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700A -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 Google Patents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700A
KR20230065700A KR1020210151516A KR20210151516A KR20230065700A KR 20230065700 A KR20230065700 A KR 20230065700A KR 1020210151516 A KR1020210151516 A KR 1020210151516A KR 20210151516 A KR20210151516 A KR 20210151516A KR 20230065700 A KR20230065700 A KR 20230065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ball screw
coupled
adjustin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935B1 (ko
Inventor
최영길
우병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5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9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5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설비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지주대에 관한 것이며,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주대마운트; 상기 지주대마운트 상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일측을 개방시키며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직선가이드부, 상기 직선가이드부 일측에 결합되며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승강로가 형성되는 폐쇄부로 이루어지는 승강케이스; 상기 원통부에 축결합되는 원형프레임부와, 상기 원형프레임부 일측을 개방시키며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직선가이드부 내측에 결합되고, 폐루프형으로 닫히는 직선프레임부가 형성되는 승강몸체; 상기 직선프레임부 내측에 상기 원통부의 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직선프레임부 내측에 결합되는 승강유닛; 상기 볼스크류 하부에 감속기어와 함께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승강몸체에서 상기 원통부 원심 방향으로 체결되는 지주설비장치; 상기 지주대마운트 및 원통부 내측을 통하여 상기 지주설비장치에 연결되는 전원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지주설비장치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POST ADJUSTING POSITION FOR EQUIPMENT}
본 발명은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설비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신호등, CCTV와 같이 지주대를 기초로 설치되는 설비장치는 도로, 주택가 등에 배치되어 국민의 편리한 생활 및 안전을 위해 특정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설비들은 종류에 따라 각각 설치기준이 존재하며, 관리 지침에 따라 유지 및 보수가 이루어진다. 해당 설비들은 대부분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주요장치가 높이 배치되며, 이를 위해서는 고소작업차량, 사다리장치 등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로 인해 유지보수 및 관리를 필요로할 때 신속한 대응이 어려우며, 고소작업 시 작업자의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필요에 의해 설비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 특정 위치에 장애물, 걸림물 등이 존재하고 있어 고소작업이 어려운 경우도 다수 발생하였다.
관련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28870호(승강식 지주대)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28870호(승강식 지주대)는 CCTV 카메라 타워 또는 조명타워에 적용할 수 있는 승강식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또는 조명을 윈치부 조작에 의해 지주대 상에서 쉽게 승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승하강 시 전선의 회동을 위해 케이블 전선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외부환경으로 인해 전선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한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000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28870호(승강식 지주대) [000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7366호(자동 및 수동으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000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10753호(승강식 가로등)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지주설비장치가 설치되는 승강몸체를 승하강시켜 지주설비장치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지주설비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볼스크류에 백래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케이스 내부에 배선을 내장시킴으로써 외부환경으로부터 배선을 보호할 수 있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설비장치의 배선이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배선의 걸림 없이 승강몸체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 시 회전모터의 결합을 해제하고 스핀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승강몸체의 승하강이 가능한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주대마운트; 상기 지주대마운트 상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일측을 개방시키며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직선가이드부, 상기 직선가이드부 일측에 결합되며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승강로가 형성되는 폐쇄부로 이루어지는 승강케이스; 상기 원통부에 축결합되는 원형프레임부와, 상기 원형프레임부 일측을 개방시키며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직선가이드부 내측에 결합되고, 폐루프형으로 닫히는 직선프레임부가 형성되는 승강몸체; 상기 직선프레임부 내측에 상기 원통부의 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직선프레임부 내측에 결합되는 승강유닛; 상기 볼스크류 하부에 감속기어와 함께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승강몸체에서 상기 원통부 원심 방향으로 체결되는 지주설비장치; 상기 지주대마운트 및 원통부 내측을 통하여 상기 지주설비장치에 연결되는 전원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지주설비장치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를 본 발명의 요지로 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스크류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볼너트본체; 상기 볼스크류와 결합되되 상기 볼너트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상기 볼스크류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스토퍼와 맞닿도록 형성되고, 하측에 제1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가압본체; 상기 볼스크류와 결합되되 상기 볼너트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하부면이 상기 볼스크류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스토퍼와 맞닿도록 형성되고, 상측에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가압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유닛이 상기 상부스토퍼와 맞닿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스프링이 압축되는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볼너트본체가 회전 이동되어 가압력이 발생함으로써 백래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프레임부는, 상기 볼너트본체에 형성되는 돌출단이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의 압축 길이만큼 이동되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관통홀; 상기 본체관통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가압본체에 형성되는 돌출단이 관통 삽입되도록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관통홀; 상기 본체관통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본체에 