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835B1 -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835B1
KR101848835B1 KR1020170133650A KR20170133650A KR101848835B1 KR 101848835 B1 KR101848835 B1 KR 101848835B1 KR 1020170133650 A KR1020170133650 A KR 1020170133650A KR 20170133650 A KR20170133650 A KR 20170133650A KR 101848835 B1 KR101848835 B1 KR 101848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tv camera
frame
bracket
main chai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무상
Original Assignee
(주)오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티에스 filed Critical (주)오티에스
Priority to KR1020170133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내부, 야외 또는 산업현장 등에서 상당한 높이에 설치, 운영되는 CCTV카메라 등(CCTV카메라, 보안등, 조명등과 같은 전기시설물들을 포함함)을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곡선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으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가이드레일의 안내를 받아 CCTV카메라 등이 승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차도의 상부 또는 터널의 중앙 상부 등에 CCTV카메라 등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차량 등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CCTV카메라 등을 안전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고 또한 안전한 위치에서 점검 또는 수리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CCTV카메라 등을 승하강시키고, 정전이나 모터고장 등의 경우에는 수동으로 CCTV카메라 등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Lifting device for CCTV camera and such}
본 발명은 CCTV카메라, LCS(Lane Control System; 차로제어시스템) 신호기, 보안등, 조명등과 같은 전기시설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전기시설물(이하 ‘CCTV카메라 등’이라고 통칭하며, ‘CCTV카메라’라고만 기재되더라도 같은 의미로 쓰일 수 있다)과 같이 높은 위치에 설치, 운영되는 전기시설물을 안전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CCTV카메라는 고속도로, 국도, 철도, 지방도, 도시내 도로, 인도 등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통감시, 교통관리 등의 용도로 이용되거나, 보안감시, 산업현장관리 또는 정보수집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이용되는 것으로, 보통은 손으로 쉽게 닿기 어려운 상당한 높이(장소 및 상황에 따라 3~20m 정도)에 설치되어 특정지역을 감시하거나 또는 특정장소에 대한 화상 또는 소리데이터를 촬영, 녹음, 전송,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CCTV카메라는 주택가나 학교 주변에 설치되어 치안을 확보하거나,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험지역이나 산업현장에 설치되어 사람 대신 해당 지역을 감시하는 역할 등을 담당한다. 한편, CCTV카메라는 사용기간 경과에 따라 영상화질의 선명도 등이 저하될 수 있어서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고, 또한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지역에 대한 보안, 안전 또는 사고방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가급적 신속하게 점검 또는 수리해야 한다.
그러나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CCTV카메라는 사람이 쉽게 접근하여 점검 또는 수리를 하기 어렵고, 통상적으로는 이동식 고가사다리를 이용하거나 사다리차 등을 동원하여야 하는데, 사다리차 등을 이용하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이동식 고가사다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위험요소가 많아서 요즘 작업자들은 위와 같은 방식의 작업을 피하려는 경향이 많다.
또한, 터널이나 차도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CCTV카메라를 수리 또는 점검하기 위해 하강시키면 CCTV카메라가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게 되어 해당 차선의 교통을 통제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일정 높이(3~20m 정도 및 그 인접 높이)에 설치, 운용되는 CCTV카메라 등을 안전한 방법으로 안전한 위치까지 하강시켜서 점검 또는 수리할 수 있고, 작업을 마친 후에는 CCTV카메라 등을 당초의 위치까지 안전하게 상승시켜서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터널 내부와 같이 상부가 곡면인 장소 또는 차도의 상부 등에 설치되어 있는 CCTV카메라 등이 프레임의 곡선부를 따라 상하로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장소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 CCTV카메라 등을 점검 또는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CCTV카메라 등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체인, 벨트 또는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CCTV카메라 외에 LCS 신호기, 보안등, 조명등과 같이 사람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높이에 설치, 운영되는 전기시설물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시설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CCTV카메라를 승·하강시키는 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먼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특허된 국내 등록특허 제10-1037658호(2011.5.27.)는 카메라 또는 신호등과 같은 전기시설물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철선, 아연도금 철선, 스테인레스 강선 등의 재질로 된 와이어(133)를 이용하여 감시카메라(110)를 승·하강시키되, 조작부(137)를 통해 전동모터(131)를 구동시켜서 감시카메라(110)를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80786호(2015.12.29.)는 CCTV카메라(51)를 수동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CCTV 수동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11)를 회전시켜서 A2블록을 수동으로 승·하강시키면, A2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CCTV카메라(51)와 좌우측램프(52, 53)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CCTV카메라(51)에 연결된 케이블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도와주는 케이블베이(85) 및 케이블베이지지대(81)가 구비되어 있다.
국내 실용신안공보 실1995-0007229호(1995.9.4.)는 ‘전동식 수동조작 리프트’라는 명칭의 장치에 관한 것인데, 모터(1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와이어로프(16)를 당기거나 풀어줌으로써 작동구(8)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서 작동구(8)에 체결되는 협지구(17′, 17′′)에 고정되는 물체를 인양하고, 물체가 인양된 상태에서 핸들(10)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물체를 수평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331호 및 제20-0429332호(2006.10.20.)는 ‘폐쇠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라는 동일 명칭의 고안으로서, 체인 또는 로프를 이용하여 CCTV카메라를 승·하강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직선형 포스트(1)의 상단에 위치한 CCTV카메라를 체인 또는 로프를 이용하여 승·하강시키며, 고정판(20)에 결합되는 CCTV카메라는 승·하강 동작 중에도 고정판(20)에 고정된 채 이동하게 된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특허된 국내 등록특허 제10-1737375호(2017.5.29.)는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승강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어셈블리(500)를 승·하강시킴에 있어서, 구동함체(10)에서 분리된 카메라어셈블리(500)가 구동함체(10)의 직하방으로 하강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로 하강되도록 하기 위해 레일(60), 이동체(61) 및 와이어(62)를 구비하고, 레일(60)을 따라서 카메라어셈블리(500)의 승강이 안내되도록 하여, 카메라어셈블리(500) 직하방 영역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추락에 의한 파손과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7658호(2011.5.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0786호(2015.12.29.)
