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976A - 신호등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신호등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976A
KR20120121976A KR1020110039908A KR20110039908A KR20120121976A KR 20120121976 A KR20120121976 A KR 20120121976A KR 1020110039908 A KR1020110039908 A KR 1020110039908A KR 20110039908 A KR20110039908 A KR 20110039908A KR 20120121976 A KR20120121976 A KR 20120121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fixing
cable
lifting
traff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임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섭 filed Critical 임유섭
Priority to KR1020110039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1976A/ko
Publication of KR20120121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08G1/0955Traffic lights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등의 정비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부득이하게 차로를 점유하며 교통 흐름에 장시간 정체원인을 제공하는 기존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한 신호등 정비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신호등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기존 사용중인 신호등 및 관련 구조물의 교체없이 고정 브라케트와 신호등 사이에 상기 신호등 승강장치를 단순 추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적용되며 신호등의 승강기능 및 선택적인 전원공급 또는 차단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Description

신호등 승강장치{Lifting Apparatus for Traffic Sign Lamp}
본 발명은 일정 높이에 설치된 신호등의 정비작업을 고소작업차량의 적용 없이 지상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유지보수가 필요한 신호등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및 하강시켜 신규 신호등으로 교체시킨 후 승강 및 결합과정을 통해 단시간 내에 유지보수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신호등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와, 지주 상단부분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바깥 원주면을 감싸며 조임 결함되는 고정 브라케트에 의해 상기 지지대 하단부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의 방식으로 설치된 신호등의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일정 영역의 차로를 점유하는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상기 신호등에 접근하여 신호등을 탈거하거나 또는 직접 현장정비를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한 유지보수 방식은 교통흐름을 저해하는 교통통제가 장시간 수반되어 교통체증으로 인한 사회적비용 지출 및 작업자의 감전 또는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상존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개선책들이 제시되었으나 이들 모두 기존의 설치물들을 제거하고 개선책이 적용된 지주 및 지지대로의 교체가 필연적으로 수반되어 비용 및 설치시간 면에서 심각한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유지보수가 필요한 특정 신호등을 정비하기 위해서 모든 신호등들이 일시에 운전자의 시야로부터 사라진다는 교통 통제상의 치명적인 문제점을 발생시킨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운용중인 신호등 및 구조물의 교체없이 단순 추가 장착만으로 즉시 적용가능하며 다수의 신호등이 일렬 설치되어 운용중인 상황에서도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신호등만을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킴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전원 통전 및 차단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신호등 승강장치를 적용하는 방식은 신호등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권취조작 수행 방식에 따라 방식A 및 방식B로 구분대며, 상기 방식A는 지주측에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신호등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권취조작이 수행되고 방식B는 유지보수를 수행할 신호등의 하방에 위치한 작업자가 신호등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권취조작을 수행한다.
방식A가 적용된 본 발명은 신호등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에 일단이 걸림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승강케이블, 상기 제1승강케이블을 권취하는 윈치가 조립되어 있으며 신호등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과의 선택적인 결합분리, 승하강 및 통전을 수행하는 구성품들이 구비되어 신호등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고정브라케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A(100A), 지주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아닌 별도의 케이블 권취조작을 통해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윈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윈치 이외에 추가적으로 별도 적용된 윈치를 갖으며 상기 고정부A에 조립된 구성품들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A와 대향되며 반대편의 상기 고정브라케트에 고정되는 고정부B, 상기 고정부A 또는 상기 고정부B의 상대물로서 상기 고정부A 또는 상기 고정부B와의 걸림 및 선택적인 통전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승강케이블의 자유단 끝부분이 걸림된 상태로 상기 신호등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윈치의 작동에 의해 신호등과 함께 승하강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걸림 및 걸림해제를 수행하는 상기 고정부A 또는 상기 고정부B 내의 결합분리기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반대측 일단은 작업자의 조작을 위해 상기 고정부A 또는 고정부B 밖으로 배치되는 제어케이블, 일정거리 떨어져 대향 설치되어있는 상기 고정부A와 상기 고정부B 내의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좌우측의 