형성되는 돌출단이 관통 삽입되도록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선로는, 상기 원통부 내측에 형성되되 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설비장치의 배선이 내장되어 전체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프링튜브; 상기 스프링튜브의 중심축 선상에 형성되어, 신장된 상기 스프링튜브를 수축 복귀시키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선로는, 상기 직선프레임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배선통로에 구비되어 설비장치의 배선을 결속 및 보호하는 배선고정단; 상기 직선가이드부 내측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배선고정단 보다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선고정단에 고정된 설비장치의 배선을 상기 원통부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 상기 원통부 내측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가이드롤러와 동일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롤러에 의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설비장치의 배선을 상기 원통부 내측에 수직하게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선로는, 상기 볼스크류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2가이드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설비장치의 배선을 지지하는 배선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몸체의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요(凹) 형상의 이동체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체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단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몸체가 상기 승강케이스 내측으로 슬라이딩 인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는, 상기 승강케이스 상부면을 폐쇄시키며, 내측에 돌출기둥부가 마련되어 상기 승강몸체가 일정 높이 승강되면 상기 승강몸체의 상부면을 가압함으로써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는, 상기 회전모터가 감속기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비상 시, 상기 회전모터의 결합을 해제하고 스핀 디바이스를 장착하여 상기 볼스크류를 수동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이 제공됨으로써, 지주설비장치가 설치되는 승강몸체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용이하게 유지 및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주설비장치에 진동, 바람 등과 같은 외력이 발생하였을 때, 승강유닛에 스프링이 내재되어 볼스크류에 볼너트본체가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백래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선이 승강케이스에 내장되어 외부로의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전기배선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주설비장치의 배선이 지주대 내부에서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배선의 당김 또는 꼬임없이 승강몸체의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모터의 고장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회전모터의 결합을 해제하고 스핀디바이스를 장착한 후 승강몸체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의 승강몸체가 승강된 상태의 내부투영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의 승강몸체가 하강된 상태의 내부투영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의 승강유닛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의 회전모터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내부투영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는 크게 지주대마운트(100), 승강케이스(200), 승강몸체(300), 볼스크류(400), 승강유닛(500), 회전모터(600), 지주설비장치(700), 전원선로(800)로 구성된다.
지주대마운트(100)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전원 및 통신배선이 유입된다.
이때, 지주대마운트(100)는 외측 또는 내측에 전원 및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를 통해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의 승하강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승강케이스(200)는 지주대마운트(100)의 상측에 형성되고, 원통부(210)와 직선가이드부(220), 폐쇄부(230)로 구성된다.
원통부(210)는 지주대마운트(100)의 상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통부(210)는 지주대마운트(100)에 고정되기 위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직선가이드부(220)는 원통부(210)의 일측을 개방시키며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다.
즉, 원통부(210)의 일측이 개방되고, 각 개방단에 직선가이드부(220)가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원통부(210)와 직선가이드부(220)는 일체 형성 또는 구분 형성될 수 있으며, 구분 형성될 시 직선가이드부(220)가 고정되기 위한 브라켓(미도시)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폐쇄부(230)는 직선가이드부(220) 일측에 결합되어 직선가이드부(220)의 일측 개방면을 폐쇄시키도록 결합된다.
이때, 폐쇄부(230)는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서, 양단 내측면이 직선가이드부(2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볼트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폐쇄부(230)의 일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로(231)가 형성된다.
승강로(231)는 직선가이드부(220) 내측 일부를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하기 기재되는 지주설비장치(7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시, 배선을 감싸는 통로가 승강로(231)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아울러, 승강케이스(200)는 상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가이드부(220)는 하측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몸체(300)는 승강케이스(200) 내측에 결합되며, 원형프레임부(310)와 직선프레임부(320)로 구성된다.
원형프레임부(310)는 도넛 형상으로서 원통부(210)의 내측에 축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원통부(210)의 내주면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원형프레임부(310)는 원통부(210) 내측에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롤러(311)가 외측면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직선프레임부(320)는 원형프레임부(310) 일측을 개방시키며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직선가이드부(220) 내측에 결합되며, 폐루프형으로 닫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원형프레임부(310)가 형성하는 원형의 공간부와, 직선프레임부(320)가 이루는 사각형의 공간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직선프레임부(320)의 상부면에는 몸체커버(340)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커버(340)는 직선프레임부(320) 상부면에 볼트 체결되어 결합되고, 승강유닛(500)의 상부면 외측을 일부 덮도록 형성되되, 볼스크류(400)에 간섭되지 않도록 개방부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커버(340)는 직선프레임부(320) 내측으로 배선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선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스크류(400)는 직선프레임부(320) 내측에 원통부(210)의 축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볼스크류(4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길이가 길게 구비되는 수나사로서,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승강유닛(500)은 볼스크류(500)에 나사체결되고, 직선프레임부(320) 내측에 결합된다.