본 발명은 수직 상하방향으로 동작하는 종래 CCTV카메라 등에 사용되던 승·하강장치(리프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CCTV카메라 등을 수리, 점검하려면 장치가 수직 상하방향으로만 승·하강되어, 차도나 인도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를 수리 또는 점검하려면 교통사고 또는 차선의 차단으로 인한 교통체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고,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자에게도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은 터널과 같이 측면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으면서 상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장소 등(특히 여러 차선을 포함하는 넒은 터널 등)에는 적용하기 곤란했는데,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CTV카메라를 승·하강시켜 점검 또는 수리를 함에 있어서, CCTV카메라가 곡선부를 포함하고 있는 프레임(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하강하되, 프레임의 곡선부(12)를 안전하게 통과하여 상부정지점(72) 또는 하부정지점(71)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CCTV카메라용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특허 제10-1737375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기술은 승·하강 동작 중에 카메라어셈블리(500)가 레일(60) 및 와이어(62)에 의해 안내되어 프레임(31) 쪽으로 당겨지는 효과는 있으나, 카메라어셈블리(500)가 상당한 중량을 갖는 점과 와이어(62) 길이의 제한 등으로 인해, 실제 환경에서 장치를 승·하강시킬 경우, 카메라어셈블리(500)가 비스듬하게 당겨지면서 요동하는 등 동작이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고속도로의 터널 내부 등에서는 화물자동차나 버스의 고속주행에 의해 강력한 바람이 형성되는데, 벨트로 지지되는 카메라어셈블리(500)가 승·하강 동작 중에 측면으로 일정부분 당겨지는 구성만으로는 위와 같은 환경에서 장치를 안전하게 동작시키기에 한계가 있고, 차도의 교통을 통제하지 않으면서 장치를 동작시키기도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가 승·하강 동작을 하는 중에도 CCTV카메라 등이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을 경우에는 모터를 구동시켜서 CCTV카메라를 승·하강시키고, 정전 또는 모터고장 등으로 모터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CCTV카메라를 승·하강시키되, 이 경우에도 CCTV카메라가 프레임의 곡선부(12)를 안전하게 통과하면서 승·하강할 수 있게 하여, 전원공급 여부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CCTV카메라를 점검 또는 보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소 및 상황에 따라 적정한 높이(3~20m 정도)에 설치되는 CCTV카메라를 지지함과 동시에 CCTV카메라의 점검 또는 수리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프레임(10)에 형성되어 있는 곡선부(12)를 따라 장치가 승·하강 동작하는 과정에서 CCTV카메라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곡선부(12)를 포함하는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브라켓가이드레일(61)이 형성되어 있고, 브라켓가이드레일(61)의 안쪽에는 브라켓어셈블리(80)가 구비되어 있다. 브라켓어셈블리(80)는 메인체인(46) 및 외부브라켓(85) 등과 결합되어 있어서, 메인체인(46)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그 결과 외부브라켓(85)에 결합되어 있는 CCTV카메라(100)가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구비되어 있는 브라켓어셈블리(80)와 CCTV카메라는 프레임(10)의 수직부(11), 곡선부(12) 및 수평부(13)를 차례로 안전하게 지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모터의 회전력으로 CCTV카메라를 승·하강시키는 종래 기술에서는 정전, 모터고장 전원스위치 고장 등의 경우에는 CCTV카메라를 승·하강시킬 수 없어서, 사람이 직접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CCTV카메라에 접근하여 점검 또는 수리를 해야 했는데, 본 발명은 모터가 정상 동작될 때는 모터를 이용하여 장치를 동작시키고, 모터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손으로 핸들(50)을 돌려서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CCTV카메라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영상 및 소리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는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이 연결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케이블은 한쪽은 제어반(30)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외부브라켓(85)을 통해 CCTV카메라에 연결된다.
케이블(55) 중 제어반(30)과 연결되는 부분(전체 케이블 중 대략 절반 정도)은 지주(1) 또는 프레임(10)의 측면을 따라 지지되고, 케이블(55) 중 CCTV카메라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 다른 부분은 케이블캐리어(56) 내에 수용되어 연장된 후, 외부브라켓(85)를 통과해서 CCTV카메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 구성으로 CCTV카메라와 케이블은 항상 접속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케이블이 CCTV카메라와 항상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 대신, 프레임 수평부(13)의 끝단과 브라켓어셈블리(80)의 일측에 각각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수단을 구비시켜서, 장치가 승·하강 동작을 하거나 점검 또는 보수작업 중에는 CCTV카메라와 케이블간의 연결이 차단되고, CCTV카메라가 정상동작 위치에 있을 때만 케이블이 접속되게 하는 구성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를 경우, CCTV카메라 등이 곡선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승·하강할 수 있어서, 차도 상부 또는 터널 내부 등과 같은 장소에 CCTV카메라 등을 설치, 운용함에 있어서 교통방해 또는 사고발생 등의 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면서 장치를 운용할 수 있고, 점검, 수리 등의 작업도 안전한 위치에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블캐리어(56)를 매개로 제어반과 CCTV카메라 사이에 케이블을 연결시켜서 장치의 승·하강 동작 중에도 CCTV카메라가 화상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고, 장치가 조명등이나 보안등과 같은 시설물일 경우에는 장치의 승·하강 동작 중에도 조명 또는 보안감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프레임 측면(이 경우에는 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을 따라 케이블이 연장, 지지되게 하고, 프레임의 수평부(13) 끝단과 브라켓어셈블리(80)의 일측에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수단을 각각 구비시켜서, CCTV카메라가 정상동작 위치에 있을 때만 케이블이 연결되어 동작되도록 하고, 장치의 승·하강 및 수리, 점검 중에는 CCTV카메라의 동작이 정지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모터가 정상일 때는 모터를 이용하여 장치를 동작시키고, 정전이나 모터고장 등으로 모터를 이용할 수 없을 때는 수동으로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어서, 어느 상황에서도 CCTV카메라를 점검 또는 보수할 수 있게 된다.
도 1a :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1b :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의 다른 예
도 1c :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의 또 다른 예
도 2 : 본 발명의 프레임과 메인체인의 구성에 관한 도면
도 3a : 본 발명의 메인체인과 브라켓어셈블리의 결합관련 도면
도 3b : 본 발명의 메인체인과 브라켓어셈블리의 결합관련 다른 도면
도 3c : 본 발명의 브라켓어셈블리와 케이블의 연결관련 도면
도 3d : 본 발명의 브라켓어셈블리와 케이블의 연결관련 다른 도면
도 4a : 본 발명의 구동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 : 본 발명의 수동구동을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 본 발명의 스토퍼의 구성도
도 5b : 본 발명의 스토퍼의 다른 구성도
도 5c : 본 발명의 스토퍼의 또 다른 구성도
도 6a : 본 발명 장치의 동작에 따른 케이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b : 본 발명 장치의 동작에 따른 케이블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
도 6c : 본 발명의 외부브라켓과 케이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d : 본 발명의 외부브라켓과 케이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
본 발명의 대상인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면 1a을 참조하면, 지주(1)는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수단들을 지지하는 것으로 수평지지대(2), 프레임(10), 제어반(30), 모터(40), CCTV카메라(100) 등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지주(1)는 통상 사용되는 철강소재 원기둥이나 4각관 또는 보강시멘트 기둥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하단이 지중에 매설되거나, 지표면에 고정된 철판에 나사 결합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는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지지대(2)는 지주(1)의 상단에 결합되어 프레임(10)의 수평부(1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수평지지대(2)와 지주(1)가 이루는 각은 설치장소의 상황에 따라 90° 내외 또는 프레임 수평부(13)가 지주(1)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적정 범위에서 설정된다.
프레임(10)은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수직부(11), 곡선부(12) 및 수평부(13)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레임(10)에 포함되는 곡선부(12)는 수직부(11)와 수평부(13) 사이에 위치하면서 장치의 승·하강 동작 중에 CCTV카메라(100)가 그 곡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 1a, 1b 및 도면 2 참조)
즉, 수평지지대(2) 끝단 부근에 지지되는 CCTV카메라(100)가 하강동작을 할 경우, CCTV카메라(100)는 프레임의 수평부(13)를 따라 이동하다가 프레임의 곡선부(12)를 통과하면서 이동방향이 90° 또는 곡선부(12)와 수평부(13)가 이루는 각도만큼 바뀌게 되고, 프레임의 수직부(11)에 도달하면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며, 브라켓어셈블리(80)가 하부정지점(71)에 도달하는 시점에 CCTV카메라(100)의 하강동작이 정지된다.
반대로, CCTV카메라(100)가 상승동작을 할 경우에는 수직부(11), 곡선부(12) 및 수평부(13)를 차례로 지나서 이동하다가 브라켓어셈블리(80)가 상부정지점(72)에 도달하면 CCTV카메라(100)의 상승동작이 멈추게 된다.
