크류(51)를 따라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동력변환부(52)와 결합되어 있는 수직지지대(53)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수직지지대(53)와 결합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에는 제어반(80)과 카메라 어셈블리(20) 사이에 전원, 제어신호 및 동작에 관련된 신호 등의 전달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부접속부(30)는 상부지지부(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하부접속부(40)는 동력전달부(50)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지지대(53)의 최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접속부(30)는 복수의 상부접속핀(3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부접속부(40)는 상부접속핀(31)과 동일한 복수의 하부접속핀(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모터(71)의 회전에 의해 하부접속부(40)가 상승하여 하부접속핀(41)이 상부접속부(30)의 상부접속핀(31)과 접속할 경우, 제어반(8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카메라로 공급되고, CCTV 카메라 및 복수의 감시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신호 및 장치 제어를 위한 신호 등이 제어반(80)과 분배용 허브(28) 및 카메라들 사이에 송수신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는 상부접속부(30)와 제어반(80)의 사이에서 전력과 제어신호 및 영상데이터 등을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L1)이 구비되어 있고, 하부접속부(40)와 분배용 허브(28)의 사이에서 전력과 제어신호 및 영상데이터 등을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L2)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특히, 메인지주(60) 및 메인지주(60)의 내부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50)가 상기 제1 내지 3 실시예에 구비되어 있는 메인지주(60) 및 동력전달부(50)와 다르게 구성된 것이다. 즉, 제4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는 원통형상의 외부지주(63)와, 외부지주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작은 직경의 원통으로 이루어진 내부지주(6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지주가 구비되어 있고, 외부지주(63)의 내부에는 그 내부공간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는 동력전달부(50) 등의 수단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할 경우,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1개 이상의 감시카메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다.
회전형 CCTV 카메라와 1개 이상의 감시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20)는 상당히 무거운 하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할 경우, 무거운 하중에도 불구하고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승하강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적용한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승하강 동작 중에 카메라 등이 요동하거나 상하부의 접속상태가 불완전하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회전스크류(51)를 통해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승하강시킬 수 있고, 카메라 어셈블리(20)가 동력전달부의 수식지지대(53)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승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카메라 어셈블리(20)가 메인지주(60)를 따라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고, 승하강 동작 중에 강풍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지장을 받지 않으면서 승하강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접속부(40)가 상승하여 상부접속부(30)와 접속된 후에는, 상부접속부(30)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접속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가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어서, CCTV 카메라 및 1개 이상의 감시카메라에 대한 전력공급, 영상데이터 또는 제어신호의 송수신 등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CCTV 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에 의해 높은 품질의 영상데이터를 촬영,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보수 또는 점검이 용이한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서, 관리자가 지면 또는 바닥면에 서서 바로 점검 또는 보수 등의 작업을 안전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고소 작업용 차량 등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안전한 위치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장비사용에 따른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어셈블리(20)에 대한 전원공급이 모두 차단된 상태에서 카메라 어셈블리(20)가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카메라 어셈블리(20)에 대한 보수, 수리 등을 동작시 감전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 장치의 상부측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 장치의 하부함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하부함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동력발생수단에 관한 도면이다.
도6은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부지지부 및 메인지주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 하부접속부와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 장치의 상, 하부접속부와 동력전달부의 구성에 관한 것이며, 상부접속부와 하부접속부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도8과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 상부접속부와 하부접속부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 장치의 상부접속부와 하부접속부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의 형상 및 상, 하부접속핀이 접속 및 분리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 상부접속부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 하부접속부의 상부측 형상 및 그 주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상부접속부와 하부접속부 및 연결브라켓 지지부가 동력전달부와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 상부접속부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L1)이 후방지주를 통해 제어반으로 연결되는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 하부접속부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L2)이 연결브라켓의 내부를 통해 카메라 어셈블리로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 카메라 지지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선용 허브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함체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상부측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상부측 구성에 관한 다른 도면이다.
도21,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동력전달부와 연결브라켓의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동력전달부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메인지주와 하부접속부 및 카메라 어셈블리의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CCTV 카메라, 감시카메라 등이 복수로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오토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에 설치되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자동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에 있어서,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앞에서 살펴본 종래 기술에 비해 승하강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강풍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 하부접속부(30, 40)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이 서로 우수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1 실시예’라고도 함)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상부지지부(10), 카메라 어셈블리(20), 상부접속부(30), 하부접속부(40), 동력전달부(50), 메인지주(60), 하부함체(70), 제어반(80) 및 하부지주(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하 ‘제2 실시예’라고 함)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상부지지부(10), 카메라 어셈블리(20), 상부접속부(30), 하부접속부(40), 동력전달부(50), 메인지주(60), 하부함체(70), 제어반(80) 및 하부지주(90)에 원격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하 ‘제3 실시예’라고 함)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상기 제1, 2 실시예에 구비되어 있는 하부지주(90)를 생략하는 대신, 상부지지부(10)와 하부함체(70)를 인접한 벽 또는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 장치의 제1 내지 3 실시예에 사용되는 전방지주(61)와 후방지주(62)는 모두 4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장치의 앞쪽에 구비되는 전방지주(61)는 그 내부에 동력전달부(50) 등의 수단이 구비될 수 있도록 그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이루어지고, 장치의 뒤쪽에 구비되는 후방지주(62)는 전방지주(61)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함체(70)의 아래에 구비되어 전체 장치를 지지하는 하부지주의 경우에도 4각형 프레임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전방지주(61)는 장치의 뒤쪽(후방)으로 향하는 부분에 열린 틈이 상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틈은 이하 설명되는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결합부가 메인지주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특히, 메인지주(60)가 상기 제1 내지 3 실시예와는 달리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즉, 제1 내지 3 실시예에서는 메인지주가 4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방지주(61) 및 후방지주(6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지주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구비되는 메인지주(60)는 원통형상의 외부지주(63)와, 외부지주(63)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작은 직경의 원통으로 이루어진 내부지주(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어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전체적으로는 상부지지부(10)와, 카메라 어셈블리(20)와,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와, 동력전달부(50)와, 메인지주(60)와, 하부함체(70)와, 제어반(80) 및 하부지주(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 장치는 가장 상부에는 상부지지부(10)가 구비되고, 그 아래에 메인지주(60)와, 하부함체(70)와, 하부지주(90)가 차례로 구비되어 있으며, 메인지주(60)의 측면을 따라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승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장 아래에 구비되는 하부지주(90)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전체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견고한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함체(70)의 상부에는 메인지주(6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메인지주(60)는 하부함체(70)의 상부에 나사 결합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1 내지 3, 도6 내지 8 및 도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상부에는 상부지지부(10)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지지부(10)는 본 발명의 장치를 상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수단이며 상부커버(11)와, 유닛베어링(12)과, 지지브라켓1, 2(13, 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커버(11)는 본 발명 장치의 상부면 및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하면서 상부지지부(10)를 보호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부커버(11)의 내부에는 위로부터 유닛베어링(12)과, 지지브라켓1(13)과, 지지브라켓2(14)가 차례로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지주(90)의 상단에는 하부함체(70)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함체(70)의 내부에는 제어반(80)과, 동력발생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제어반(80)에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및 표시수단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동력발생수단에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스크류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1,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지주(60)는 전방지주(61)와 후방지주(62)로 구분되는 2개의 지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방지주(61)는 장치의 전방쪽(앞쪽, 카메라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것이고, 후방지주(62)는 장치의 후방측(뒤쪽)에 설치되는 것이며, 이 2개 지주(61, 62)의 상단은 상부지지부(10)의 하단과 결합되고, 그 하단은 하부함체(7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하부함체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도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어셈블리(20)에는 회전형 CCTV 카메라(21) 및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22, 23, 24)가 구비되어 있고, 카메라 지지부(25)와, 연결브라켓(26)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 및 배선용 허브(28; 도16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브라켓(26)은 본 발명의 장치에 구비되는 CCTV 카메라 및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가 메인지주(6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연결브라켓(26)의 일측은 카메라 지지부(25)와 결합되고, 그 타측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연결브라켓 지지부(27)가 상승 또는 하강할 경우,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카메라 지지부(25)의 내부에는 카메라와 연결되는 랜선 등을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로 분배하기 위한 배선용 허브(28; 도16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되어 있는 도면에는 3개의 고정형 감시카메라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카메라 어셈블리(20)에는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어셈블리(20)에 구비되는 회전형 CCTV 카메라와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는 모두 카메라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카메라 지지부(25) 하부의 중심에는 CCTV 카메라(21)가 결합되고, 그 측면에는 1개 이상의 감시카메라(22, 23, 24)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들은 모두 카메라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7, 8, 13 내지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지주(60)를 구성하는 2개의 지주 중 전방지주(61)의 내부에는 구동모터(7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동작하는 동력전달부(50)가 구비되어 있다. 동력전달부(50)는 회전스크류(51)와, 동력변환부(52)와, 수직지지대(53)와, 복수 쌍의 측면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메라 어셈블리(20)의 후방측(뒤쪽)에 구비되어 있는 후방지주(62)는 메인지주(60)의 후방측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전방지주(61)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동력전달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외부에 잘 드러나지 않도록 커버해주는 역할도 겸하게 되고,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이용하여 상부접속부(30)와 제어반(80)을 연결하는 케이블(L1)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방지주(61)는 전체적으로는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그 뒤쪽에는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를 결합시켜주는 결합부가 상하로 직선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공간(이하 ‘수직틈’이라고 함)이 상하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수직틈은 전방지주(61)의 내부에서 동력변환부(52)에 의해 변환된 직선운동 에너지가 수직지지부(53)를 통해 연결브라켓 지지부(27)로 전달되게 하고, 그 결과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50)에 있어서, 수직지지대(53)의 하단에는 동력변환부(52)가 결합되고, 수직지지대(53)의 중간 측면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결합되어 있으며, 수직지지대(53)의 최상부에는 하부접속부(4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수직지지대(53)는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결합되고,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타측은 연결브라켓(26)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수직지지대(53)가 승하강하면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연결브라켓(26)이 함께 승하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CCTV 카메라(21)와 감시카메라(21, 22, 23)를 포함하는 전체 카메라 에셈블리(20)가 승하강하게 된다.