이때, 볼스크류(400)에 승강유닛(500)이 체결되어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 구동되고, 승강유닛(50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승강몸체(300)가 승하강 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실시예로서,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의 승강유닛(500)은 볼너트본체(510), 제1가압본체(520), 제2가압본체(530)로 구성되고, 직선프레임부(320)에는 본체관통홀(321), 제1관통홀(322), 제2관통홀(323)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볼너트본체(510)는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홀이 구비되어 볼스크류(400)에 체결되며, 볼스크류(400)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가압본체(520)는 볼스크류(400)와 결합되되 볼너트본체(51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면에 제1스프링이 형성된다.
즉, 제1스프링은 제1가압본체(520)와 볼너트본체(5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가압본체(520)는 승강유닛(500)이 볼스크류(400)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할 시, 볼스크류(4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스토퍼(410)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승강유닛(50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된다.
제2가압본체(530)는 볼스크류(400)와 결합되되 볼너트본체(5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부면에 제2스프링이 형성된다.
즉, 제2스프링은 제2가압본체(530)와 볼너트본체(5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가압본체(530)는 승강유닛(500)이 볼스크류(400)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할 시, 볼스크류(400)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스토퍼(미도시)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승강유닛(50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이 압축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각 스프링이 고정되는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예로서, 볼스크류(400)의 회전구동에 따라 승강유닛(500)이 상부스토퍼(410)와 맞닿도록 배치되면, 제1스프링이 압축되는 소정의 길이만큼 볼너트본체(510)가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되어 가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볼너트본체(510)가 제1스프링을 압축시키며 고정되어 백래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스토퍼(410) 및 하부스토퍼는, 접촉, 압력,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승강유닛(500)이 상부스토퍼(410) 또는 하부스토퍼와 접촉하면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감지신호가 제어부에 발신되고, 제어부는 볼스크류(40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장치의 과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유닛(500)이 결합되는 직선프레임부(320)에는, 본체관통홀(321), 제1관통홀(322), 제2관통홀(323)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관통홀(321)은 볼너트본체(510)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돌출단이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본체관통홀(321)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의 압축 길이만큼 볼너트본체(510)가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홀(322)은 원형 형상의 홀로서, 본체관통홀(321)의 상측에 형성되며, 제1가압본체(520)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돌출단이 관통 삽입된다.
제2관통홀(323)은 원형 형상의 홀로서, 본체관통홀(321)의 하측에 형성되며, 제2가압본체(530)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돌출단이 관통 삽입된다.
또한, 본체관통홀(321), 제1관통홀(322), 제2관통홀(323)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볼너트본체(510), 제1가압본체(520), 제2가압본체(530)의 돌출단의 단부에는 각각 나사결합부가 형성되어, 각 돌출단이 본체관통홀(321), 제1관통홀(322), 제2관통홀(323)에 관통 삽입된 후, 나사머리가 홀보다 크게 형성된 나사를 체결하여 승강유닛(500)이 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모터(600)는 볼스크류(400)의 하부에 감속기어(620)와 함께 결합되어, 볼스크류(400)를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모터(600)에는 장착단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감속기어(62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회전모터(600)를 감속기어(620)로부터 결합 해제시킨 후, 감속기어(620)에 형성되는 입력단부(미도시)에 스핀 디바이스(610)를 장착하여 볼스크류(400)를 수동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감속기어(620)에 형성되는 입력단부에 스핀 디바이스(610)의 팁(tip)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동력이 입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주설비장치(700)는 승강몸체(300)에 원통부(210) 원심 방향으로 체결된다.
지주설비장치(700)는 승강몸체(300)의 직선프레임부(320) 일측면에 결합되고, 내측에 설비장치의 배선이 내장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설비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가 직선프레임부(320)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선로(800)는 지주대마운트(100) 및 원통부(210) 내측을 통하여 지주설비장치(700)에 연결된다.