개별 윈치들을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좌측과 우측의 상기 윈치들에 각기 연결 또는 기어 물림되어 회전하는 좌우연결봉, 지주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승하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윈치가 아닌 상기 고정부B에 추가적으로 적용된 별도의 윈치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되며 자유단 일단은 상기 지주측으로 배치된 제2승강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방식B가 적용된 본 발명은 신호등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에 일단이 걸림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승강케이블, 상기 제1승강케이블을 권취하는 윈치가 조립되어 있으며 신호등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과의 선택적인 결합분리, 승하강 및 통전을 수행하는 구성품들이 구비되어 있고 내장된 상기 윈치의 구동을 수행하는 별도의 구동기가 용이하게 삽탈될 수 있는 공간이 반영된 상태로 고정브라케트의 일측면에 대향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부C, 상기 고정부C의 상대물로서 상기 고정부C와의 걸림 및 선택적인 통전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승강케이블의 자유단 끝부분이 걸림된 상태로 상기 신호등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윈치의 작동에 의해 신호등과 함께 승하강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걸림 및 걸림해제를 수행하는 상기 고정부C 내의 결합분리기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반대측 일단은 작업자의 조작을 위해 상기 고정부C 밖으로 배치되는 제어케이블, 일정거리 떨어져 대향 설치되어있는 상기 한쌍의 고정부C 내의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좌우측의 개별 윈치들을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좌측과 우측의 상기 윈치들에 각기 연결 또는 기어 물림되어 회전하는 좌우연결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신호등의 승하강을 수행하는 구성품이 신호등 및 고정브라케트에 추가 장착되는 방식이 적용됨으로 인해 기존 사용중인 신호등 및 구조물의 교체 없이 단시간에 적용가능하다.
둘째, 신호등의 승하강 및 교체를 고소작업차량의 적용없이 신호등의 점등주기가 돌아오기 이전의 단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해 교통체증의 발생 없이 신호등의 정비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셋째, 다수의 신호등이 지지대에 일렬 설치되어 운용중인 상황 및 교량 구조물 또는 벽면 상단에 단일 신호등이 직접 설치되어 운용중인 경우에도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여 실제 교통현장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가 적용된 방식A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방식A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의 승하강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가 적용된 방식B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방식B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가 신호등 하방에 위치한 작업자의 별도 구동기를 사용한 조작에 의해 승하강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A의 형상 및 구성품들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B의 형상 및 구성품들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C의 형상 및 구성품들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윈치에 제1승강케이블의 일단이 걸림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A, 고정부B, 고정부C의 상대물인 승강부의 형상 및 구성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분리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상기 고정부A, 고정부B 또는 고정부C에 결합 및 분리됨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11는 승하강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부전극 하우징과 하부전극 하우징의 전기접속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2는 방식B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용브라케트를 이용하여 교량 또는 벽면에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가 직접 설치되어 운용중인 일상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은 제1승강케이블의 일단에 지지되어 지면으로 하강된 승강부에 고정된 신호등이 승강부가 고정된 상태로 제1승강케이블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되고 별도의 승강부가 부착된 신규 신호등이 제1승강케이블의 일단에 별도의 도구없이 용이하게 걸림되어 교체됨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4는 신호등이 운영되는 주변여건에 적합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A, 고정부B 및 고정부C에 고정브라케트의 고정각도 변경이 용이함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5는 신호등이 운영되는 주변여건에 적합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에 신호등의 고정각도 변경이 용이함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통상의 신호등 체계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일측면이 결합되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임의 위치에 일단이 조립 고정되는 고정브라케트(30) 및 상기 고정브라케트(30)의 끝단에 고정되어 운영되는 신호등(50)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신호등 체계에서 본 발명의 신호등 승강장치를 적용하는 방식은 신호등(50)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권취조작을 수행하는 방식에 따라 지주측에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방식A와 유지보수가 수행되는 신호등 하방에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방식B로 대별(大別)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가 적용된 방식A를 예시한 설치예, 도 2는 방식A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의 승하강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가 적용된 방식B를 예시한 설치예, 도 4는 방식B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가 신호등(50) 하방에 위치한 작업자의 