도13 내지 15와 같이, 동력변환부(52)와 수직지지대(53)는 볼트너트 등의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동력변환부(52)에서 변환된 상하 직선운동 에너지에 의해 수직지지대(53)가 승하강하게 되며, 수직지지대(53)가 승하강하면,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가 승하강하게 된다.
도6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는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으로서, 상부접속부(30)는 복수의 상부접속핀(3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부접속부(40)는 상부접속핀(31)과 동일한 수의 하부접속핀(41)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모터(71)의 회전력에 의하여 수직지지대(53)가 상승하면, 수직지지대(53)의 최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접속부(40)가 함께 상승하면서 하부접속부(40)의 접속핀(하부접속핀)이 상부접속부(30)의 접속핀(상부접속핀)과 접속하면서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구동모터(71)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지지대(53)가 하강하면,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가 분리되면서 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카메라 어셈블리(20)가 하강할 경우,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가 분리되게 되어 카메라 어셈블리(20)에 대한 전원공급이 모두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카메라 어셈블리(20)에 대한 보수, 수리 등의 작업을 감전사고 등의 우려가 없는 안전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본 발명의 장치는 위로부터 상부지지부(10)와, 카메라 어셈블리(20)와 메인지주(60)와, 하부함체(70)와, 하부지주(90)가 차례로 구비되고, 메인지주(60)의 측면을 따라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승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상부지지부(10)와 하부함체(70)의 사이에 구비되는 메인지주(60)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메인지주(60)는 2개의 지주 즉, 전방지주(61)와 후방지주(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방지주(61)는 장치의 앞쪽(전방측)에 형성되는 것이고, 후방지주(62)는 장치의 뒤쪽(후방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앞쪽(전방측)은 전방지주(61)를 중심으로 볼 때 CCTV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방향을 말하는 것이고, 뒤쪽(후방측)은 그 반대방향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메인지주(60)는 주변의 온도 변화 등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전체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고, 2개 이상으로 분할된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 메인지주(60)를 2개 이상 분할된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할 경우에는 전방지주(61)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스크류(51)의 회전동작 및 동력전달부(50)의 승하강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그 연결부를 형성하여야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전체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는 상부지지부(10)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커버(11)와, 카메라 어셈블리(20)에 구비되는 회전형 CCTV 카메라(21)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22, 23, 24)와, 카메라 지지부(25)와, 연결브라켓(26)과 하부함체(70)의 상부면이 나타나 있다.
도3은 본 발명 장치의 상부측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상부지지부(10)의 외부를 형성하는 상부커버(11)와, 카메라 어셈블리(20)의 구성요소인 회전형 CCTV 카메라(21) 및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22, 23, 24)와, 카메라 지지부(25)와, 연결브라켓(26)과, 연결브라켓 지지부(27)가 나타나 있다. 위와 같은 상부측에 구비되는 요소들은 그 아래에 구비되어 있는 메인지주(60)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상부커버(11)는 상부지지부(10)의 외형을 이루는 상부면 및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게 된다.
도4는 본 발명 장치에 구비되는 하부함체(70)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부함체(70)의 내부에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발생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하부함체(70)의 내부에는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와 표시수단 등을 포함하는 제어반(80)이 구비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부함체(70)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반(80)에는 전원부(81)와, 동작제어부(82)와, 상태표시부(83)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반(80)의 내측에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거나 동작관련 명령에 따라 장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또는 MCU(Main Control Unit, 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반(80)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부(81)는 장치에 전원을 투입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누름스위치 또는 터치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위치 선택시(스위치를 누르거나 터치하는 것을 의미함) 점등되거나 발광되는 표시수단을 겸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81)에는 ON, OFF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ON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원을 투입할 수 있고, OFF 스위치를 사용하여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ON 스위치가 선택되면 장치에 전원이 투입되면서 ON 스위치가 점등 또는 발광하게 되고, OFF 스위치가 선택되면 전원이 차단되면서 OFF 스위치가 점등 또는 발광하게 된다.
한편, 전원부(81)에 구비되는 전원의 투입 및 차단스위치는 하나의 누름버튼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누름버튼 스위치를 사용할 경우, 스위치를 눌러서 전원이 투입되면, 스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표시수단이 전원투입에 해당되는 색으로 발광되고, 스위치를 다시 눌러서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면, 스위치의 표시수단이 전원이 차단되었음을 표시하는 색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반(80)에 구비되어 있는 동작제어부(82)는 관리자가 현장에서 직접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승스위치, 하강스위치 및 슬립해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스위치의 경우에도 누름스위치 또는 터치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위치 선택시 점등되거나 발광하는 표시수단을 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강 스위치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아래로 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승 스위치는 보수 또는 점검 등을 위하여 아래로 내려와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다시 위로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슬립해제 스위치는 슬립상태에 있는 장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치가 슬립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상승스위치 또는 하강스위치를 선택하더라도 장치가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먼저 슬립해제 스위치를 선택하여 장치를 활성화시킨 후에 상승스위치 또는 하강스위치를 선택하여야 장치가 정상적으로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립해제 스위치를 구비하는 이유는 관리자 등이 장치의 상태를 한 번 더 확인한 후에 동작시키도록 하여,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장치를 동작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동작제어부(82)에는 STOP 스위치(도시 안 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STOP 스위치는 본 발명의 장치가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켜야 하는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STOP 스위치가 선택되면,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이 모두 정지되게 된다. 본 발명은 STOP 스위치가 선택되어 장치의 승하강 동작이 정지된 경우에도 제어반에 대한 전력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반(80)에 구비되어 있는 상태표시부(83)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태표시부(83)에는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상승하여 상, 하부접속부(30, 40) 즉, 상, 하부접속핀(31, 41)이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인지 또는 분리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접속표시와 분리표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장치의 제어반(80)의 내부에는 중앙제어부 또는 MCU(Main Control Unit)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태표시부(83)는 중앙제어부 또는 MCU의 제어에 따라 장치의 상태를 자동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하부함체(70)를 뒤쪽에서 본 도면으로서, 하부함체(7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동력발생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부함체(70)의 내부에 구비되는 동력발생수단은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71)와, 구동모터(71)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회전스크류(51)로 전달하는 구동 톱니바퀴(72)와 피동 톱니바퀴(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71)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모터(71)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구동모터(7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 톱니바퀴(72)를 통해 피동 톱니바퀴(73)로 전달되게 되는데, 피동 톱니바퀴(73)의 상부에는 회전스크류의 하부축(55)이 결합되어 있어서, 피동 톱니바퀴(73)의 회전에 따라 회전스크류(51)가 회전하게 된다.