한편, 도면 1a, 1b 및 1c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지주(1)와 프레임(10)을 각각 설치할 수도 있고, 지주(1) 없이 프레임(10)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프레임을 고정할 별도 수단이 필요한 장소에서는 지주(1)와 프레임(10)을 함께 설치하여 장치를 구성하고, 터널 내부와 같이 직선형 지주를 설치하기 곤란하거나 측벽 등에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소에서는 그 장소의 구조에 맞추어 프레임(10)을 제작, 설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도 있다.
지주(1)와 수평지지대(2)를 생략하고 프레임(10)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프레임(10)의 단면적을 넓히거나 터널벽면에 고정되는 결합수단의 수를 늘리는 등의 방법으로 프레임(10)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10)을 이루는 구성 중 곡선부(12)를 통과하면서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것인데, 프레임(10) 곡선부(12)의 형태는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상황에 맞추어 형성할 수 있다.
즉, 고속도로, 철도, 국도, 지방도 등에 건설되는 터널은 측면의 높이 또는 형상, 상부 곡면의 형상이나 길이 등이 다양하게 시공될 수 있는데, 도면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건설되는 터널의 형상에 맞춘 CCTV카메라의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수직부, 곡선부 및 수평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특히, 곡선부(12)의 곡률, 길이 또는 형태를 시공장소의 상황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부(11) 또는 수평부(13)를 생략하거나 축소하여 프레임의 대부분이 곡선부(12)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반(30)은 본 발명 장치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31)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동작선택부(32)로 이루어져 있고, 동작선택부(32)에 구비된 스위치를 선택하여 장치를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모터(40)는 본 발명의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수단으로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장치가 승·하강되도록 하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감속기(40-1)는 모터의 높은 회전수를 감속시켜서 장치가 적정한 속도로 동작할 수 있게 해 준다. (도면 4a 참조)
CCTV카메라(100)는 프레임(10)을 따라 승·하강 동작하는 것이며, 외부브라켓(85)과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의 기본 내용은 도면 2 및 도면 4a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동력원인 모터(40)가 회전하여 구동축(38)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톱니바퀴1(41)과 구동체인(45)을 통해 톱니바퀴2(42)에 전달되고, 톱니바퀴2(42)에 전달된 회전력이 회전축(39)를 회전시키게 된다. 톱니바퀴2(42)와 톱니바퀴3(43)은 동일축인 회전축(39)에 형성되어 있고, 톱니바퀴3(43)은 메인체인(46)과 체인 결합되어 있어서, 톱니바퀴3(43)에 전달된 회전력이 메인체인(46)을 구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메인체인(46)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동작되는데, 메인체인(46)은 곡선부를 포함하는 폐회로를 이루면서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메인체인(46)은 프레임(10)의 양측 끝에 구비된 2개의 톱니바퀴(43, 44) 사이에서 회전하며, 프레임(10)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메인체인가이드(46-1, 46-2)의 안내에 따라 프레임 내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고 이동하게 된다.
이 구성을 통해 모터(40)는 메인체인(46)이 하부정지점(71)과 상부정지점(72)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에 따라 메인체인(46)이 상하로 회전, 이동하면서 CCTV카메라(100)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CCTV카메라(100)의 승·하강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체인, 벨트 또는 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적절한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체인가이드, 벨트가이드 또는 와이어가이드)의 안내에 따라 프레임(10)의 내부에서 브라켓어셈블리(8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CCTV카메라(100)가 승·하강 동작을 하게 한다.
여기에서는 메인체인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내용을 먼저 설명한 후, 벨트 또는 와이어를 이용한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를 구동하는 모터(40)는 일측에 감속기(40-1)를 구비하고 있고,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모터(40)의 회전력을 메인체인(46)에 전달하는 수단인 4개의 톱니바퀴(41, 42, 43, 44)가 구비되어 있다. 감속기(40-1)에 직결된 구동축(38)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바퀴1(41)은 구동체인(45)을 통해 모터의 회전력을 톱니바퀴2(42)에 전달하여 회전축(39)를 회전시키고, 회전축(39)에 전달된 회전력이 톱니바퀴3(43)을 통해 메인체인(46)을 구동하게 된다.
메인체인(46)은 프레임(10)의 양 끝단에 형성된 톱니바퀴3(43)과 톱니바퀴4(44) 사이에 형성되는 폐회로를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동작하는데, 그 폐회로 중 한 지점에서 메인체인(46)이 브라켓어셈블리(80)와 결합되어 있다.
모터(40)의 회전력으로 장치가 동작되는 내용을 살펴보면,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고 자동모드를 선택한 후 제어반(30)의 상승버튼을 ON시키면 모터(40)의 회전력에 의해 메인체인(46)이 회전하여 CCTV카메라(1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승동작을 하는 CCTV카메라(100)는 프레임(10)의 수직부(11), 곡선부(12) 및 수평부(13)를 따라 진행하다가, 브라켓어셈블리(80)가 상부정지점(72)에 도달하는 시점, 즉, 브라켓어셈블리(80)가 상부 리미트스위치(L/S)에 접촉하는 시점에 상승동작이 완료된다.
반대로, 제어반(30)의 하강버튼을 ON시키면 메인체인(46)이 회전하여 CCTV카메라(10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데, 하강동작을 하는 CCTV카메라(100)가 프레임(10)을 따라 진행하다가, 브라켓어셈블리(80)가 하부정지점(71)에 도달하는 시점, 즉, 브라켓어셈블리(80)가 하부 리미트스위치(L/S)에 접촉하는 시점에 하강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승·하강 대상인 CCTV카메라, LCS(Lane Control System; 차로제어시스템) 신호기, 보안등 조명등과 같은 전기시설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전기시설물(CCTV카메라 등)은 기능, 성능 또는 부품수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 수 kg ~ 수십 kg의 하중을 가지고 있어서, 메인체인(46)의 측면에 CCTV카메라 등을 바로 결합시킬 경우, 그 하중으로 인해 체인이 정상궤도를 이탈하거나, 프레임 곡선부(12)를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브라켓어셈블리(80)와 브라켓가이드레일(61)이다. 브라켓가이드레일(61)은 프레임(10)의 내부에서 브라켓어셈블리(80)와 메인체인(46)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프레임(10)의 수평부(13) 내부 중 상부정지점(72)에 인접한 위치에서부터 곡선부(12)를 지나 수직부(11) 하단의 하부정지점(71)에 인접한 위치까지 형성된다.
도면 3a 내지 3d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브라켓어셈블리(80)는 한쪽은 CCTV카메라(100)를 지지하는 외부브라켓(85)과 결합되고, 그 반대쪽은 메인체인(46)과 결합되어 있으며, 4개의 롤러(R1, R2, R3, R4)와 4개의 연결간 즉, 주연결간(81)과 연결간2, 3, 4(82, 83, 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어셈블리(80)의 구성 중 주연결간(81)은 메인체인(46)과 외부브라켓(85)을 연결하는 직선연결부이고, 연결간2(82)는 연결간3(83), 연결간4(84)의 중간과 주연결간(81)을 연결하는 연결부이며, 연결간3(83)은 롤러 R1과 R2를 축연결하는 연결부이고, 연결간4(84)는 롤러 R3과 R4를 축연결하는 연결부이다.