별도 구동기를 사용한 조작에 의해 승하강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방식A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는 신호등(50)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에 일단이 걸림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승강케이블(190)과,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을 권취하는 윈치가 조립되어 있으며 신호등(50)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과의 선택적인 결합분리, 승하강 및 통전을 수행하는 구성품들이 구비되어 신호등(5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브라케트(3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A(100A)와, 지주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이 아닌 별도의 케이블 권취조작을 통해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이 감겨있는 윈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이 감겨있는 윈치 이외에 추가적으로 별도 적용된 윈치를 갖으며 상기 고정부A(100A)에 조립된 구성품들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A(100A)와 대향되며 반대편의 상기 고정브라케트(30)에 고정되는 고정부B(100B)와, 상기 고정부A(100A) 또는 상기 고정부B(100B)의 상대물로서 상기 고정부A(100A) 또는 상기 고정부B(100B)와의 걸림 및 선택적인 통전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자유단 끝부분이 걸림된 상태로 상기 신호등(5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이 감겨있는 윈치의 작동에 의해 신호등(50)과 함께 승하강되는 승강부(200)와, 상기 승강부(200)의 걸림 및 걸림해제를 수행하는 상기 고정부A(100A) 또는 상기 고정부B(100B) 내의 구성품에 일단이 연결되고 반대측 일단은 작업자의 조작을 위해 상기 고정부A(100A) 또는 고정부B(100B) 밖으로 배치되는 제어케이블(193)과, 일정거리 떨어져 대향 설치되어있는 상기 고정부A(100A)와 상기 고정부B(100B) 내의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이 감겨있는 좌우측의 개별 윈치들을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좌측과 우측의 상기 윈치들에 각기 연결 또는 기어 물림되어 회전하는 좌우연결봉(300)과, 지주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승하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이 감겨있는 윈치가 아닌 상기 고정부B(100B)에 추가적으로 적용된 별도의 윈치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되며 자유단 일단은 상기 지주측으로 배치된 제2승강케이블(19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식B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는 신호등(50)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에 일단이 걸림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승강케이블(190)과,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을 권취하는 윈치가 조립되어 있으며 신호등(50)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과의 선택적인 결합분리, 승하강 및 통전을 수행하는 구성품들이 구비되어 있고 내장된 상기 윈치의 구동을 수행하는 별도의 구동기가 용이하게 삽탈될 수 있는 공간이 반영된 상태로 고정브라케트(30)의 일측면에 대향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부C(100C)와, 상기 고정부C(100C)의 상대물로서 상기 고정부C(100C)와의 걸림 및 선택적인 통전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자유단 끝부분이 걸림된 상태로 상기 신호등(5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이 감겨있는 윈치의 작동에 의해 신호등(50)과 함께 승하강되는 승강부(200)와, 상기 승강부(200)의 걸림 및 걸림해제를 수행하는 상기 고정부C(100C) 내의 구성품에 일단이 연결되고 반대측 일단은 작업자의 조작을 위해 상기 고정부C(100C) 밖으로 배치되는 제어케이블(193)과, 일정거리 떨어져 대향 설치되어있는 상기 한쌍의 고정부C(100C) 내의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이 감겨있는 좌우측의 개별 윈치들을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좌측과 우측의 상기 윈치들에 각기 연결 또는 기어 물림되어 회전하는 좌우연결봉(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A(100A)의 형상 및 구성품들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B(100B)의 형상 및 구성품들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C(100C)의 형상 및 구성품들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5에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상기 고정부A(100A)는 내부 공간에 회전 구성품들의 조립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 회전축 및 작동 공간이 반영되어있는 고정부 외판A(110A)와, 상기 고정부 외판A(110A)에 대응하며 상기 고정부 외판A(110A)의 반대편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 내판A(120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 6에 보여진 고정부B(100B)는 상기 고정부A(100A)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상기 고정부 외판B(110B)와, 지주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상기 제2승강케이블(192)의 권취조작을 통해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이 감겨있는 윈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B(100B)에 추가 적용된 윈치 및 관련 구성품들을 지지하기 위한 승강윈치부(150)가 상기 고정부 내판A(120A)에 추가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 외판B(110B)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 내판B(120B)로 구성된다.
도 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고정부C(100C)는 상기 고정부 외판A(110A)와 동일하게 내부 공간에 회전 구성품들의 조립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수의 돌출 회전축 및 작동 공간이 반영되어있으며 승하강을 수행하는 별도의 구동기가 용이하게 삽탈될 수 있는 삽탈 개방부(103)가 상기 고정부 외판A(110A)에 추가적으로 반영되어 형성되어진 고정부 외판C(110C)와, 상기 고정부 외판C(110C)에 대응하며 결합 고정되고 상기 별도의 구동기가 용이하게 삽탈될 수 있는 삽탈 개방부(103)가 상기 고정부 내판A(120A)에 추가적으로 반영되어 형성된 고정부 내판C(120C)로 구성된다.