피동 톱니바퀴(73)와 회전스크류 하부축(55)의 사이에는 유닛베어링(74)이 구비되어 있다. 유닛베어링(74)은 제어반(8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피동 톱니바퀴(73)와 회전스크류 하부축(55)이 요동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해 준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모터(71)와 유닛베어링(74)이 제어반(8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6 내지 8 및 도12 내지 15는 본 발명 장치의 상부지지부(10)와, 메인지주(6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 하부접속부(40)와 동력전달부(50) 및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상부커버(11)의 일부와 전방지주(61)의 뒤쪽 부분이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부커버(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지지부(1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전방지주(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동력전달부(5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7과 8은 본 발명의 상부지지부(10)와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해당 부분을 확대한 것이며, 상부커버(11) 및 전방지주(61)의 뒤쪽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상부지지부(10)는 도7,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닛베어링(12), 지지브라켓1(13) 및 지지브라켓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닛베어링(12)은 회전스크류(51)의 최상단에서 회전스크류(51)를 지지하면서 회전스크류(51)가 안정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지지브라켓1(13)은 그 상부에 결합되는 유닛베어링(12)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지지브라켓1(13)과 지지브라켓2(14)는 그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접속부(30)를 지지해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지지부(10)의 가장 아래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2(14)는 그 하단에서 메인지주(60)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브라켓2(14)는 상부지지부(10)의 하단과 메인지주(60)의 상단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즉, 상부지지부(10)에 구비되어 있는 지지브라켓2(14)와 메인지주(60)의 상단은 볼트 또는 체결나사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2(14)는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하단에서 전방지주(61) 및 후방지주(62)의 상단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9는 본 발명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의 구성을 더욱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9(a)는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고, 도9(b)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의 중심에는 원형의 통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통로를 통해 회전스크류(51)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에는 각각 접속핀이 구비되어 있다. 상부접속부(30)에 구비되는 상부접속핀(31)은 카메라 어셈블리(20)에 구비되는 CCTV 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접속부(40)에 구비되는 하부접속핀(41)은 상부접속핀(31)의 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 하부접속핀(31, 41)을 통하여 CCTV 카메라(21) 및 감시카메라(22, 23, 24)의 동작을 위한 전력과 제어신호 및 영상데이터 등을 전달하게 된다.
도9와 같이, 상부접속부(30)에 구비되는 상부접속핀(31)은 그 하부에 반구형 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접속핀(31)의 내부에는 상기 반구형 볼록부(32)가 압력을 받을 경우 위로 이동할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접속부(40)에 구비되는 하부접속핀(41)의 상부에는 반구형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접속핀(41)은 고정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부접속핀(31)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반구형 볼록부(32)와 하부접속핀(4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오목부(42)는 서로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동일한 직경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9(b)와 같이 하부접속부(40)가 상승하게 되면, 하부접속핀(41)과 상부접속핀(31)이 서로 접촉을 시작하게 되고, 하부접속부(40)가 설정된 높이까지 더 상승하면 그 상승력에 의해 상부접속핀(31)의 반구형 볼록부(32)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위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도9(b)와 같이 상, 하부접속핀(31, 41)이 전기적으로 서로 긴밀하게 접속되게 되며, 이와 같이 접속된 상태에서 이들 접속핀의 사이에는 접촉저항 매우 낮은 우수한 상태의 전기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하부접속부(40) 즉, 수직지지대(53)가 상승하는 높이를 상, 하부접속핀(31, 41)이 서로 긴밀하게 결합되는 높이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할 경우, 하부접속부(40)가 설정된 위치까지 상승하면 구동모터(71)의 동작이 정지되면서 장치의 상승이 정지되게 된다.
도9(a)에서와 같이 하부접속부(40)가 하강할 경우에는, 상, 하부접속핀(31, 41)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면서 CCTV 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와 제어반(80) 사이의 전력공급 및 신호와 데이터 등의 송수신이 모두 차단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 하부접속핀(31, 4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등록된 바 있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988170호에 나타나 있는 상부접속핀(31, 32) 및 하부접속핀(41, 42)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10은 상부접속부(30)의 상부접속핀(31)에 전선 및 케이블(L1)이 연결되는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상부지지부(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접속부(30)의 각 접속핀에는 각각 전원공급용 전선과, 장치의 제어 및 동작에 관한 신호와 영상데이터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선 및 케이블(L1)이 연결되어 있으며, 위와 같은 전선 및 케이블(L1)은 후방지주(6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후방지주의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하부함체(7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반(80)으로 연결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설명과 도면에서는 전선 및 케이블 또는 케이블(L1, L2)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명칭은 상부접속부(30)와 제어반(8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공급용 전선과, 제어 또는 명령 관련신호 및 영상데이터 등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랜선 등을 포함하여 칭하는 명칭이다. 이하 설명되는 전선 및 케이블(L2)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도7,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지주(61)의 내부에는 동력전달부(50)가 구비되어 있다. 동력전달부(50)는 회전스크류(51)와, 동력변환부(52)와, 수직지지대(53) 및 복수 쌍의 측면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7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나사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스크류(51)는 전방지주(61)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어서 구동모터(7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동력전달부(50)에 구비되어 있는 동력변환부(52)는, 도7, 8 및 도12 내지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스크류(51)의 회전운동을 상, 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수단이다. 동력변환부(52)의 중심에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내면에는 회전스크류(51)의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스크류(5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동력변환부(52)가 회전스크류(51)를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동력전달부(50)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지지대(53)는 도7, 8 및 도12 내지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지지대(53)는 동력변환부(52)에서 변환된 상, 하 직선운동 에너지를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연결브라켓 지지부(27)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수직지지대(53)의 내측 하부에는 동력변환부(52)가 결합되고, 수직지지대(53)의 외측 측면에는 연결브라켓 지지부(27)가 결합되어 있어서, 동력변환부(52)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연결브라켓 지지부(27)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그 결과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수직지지대(53)는 스텐리스 등과 같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브라켓(26)과 연결브라켓 지지부(27)를 지지하면서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를 용이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견고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사이 및 수직지지대(53)와 동력변환부(52)의 사이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도13 내지 15와 같이 복수의 볼트와 너트 또는 체결스크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지지대(53)는 회전스크류(51)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ㄷ자 형상 수직지지대(53)의 내부공간에는 회전스크류(51)가 위치하게 되며, 수직지지대(53)의 좌, 우측면에는 수직지지대(53)를 전, 후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수직지지대(53)가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복수 쌍의 측면롤러(54)가 구비되어 있다.
수직지지대(53)의 좌, 우측에 구비되는 측면롤러(54)는 도7, 8에서와 같이 앞쪽에 1쌍, 뒤쪽에 2쌍 구비될 수 있다. 앞쪽에 구비되는 1쌍의 측면롤러(54)는 전방지주(61) 앞쪽의 내부면을 따라 회전이동하면서 수직지지대(53)를 지지하고, 뒤쪽에 구비되는 2쌍의 측면롤러(54)는 전방지주(61) 뒤쪽의 내부면을 따라 회전이동하면서 수직지지대(53)를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2, 3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뒤쪽에 더 많은 수의 측면롤러(54)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수직지지대(53)가 카메라 어셈블리(20)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직지지대(53)에 구비되는 측면롤러(54)의 수는 위와 같이 3쌍으로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수직지지대(53)의 최상단에는 하부접속부(40)가 결합되어 있다. 하부접속부(40)는 상부접속부(30)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수직지지대(53)가 상승하면 하부접속부(40)가 함께 상승하여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의 접속핀들이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서로 결합되게 된다.
