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154B1 -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154B1
KR100989154B1 KR1020090078629A KR20090078629A KR100989154B1 KR 100989154 B1 KR100989154 B1 KR 100989154B1 KR 1020090078629 A KR1020090078629 A KR 1020090078629A KR 20090078629 A KR20090078629 A KR 20090078629A KR 100989154 B1 KR100989154 B1 KR 100989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tation
shaft
rotating
rot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973A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임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섭 filed Critical 임유섭
Priority to KR102009007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1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7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의 상단 내측에 고정부가 고정되고 회전부분은 램프하우징을 고정하고 있는 수평지지대의 지주측 일단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회전모듈과, 상기 회전모듈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로프 및 회전제어로프와, 상기 회전모듈의 리미트스위치에 접속되어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제어콘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기구, 램프, 유지보수, 회전

Description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Rotating Apparatus For Lighting Fixture}
본 발명은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기능이 구비된 등기구의 유지보수 작업시 램프하우징을 고정하고 있는 수평지지대를 작업이 용이한 위치로 회전시켜 작업자의 작업안정성 확보 및 불필요한 차도점유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기존 등기구 구조물에 간단히 추가 장착되는 방식을 적용하여 초기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나 인도에 주로 설치되는 등기구는 지주의 특성상 상기 램프하우징이 지면으로부터 12m 이상 또는 6m정도의 고소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차량통행이 빈번한 도로 쪽을 향하여 설치된 관계로 램프의 교체 및 정비작업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힘들뿐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도 커서 통상 작업 시에는 사다리차나 크레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소작업 전용장비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한 유지보수 작업은 도로통제가 필연적으로 수반되고 작업자의 감전 및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상존해 이러한 유지보수작업을 지상화 시키려는 여러 대안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기존 제시된 대안들의 경우 등기구 상단 구조물로부터 분리된 등기구들이 차로쪽으로 승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위해 등기구 상단 구조물의 접철 또는 회전방식이 발전된 개념으로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용중인 등기구 구조물들을 철거하고 이들 방식이 내장된 신규 등기구 구조물을 설치해야하는 초기 설치비용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사용중인 등기구 구조물의 지주 상단 내측에 램프하우징을 고정하고 있는 수평지지대의 회전을 수행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를 간단히 추가 장착하여 줌으로 인해 유지보수작업 안정성 및 초기 설치비용상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려고 한다.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로 구성된 등기구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지주 상단 내측에 고정부분이 고정되고 상기 수평지지대의 지주 중심축 상단 내측에 회전부분이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회전모듈과, 상기 회전모듈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로프 및 회전제어로프와, 상기 회전모듈의 리미트스위치에 접속되어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제어콘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 사용중인 등기구 구조물에 간단히 추가 장착만으로도 단순 승하강만 가능한 등기구 구조물을 수평지지대의 회전이 가능한 등기구 구조물로 개선시킬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작업 안정성 향상 및 초기 설치비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둘째, 기존 사용중인 등기구 구조물의 지주 상단 내측에 간단히 추가 장착되 는 방식이므로 등기구 구조물의 형상 및 광원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가 적용된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점검구(11)가 형성된 지주(10)와, 상기 지주(10) 상단 내측에 하단 고정부분이 고정되고 상단 회전부분은 일단에 램프(40)를 구비한 램프하우징(30)이 결합된 수평지지대(20)의 지주 중심축 상단 내측과 결합되는 회전모듈(400)과, 상기 회전모듈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로프(640) 및 회전제어로프(650)와, 상기 회전모듈(400)의 리미트스위치에 접속되어 상기 점검구(11)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제어콘넥터(6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상기 회전로프(640)을 포함한 다수의 작동로프들이 배치된 지주(10)의 점검구(1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작동로프들은 상기 회전모듈(400)에서 상기 수평지지대(20)의 내부와 지주(10)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점검구(11)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콘넥터(660)는 상기 회전모듈(400)에 구비된 후술할 리미트스위츠에 전기 접속되면서 미 설명부호 100인 휴대용 착탈식작동기의 전기접속부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미 설명부호 500인 작동제어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40) 및 회전제어로프(650)는 모두 무부하 상태로 점검구(1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휴대용 착탈식작동기(1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제어부(500)의 작동신호에 따라 권취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40) 및 회전제어로프(650)는 각 로프들의 기능이 명확하게 구분 인식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색상인식부(680)가 각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400)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회전모듈(400)의 설치전과 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12는 도 3의 각 지시선에 따른 회전동력전달부의 단면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7a/b는 회전구속래치(430)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회전각도 감지부(460)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확대도, 도 10a/b는 조심베어링부(470)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회전모듈(400)의 조립단면도, 도 12는 로프간섭보호부(48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모듈(400)은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40)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동력전달부를 지주(10) 상단 내부에 고정시키는 회전모듈 지지부와, 상기 회전제어로프(65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을 억제 또는 인가하는 회전구속 래치(430)와,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동축(440)과, 상기 회동축(440)에 결합되며 수평지지대(20)가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과,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각도 감지부(4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동력전달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50)의 권취작동에 따른 상하 직선동력을 회전동력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동축(44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최하단에는 체인(401)과 체인스프로킷(402)이 위치된다.