주연결간(81)은 CCTV카메라(100)와 외부브라켓(85)의 하중을 모두 감당해야 하고, 또한, 주연결간(81)에는 도면 3c의 균형추(98), 도면 3d의 지지롤러(99)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스토퍼삽입간(91)과 이동플러그 등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주연결간(81)은 다른 연결간들에 비해 더 견고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브라켓어셈블리(80)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 R1~R4는 브라켓가이드레일(61)의 테두리로 한정된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롤러 R1과 R2는 제1가이드면(86)을 따라, 롤러 R3와 R4는 제2가이드면(87)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이들 롤러(R1, R2, R3, R4)의 축방향에는 각각 측부가이드면(88-1 ~ 88-4)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 롤러의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메인체인(46)의 회전 이동에 따라 위치가 바뀌더라도 브라켓어셈블리(80)는 항상 브라켓가이드레일(61)의 내부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브라켓어셈블리(80)는 도면 3a과 같이 4개의 롤러를 한 세트로 구성할 수도 있고, 위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롤러세트 2개(8개의 롤러로 구성)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2개 세트를 이용할 경우, 세트간의 중심부에 주연결간을 형성하고, 주연결간의 양끝단에 메인체인(46)과 외부브라켓(85)이 각각 결합되도록(도시 안 됨) 구성하면 된다.
특히, 승·하강 대상의 하중이 커서 4개의 롤러로 구성된 브라켓어셈블리(80)만으로는 프레임의 곡선부(12) 또는 수직부(11)를 원활하게 통과하기 어려울 경우, 8개의 롤러로 구성된 브라켓어셈블리(80)를 이용하면 장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승·하강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브라켓가이드레일(61)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면들(제1, 2가이드면 및 측부가이드면)에 윤활유를 도포하거나, 롤러 등의 장치를 부가하여 브라켓어셈블리(80)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브라켓어셈블리(80)에 4개 또는 8개의 롤러를 채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승·하강 대상의 하중이 커서 브라켓어셈블리(80)가 곡선부(12)를 원활하게 통과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도면 3c에서와 같이 주연결간(81)의 일측에 CCTV카메라(100)와 외부브라켓(85)을 합한 무게와 유사한 무게를 갖는 균형추(98)를 구비시켜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주연결간(81)의 일측은 외부브라켓(85)과 결합되고 타측은 메인체인(46)과 결합되는데, 메인체인과 결합되는 쪽의 주연결간(81)을 브라켓가이드레일(61)의 외측까지 연장시키고, 그 단부에 균형추를 구비하되, 균형추(98)가 브라켓어셈블리(80) 양측의 균형을 잡아줄 수 있는 크기의 하중을 갖게 하는 것이다.
주연결간(81)의 일측에 균형추(98)가 구비되면, 균형추(98)로 인해 브라켓어셈블리(80)의 좌우 양측의 균형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브라켓어셈블리(80)가 프레임(10)의 내부에서 무리 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균형추(98)를 사용할 경우, 장치 중 이동대상 부분의 하중이 증가하여 출력이 더 큰 모터(40)를 사용해야 하고, 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때에도 더 큰 힘이 소요되게 된다.
한편, 도면 3d에서와 같이 브라켓가이드레일(61)의 외부를 이루는 4개의 측면 중 외부브라켓(85)의 반대쪽에서 브라켓가이드레일(61)의 외부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CCTV카메라 등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지지롤러(99)를 구비시킬 수도 있다. 즉, 승·하강 대상의 하중이 커서 브라켓어셈블리(80)가 곡선부(12)를 원활하게 통과하기 어려울 경우, 위와 같이 구성된 지지롤러(99)를 채용하면 균형추(98)에 비해 훨씬 작은 부피와 하중으로 브라켓어셈블리(8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롤러(99)를 이용할 경우에는 지지롤러(99)가 접하게 되는 브라켓가이드레일(61)의 측면을 다른 부분에 위치한 측면보다 더 견고하게 해야 하며, 필요시에는 그 측면에 지지롤러(99)의 회전 이동을 돕는 가이드레일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메인체인(46)의 이동을 안내하는 2개의 메인체인가이(46-1, 46-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도면 3a 및 3b 참조). 메인체인(46)은 프레임(10)의 내부에서 회전, 이동하게 되는데, 프레임의 수평부(13) 및 곡선부(12)에서는 상, 하부에 각각 메인체인(46)이 위치하고 있어서, 이들 사이에 특별한 수단이 없을 경우, 상부와 하부의 체인이 서로 간섭하여 장치의 원활한 승·하강 동작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메인체인가이드이며, 메인체인가이(46-1, 46-2)는 메인체인(46)의 하부(CCTV카메라가 수평부에 있을 때) 또는 측면(CCTV카메라가 수직부에 있을 때)에서 메인체인(46)을 안내하여, 메인체인(46)이 프레임(10)의 수평부(13)와 곡선부(12)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해 준다.
메인체인가이드1(46-1)은 브라켓어셈블리(80)와 결합되는 메인체인(상부체인; 도면 3a, 3b에서 상부에 도시되어 있는 메인체인)을 안내하고, 메인체인가이드2(46-2)는 브라켓어셈블리(80)와 결합되지 않는 타측 메인체인(하부체인; 도면 3a, 3b에서 하부에 도시되어 있는 메인체인)을 안내한다.
하부체인에는 회전력만 작용하기 때문에 설치위치에 융통성이 있을 수 있으나, 상부체인과 하부체인 사이에는 메인체인(46)이 메인체인가이드(46-1, 46-2)에 용이하게 진입 또는 진출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둘 필요가 있으므로, 위 요소들을 고려하여 메인체인가이드 사이의 간격을 적정하게 설정하면 된다.
따라서 하부체인을 안내하는 메인체인가이드2(46-2)는 도면 3a과 같이 브라켓가이드레일(6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 하부 메인체인(46)이 서로 수평을 이루며 이동하게 하거나, 또는 도면 3b에서와 같이 브라켓가이드레일(61)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 하부 메인체인(46)이 수평을 이루면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메인체인가이드(46-1, 46-2)의 형태는 메인체인의 형상에 따라 정하면 되며, 예를 들어 그 단면이 도면 3a 또는 3b와 같이 아래가 넓은 폭을 갖는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는 메인체인(46)이 프레임(10)의 곡선부(12)를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프레임(10)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면 된다. 메인체인가이드(46-1, 46-2) 중 메인체인(46)이 지지되는 부분에는 윤활유를 도포하거나 롤러를 설치하여 메인체인(46)이 용이하게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0), 브라켓가이드레일(61), 브라켓어셈블리(80), 메인체인(46) 및 메인체인가이드(46-1, 46-2) 등의 구성을 통해 브라켓어셈블리(80)가 프레임(10)의 곡선부(12)를 안전하게 지날 수 있어서, CCTV카메라의 승·하강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는 메인체인(46)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장치가 승·하강되는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메인체인(46)을 이용한 구동 외에 와이어 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의 동작을 구현할 수도 있다.(도시 안 됨)
먼저, 와이어를 이용하여 장치를 동작시킬 경우에는 다음의 점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와이어를 이용할 경우, 앞의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의 브라켓어셈블리(80) 및 브라켓가이드레일(61)을 이용하고, 메인체인가이드(46-1, 46-2) 대신 와이어가이드(도시 안 됨)를 채용하면 된다. 이때 와이어가이드는 메인체인가이드와 동일한 형태여도 무방하고, 와이어와 접촉되는 하부 또는 측부를 원형에 가깝게 하여 와이어가 원활히 통과하게 할 수도 있다.
와이어는 금속 또는 강화프라스틱 등의 재료인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CCTV카메라 및 외부브라켓(85)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와이어를 이용하여 장치를 구동시킬 경우에는, 메인체인을 이용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톱니바퀴(41, 42, 43, 44) 대신, 동일 숫자의 와이어용 롤러를 사용하면 된다.