도6 내지 8 및 도11 내지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지지대(53)의 상부 측면에는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연결브라켓 지지부(27)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연결브라켓 지지부(27)는 카메라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브라켓(26)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연결브라켓 지지부(27)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연결브라켓 지지부(27)는 도12 내지 15와 같이 전방지주(61)의 4면을 감싸는 4각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내부에는 케이블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13 내지 15와 같이, 하부접속핀(41)과 배선용 허브(28; 도16에 도시됨)의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L2)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내부공간과 연결브라켓(26)의 내부공간을 통해 배선용 허브(28)로 연결된다. 배선용 허브(28)로 연결된 케이블(L2)은 허브의 단자를 통하여 각각 CCTV 카메라(21) 및 감시카메라와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상, 하부접속부와 제어반 또는 배선용 허브를 연결하는 전력선 및 신호선 등을 ‘전선 및 케이블’ 또는 ‘케이블’이라고 칭한다.
도10, 12에는 본 발명 상부지지부(10)에 구비되어 있는 유닛베어링(12)과, 지지브라켓1(13) 및 지지브라켓2(14)가 도시되어 있으며, 지지브라켓1(13)과 지지브라켓2(14)의 사이에 상부접속부(30)가 지지되어 있는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의 상부접속부(30)는 상부지지부(10)의 내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9, 10과 같이, 상부접속부(30)에는 복수의 상부접속핀(31)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상부접속핀(31)은 각각 제어반(8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L1)은 상부접속핀(31)으로부터 제어반(80)으로 연결되는 전력선 및 신호선 등을 모두 포함하여 칭하는 것이다. 케이블(L1)은 후방지주(6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통과하여 제어반(80)으로 연결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사람이 용이하게 접근하기 어려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며, 카메라가 정상 동작하는 상태 즉,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하여 CCTV 카메라 및 감시카메라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카메라 어셈블리(20)의 높이가 3m 이상 20m 이하가 되도록 구성한다.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이와 같이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메인지주(60) 즉, 전방 및 후방지주(61, 62)의 높이와 회전스크류(51)의 높이(길이)를 전체 장치의 높이에 맞추어 제조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상승 높이를 20m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시에는 그보다 더 높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지주(60)의 높이를 그 높이에 따라 설정하여 제조하여야 하며, 특히 회전스크류가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회전스크류의 재질 및 직경을 설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2, 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메인지주(60)에 있어서 전방지주(61)와 후방지주(62)는 4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4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은 그 모서리가 직각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운용상의 안전 등을 위하여 그 모서리가 부드러운 곡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에 형성되는 곡선의 형상은 그 내부에 구비되는 수직지지대 등이 자유롭게 승하강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 중 도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전방지주(61)는 4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그 뒤쪽(후방측)에는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결합부가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는 수직틈이 상하에 걸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후방지주(62)는 상하로 형성되는 측면이 막혀 있는 4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후방지주(62)의 내부에는 케이블(L1)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이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부(도면 부호 기재되지 않음)는 도12 내지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53)의 후방측 부분과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후방측 부분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결합부는 체결나사 등을 이용하여 4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후방측 내부프레임과 수직지지대(53)의 일측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장치의 가장 아래에 구비되는 하부함체(70)가 일정 높이에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하부함체(70)의 내부 아래에는 제어반(80)이 구비되어 있고, 제어반(80)의 상부에는 동력발생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관리자 등이 장치를 동작시키거나, 점검 또는 보수 등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것이 제어반(80)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리자 등이 제어반(80)에 용이하게 접근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하부함체(70)의 하단면이 지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높이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하부함체(70)의 하단면은 바닥면으로부터 300mm 이상 2,000mm 이하의 높이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위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하부함체(70)가 설치될 경우에는, 수리, 점검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하부함체(70) 하단면의 높이는 500mm 이상 1,500mm 이하의 높이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부함체(70)의 하단면이 위와 같은 높이로 설치될 경우, 관리자 등이 고가사다리 등의 외부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제어반(80)에 접근하여 장치를 동작시키거나 보수 또는 점검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의 함부함체(70) 하단면이 위와 같은 높이에 설치될 경우, 장치가 설치된 지역에 폭우 등이 발생하여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그 수위가 하부함체의 하단부 이하까지만 상승하는 경우에는 장치에 대한 피해 없이 안전한 상태로 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 이상의 수위 상승이 예상되는 지역에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하부함체(70)의 하단면 높이를 위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보다 안전하게 장치를 운용할 수도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카메라 어셈블리(20)의 한 구성요소이면서 카메라 지지부(25)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선용 허브(28)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되어 있는 배선용 허브(28)는 하부접속부(40)의 하부접속핀(41)으로부터 연결되어 온 전원선 및 랜선 등을 포함하는 케이블(L2)을 각각의 CCTV 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와 연결시켜서 동작시키기 위하여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각각의 카메라(21 내지 24)는 배선용 허브(28)에서 분기되는 랜선 등을 통하여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고, 동시에 카메라의 동작에 관련된 신호 및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그에 따라 동작하게 되며, 또한, 각각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배선용 허브(28)를 통하여 제어반(80)으로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 장치에 구비되는 배선용 허브(28)에는 카메라의 수에 해당되는 제어신호 및 영상데이터 송수신용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 커넥터를 통하여 각 카메라와 배선용 허브(28)가 연결되게 되고, 배선용 허브(28)와 제어반(8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케이블(L2)을 통하여 제어신호 및 영상데이터가 제어반(80) 또는 외부의 장치로 송수신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반(80)에 무선통신부(84)가 더 구비되어 있고, 본 발명의 장치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인 원격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상부지지부(10), 카메라 어셈블리(20), 상부접속부(30), 하부접속부(40), 동력전달부(50), 메인지주(60), 하부함체(70), 제어반(80) 및 하부지주(9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어반(80)에는 전원부(81)와, 동작제어부(82)와, 상태표시부(83) 외에 무선통신부(84)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며, 위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무선통신부(84)를 이용하여 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수단(도시 안 됨)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무선통신부와 원격제어수단을 구비할 경우, 원격 장소에서 장치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공급하거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데이터 등을 외부로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의 제2 실시예에는 동작제어부(82)에는 무선통신부(84)가 더 구비되어 있다. 무선통신부(84)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84)가 구비되어 있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경우,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PC, 터치패널 등의 원격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82)에 구비되어 있는 무선통신부(84)는 제어반(80)에 구비되는 중앙제어부 또는 MCU의 제어에 따라 제어반(80)에 저장되어 있는 장치의 동작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를 원격제어수단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거나, 무선인터넷 등의 수단을 통해 이들 정보 또는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여 장치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는 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통신부(84)와 원격제어수단을 통하여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승하강 동작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장치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외부의 저장수단 등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에서도 메인지주(60)의 길이(높이)와 하부함체(70) 하단부의 설치 높이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300mm 이상 2,000mm 이하의 높이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500mm 이상 1,500mm 이하의 높이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하부지주(90)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 상부지지부(10) 또는 전방지주(61)와 하부함체(70)를 인접한 벽면 또는 인접한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상부지지부(10)와, 카메라 어셈블리(20)와,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와, 동력전달부(50)와, 메인지주(60)(60와), 하부함체(70) 및 제어반(8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부지지부(10) 또는 후방지주(62)와, 하부함체(70)에는 인접한 벽 또는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더 구비되게 된다.