상기 체인(401)은 중간부분이 상기 체인스프로킷(402)의 상부를 감싸며 그 양단이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50)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650)의 권취작동에 따른 상하 직선동력에 의해 상기 체인스프로킷(402)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평방향의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체인스프로킷(402)에는 회전모듈 웜(403)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모듈 웜(403)에는 회전모듈 웜기어(404)가 맞물려 설치된다. 상기 체인스프로킷(402)의 수평방향 회전력은 상기 회전모듈 웜(403)과 이에 맞물리는 회전모듈 웜기어(404)를 통해 수직방향 회전력으로 변환된다.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404)의 수직방향 회전동력은 다수의 평기어와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기어회전부에 의해 상기 회동축(440)까지 전달이 된다.
상기 기어회전부는 세 개의 구동축이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기어 맞물림을 통해 구동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제1구동축(405)은 하단에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404)가 결합되고 상단에 제1구동기어(406)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404)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며, 제2구동축(408)은 하단에 상기 제1구동기어(406)와 맞물리는 제1종동기어(407)가 결합되고 상단에 제2구동기어(409)가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축(405)과 함께 구동되고, 제3구동축(411)은 하단에 상기 제2구동기(409)와 맞물리는 제2종동기어(410)가 결합되고 상단에 제3구동기어(412)가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축(405) 및 제2구동축(408)과 함께 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의 회전동력전달부는 회전모듈 지지부에 의해 지주(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상기 회전모듈 지지부는 다수 개의 지지부로 이루어지는데, 제1지지부(421)가 상기 지주(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다수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지주(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구동축(405)이 그 일측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부(421)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부측에 제2지지부(421)가 상기 지주(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다수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지주(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440)이 그 중앙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부(421)와 제2지지부(422) 사이에는 제3지지부(423)가 다수 개의 전산볼트(424)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421)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3구동축(411)이 그 일측을 관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3지지부의 일측에는 승강로프(610), 착탈제어로프(620), 견인로프(630), 전원공급선(60), 제어커넥터(660) 등과 같은 로프나 전선이 통과되는 로프전선 경유홈(48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의 최하단에 위치된 회전모듈 웜(403)을 지지하는 한 쌍의 웜지지대(425)가 상기 제1지지부(421)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웜지지대(425) 하단에는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404)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체인(401)의 이탈 방지를 위한 체인 이탈방지용 자형 개방부(428)가 형성된 웜기어 하부지지대(427)가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구속래치(430)는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을 억제 또는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제1지지부(421)와 상기 제3지지부(423) 사이에서 상기 제3지지부(423)를 지지하는 회전모듈 전산볼트(425) 두 개에 의해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구속래치(430)는 대략 반원 형태를 가지며, 그 내측면에는 상기 제1종동 기어(407)와 기어 맞물림되는 구속기어부(431)가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관통하는 상기 회전모듈 전산볼트(425)를 따라 원활한 상하 섭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모듈 전산볼트(425)에 외삽되는 회전구속래치 섭동가이드(432)가 각각 구비되며, 그 상부면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회전구속래치 섭동가이드(432)에 외삽되면서 상기 제3지지부의 하부면까지 연장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회전구속래치 압축스프링(433)과, 상기 제3지지부(423)의 하단면에 고정되는 회전구속래치 리미트스위치(434)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구속래치(43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회전제어로프(650)가 연결되는데, 상기 회전제어로프(650)는 상기 회전구속래치(430)의 상면 중앙에서 상기 제3지지부(423)를 관통하도록 상승한 후 제3지지부(423)의 상면에 형성된 방향전환부(426)를 통해 방향을 전환하여 하향됨으로써 상기 점검구(11)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구속래치(430)는 상기 회전제어로프(650)가 당겨짐에 따라 제3지지부(423) 쪽으로 상승하면서 구속기어부(431)가 제1종동기어(407)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렇게 구속기어부(431)와 제1종동기어(407)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기 회전동력전달부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인가되는 것이며, 이 때 상승된 회전구속래치(430)에 회전구속래치 리미트스위치(434)가 눌려지면서 맞물림 해제신호를 작동제어부(5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어로프(650)의 당김력이 해제되면 압축되었던 상기 회전구속래치 압축스프링(433)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하강하게 되며, 그에 따라 다시 구속기어부(431)가 제1종동기어(407)와 맞물리게 되면서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을 억 제하게 된다.