이 경우, 와이어의 크기에 적합한 홈을 갖는 롤러를 선택하여 모터의 회전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하여야 하고, 필요시에는 회전 중에 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벨트를 이용하여 장치를 동작시킬 경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벨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앞의 실시예들에서 이용된 메인체인(46)이나 와이어 대신, 자동차용 안전벨트와 같은 형태의 벨트 또는 타이밍 벨트와 같이 한쪽에 규칙적으로 홈이 파여 있는 산업용 벨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안전벨트와 같이 평평한 형태의 벨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톱니바퀴(41 ~44) 대신, 동일 개수의 벨트용 롤러를 사용하되, 벨트가 미끄러지지 않고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타이밍벨트와 같이 홈이 파여 있는 벨트의 경우에는, 벨트의 홈 형상과 맞물리는 톱니바퀴가 구비된 회전축을 사용하면 된다. 일측에 홈이 파진 벨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벨트의 양면 중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보강구조를 설치한 후 벨트와 브라켓어셈블리(80)를 결합시키면,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CCTV카메라를 원활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동작 중에도 CCTV카메라가 항상 동일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것은 아래에 설명되는 구성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CCTV카메라는 대상지역을 모니터링하는 화상신호 등을 제공하는 것이어서 높은 해상도의 신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여야 하고, 따라서 자세가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흔들림 현상도 가급적 발생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수리 또는 점검을 위해 CCTV카메라가 승·하강하는 동안에도 주변을 촬영하여 화상신호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특히 CCTV카메라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CCTV카메라(100)와 결합되는 외부브라켓(85)이 항상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CCTV카메라가 프레임(10)의 수평부(13), 곡선부(12) 및 수직부(11)를 지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동안,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수직하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한 구성 중 첫 번째는, CCTV카메라의 하중을 이용하여 CCTV카메라가 항상 수직하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1a, 1b, 3a, 3b 등을 참조하면, 외부브라켓(85)은 주연결간(81)과 결합되는데, 이들을 볼조인트 방식(도시 생략)으로 결합시키면, 장치의 이동에 따라 브라켓어셈블리(8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CCTV카메라의 하중에 의해 외부브라켓(85)이 항상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즉, 주연결간(81)에 구 또는 원통형의 삽입부를 형성하고(도시 안 됨), 외부브라켓(85) 내부에는 주연결간의 삽입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 또는 원통형의 수용부를 형성한 후(도시 안 됨), 수용부 내에 삽입부를 삽입하면, 외부브라켓(85)과 주연결간(81)이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렇게 결합될 경우, 외부브라켓(85)에 직결되어 있는 CCTV카메라(100)는 항상 수직하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장치가 승·하강 동작을 하는 동안 CCTV카메라가 동일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장치가 강풍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곳에 설치될 경우에는, 정상동작 위치에 있는 CCTV카메라(100)가 요동하지 않도록 주연결간(81)과 외부브라켓(85)을 견고히 결합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면 된다.
CCTV카메라가 항상 수직하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다른 구성은, 9축센서 등을 이용해서 CCTV카메라에 직결되는 외부브라켓(85)이 항상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즉, 9축센서와 같은 수단을 외부브라켓(85)에 적용하면 장치가 승·하강 동작을 하는 동안 외부브라켓(85)이 항상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외부브라켓(85)과 직결되는 CCTV카메라(100) 역시 항상 수직하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장치가 승·하강 동작을 하는 중에도 CCTV카메라의 기능을 유지하게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전원선과 신호선을 포함하는 케이블(55)이 제어반(30)과 CCTV카메라(100)를 항상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면 6a을 참조하면, 제어반(30)으로부터 이어지는 케이블(55)은 지주(1) 또는 프레임(10)의 수직부(11)에 지지되어 위쪽으로 연장되다가, 프레임(10)의 대략 중간지점(이 지점은 CCTV카메라의 전체 승·하강 경로 중 중간지점 부근 또는 장치구조상 케이블 배치가 가장 용이한 지점)에서 프레임(10)의 전면(앞쪽)으로 나오도록 배치된다.
프레임의 전면으로 나온 케이블(55)은 케이블캐리어(56)의 내부에 수용, 연장되어 외부브라켓(85)에 이르게 되며, 외부브라켓(85)에 도달한 케이블은 외부브라켓(85)의 측면을 통해서 내부로 들어가고, 외부브라켓(85)에 견고히 지지된 후, 그 하방에 형성된 통공 등을 통해 CCTV카메라(100)와 연결된다.
CCTV카메라 또는 CCTV카메라 등은 그 하중이 수 kg 내지 수십 kg이고 케이블과 케이블캐리어는 그보다 훨씬 가볍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이 구성될 경우, 외부브라켓(85)에 고정된 케이블이 외부브라켓(85)과 함께 이동하게 되어, 장치의 동작 중에도 CCTV카메라와 제어반(30) 사이에 전력공급 및 신호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케이블(55)과 케이블캐리어(56)는 CCTV카메라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케이블캐리어(56)는 CCTV카메라가 중간지점 부근에 위치할 때 가장 큰 곡선을 이루며 휘어지게 되고, CCTV카메라가 상부 또는 하부정지점(72, 71)에 위치할 때는 직선에 가까운 형상으로 펴지게 된다.
케이블캐리어(56)는 CCTV카메라가 수직부(11)를 지날 때는 자유낙하의 영향을 받아 하방으로 처지면서 이동하다가, CCTV카메라가 곡선부(12) 및 수평부(13)를 지나서 상부정지점(72)까지 이동하는 동작 중에는 케이블캐리어가이드(57)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하게 된다.