이때, 전원선로(800)는 통신배선 및 전원배선을 감싸는 선형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서, 본 발명인 전원선로(800)는 승강케이스(200) 내측에 형성되어 지주설비장치(700)의 위치 이동 시 배선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배선이 당기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전원선로(800)는 스프링튜브(810) 및 인장스프링(8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튜브(810)는 승강케이스(200)의 원통부(210) 내측에 형성되되, 하단부가 고정설치되며, 고정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튜브(810)는 전체 형상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에 통신배선 및 전원배선이 내장되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신장 후 기존 형상으로 복귀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주설비장치(700)가 이동하는 거리만큼 스프링 구간이 신축됨으로써 승강케이스(200) 내측에서 배선이 당기거나 꼬이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인장스프링(820)은 스프링튜브(810)의 중심축 선상에 형성되어, 신장된 상태의 스프링튜브(810)를 수축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인장스프링(820)의 하단부는 스프링튜브(810)의 하단부와 동일 위치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스프링튜브(8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프링튜브(810)의 상단부부터 지주설비장치(700) 까지의 배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선형튜브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선형튜브는 스프링튜브(810)의 상단부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선로(800)는 배선고정단(830), 제1가이드롤러(840), 제2가이드롤러(8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선고정단(830)은 승강몸체(300)의 직선프레임부(320) 내측에 형성되는 배선통로에 구비되어, 설비장치의 배선을 결속 및 보호한다.
이때, 배선통로는 직선프레임부(320) 내측에서 '┘'자로 절곡 형성되는 통로로서, 직선프레임부(320) 상부면에서부터 일측면까지 형성되며, 지주설비장치(700)의 지지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선고정단(830)은 배선통로의 절곡 지점에 형성되어 지주설비장치(700)의 배선을 고정함과 동시에 벽면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이 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가이드롤러(840)는 승강케이스(200)의 직선가이드부(220) 내측 상단에 구비되되, 배선고정단(830)보다 상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롤러(850)는 승강케이스(200)의 원통부(210) 내측 상단에 구비되되, 제1가이드롤러(840)와 동일 높이에 설치된다.
즉, 원통부(210)에 배치되는 스프링튜브(810)로부터 인출된 배선이 제2가이드롤러(850)에 의해 제1가이드롤러(840) 방향으로 안내되고, 제1가이드롤러(840)에 의해 배선이 배선통로 내측으로 유입되어 지주설비장치(700)까지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몸체(300)가 승강유닛(500)에 의해 하강하면, 스프링튜브(810)에 의해 배선의 유효길이가 신장되고, 제1가이드롤러(840) 및 제2가이드롤러(850)를 따라 배선이 직선프레임부(320)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승강몸체(300)가 승강유닛(500)에 의해 상승하면, 인장스프링(820)에 의해 스프링튜브(810)가 탄성 복귀되고, 제1가이드롤러(840) 및 제2가이드롤러(850)를 따라 배선이 원통부(210) 방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는, 이동체레일(330) 및 결합돌출단(2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승강몸체(300)가 승강케이스(200) 내측으로 슬라이딩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체레일(330)은 승강몸체(300)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레일로서, 요(凹)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돌출단(240)은 이동체레일(330)에 결합되는 돌출부로서, 승강케이스(20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승강몸체(300)의 직선프레임부(320) 외측면에 이동체레일(330)이 마련되고, 승강케이스(200)의 직선가이드부(220) 내측면에 결합돌출단(240)이 마련된다. 그리고, 승강케이스(200)의 상측에서 승강몸체(300)를 배치시키고 결합돌출단(240)을 이동체레일(330)에 삽입한 후, 승강몸체(300)를 슬라이딩시킨다.
그리고,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는 상부커버(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900)는 원통부(210) 및 직선가이드부(220), 폐쇄부(230)의 상부면을 폐쇄시키며, 내측 상부면에 하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출기둥부(910)가 마련된다.
돌출기둥부(910)는 승강케이스(200) 내측으로 인입되어 하부면이 승강몸체(300)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돌출기둥부(910)의 단부에 승강몸체(300)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마련되어,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따라서, 지주설비장치(700)가 설치된 승강몸체(300)는 승강케이스(200) 내에 삽입 배치되고, 볼스크류(400)가 체결된 승강유닛(500)이 승강몸체(30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모터(600)가 구동함으로써 볼스크류(400)가 일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승강유닛(500)의 볼너트본체(5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하부스토퍼에 제2가압본체(530)가 맞닿게되면, 제2스프링이 압축되는 길이만큼 볼너트본체(510)가 하방향으로 더 체결되어 가압력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승강유닛(500)이 고정된다.