상기 회동축(440)은 상기 제3구동기어(421)와 맞물리는 회동축종동기어(441)가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지지부(422)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에 결합되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상기 회동축(400)은 축방향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단과 하단의 원주면에 각각 링삽입홈(442a)이 형성되며, 상기 링삽입홈(442a) 각각에는 회동축 이탈방지링(442)이 삽입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 이탈방지링(442)은 E자 형상의 E-링(E-ring)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은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외삽된 수평지지대(2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다수 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수평지지대(20)에 고정되며, 그에 따라 상기 회동축(440)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지지대(2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지지대(20)는 지주(10) 상단에 외삽되어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에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의 회전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각도 감지부(460)는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지지대(2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작동제어부(500)로 전송함으로써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과 함께 회전되는 유동전극지지대(461)가 설치된다.
상기 유동전극지지대(461)의 상면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재질의 상면 에는 유동전극(462)들이 호의 형태를 이루면서 중심으로부터 반경을 달리하여 다수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전극지지대(461)에는 상기 작동제어부(500)를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허용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466a)와 설정하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466a)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핀(466)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상 작업자의 상기 작동제어부(500) 조작 실수로 인한 상기 수평지지대(20)의 과다 회전에 따른 옥외 전선 및 가로수와 같은 주변 장애물들과의 접촉을 사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400)의 초기 설치시 설치 작업자가 주변 여건에 적합하도록 상기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466a)를 수평지지대(20)의 좌우 회전허용 범위에 해당되는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핀(466)에 간단히 삽입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허용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유동전극지지대(461)에는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463)이 그 중심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463)은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동축(440), 회전지지대 연결블럭(450), 유동전극지지대(461)가 모두 연동 회전하는 과정에서도 전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축으로서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기준점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463)은 상기 회전모듈 지지부 중 상기 제3지지부(423)의 중심에 그 하단이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44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 관통구(463a)를 경유하여 상단이 상기 유동전극지지 대(461)의 중심 상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상기 유동전극지지대(461)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463)의 상단에는 고정전극지지대(464)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전극지지대(464)의 일측에는 고정전극(46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회전각도 감지부(460)는 상기 수평지지대(20)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는 유동전극(462)들과 상기 수평지지대(20)의 회전과 관계없이 위치가 고정된 고정전극(465) 상호 간의 접점 개폐에 따른 회전각도신호를 상기 작동제어부(500)로 전송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90은 상기 회전각도 감지부(460)를 덮어주는 수평지지대 상부덮개(490)이다.