상부지지부(10)의 경우에는 지지브라켓2(14)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후방지주(62) 및 하부함체(70)의 경우에도 일측 또는 양측에 인접한 벽 또는 구조물과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특히, 하부함체(70)에는 복수의 결합수단이 상하로 구비되도록 하여, 장치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경우에는 하부지주(90)를 생략하는 대신 상부지지부(10) 또는 후방지주(62) 및 하부함체(70)가 인접한 벽면 또는 인접한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메인지주(60)가 일정 길이 이상으로 길어질 경우, 예를 들어 10m 이상으로 길어지게 될 경우에는 후방지주(62)의 한 지점 또는 복수의 지점에서 후방지주(62)를 인접한 벽면 또는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경우에도 앞의 실시예들과 같이 메인지주(60)의 길이(높이)와 하부함체(70)의 하단부가 설치되는 높이를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제3 실시예의 제어반(80)에도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원격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승하강 동작을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한 무선통신부(8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메인지주(60) 및 하부지주(90)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가장 위에는 상부지지부(10)가 구비되고, 그 아래에 메인지주(60)와, 하부함체(70)와, 하부지주(90)가 차례로 구비되어 있으며, 메인지주(60)의 측면을 따라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승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지주(60)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지주(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전체적으로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지주(60)와 하부지주(90)의 형상 및 메인지주(60)의 내부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50)가 위 실시예와 차이가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 제1 실시예는 메인지주(60)가 2개의 4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지주(90)도 4각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면, 제4 실시예는 메인지주(60)와 하부지주(90)가 원통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된 제1 실시예와 여기에서 설명되는 제4 실시예는 메인지주(60)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메인지주(60)의 내부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50) 의 구성에도 차이가 있게 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메인지주(60)는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지주(63)와, 외부지주(63)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작은 직경의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지주(6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부함체(70)의 아래에서 전체 장치를 지지하는 하부지주(90) 역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지주(63)의 내부에는 동력전달부(50) 등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형상 외부지주(63)의 내부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50)의 수직지지대(53)는 원통형상 외부지주(63)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앞의 제1 실시예에 구비되어 있는 동력전달부(50)의 구성과는 유사하지만,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도18 내지 24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1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19, 20은 장치의 상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19는 장치에 구비되는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위로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19,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가장 상부에는 상부지지부(10)가 구비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부(10)는 앞의 제1, 2, 3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지지부(10) 지지브라켓2(14)의 하단과 원통형상 메인지주(60)의 상단 즉, 외부지주(63)와 내부지주(64)의 상단이 결합되게 된다.
도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경우에는, 원통형 하부지주(90)의 위에 하부함체(70)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함체(70)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4 실시예에 구비되는 하부함체(70)의 내부에도 제어반(80) 및 동력발생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부함체(70)의 상부에 결합되는 메인지주(60)와, 그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지주(90)의 형상에만 차이가 있을 뿐, 하부함체(70) 내부의 구성은 제1, 2, 3 실시예 중 하나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21,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외부지주(63)는 장치의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외부지주(63)의 내부 일측에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내부지주(64)가 구비된다. 내부지주(64)는 수직지지대(53) 또는 동력변환부(52)의 승하강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외부지주(63)의 내부 중 가장 앞쪽(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방향)에 설치되며, 내부지주(64)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부접속부의 상부접속핀(31)과 제어반(80)을 연결하는 케이블(L1)이 연결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 중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2, 3 실시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특히, 외부지주(63)가 원통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회전스크류(51)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직선운동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52)가 앞의 실시예들과 다르게 구성되어 있고, 동력변환부(52)와 결합되는 수직지지대(53)의 구성 역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발명 장치 상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확대도인 도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가장 상부에는 상부지지부(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지지부(10)는 상부커버(11)와, 유닛베어링(12)과, 지지브라켓1, 2(13, 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커버(11)는 상부지지부(10)의 상부면 및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부커버(11)의 내부에는 위로부터 유닛베어링(12)과, 지지브라켓1(13)과, 지지브라켓2(14)가 차례로 구비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부지지부(10)의 구성은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20과 같이 상부지지부(10)의 내부 즉, 지지브라켓1, 2(13, 14)의 사이에는 상부접속부(3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부접속부(30)는 도24에 도시되어 있는 하부접속부(40)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접속부가 상승할 경우, 하부접속부(40)의 접속핀(41)과 상부접속부(30)의 접속핀(31)이 각각 서로 정확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상, 하부접속핀의 구조는 앞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접속핀과 동일하게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20에는 리밋스위치(33)와 리밋스위치 접속부(43)가 도시되어 있다. 리밋스위치(33)는 상부접속부(30)의 측면 일측에 구비되고, 리밋스위치 접속부(43)는 하부접속부(40)의 측면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리밋스위치(33)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서, 이들을 통해 장치의 상승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모터(71)가 동작하여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상승하게 되면 하부접속부(40) 역시 위로 상승하게 되고, 하부접속부(40)의 측면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리밋스위치 접속부(43)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카메라 어셈블리(20)가 더 상승하여 리밋스위치 접속부(44)가 리밋스위치(33)와 접촉하게 되면, 장치의 상승 동작이 정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리밋스위치(33)와 리밋스위치 접속부(43)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구비되는 것이고, 제1, 2, 3 실시예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필요시에는 제1, 2, 3 실시예에도 리밋스위치(33)와 리밋스위치 접속부(43)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외부지주(63)는 하부함체(7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체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카메라 어셈블리(20) 역시 외부지주(63)에 의해 지지되면서, 외부지주(63)를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제4 실시예에 사용되는 카메라 어셈블리(20)는 제1, 2, 3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수직지지대(53)와 결합하는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형상이 앞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2, 3 실시예에서는 도12 내지 15와 같이 연결브라켓 지지부(27)가 사각형 형상의 전방지주(61)를 둘러싸는 4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제4 실시예에 사용되는 연결브라켓 지지부(27; 27-1, 27-2)는 도21, 22,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외부지주(63)를 둘러싸는 원형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18 내지 20 및 도24에 도시되어 있는 제4 실시예에서는 외부지주(63)가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그 후방측(뒤쪽)에는 일정 넓이를 가진 틈(수직틈)이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틈은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를 결합시켜주는 결합부가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직틈으로 인해 동력변환부(52)에서 변환된 직선운동 에너지가 수직지지부(53)를 통해 연결브라켓 지지부(27)로 전달되어,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연결브라켓 지지부(27)는 외부지주(63)를 둘러싸는 원형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되, 그 내부에 구비되어 연결브라켓(26)과 결합되는 내부프레임(27-1)과, 내부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를 형성하는 외부프레임(27-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19 내지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지주(63)의 내부에는 동력전달부(50)가 구비되어 있다. 동력전달부(50)는 회전스크류(51)와, 2개의 동력변환부(52)와, 수직지지대(53) 및 2개의 후방롤러(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1 내지 23은 동력변환부(52)와,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21은 수지지직대(53)의 후방측이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고, 도22는 수지지직대(53)의 전방측이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며, 도23은 수지지직대(53)의 전면과 후면측이 자세하게 나타나도록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전방측 또는 앞쪽은 메인지주를 중심으로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방향을 말하는 것이고, 그 반대방향은 후방측 또는 뒤쪽이라고 칭한다.