반대로, 볼스크류(400)가 타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승강유닛(500)의 볼너트본체(51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스토퍼(410)에 제1가압본체(520)가 맞닿게되고, 제1스프링이 압축되는 길이만큼 볼너트본체(510)가 상방향으로 더 체결되어 가압력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승강유닛(500)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인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는 승강유닛(500)의 구동을 통해 승강몸체(300)가 하강구동되면, 승강몸체(300)의 이동 거리 만큼 스프링튜브(810)가 신장되어 배선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배선고정단(830)에 배선이 고정된 상태로 승강몸체(3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제1가이드롤러(840)와 제2가이드롤러(850)를 따라 배선이 가이드된다. 또한, 승강몸체(300)가 승강구동되면, 인장스프링(820)의 탄성에 의해 신장된 상태의 스프링튜브(810)를 수축 복귀시킨다. 따라서, 승강몸체(300)의 승하강 구동 시 배선이 일정 장력을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설비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 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지주대마운트 200 : 승강케이스
210 : 원통부 220 : 직선가이드부
230 : 폐쇄부 231 : 승강로
240 : 결합돌출단 300 : 승강몸체
310 : 원형프레임부 311 : 이동롤러
320 : 직선프레임부 321 : 본체관통홀
322 : 제1관통홀 323 : 제2관통홀
330 : 이동체레일 340 : 몸체커버
400 : 볼스크류 410 : 상부스토퍼
500 : 승강유닛 510 : 볼너트본체
520 : 제1가압본체 530 : 제2가압본체
600 : 회전모터 610 : 스핀 디바이스
620 : 감속기어 700 : 지주설비장치
800 : 전원선로 810 : 스프링튜브
820 : 인장스프링 830 : 배선고정단
840 : 제1가이드롤러 850 : 제2가이드롤러
860 : 배선지지부 900 : 상부커버
910 : 돌출기둥부

Claims (9)

  1.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주대마운트;
    상기 지주대마운트 상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일측을 개방시키며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직선가이드부, 상기 직선가이드부 일측에 결합되며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승강로가 형성되는 폐쇄부로 이루어지는 승강케이스;
    상기 원통부에 축결합되는 원형프레임부와, 상기 원형프레임부 일측을 개방시키며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직선가이드부 내측에 결합되고, 폐루프형으로 닫히는 직선프레임부가 형성되는 승강몸체;
    상기 직선프레임부 내측에 상기 원통부의 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직선프레임부 내측에 결합되는 승강유닛;
    상기 볼스크류 하부에 감속기어와 함께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승강몸체에서 상기 원통부 원심 방향으로 체결되는 지주설비장치;
    상기 지주대마운트 및 원통부 내측을 통하여 상기 지주설비장치에 연결되는 전원선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지주설비장치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스크류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볼너트본체;
    상기 볼스크류와 결합되되 상기 볼너트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상기 볼스크류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스토퍼와 맞닿도록 형성되고, 하측에 제1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가압본체;
    상기 볼스크류와 결합되되 상기 볼너트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하부면이 상기 볼스크류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스토퍼와 맞닿도록 형성되고, 상측에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가압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유닛이 상기 상부스토퍼와 맞닿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스프링이 압축되는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볼너트본체가 회전 이동되어 가압력이 발생함으로써 백래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프레임부는,
    상기 볼너트본체에 형성되는 돌출단이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의 압축 길이만큼 이동되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관통홀;
    상기 본체관통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가압본체에 형성되는 돌출단이 관통 삽입되도록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관통홀;
    상기 본체관통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본체에 형성되는 돌출단이 관통 삽입되도록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로는,
    상기 원통부 내측에 형성되되 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설비장치의 배선이 내장되어 전체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프링튜브;
    상기 스프링튜브의 중심축 선상에 형성되어, 신장된 상기 스프링튜브를 수축 복귀시키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로는,
    상기 직선프레임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배선통로에 구비되어 설비장치의 배선을 결속 및 보호하는 배선고정단;
    상기 직선가이드부 내측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배선고정단 보다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선고정단에 고정된 설비장치의 배선을 상기 원통부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
    상기 원통부 내측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가이드롤러와 동일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롤러에 의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설비장치의 배선을 상기 원통부 내측에 수직하게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로는,