한편, 상기 회동축(440)에는 상기 회동축(44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축(440)의 중심을 상기 지주(1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자동으로 조정해주는 조심베어링부(4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심베어링부(470)는 상기 회동축(440)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동축(440)과 함께 회전되며 상부면에 120도 간격으로 세 개의 등각개방구(472)가 형성된 조심베어링 지지부(471)와, 상기 조심베어링 지지부(471)의 각각의 등각개방구(472)에 조립되며 일단은 지주(10)의 내주면을 향하고 타단은 회동축(440)의 중심을 향하는 세 개의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473)와, 상기 각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473)의 지주(10)의 내주면을 향하는 일단에 유동지지대 볼베어링 회전축(47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지지대 볼베어링(47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473)은 상기 유동지지대 볼베어링(474)에 의해 지주(10)의 내주면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지지대 볼베어링(474)이 조립된 반대편에 형성된 유동지지대 밀착 경사면(476)들이 상호 간에 면 접촉을 이루어 회동축(440)의 회동시 중심을 지주(1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유동지지대 밀착 경사면(476)의 끝단 부분에는 유동지지대 밀착 경사면 반달 개방구(477)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심베어링부(470)의 조심기능 수행에 따른 상기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46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473)이 지주(10)의 내주면에 유동지지대 볼베어링(474)을 통해 밀착되어 회전이 되기 때문에 지주(10)의 내측을 경유하는 로프들이나 전선들(예컨대, 상기 승강로프(610), 착탈제어로프(620), 견인로프(630), 전원공급선(60), 제어콘넥터(660) 등)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심베어링부(470)의 상하측 회동축(440)에는 상기 로프나 전선들이 관통할 수 있는 일정한 크기의 로프관통홈(481)이 형성된 로프간섭보호부(48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로프나 전선들이 상기 로프간섭보호부(480)의 로프관통홈(481)을 관통하여 상기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들(473)의 사이를 지나며, 상기 로프간섭보호부(480)가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473)와 함께 회전이 되기 때문에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로프관통홈(481)이 형성된 상기 로프간섭보호부(480)에 의해 상기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들(473) 사이를 안전하게 통과한 로프들이나 전선들은 상기의 제2지 지부(422), 제3지지부(423), 제1지지부(421)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로프전선 경유홈(482)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지주(10)의 상기 점검구(11) 측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4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작동 전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구속래치(430)가 상기 회전동력전달부를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지지대(20)는 회전이 불가능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회전동력전달부의 제1종동기어(407)가 회전구속래치(430)의 구속기어부(431)에 맞물림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회동축(440)은 회전이 불가능하며, 이 때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제어로프(640)의 권취작동도 불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지지대(20)의 회전작동을 위해 회전제어로프(650)를 권취 작동시키면 상기 회전구속래치(430)가 상승하면서 구속기어부(431)가 상기 제1종동기어(407)에서 상향 이탈되어 회전동력전달부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인가된다.
이렇게 회전동력전달부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인가된 후 한 쌍의 회전로프(640)를 권취 작동시키면 연결된 체인(401)에 의해 체인스프로킷(402)에 회전동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회전동력이 상술한 회전모듈 웜(403)과 회전모듈 웜기어(404) 및 구동기어들(406, 409, 412)와 종동기어들(407, 410, 441)을 통해 회동축(440)에 전달되어 회동축(44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440)에 회전하게 됨에 따라 수평지지대 연결블럭(450)이 연동 회전하면서 이에 고정 결합된 수평지지대(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지지대(20)가 회전하는 과정동안 상기 회전각도 감지부(460)에서는 고정된 고정전극(465)과 회전되는 유동전극들(462) 사이에 계속적으로 접점의 개폐가 발생하게 되고, 그러한 접점 개폐에 따른 회전각도신호가 상기 작동제어부(500)에 전송이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지주 점검구 내측의 작동로프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의 설치 전후 상태의 지주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동력전달부와 회전모듈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b/c/d/e/f/g/h은 도 3의 각 지시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속 래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각도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은 도 8의 부분 확대도,
도 10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심베어링부의 구성과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상기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가 지주에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3의 “L-L”선에 따른 로프간섭보호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주 11: 점검구
20: 수평지지대 30: 램프하우징
40: 램프 50: 원형튜브
60: 전원공급선 100: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200: 램프하우징 착탈모듈부 300: 램프하우징 견인모듈부
400: 수평지지대 회전모듈부 401: 체인
402: 체인스프로킷 403: 회전모듈 웜
404: 회전모듈 웜기어 405: 제1구동축
406: 제1구동기어 407: 제1종동기어
408: 제2구동축 409: 제2구동기어
410: 제2종동기어 411: 제3구동축
412: 제3구동기어 421: 제1지지부