즉, 케이블캐리어(56)는 비교적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어서, CCTV카메라가 수직부(11)를 지날 때에는 자유낙하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하강하게 되어 별 문제가 없으나, 곡선부(12) 또는 수평부(13)를 지날 때는 그 하중으로 인해 아래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장치의 동작에 지장을 주거나, 장치의 하부를 지나는 차량의 통행에 방해를 주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캐리어(56)는 CCTV카메라가 곡선부(12)에 진입할 때 케이블캐리어가이드(57) 내로 진입하여 곡선부(12)와 수평부(13)를 지나는 동안 케이블캐리어가이드(57)의 안내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장치의 최 하단에 위치하는 케이블캐리어가이드(57)는 상승하는 케이블캐리어(56)가 가이드(57) 안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다른 위치의 것에 비해 길이 및 프레임과의 간격을 더 여유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되면 장치의 승·하강 동작 중 CCTV카메라가 프레임(10)의 수평부(13)를 지날 때는 케이블(55)과 케이블캐리어(56)가 프레임(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케이블캐리어가이드(57)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장치의 이동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CCTV카메라가 프레임의 곡선부(12)를 지나는 동안 CCTV카메라는 (벽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프레임측으로 점차 접근하다가 수직부에 도달하면 도면 6b에서와 같이 프레임의 대략 중간쯤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CCTV카메라가 프레임의 수직부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케이블(55) 또는 케이블캐리어(56)가 프레임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면 6c, 6d에서와 같이 케이블(55)과 외부브라켓(85)을 결합시키면 케이블케리어(56)가 CCTV카메라(100)를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즉, 케이블캐리어(56)를 통해 연장되어온 케이블이 외부브라켓(85)의 일 측면(차도 쪽에서 수직으로 벽을 바라볼 때 보이는 측면)을 통해 내부로 진입하게 하되, 케이블과 외부브라켓(85)이 연결되는 부분을 견고하게 형성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55) 중 외부브라켓(85)과 케이블캐리어(56)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이를 케이블고정부(55‘, 사선 부분)라 한다)이 일측은 외부브라켓(85)의 측면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케이블캐리어에 결합되도록 하여, 케이블고정부(55‘)가 케이블캐리어(56)의 이동을 돕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장치의 승·하강 동작시 케이블고정부(55‘)가 케이블캐리어(56)를 밀거나 당겨서 전체 케이블이 무리 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 6d에서와 같이, 케이블고정부(55‘)를 외부브라켓(85)과 결합시킬 때, 거리L이 형성되도록 하면, 케이블캐리어(56)가 프레임의 수직부로부터 거리L 만큼 이격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거리L을 조정하면 케이블캐리어(56)가 프레임 수직부(11)에 걸리지 않는 위치에서 이동하게 할 수 있어서, CCTV카메라(100)가 프레임의 수직부(11) 및 곡선부(12)를 지나는 동안 케이블캐리어(56)가 프레임(10)과 간섭되지 않게 되어 장치가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캐리어가이드(57)는 케이블(55)이 프레임의 수평부 또는 곡선부를 이동하는 동안 케이블캐리어(56)를 지지해 주는 것으로, 도면 6a의 A선 단면도와 같이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지지대(58)와 지지대 하방에 롤러(59)가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캐리어가이드(57)는 프레임(10) 곡선부(12)의 형상과 수평부(13)의 길이를 고려하여 케이블캐리어(56)가 무리 없이 이동할 수 있을 만큼의 적정한 수로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장치의 승·하강 동작 중에 CCTV카메라는 프레임(10)의 측면에서 프레임과 일정거리를 두고 이동할 수 있도록, 외부브라켓(85)과 결합되는 주연결간(81)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CCTV카메라와 프레임 측면 사이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케이블(55)과 케이블캐리어(56)는 CCTV카메라가 프레임의 수직부(11)를 지나는 동안에는 프레임(10)의 전면(앞면)에 위치하고, CCTV카메라가 수평부(13)를 지나는 동안에는 프레임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CCTV카메라와 케이블캐리어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는 CCTV카메라 등을 수리 또는 점검하기 위해 하강 또는 상승하는 동안에도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장치의 수리 등을 마친 후에는 바로 그 상태에서 장치가 바르게 동작되는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어서, 수리 또는 점검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장치의 승·하강시 및 점검, 수리시에는 CCTV카메라 동작이 정지되게 하는 구성>
다음으로, 본 발명은 장치가 승·하강 동작을 하는 동안 및 장치를 수리 또는 점검하는 시간 동안에는 CCTV카메라에 대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차단되게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장치가 동작 중이거나, 수리 또는 점검을 하는 동안에는 CCTV카메라에 대한 전원공급과 신호데이터의 송수신이 차단되게 하고, 수리 등의 작업을 마친 후 CCTV카메라가 상부정지점(72)에 도달하면, 전원선 및 신호선이 다시 접속되어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게 해야 한다.
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도시되어 있지 않음), 프레임 수평부(13)의 끝단에는 제어반(30)에서 프레임(10)을 따라 연장되어온 케이블(5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핀이 구비되어 있는 고정소켓을 형성하고, 브라켓어셈블리(80)의 일측에는 CCTV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이동플러그를 형성하였다. 고정소켓과 이동플러그에 구비되어 있는 핀과 단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각각 동일한 수로 구비되어 있어서, 브라켓어셈블리(80)가 상승하여 상부정지점(72)에 도달하면 고정소켓에 구비된 복수의 핀이 브라켓어셈블리(80)의 이동플러그에 구비되어 있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즉, 제어반(30)으로부터 프레임(10)의 내부 또는 외부를 따라 연장, 지지되어 프레임 수평부(13)의 끝단까지 이어지는 케이블(고정케이블)은 고정소켓에 연결되고, CCTV카메라와 브라켓어셈블리(8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동케이블)은 이동플러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접속방법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국내특허 제1737375호에 제시된 바 있는 상, 하부소켓(400, 600) 및 상, 하부 접속핀(410, 610)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될 경우, 상승동작 중 브라켓어셈블리(80)가 프레임의 수평부(13) 끝단으로 접근하여 상부정지점(72) 도달하면 고정소켓과 이동플러그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CCTV카메라가 동작하게 되고, 반대로, 장치가 하강동작을 시작하여 브라켓어셈블리(80)가 상부정지점(72)에서 이탈하면 고정소켓과 이동플러그가 서로 분리되어 CCTV카메라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신호데이터의 송수신이 모두 차단되게 된다.
본 발명은 CCTV카메라가 정상동작 위치에 있을 때 안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터(40)의 회전에 따라 메인체인(46)과 결합된 브라켓어셈블리(8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CCTV카메라가 승·하강하게 되는데, 브라켓어셈블리(80)가 상승하여 프레임(10)의 수평부(13)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정지점(72)에 도달하면 모터(40)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장치의 상승동작이 멈추게 되며, 상승동작이 멈춘 위치가 CCTV카메라의 정상동작 위치가 된다.
한편, CCTV카메라가 현장 모니터링, 정보수집 등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려면 정상동작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고속도로의 터널 내부 등과 같이 강한 바람이 발생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되는 CCTV카메라는 더 견고하게 설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어셈블리(80) 중 주연결간(81)의 일측에 스토퍼삽입간(91)을 추가로 형성하고, 프레임(10) 내부 중 수평부(13)의 끝단부 일측(톱니바퀴4 부근)에 스토퍼홈(92)을 갖는 스토퍼(90)를 구비할 수 있게 하였다(도면 5a 참조).
장치가 상승하여 브라켓어셈블리(80)가 상부정지점(72)에 도달하면 스토퍼삽입간(91)이 스토퍼홈(92)에 삽입되고, 스프링의 인장력을 받는 스토퍼작동간(93)의 원형단부가 스토퍼삽입간(91)에 형성된 정지홈(96)에 진입되어 스토퍼삽입간(91)을 고정시켜 준다.
또한, 도면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삽입간(91)이 스토퍼홈(92)에 삽입되면,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2개의 스토퍼금속구(94)가 스토퍼삽입간(91)의 상하에 형성된 정지홈(96)에 진입되어 스토퍼삽입간(91)을 고정시키게 할 수도 있다.
위 두 가지 방식의 스토퍼(90)는 모두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브라켓어셈블리(80)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삽입간(91)을 고정시키는 것이며, 모터(40)를 구동시켜 장치를 하강시키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스토퍼작동간(93) 또는 스토퍼금속구(94)가 정지홈(96)으로부터 밀려나면서 장치가 하강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스토퍼작동간(93) 또는 스토퍼금속구(94) 대신, 전자석(95)을 이용한 스토퍼(90)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면 5c에 따르면, 스토퍼(90)의 상부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된 위치에 전자석(95)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자석(95)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된다.
장치가 상승하여 스토퍼삽입간(91)이 스토퍼홈(92)에 삽입되면 스토퍼삽입간(91)과 전자석(95)이 서로 밀접한 위치에 있게 되는데, 브라켓어셈블리(80)가 상부정지점(72)에 도달한 직후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석(95)이 스토퍼삽입간(91)을 흡착, 고정하게 된다.