도21 내지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53)는 회전스크류(51)의 측면에 구비되되 회전스크류(51)와 평행하면서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지지대(53)의 내부공간에는 회전스크류(51)와 동력변환부(5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는 동력전달부(50)에 2개의 동력변환부(52)가 구비되어 있다. 동력변환부(52)는 회전스크류(51)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상, 하 직선운동 에너지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수단이며, 장치의 외부지주(63)의 내부에서 각각 수직지지대(53)와 결합되게 된다. 각 동력변환부(52)의 중심부 내측에는 회전스크류(51)의 외주나사와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스크류(51)가 동력변환부(52)의 중심부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태에서 구동모터(71)가 회전하여 회전스크류(5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 경우, 동력변환부(52)는 회전스크류(51)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22 및 23과 같이 구성된 동력변환부(52)는 원통형상의 외부지주(63) 내부에서 위아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23과 같이, 수직지지대(53)의 상부 및 하부에는 동력변환부(52)가 각각 결합되고, 수직지지대(53) 후방측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결합되어 있다. 동력변환부(52)에서 변환된 상하 직선운동 에너지에 의하여 동력변환부(52)는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동력변환부(52)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동력변환부(52)와 결합되어 있는 수직지지대(53)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수직지지대(53)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 지지부(27)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그 결과 카메라 어셈블리, 즉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전체 카메라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수직지지대(53)는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연결브라켓(26)을 지지하면서 이들을 용이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금속재질 등으로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 27-1, 27-2) 및 수직지지대(53)와 동력변환부(52)는 볼트와 너트 또는 체결스크류를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수직지지대(53) 후방측의 상, 하부에는 후방롤러(56)가 구비되어 있다. 후방롤러(56)는 수직지지대(53)가 상하로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수직지지대(53)의 상부 및 하부에 1개씩 구비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53)의 후방측 상, 하부에 구비되는 후방롤러(56)는 도19 내지 23에서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후방롤러(56)는 수직지지대(53)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안에 안전하게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며, 외부지주(63)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틈을 따라 위,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제4 실시예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지지대(53)는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원주(63)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수직지지대(53)는 회전스크류(51)의 회전방향에 따라 한정된 범위에서 좌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제4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수직지지대(53)가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후방롤러(56)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어셈블리(20)는 1개의 회전형 CCTV 카메라와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연결브라켓(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서,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승하강시킬 경우, 상당한 하중이 수직지지대(53)에 가해질 수 있다. 제1, 2, 3 실시예에서는 수직지지대(53)의 좌, 우측에 복수 쌍의 측면롤러(54)를 구비시켜서 1개의 동력변환부(52) 및 복수 쌍의 측면롤러를 통해 수직지지부(53)가 카메라 어셈블리(20)의 하중을 감당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앞의 제1, 2, 3 실시예와는 달리, 제4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21 내지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된 2개의 동력변환부(52)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제4 실시예는 외부지주(63)의 내부에 2개의 동력변환부(52)가 구비되되, 동력변환부(52)가 수직지지대(53)의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수직지지대(53)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결합되어 있어서, 수직지지대(53)가 카메라 어셈블리(20)의 하중을 견뎌내면서 승하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제4 실시예에서는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결합부가 외부원주(63)의 수직틈을 따라서 위,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데, 회전스크류(51)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수직틈의 내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즉, 회전스크류(51)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바뀌게 되면, 수직지지대(53)는 이동 방향을 바꾸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결합부가 수직틈의 범위 내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외부지주(63) 수직틈의 반대측의 단부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즉,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지지대(53)에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결합부가 장치의 승하강 방향이 바뀔 때마다 수직틈의 내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회전하여 수직틈의 양측 단부 중 하나와 접촉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접촉으로 인해 승하강 동작 중에 소음이 발생하거나 수직틈의 단부가 마찰로 인해 마모될 우려가 있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이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부(도면 부호 기재되지 않음)는 도21 및 22와 같이, 수직지지대(53)의 후방측 부분과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후방측 부분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결합부는 체결나사 등을 이용하여 원형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후방측 내부프레임(27-1)과 수직지지대(53)의 일측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수직지지대(53)와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결합부가 위와 같이 회전하여 수직틈의 좌, 우측 단부 중 하나와 접촉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직지지대(53)의 후방측 상, 하부에 후방롤러(56)가 구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21 내지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후방롤러(56)는 상기 결합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되, 연결브라켓 지지부(27-1)의 위, 아래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수직틈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후방롤러(56)의 직경은 상기 결합부의 좌우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수직틈의 좌우 간격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되는 후방롤러(56)의 직경은 상기 수직틈의 좌우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후방롤러(56)의 직경은 수직틈의 좌우 간격보다 0.1mm 이상 5mm 이하의 범위에서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범위는 0.1mm 이상 1mm 이하가 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0.1mm 이상 0.5mm 이하가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수직틈의 좌우 간격은 후방롤러(56)의 직경보다 위 범위만큼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후방롤러(56)의 직경이 위와 같은 범위가 되도록 형성할 경우, 후방롤러(56)가 하강시에는 수직틈의 좌, 우측 단부 중 하나와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상승시에는 반대측 단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후방롤러(56)가 이와 같이 동작할 경우, 수직지지대(53)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극히 미세한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게 되어, 장치가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후방롤러(56)의 직경을 위와 같은 범위로 형성하는 이유는 수직지지대(53)의 좌우 회전이 위 범위 이내로 한정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가 극히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하여 카메라의 감시동작이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후방롤러(56) 및 수직지지대(53)가 위 범위에서만 좌, 우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어셈블리(20)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하부함체(70)와, 카메라 어셈블리(20) 및 상, 하부접속부(30, 40) 등의 구성은 앞의 제1, 2, 3 실시예와 동일하며, 메인지주(60)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발생하는 구성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2, 3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인지주(60)의 전방지주(61)가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내부에 구비되는 상, 하부접속부(30, 40) 및 수직지지대(53)가 그 내부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며, 제4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인지주(60)의 외부지주(63)가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 및 하부접속부(30, 40) 및 수직지지대(53)가 그 내부의 원통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게 된다.
한편,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지주(63)의 내부에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내부지주(64)가 구비되어 있다. 내부지주(64)는 제1, 2, 3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지주(62)에 대응되는 구성이며, 도21 및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구비되어 있는 내부지주(64)는 상기 제1, 2, 3 실시예의 후방지주(62)와는 달리 외부지주(63)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전방지주(62)에 비해 그 단면적 및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제1, 2, 3 실시예에 구비되어 있는 후방지주(62)는 4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장치의 후방측을 보호하면서 장치의 일부 하중을 분담하고 또한, 그 내부공간에 케이블(L1)이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구비되어 있는 내부지주(64)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지주(63)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면서 장치의 하중 중 일부를 분담하며,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통해 케이블(L1)이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예의 경우에도, 수직지지대(53)의 최상단에는 하부접속부(40)가 결합되어 있다. 하부접속부(40)는 상부접속부(30)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수직지지대(53)가 상승하면 하부접속부(40)가 함께 상승하여 상부접속부(30)와 하부접속부(40)의 접속핀들이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게 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연결브라켓 지지부(27; 27-1, 27-2)는 도19, 21, 22와 같이 구성된다. 즉, 연결브라켓 지지부(27)는 원통형상 외부지주(63)의 외부를 감싸는 원형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케이블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실시예의 경우, 연결브라켓 지지부(27; 27-1, 27-2)의 형상이 원형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 외에는 제1, 2, 3에 사용되는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24에 도시되어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도 카메라 지지부(25)가 구비되어 있고, 카메라 지지부(25)의 내부에는 하부접속부(40)의 하부접속핀(41)으로부터 연결되는 전원선 및 랜선 등을 포함하는 케이블(L2)을 CCTV 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와 연결시키도록 분배하는 배선용 허브(28)가 구비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도, 상부접속부(30)와 제어반(80)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L1)과, 하부접속부(40)와 배선용 허브(28)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L2)이 구비되어 있다. 