422: 제2지지부 423: 제3지지부
424: 회전모듈 전산볼트 425: 웜지지대
426: 견인로프 방향전환부 427: 웜기어 하부지지대
428: “ㄷ”자형 개방부 430: 회전구속래치
431: 구속기어부 432: 회전구속래치 섭동가이드
433: 회전구속래치 압축스프링 434: 회전구속래치 리미트스위치
440: 회동축 441: 회동축종동기어
442: 회동축 이탈방지링 450: 수평지지대 연결블럭
460: 회전각도 감지부 461: 유동전극지지대
462: 유동전극 463: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
463a: 고정축관통구 464: 고정전극지지대
465: 고정전극 466: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핀
466a: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 470: 조심베어링부
471: 조심베어링지지부 472: 등각개방구
473: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 474: 유동지지대 볼베어링
475: 볼베어링 회전축 476: 밀착경사면
477: 반달개방구 480: 로프간섭보호부
481: 로프관통홈 500: 작동제어부
610: 승강로프 620: 착탈제어로프
630: 견인로프 640: 회전로프
650: 회전제어로프 660: 제어콘넥터
670: 보호튜브 671: 보호튜브콘넥터
680: 색상인식부 690: 퀵링크

Claims (14)

  1.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램프를 구비한 램프하우징이 결합된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로서,
    상기 지주 상단 내측에 고정 부분이 고정되고 상기 수평지지대의 지주 중심축 상단 내측에 회전부분이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에 일단이 연결되고 반대측 타단은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로프, 회전제어로프;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 회전제어로프를 통해 상기 회전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회전모듈 지지부에 의해 상기 지주의 상단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에 연결되어 한 쌍의 회전로프의 권취작동에 따라 회전동력을 회동축에 전달하는 회전동력전달부;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제어로프의 권취작동에 따라 회전동력전달부의 회전을 억제 또는 인가하는 회전구속 래치;
    상기 회동축에 결합됨과 함께 지주 상단에 외삽된 수평지지대와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에 연동하면서 상기 수평지지대를 회전시키는 수평지지대 연결블럭; 및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각도를 상기 작동제어부로 전송하는 회전각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 내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회전로프, 회전제어로프에는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색상인식부가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력전달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로프의 권취작동에 따른 상하 직선동력을 수평방향 회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체인 및 체인스프로킷;
    상기 체인스프로킷에 결합되어 수평방향 회전동력을 수직방향 회전동력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듈 웜 및 웜기어; 및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에 결합되어 수직방향 회전동력을 상기 회동축을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에 전달하도록 다수의 평기어와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기어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회전부는,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와 제1 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1구동기어;
    상기 제1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제1종동기어와 제2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2구동기어;
    상기 제2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제2종동기어와 제3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3구동기어; 및
    상기 제3구동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는 회동축 종동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모듈 지지부는,
    상기 지주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1구동축에 의해 일측이 관통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측의 지주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에 의해 중앙이 관통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1 지지부에 회전모듈 전산볼트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상기 제3구동축에 의해 일측이 관통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웜지지대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모듈 웜기어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자형 개방부가 형성된 웜기어 하부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제3 지지부의 일측에는 로프나 전선이 통과되는 로프전선 경유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속래치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제3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회전모듈 전산볼트에 의해 양단이 관통 지지됨과 함께 내측면에 상기 제1종동기어와 맞물리는 구속기어부가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제어로프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제어로프의 당겨짐에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구속기어부와 상기 제1종동기어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속래치는, 상기 회전구속래치의 원활한 상하 섭동을 위해 섭동되는 구간의 회전모듈 전산볼트에 외삽되는 회전구속래치 섭동가이드와, 상기 회전구속래치의 상부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전구속래치 섭동가이드에 외삽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회전구속래치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의 하단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구속래치의 상하 섭동에 따른 상기 구속기어부와 상기 제1종동기어의 맞물림 해제여부 신호를 상기 작동제어부로 전송하는 회전구속래치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에는 회전작동시 상기 회동축의 중심이 상기 지주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자동 조정하는 조심베어링부가 설치되되, 상기 조심베어링부는