전자석을 이용할 경우 흡착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과 같이 CCTV카메라 등을 견고하게 지지하여야 할 경우, 적정 수준으로 전자석의 출력을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 자체가 요동하지 않는 한, 강풍의 발생과 같은 상황에서도 CCTV카메라 등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를 수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모터(4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CCTV카메라를 승·하강시키되, 필요시에는 수동으로 장치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장치가 동작되는 내용은 위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수동으로 장치를 동작시키는 내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장치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핸들(50), 핸들부착부(51) 및 삽입돌기(52)를 구비하고 있고, 회전축(39)의 측면에는 삽입홈(53)이 형성되어 있다(도면 4a. 4b 참조). 핸들(50)은 핸들부착부(51)의 일측에 형성되어서 회전축(39)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핸들부착부(51)의 타측에 구비된 삽입돌기(52)는 회전축(39)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53)에 삽입되어 핸들부착부(51)를 회전축(39)에 탈착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핸들부착부(51)와 회전축(39)의 측면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삽입돌기(52)와 삽입홈(53)이 형성될 수 있고,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2개 이상의 삽입돌기(52)와 삽입홈(53)이 형성될 수 있는데, 핸들부착부(51)의 형태(직선형, 원판형 또는 도넛형 등), CCTV카메라와 외부브라켓(85)의 하중 및 회전축(39)의 측면적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장치의 수동동작 중에 삽입돌기(52)가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탄성스프링을 구비한 걸림쇠(도시생략) 등을 삽입홈(53)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동 동작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모드에서는 모터의 회전력으로 장치가 구동되는데, 모터는 회전속도가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모터 구동축(38)에 장치를 직결하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장치가 동작되게 되며, 따라서 모터의 구동축에 감속기(40-1)를 설치하여 회전속도를 크게 낮춘 상태에서 장치를 동작시키면 안전한 속도로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핸들을 손으로 돌리는 수동모드 시의 회전속도는 모터의 회전속도에 비해 크게 낮아서, 감속기가 결합되어 있는 모터의 구동축에 핸들을 결합시켜 장치를 동작시킬 경우, 장치의 동작속도가 과도하게 낮아져서 수리 또는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속기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별도의 축에 핸들(50)이 설치되도록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동모드에서 회전축(39)이 보다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모터(40) 구동을 위한 구동축(38)과 수동구동을 위한 회전축(39)을 각각 별개로 구비한 구성을 채택하였으며, 그에 따라 모터(4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45)과 CCTV카메라를 직접 승·하강시키는 메인체인(46) 역시 독립된 형태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모터(40)로 장치를 동작시킬 때는 구동축(38)의 회전력이 톱니바퀴1, 2(41, 42) 및 구동체인(45)를 통해 회전축(39)에 전달되고, 회전축(39)에 전달된 회전력은 톱니바퀴3(43)과 체인결합된 메인체인(46)을 회전시켜서 장치가 동작된다. 수동으로 장치를 동작시킬 경우에는, 핸들(50)을 돌려서 발생한 회전력이 회전축(39)을 바로 회전시키게 되고, 그 회전력이 톱니바퀴3(43)을 통해 메인체인(46)을 회전시켜서 CCTV카메라를 포함한 본 발명의 장치가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장치 중 승·하강 대상의 하중이 커서 수동으로 동작시키기 어려운 경우에는 핸들(50)과 회전축(39)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하여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하중이 더욱 커서 위와 같은 구성만으로는 수동으로 장치를 동작시키기 어려울 경우에는 별도의 축을 더 구비하여 그 축에 핸들을 설치하고, 회전축과 별도로 구비된 축간 회전비를 조절하면 수동으로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수동모드는 대부분 단전 등 이상 상황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평상시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장치를 동작시키다가, 수동동작이 필요할 상황에서만 핸들(50)과 핸들부착부(51)를 회전축(39)에 결착하여 장치를 동작시키고, 평상시에는 핸들부착부(51)를 장치에서 분리하여 제어반 내의 공간 등에 보관하면 된다.
여기에서는 제어반(30)의 구성과 이를 통해 장치를 제어하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반(30)은 전원의 ON/OFF 및 장치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고,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장치를 점검 또는 수리해야 할 경우에도 사용된다.
제어반(30)에는 상태표시부(31)와 동작선택부(32) 등이 구비되는데, 상태표시부(31)는 장치의 상태, 즉, 장치가 승강 또는 하강 중인지, 상부 또는 하부 리미트스위치 중 어느 것이 작동 중인지 등을 표시해 준다.
동작선택부(32)에는 장치의 동작을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방식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자동모드, 반자동모드 및 수동모드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자동 또는 반자동 모드에서 장치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선택하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자동 또는 반자동 모드에서는 모터(40)의 회전력으로 장치가 구동되는데, 자동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승스위치를 누르면 상승동작이 시작되어 장치가 상부정지점(72)에 도달시 동작이 정지되고, 하강스위치를 누르면 하강동작이 시작되어 장치가 하부정지점(71)에 도달시 동작이 정지된다. 반자동모드를 선택하면, 상승 또는 하강스위치가 눌려진 동안에만 장치가 상승 또는 하강동작을 하게 된다.
수동모드를 선택하면,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장치를 수동으로만 동작시킬 수 있게 되며, 이때 제어반(30)은 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이 차단되도록 전원회로를 구성한다. 한편, 정전 또는 모터고장 등으로 인해 수동으로 장치를 승·하강시켜서 점검 또는 수리 등의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도 동작선택부(32)를 수동모드로 전환시켜서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는 주로 CCTV카메라를 중심으로 발명의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장치는 CCTV카메라 외에 LCS 신호기, 조명등, 보안등과 같은 전기시설물 및 이들을 조합한 전기시설물 등과 같이 높은 장소에 설치, 운영되면서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점검이나 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장치를 승·하강시킬 필요가 있는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면에 나타나 있는 사항 및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범위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균등범위까지 포함되어야 한다.