참고로, 제4 실시예 관련 도면 중에는 케이블의 배치에 관한 사항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케이블의 배치는 여타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사상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경우에도 메인지주(60)의 길이와 하부함체(70) 하단부의 설치 높이를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하부함체(70)의 하단부의 높이가 바닥면으로부터 300mm 이상 2,000m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500mm 이상 1,500m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며, 본 발명의 장치가 인접한 벽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5 실시예는 앞의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는 앞의 제4 실시예와는 달리 하부지주(90)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그 대신 상부지지부(10) 또는 외부지주(63)와 하부함체(70)를 인접한 벽 또는 타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이 실시예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지주를 생략하고 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외부지주(63)의 길이가 일정범위 이상, 예를 들어, 10m를 초과하여 길게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 등에는 상부지지부(10)와 외부지주(63) 및 하부함체(70)에 결합수단을 구비시켜서, 장치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경우에도 앞의 제2 실시예와 같이, 원격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부(84)가 제어반(80)에 더 구비되도록 하여, 원격 장소에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데이터 등을 외부로 송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1개 이상의 감시카메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으며, 견고하게 구성된 회전스크류를 승하강용 동력전달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카메라 어셈블리가 상당히 무거운 하중으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카메라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할 경우, 관리자 등이 카메라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는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지 않고 지면이나 바닥면 또는 지면이나 바닥면에 근접된 안전한 위치에서 카메라 어셈블리를 점검 또는 수리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수리, 점검 또는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어셈블리를 하강시킬 경우, 카메라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게 되어, 안전한 상태에서 카메라 어셈블리를 수리 또는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회전스크류의 회전 에너지를 직선운동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승하강되록 구성되어 있고, 카메라 어셈블리가 메인지주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승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카메라 어셈블리가 메인지주를 따라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승하강 동작의 수행 중에 강풍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승하강 동작이 지장을 받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수리, 점검 또는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어셈블리를 하강시킬 경우, 카메라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게 되어, 안전한 상태에서 카메라 어셈블리를 수리 또는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하부접속부가 상승하여 상부접속부와 접속된 후에는, 상부접속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접속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접속부와 하부접속부가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CCTV 카메라 및 1개 이상의 감시카메라에 대한 전력공급과, 영상데이터 또는 제어신호의 송수신 등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CCTV 카메라 또는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고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할 경우, CCTV 카메라 또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확보한 높은 품질의 영상데이터를 활용하여 카메라 주변 상황을 파악하거나 감시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높은 품질의 영상데이터를 외부의 저장수단 등에 저장하여 장치를 관리하거나 향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공간에 설치되는 카메라 어셈블리에 본 발명의 장치를 적용할 경우, 설치된 지역에 폭우 등이 발생하여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그 수위가 하부함체의 하단부 이하까지만 상승하는 경우에는 안전한 상태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수위 상승이 예상되는 지역에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하부함체(70)의 설치 높이를 높여서 보다 안전하게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메인지주를 4각형 형상의 지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원통형상의 외부지주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독립된 위치에 따로 설치할 수 있고, 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인접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하부지주를 생략하고 장치가 인접한 벽 또는 타 구조물의 측면에 결합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원격제어수단 및 제어반(80)에 무선통신부(84)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원격 장소에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데이터 등을 외부로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 설명된 내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특별한 기술적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유사하거나 균등한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상부지지부
11 : 상부커버 12 : 유닛베어링
13 : 지지브라켓1 14 : 지지브라켓2
20 : 카메라 어셈블리
21 : 회전형 CCTV 카메라 22, 23, 24 : 고정형 감시카메라
25 : 카메라 지지부 26 : 연결브라켓
27, 27-1, 27-2 : 연결브라켓 지지부
28 : 배선용 허브
30 : 상부접속부 31 : 상부접속핀
32 : 반구형 볼록부 33 : 리밋스위치
40 : 하부접속부 41 : 하부접속핀
42 : 반구형 오목부 43 : 리밋스위치 접속부
50 : 동력전달부
51 : 회전스크류 52 : 동력변환부
53 : 수직지지대 54 : 측면롤러
55 : 회전스크류 하부축
60 : 메인지주
61 : 전방지주 62 : 후방지주
63 : 외부지주 64 : 내부지주
70 : 하부함체
71 : 구동모터 72 : 구동 톱니바퀴
73 : 피동 톱니바퀴 74 : 유닛베어링
80 : 제어반
81 : 전원부 82 : 동작제어부
83 : 상태표시부 84 : 무선통신부
90 : 하부지주
L1, L2 : 케이블

Claims (11)

  1. 가장 상부에 상부지지부(10)가 구비되고, 그 아래에 메인지주(60)와, 하부함체(70)와, 하부지주(90)가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지주(60)의 측면을 따라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10)는 상부면과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상부커버(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커버(11)의 내부에는 위로부터 유닛베어링(12)과, 지지브라켓1(13)과, 지지브라켓2(14)가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지주(60)는 장치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전방지주(61)와 후방측에 구비되는 후방지주(62)가 4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지주(61)와 후방지주(62)의 상단은 상기 지지브라켓2(14)의 하단과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하부함체(70)의 상부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는 회전형 CCTV 카메라와,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와, 카메라 지지부(25)와, 연결브라켓(26)과,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배선용 허브(2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형 CCTV 카메라와 고정형 감시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연결브라켓(26)의 일측은 상기 카메라 지지부(25)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지주(61)의 내부에는 구동모터(7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동력전달부(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50)는 회전스크류(51)와, 동력변환부(52)와, 수직지지대(53)와 복수 쌍의 측면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대(53)의 측면은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타측은 상기 연결브라켓(26)과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53)가 상승 또는 하강할 경우,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접속부(30)는 상기 지지브라켓1(13)과 상기 지지브라켓2(14)의 사이에 구비되되, 복수의 상부접속핀(3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접속핀(31)의 하부에는 반구형 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접속핀(31)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접속부(40)는 상기 수직지지대(53)의 최상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접속핀(31)과 동일한 수의 하부접속핀(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접속핀(41)의 상부에는 반구형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접속부(40)가 상승할 경우 상기 반구형 오목부(42)와 상기 반구형 볼록부(32)가 전기적으로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함체(70)는 상기 메인지주(60)와 상기 하부지주(90)의 사이에 구비되되, 그 내부에 동력발생수단과, 제어반(8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스크류(51)로 전달하는 구동 톱니바퀴(72)와 피동 톱니바퀴(7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반(80)에는 전원을 투입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전원부(81)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부(82)와, 상기 상, 하부접속부(30, 40)가 접속된 상태인지 또는 분리된 상태인지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8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지주(90)는 장치의 가장 아래에 구비되고, 그 상부에 상기 하부함체(70), 상기 메인지주(60), 상기 상부지지부(10),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 상기 상부접속부(30) 및 상기 하부접속부(4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2. 가장 상부에 상부지지부(10)가 구비되고, 그 아래에 메인지주(60)와, 하부함체(70)가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지주(60)의 측면을 따라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10)는 상부면과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상부커버(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커버(11)의 내부에는 위로부터 유닛베어링(12)과, 지지브라켓1(13)과, 지지브라켓2(14)가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지주(60)는 장치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전방지주(61)와 후방측에 구비되는 후방지주(62)가 4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지주(61)와 후방지주(62)의 상단은 상기 지지브라켓2(14)의 하단과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하부함체(70)의 상부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는 회전형 CCTV 카메라와,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와, 카메라 지지부(25)와, 연결브라켓(26)과,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배선용 허브(2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형 CCTV 카메라와 고정형 감시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연결브라켓(26)의 일측은 상기 카메라 지지부(25)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지주(61)의 내부에는 구동모터(7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동력전달부(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50)는 회전스크류(51)와, 동력변환부(52)와, 수직지지대(53)와 복수 쌍의 측면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대(53)의 측면은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타측은 상기 연결브라켓(26)과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53)가 상승 또는 하강할 경우,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접속부(30)는 상기 지지브라켓1(13)과 상기 지지브라켓2(14)의 사이에 구비되되, 복수의 상부접속핀(3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접속핀(31)의 하부에는 반구형 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접속핀(31)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접속부(40)는 상기 수직지지대(53)의 최상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접속핀(31)과 동일한 수의 하부접속핀(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접속핀(41)의 상부에는 반구형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접속부(40)가 상승할 경우 상기 반구형 오목부(42)와 상기 반구형 볼록부(32)가 전기적으로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함체(70)는 상기 메인지주(60)의 아래에 구비되되, 그 내부에 동력발생수단과, 제어반(8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스크류(51)로 전달하는 구동 톱니바퀴(72)와 피동 톱니바퀴(7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반(80)에는 전원을 투입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전원부(81)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부(82)와, 상기 상, 하부접속부(30, 40)가 접속된 상태인지 또는 분리된 상태인지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8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지지부(10) 또는 상기 후방지주(62)와, 상기 하부함체(70)에는 인접한 벽 또는 타 구조물의 측면에 장치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함체(70)의 상부에 상기 메인지주(60), 상기 상부지지부(10),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 상기 상부접속부(30) 및 상기 하부접속부(4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3. 