    상기 회동축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하며, 120도 간격으로 상부면에 등각개방구가 형성된 조심베어링 지지부;
    일단은 상기 지주 내측 원주면을 향하고 타단은 상기 회동축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조심베어링 지지부의 등각개방구에 조립되며, 각각 상호간에 면 접촉을 통해 회전시 상기 회동축의 중심을 조정하는 세 개의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 및
    상기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가 지주 내측 원주면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조심베어링 유동지지대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지지대 볼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심베어링부의 상하측 회동축에는 로프나 전선이 통과되는 일정한 크 기의 로프관통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에 연동됨으로써 상기 로프나 전선이 상기 조심베어링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프간섭보호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의 상단 및 하단 원주면에는 링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링삽입홈에는 축방향 이탈방지를 위한 회동축 이탈방지링이 각각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 감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의 상단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수평지지대 연결블럭과 연동하며, 그 상면에 다수의 유동전극이 호의 형태를 이루어 형성되는 유동전극지지대;
    상기 회전모듈 지지부의 중심에 하단이 고정되어 상기 회동축과 수평지지대 연결블럭 및 상기 유동전극지지대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유동전극지지대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 및
    상기 상대위치검출용 고정축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유동전극지지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유동전극들과 접점이 개폐되는 고정전극이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전극지지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전극과 유동전극의 접점 개폐에 따른 상기 수평지지대의 회전각도 신호를 상기 작동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전극지지대에는 다수의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핀이 구비됨과 함께 수평지지대의 회전허용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회전허용각도설정 점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KR1020090078629A 2009-08-25 2009-08-25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KR100989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629A KR100989154B1 (ko) 2009-08-25 2009-08-25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629A KR100989154B1 (ko) 2009-08-25 2009-08-25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128A Division KR100989510B1 (ko) 2008-09-02 2008-09-02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973A KR20100027973A (ko) 2010-03-11
KR100989154B1 true KR100989154B1 (ko) 2010-10-20

Family

ID=4217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629A KR100989154B1 (ko) 2009-08-25 2009-08-25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5761B (zh) * 2021-08-05 2024-04-02 汉思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维护的室外灯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0841A (ja) 2004-07-30 2006-02-09 Ekootekku:Kk 照明装置
KR100701788B1 (ko) 2007-01-20 2007-03-29 안명자 승강 회전식 가로등
KR100785644B1 (ko) 2007-02-05 2007-12-14 주식회사다승아이앤에스 전등기구 분리 및 아암의 회동 가능한 안전 가로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0841A (ja) 2004-07-30 2006-02-09 Ekootekku:Kk 照明装置
KR100701788B1 (ko) 2007-01-20 2007-03-29 안명자 승강 회전식 가로등
KR100785644B1 (ko) 2007-02-05 2007-12-14 주식회사다승아이앤에스 전등기구 분리 및 아암의 회동 가능한 안전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973A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7279A (ko)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WO2012118273A2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N110552544B (zh) 钢丝索制动装置以及包含上述钢丝索制动装置的竖杆升降系统
US3958116A (en) Luminaire ring lowering mechanism
KR101479697B1 (ko) Cctv 카메라 유지보수용 오토리프트 장치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JP4637783B2 (ja) 照明装置
CN114719215A (zh) 通过缆绳和电缆连接的设有空气净化器的可升降灯具装置
KR101117877B1 (ko)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KR100989154B1 (ko)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WO2013085096A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US4001573A (en) Lighting pole
KR101497661B1 (ko) 접이식 폴
CN106439752B (zh) 自升式电动水平吊杆
KR20120121976A (ko) 신호등 승강장치
KR200429332Y1 (ko)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KR20140110282A (ko) 씨씨티비 카메라 승강장치
CN116930216A (zh) 一种自上线式电力金具无损检测机器人
KR100965825B1 (ko)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KR100495521B1 (ko) 음성응답 운전 조작반 및 비상제동 브레이크 구조와 편차조정 스트로크 장치가 형성된 무선점소등 승하강 제어조명타워
KR102191526B1 (ko) 터널용 cctv 회전식 승하강장치
KR102330912B1 (ko) 와이어 정렬장치가 설치된 등기구 장치
CN114744543A (zh) 一种输电线路进行无人机救援装备的自锁挂钩
KR100978650B1 (ko) 안전 공원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