1 : 지주 2 : 수평지지대
10 : 프레임 11 : 수직부, 12 : 곡선부, 13 : 수평부
30 : 제어반 31 : 상태표시부 32 : 동작선택부
38 : 구동축 39 : 회전축 40 : 모터 40-1 : 감속기
41 : 톱니바퀴1 42 : 톱니바퀴2 43 : 톱니바퀴3 44 : 톱니바퀴4
45 : 구동체인 46 : 메인체인 46-1, 46-2 : 메인체인가이드
50 : 핸들 51 : 핸들부착부 52 : 삽입돌기 53 : 삽입홈
55 : 케이블 56 : 케이블캐리어 57 : 케이블캐리어가이드
58 : 케이블지지대 59 : 롤러 61 : 브라켓가이드레일
71 : 하부정지점 72 : 상부정지점
80 : 브라켓어셈블리 81 : 주연결간 82~84 : 연결간2~4
85: 외부브라켓 86 : 제1가이드면 87 : 제2가이드면
88-1~88-4 : 측부가이드면 R1, R2, R3, R4 : 롤러
90 : 스토퍼 91 : 스토퍼삽입간 92 : 스토퍼홈
93 : 스토퍼작동간 94 : 스토퍼금속구 95 : 전자석 96 : 정지홈
98 : 균형추 99 : 지지롤러 100 : CCTV카메라

Claims (13)

  1. 수직부(11), 곡선부(12) 및 수평부(1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브라켓가이드레일(61)과;
    상기 브라켓가이드레일(61)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면의 안내에 따라 이동하는 브라켓어셈블리(80)와;
    상기 브라켓어셈블리(80)에 구비되는 주연결간(81)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서 폐회로를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체인(46)과;
    상기 주연결간(81)의 타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그 하방에 CCTV카메라 등이 결합되는 외부브라켓(85)과;
    상기 수직부(11)의 하단 외측에 위치한 모터 등의 동력원이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메인체인(46)에 전달하여 상기 메인체인(46)이 회전(왕복이동)하도록 동작하는 회전축(3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면 등에 설치되어 장치의 하중을 지탱해주는 지주(1)와;
    상기 지주(1)의 상부에서 지주(1)와 결합되어 상기 수평부(13)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대(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 포함되는 상기 곡선부(12)의 곡률 또는 형상이 도로 상에 건설되는 터널의 측벽이나 천정의 곡률 또는 곡면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어셈블리(80)는 복수의 롤러와 복수의 연결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간 중 주연결간(81)이 외부브라켓(85)과 메인체인(46)을 직선 형태로 연결하며, 상기 외부브라켓(85)의 반대쪽 단부에서 상기 주연결간(81)과 결합되는 균형추(98) 또는 지지롤러(99)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브라켓(85)은 상기 주연결간(81) 및 상기 CCTV카메라 등과 결합되되, 장치의 승·하강 동작 중에도 CCTV카메라 등이 항상 수직하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어셈블리(80)와 상기 외부브라켓(85)이 서로 결합되되, 장치의 승·하강 동작 중에도 CCTV카메라가 항상 수직하방을 향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체인(46)은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형성된 메인체인가이드에 지지되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9)에 핸들부착부(51)를 결착하고, 핸들(50)로 상기 회전축(39)을 회전시켜서 상기 메인체인(46)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외부 측면을 따라 지지되는 케이블이 제어반과 외부브라켓(85) 사이에 연결되고, 외부브라켓(85)을 통과한 케이블이 CCTV카메라 등에 연결되어, 장치의 승·하강 동작 중에 CCTV카메라 등의 기능이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3)의 끝단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지지되는 케이블과 연결된 고정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어셈블리(80)의 일측에는 CCTV카메라 등의 케이블과 연결된 이동플러그가 형성되어 있어서, 장치의 승강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고정소켓과 상기 이동플러그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장치의 하강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에 이들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체인(46)은 금속체인, 산업용체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거나, 체인 대신 금속와이어, 강화플라스틱와이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거나, 또는 벨트, 안전벨트, 산업용 벨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3)의 일측에 스토퍼(90)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어셈블리(80)의 일측에는 스토퍼삽입간(91)이 형성되어 있어서, CCTV카메라 등이 상부정지점(72)에 도달시 스토퍼삽입간(91)이 스토퍼홈(92)으로 진입하면 스토퍼작동간(93) 또는 전자석(95)이 스토퍼삽입간(91)을 고정시키고, CCTV카메라 등이 하강을 시작하면 스토퍼작동간(93) 또는 전자석(95)이 스토퍼삽입간(91)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 또는 지주(1)의 일측에 지지되면서 동작선택부(32)를 구비하고 있는 제어반(30)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동작선택부(32)의 스위치를 선택하여 자동모드, 반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 중 어느 한 모드에서 장치가 동작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KR1020170133650A 2017-10-13 2017-10-13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KR101848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650A KR101848835B1 (ko) 2017-10-13 2017-10-13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650A KR101848835B1 (ko) 2017-10-13 2017-10-13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835B1 true KR101848835B1 (ko) 2018-05-24

Family

ID=6229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650A KR101848835B1 (ko) 2017-10-13 2017-10-13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83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211B1 (ko) * 2019-05-31 2019-11-15 (주)태화시스템 카메라 승하강 장치
KR102088793B1 (ko) * 2019-10-15 2020-03-13 주식회사 에프에스네트웍스 외부환경 반응형 감시카메라
KR102093496B1 (ko) * 2019-11-06 2020-03-26 송정곤 카메라의 승하강을 구현하는 폴 시스템
CN112303401A (zh) * 2020-10-29 2021-02-02 杭州凉生贸易有限公司 轨道铁路视频传输装置
CN112483810A (zh) * 2020-12-13 2021-03-12 兰州大学 一种高空布置传感器的自动升降和固定系统
CN112539324A (zh) * 2020-11-30 2021-03-23 武汉同创元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商服务管理一体机
KR102349525B1 (ko) * 2021-08-03 2022-01-10 글로벌정보통신(주) Cctv 카메라 높이 조절 장치
KR102442068B1 (ko) * 2022-02-18 2022-09-07 강재복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CN116055837A (zh) * 2023-02-07 2023-05-02 浙江锦华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轨道式监控摄像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31Y1 (ko) * 2006-08-10 2006-10-20 정연덕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KR101720486B1 (ko) * 2015-09-21 2017-03-28 김문성 현수물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지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31Y1 (ko) * 2006-08-10 2006-10-20 정연덕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KR101720486B1 (ko) * 2015-09-21 2017-03-28 김문성 현수물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지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211B1 (ko) * 2019-05-31 2019-11-15 (주)태화시스템 카메라 승하강 장치
KR102088793B1 (ko) * 2019-10-15 2020-03-13 주식회사 에프에스네트웍스 외부환경 반응형 감시카메라
KR102093496B1 (ko) * 2019-11-06 2020-03-26 송정곤 카메라의 승하강을 구현하는 폴 시스템
CN112303401A (zh) * 2020-10-29 2021-02-02 杭州凉生贸易有限公司 轨道铁路视频传输装置
CN112539324A (zh) * 2020-11-30 2021-03-23 武汉同创元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商服务管理一体机
CN112483810A (zh) * 2020-12-13 2021-03-12 兰州大学 一种高空布置传感器的自动升降和固定系统
CN112483810B (zh) * 2020-12-13 2024-04-19 兰州大学 一种高空布置传感器的自动升降和固定系统
KR102349525B1 (ko) * 2021-08-03 2022-01-10 글로벌정보통신(주) Cctv 카메라 높이 조절 장치
KR102442068B1 (ko) * 2022-02-18 2022-09-07 강재복 카메라 인양식 설치기둥
CN116055837A (zh) * 2023-02-07 2023-05-02 浙江锦华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轨道式监控摄像头
CN116055837B (zh) * 2023-02-07 2024-05-03 浙江锦华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轨道式监控摄像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TWI603032B (zh) 高處安裝設備用之升降裝置
KR102248784B1 (ko)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KR100928870B1 (ko) 승강식 지주대
CN102596786B (zh) 升降机
KR200429331Y1 (ko)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CN114010973B (zh) 一种基于无人机技术的人工登塔保护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498645B1 (ko) 가로등 보수를 위한 등주와 결합구조를 갖는 등기구 승하강 리프트 장치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102050020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429332Y1 (ko)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KR101345027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2389154B1 (ko) 등기구 승강구조를 갖는 가로등
KR102191526B1 (ko) 터널용 cctv 회전식 승하강장치
KR101193373B1 (ko) 방향 안내장치를 미리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승하강장치
KR100495521B1 (ko) 음성응답 운전 조작반 및 비상제동 브레이크 구조와 편차조정 스트로크 장치가 형성된 무선점소등 승하강 제어조명타워
KR100495520B1 (ko) 풍력과 태양 발전 시스템 및 음성응답 운전 조작반 및비상제동 브레이크 구조와 편차 조정 스트로크 장치가형성된 무선발전 점소등·승하강 제어 조명타워
KR20090038411A (ko) 상하 이동식 조명장치
KR100965203B1 (ko) 전등기구 분리 및 아암대의 회동 가능한 안전 가로등
KR101376538B1 (ko) 회전방지수단을 갖는 가변 안내 표시판
KR102155830B1 (ko) 정보통신 기능을 가지는 가로등주
KR100989154B1 (ko)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CN105864588A (zh) 基于升降式高杆灯cctv自动升降装置
KR20120122015A (ko) 조명 타워용 안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