    상기 볼스크류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2가이드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설비장치의 배선을 지지하는 배선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몸체의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요(凹) 형상의 이동체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체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단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몸체가 상기 승강케이스 내측으로 슬라이딩 인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는,
    상기 승강케이스 상부면을 폐쇄시키며, 내측에 돌출기둥부가 마련되어 상기 승강몸체가 일정 높이 승강되면 상기 승강몸체의 상부면을 가압함으로써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는,
    상기 회전모터가 감속기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비상 시, 상기 회전모터의 결합을 해제하고 스핀 디바이스를 장착하여 상기 볼스크류를 수동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KR1020210151516A 2021-11-05 2021-11-05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KR102545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516A KR102545935B1 (ko) 2021-11-05 2021-11-05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516A KR102545935B1 (ko) 2021-11-05 2021-11-05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700A true KR20230065700A (ko) 2023-05-12
KR102545935B1 KR102545935B1 (ko) 2023-06-20

Family

ID=8638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516A KR102545935B1 (ko) 2021-11-05 2021-11-05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9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159B1 (ko) * 2023-08-17 2024-01-15 주식회사 아이에스티 승강 안정성이 확보된 cctv 카메라 자동 리프트 장치
KR102638944B1 (ko) * 2023-09-28 2024-02-21 송무상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53B1 (ko) 2007-04-17 2009-08-04 (주)하이코 승강식 가로등
KR100928870B1 (ko) 2009-04-08 2009-11-27 청우산업조명 주식회사 승강식 지주대
KR101230711B1 (ko) * 2010-11-25 2013-02-07 (주)규보시스템 감시카메라 지주
KR20160085228A (ko) * 2015-01-07 2016-07-15 최순규 자동 및 수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철도용 신호등
KR20160087366A (ko) 2015-01-13 2016-07-21 최순규 자동 및 수동으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CN208235377U (zh) * 2018-03-19 2018-12-14 深圳市龙高教学设备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监控杆
KR20200107652A (ko) * 2019-03-08 2020-09-16 김성철 가로등의 등기구 승강 리프트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53B1 (ko) 2007-04-17 2009-08-04 (주)하이코 승강식 가로등
KR100928870B1 (ko) 2009-04-08 2009-11-27 청우산업조명 주식회사 승강식 지주대
KR101230711B1 (ko) * 2010-11-25 2013-02-07 (주)규보시스템 감시카메라 지주
KR20160085228A (ko) * 2015-01-07 2016-07-15 최순규 자동 및 수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철도용 신호등
KR20160087366A (ko) 2015-01-13 2016-07-21 최순규 자동 및 수동으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CN208235377U (zh) * 2018-03-19 2018-12-14 深圳市龙高教学设备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监控杆
KR20200107652A (ko) * 2019-03-08 2020-09-16 김성철 가로등의 등기구 승강 리프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159B1 (ko) * 2023-08-17 2024-01-15 주식회사 아이에스티 승강 안정성이 확보된 cctv 카메라 자동 리프트 장치
KR102638944B1 (ko) * 2023-09-28 2024-02-21 송무상 회전형 cctv 카메라 및 고정형 감시카메라용 카메라 어셈블리 오토리프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935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935B1 (ko)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WO2021033844A1 (ko)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US6447150B1 (en) Pole with lifting mount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KR100928870B1 (ko) 승강식 지주대
CN110552544B (zh) 钢丝索制动装置以及包含上述钢丝索制动装置的竖杆升降系统
WO1997005670A1 (en) System for raising and lowering communications equipment
KR102154509B1 (ko) 승강식 cctv 메탈 폴 지주
KR101230711B1 (ko) 감시카메라 지주
KR200429331Y1 (ko)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CN103991827B (zh) 电梯安装装置
WO2006082460A1 (en) A fall prevention device aimed at preventing an elevator counterweight to fall if its suspension elements break and elevator counterweight equipped therewith
CN106946118A (zh) 一种施工升降机带故障检测及自动保护的电缆滑车系统
CN210710210U (zh) 一种电梯救援装置
KR101056442B1 (ko) 씨씨티브이용 승강식 구조물
CN1977088A (zh) 卷帘门装置
US200401396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acilitating closure of hoistway door
CN212475920U (zh) 一种自动晾衣架的卷线器
KR102535712B1 (ko) 송전선로와 철탑 연결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546489B1 (ko) 가공배전선로의 스페이서 전도방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EP2555365A1 (en) Tensioning device with telescopic safety block for tension of a catenary
EP1787939A2 (en) Telescopic lift arm for farm vehicles
CN212475919U (zh) 一种卷线器的一体化底座
KR102636419B1 (ko) 점검이 용이한 수직형 신호등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