가장 상부에 상부지지부(10)가 구비되고, 그 아래에 메인지주(60)와, 하부함체(70)와, 하부지주(90)가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지주(60)의 측면을 따라 카메라 어셈블리(20)가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10)는 상부면과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상부커버(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커버(11)의 내부에는 위로부터 유닛베어링(12)과, 지지브라켓1(13)과, 지지브라켓2(14)가 차례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지주(60)는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지주(63)와, 상기 외부지주(63)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내부지주(6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지주(63)와 내부지주(64)의 상단은 상기 지지브라켓2(14)의 하단과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하부함체(70)의 상부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는 회전형 CCTV 카메라와, 1개 이상의 고정형 감시카메라와, 카메라 지지부(25)와, 연결브라켓(26)과,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배선용 허브(2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형 CCTV 카메라와 고정형 감시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연결브라켓(26)의 일측은 상기 카메라 지지부(25)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전방지주(61)의 내부에는 구동모터(7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동력전달부(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50)는 회전스크류(51)와, 동력변환부(52)와, 수직지지대(53)와 2개의 후방롤러(5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대(53)의 외측 측면은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와 결합되며,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타측은 상기 연결브라켓(26)과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53)가 상승 또는 하강할 경우,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 전체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접속부(30)는 상기 지지브라켓1(13)과 상기 지지브라켓2(14)의 사이에 구비되되, 복수의 상부접속핀(3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접속핀(31)의 하부에는 반구형 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접속핀(31)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접속부(40)는 상기 수직지지대(53)의 최상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접속핀(31)과 동일한 수의 하부접속핀(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접속핀(41)의 상부에는 반구형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접속부(40)가 상승할 경우 상기 반구형 오목부(42)와 상기 반구형 볼록부(32)가 전기적으로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함체(70)는 상기 메인지주(60)와 상기 하부지주(90)의 사이에 구비되되, 그 내부에 동력발생수단과, 제어반(8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스크류(51)로 전달하는 구동 톱니바퀴(72)와 피동 톱니바퀴(7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반(80)에는 전원을 투입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전원부(81)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부(82)와, 상기 상, 하부접속부(30, 40)가 접속된 상태인지 또는 분리된 상태인지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8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지주(90)는 장치의 가장 아래에 구비되고, 그 상부에 상기 하부함체(70), 상기 메인지주(60), 상기 상부지지부(10),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 상기 상부접속부(30) 및 상기 하부접속부(4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80)에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통신부(84)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부(84)와 원격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주(61) 또는 상기 외부지주(63)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71)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스크류(51)와, 상기 회전스크류(51)의 회전운동을 상, 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상기 동력변환부(52)와, 상기 동력변환부(52)에서 변환된 상, 하 직선운동 에너지를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에 전달하는 상기 수직지지대(5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동력변환부(52)의 중심 원통형상의 내면에는 상기 회전스크류(51)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스크류(5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나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지주(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1개의 상기 동력변환부(52)는 상기 수직지지대(53)의 하부에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지주(6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2개의 상기 동력변환부(52)는 상기 수직지지대(53)의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상기 수직지지대(53)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속부(30)의 각 접속핀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 또는 케이블(L1)은 후방지주(62)의 내부공간 또는 내부지주(64)의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어반(80)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접속핀(41)과 CCTV 카메라 및 1개 이상의 감시카메라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L2)은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 및 상기 연결브라켓(26)의 내부공간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배선용 허브(28)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7. 삭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후방롤러(56)는 상기 수직지지대(53)의 후방측 상,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지주(63)의 후방측에는 상기 수직지지대(53)와 상기 연결브라켓 지지부(27)의 결합부가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는 수직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롤러(56)의 직경은 상기 수직틈의 좌우 간격보다 0.1mm 이상 5mm 이하의 범위에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후방롤러(56)의 직경은 상기 수직틈의 좌우 간격보다 0.1mm 이상 1mm 이하의 범위에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후방롤러(56)의 직경은 상기 수직틈의 좌우 간격보다 0.1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에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속부(30)의 측면 일측에는 리밋스위치(33)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접속부(40)의 측면 일측에는 리밋스위치 접속부(43)가 구비되되 상기 리밋스위치(33)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71)가 동작하여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를 상승시키면 상기 하부접속부(40)와 함께 리밋스위치 접속부(44)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20)가 더 상승하여 상기 리밋스위치 접속부(44)가 상기 리밋스위치(33)와 접촉하게 되면, 장치의 상승 동작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KR1020230131274A 2023-09-28 2023-09-28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KR102638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274A KR102638944B1 (ko) 2023-09-28 2023-09-28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274A KR102638944B1 (ko) 2023-09-28 2023-09-28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944B1 true KR102638944B1 (ko) 2024-02-21

Family

ID=9005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274A KR102638944B1 (ko) 2023-09-28 2023-09-28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94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592B1 (ko) 2007-04-30 2009-08-31 신정훈 스파크 방지 기능을 갖는 방폭형 승강릴
KR101299121B1 (ko) 2013-04-05 2013-08-21 (주)오티에스 Cctv 카메라 a/s용 오토리프트 장치
KR101737375B1 (ko) 2016-12-16 2017-05-29 (주)오티에스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KR101921702B1 (ko) * 2018-09-17 2018-11-23 최영춘 Cctv용 승하강 장치
KR101988170B1 (ko) 2017-12-22 2019-06-11 송무상 Cctv카메라 오토리프트 장치
KR102119327B1 (ko) * 2018-12-13 2020-06-05 박대웅 보안성이 향상된 cctv 관제시스템
KR102418706B1 (ko) * 2021-11-11 2022-07-07 박대순 지주 설치용 감시 장비 승하강 장치
KR20230065700A (ko) * 2021-11-05 2023-05-12 한국전기연구원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KR20230120248A (ko) * 2022-02-09 2023-08-17 임정희 Cctv 3단 높이조절 등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592B1 (ko) 2007-04-30 2009-08-31 신정훈 스파크 방지 기능을 갖는 방폭형 승강릴
KR101299121B1 (ko) 2013-04-05 2013-08-21 (주)오티에스 Cctv 카메라 a/s용 오토리프트 장치
KR101737375B1 (ko) 2016-12-16 2017-05-29 (주)오티에스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KR101988170B1 (ko) 2017-12-22 2019-06-11 송무상 Cctv카메라 오토리프트 장치
KR101921702B1 (ko) * 2018-09-17 2018-11-23 최영춘 Cctv용 승하강 장치
KR102119327B1 (ko) * 2018-12-13 2020-06-05 박대웅 보안성이 향상된 cctv 관제시스템
KR20230065700A (ko) * 2021-11-05 2023-05-12 한국전기연구원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KR102418706B1 (ko) * 2021-11-11 2022-07-07 박대순 지주 설치용 감시 장비 승하강 장치
KR20230120248A (ko) * 2022-02-09 2023-08-17 임정희 Cctv 3단 높이조절 등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5687B1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KR102037423B1 (ko) 다기능 승강 폴 시스템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KR10260651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케이블 이상유무 감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505520B1 (ko) 변압기와 배전선로가 설치된 산악지역 전주의 화재예방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08494356B (zh) 一种城市智能太阳能公交站供电系统
KR101681036B1 (ko) 지하 매립식 가로등 분전반
KR200295422Y1 (ko) 천장 설치용 등기구 승강장치
US20080037264A1 (en) Fixture lowering device
CN107493643A (zh) 一种太阳能路灯的智能控制系统及方法
KR101037658B1 (ko) 전기 시설물
KR102638944B1 (ko)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KR101988170B1 (ko) Cctv카메라 오토리프트 장치
KR20170107337A (ko)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원격지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163106B1 (ko) 맨홀 및 물놀이 장소의 누전 경보 시스템
KR20190020599A (ko)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는 cctv 승강식 브라켓 구조체
KR102159446B1 (ko) 폴 시스템의 회전장치
JP2015152977A (ja) 災害時等の支援装置
CN111810817A (zh) 办公楼楼道安防摄像头
KR100985108B1 (ko) 지능형 방범설비
KR100998492B1 (ko)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가능한 배전설비
KR100902016B1 (ko) 옥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CN204030719U (zh) 接地线在线监测装置
KR10265694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CN208996512U (zh) 一种具有照明功能的智能休闲岗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