상기 도 5, 상기 도 6 또는 상기 도 7에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 외판A(110A), 상기 고정부 외판B(110B) 및 상기 고정부 외판C(110C)에는 상기 고정브라케트(30) 일단이 볼트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 고정홈(111), 상기 고정브라케트(30)의 고정 각도를 설치 작업자가 조절 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설치각도조절 돌기(114), 상기 고정부A(110A), 상기 고정부B(110B) 및 상기 고정부C(110C) 내측으로 상기 전원선(40)이 인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제1관통구(112), 상기 결합분리기구(170)의 직접적인 걸림을 수행하는 구성품의 섭동 지지공간을 위해 형성된 걸림핀 섭동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 외판A(110A)과 고정부 내판A(120A)의 상단 밀착부위, 상기 고정부 외판B(110B)와 고정부 내판B(120B)의 상단 밀착부위, 상기 고정부 외판C(110C)와 고정부 내판C(120C)의 상단 밀착부위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고정부A(110A), 상기 고정부B(110B) 및 상기 고정부C(110C) 내측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씰(104)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A(100A), 고정부B(100B) 및 고정부C(100C)에는 공통적으로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일단이 권취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A(100A), 고정부B(100B) 및 고정부C(100C)의 상기 돌출 회전축에 조립되어 지지되며 유지보수를 위해 분리된 신호등(50)의 하중지지 및 승하강을 수행하는 제1윈치와(130), 상기 제1윈치(13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윈치(130)의 벽면에 조립 또는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윈치(130)의 원주면 끝단에 기어부가 형성되는 윈치기어(132), 신호등(50)의 좌우측에 일정거리 떨어져 분리 적용되어있는 상기 제1윈치(130)들이 신호등(50)의 승하강시 상기 좌우연결봉(300)에 의해 상호 동기화되어 회전하도록 보스부는 상기 좌우연결봉(300)에 고정되고 반대측 기어형성부는 상기 윈치기어(132)에 기어물림되는 동기화 기어(140), 작업자에 의한 상기 제어케이블(193)의 직접조작 또는 전동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부(200)의 걸림 및 걸림해제를 수행하는 결합분리기구(170), 상기 승강부(200)의 걸림 및 걸림해제에 따른 신호등(50)으로의 자동적인 전원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상부전극 하우징(180), 상기 제1윈치(130)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경로 유지 및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에 전해지는 상기 신호등(50)의 하중을 지탱하는 케이블 롤러(191), 상기 제1윈치(130)의 권취조작에 따른 상기 승강부(200)의 승강완료를 감지하는 접촉스위치(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B(100B)에 반영된 상기 승강윈치부(150)는 상기 동기화 기어(140)와 직결 또는 상기 좌우연결봉(300)을 사용하여 상기 동기화 기어(140)와 함께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152)와, 상기 제1베벨기어(152)에 기어물림되어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153)와, 상기 제2승강케이블(192)의 신호등(50)측 일단을 권취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베벨기어(153)의 보스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2윈치(1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C(100C)에 반영된 구동기 연결기어(160)는 상기 삽탈 개방부(103)에 삽입되는 상기 별도 구동기에 구비된 기어와 상기 윈치기어(132)가 원활히 기어물림될 수 있도록 적용된다.
상기 전원선(40)을 통해 신호등(50)으로 인입되는 전원이 신호등(50)의 승하강에 따른 상기 고정부A(100A), 고정부B(100B) 또는 고정부C(100C)의 선택적인 통전기능을 통해 신호등(5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 외판A(110A) 및 고정부 외판C(110C)에는 상기 전원선(40)이 인입될 수 있는 제1관통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구(112)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부A(100A), 고정부B(100B) 및 고정부C(100C) 내측으로 인입된 전원선(40)의 끝단이 용이하게 결선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A(100A), 고정부B(100B) 및 고정부C(100C)에는 단자블록(105)이 별도 조립 고정되거나 또는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관통구(112)를 경유하여 상기 단자블록(105)에 도달된 상기 전원선(40)이 차로 위 고소작업차량에 위치한 설치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단자블록(105)에 결선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A(100A), 고정부B(100B) 및 고정부C(100C)의 일측에는 결선 작업도구가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결선 개방부(101)가 개방 형성된다.
상기 결선 개방부(101)를 이용한 설치 작업자의 상기 전원선(40)과 상기 단자블록(105)의 결선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결선 개방부(101)를 통한 빗물 및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선 개방부를 밀폐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A(100A), 고정부B(100B) 및 고정부C(100C)에는 섭동 덮개판(102)이 적용된다.
도 8은 상기 제1윈치(130)에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일단이 걸림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상기 제1윈치(130)에는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일단이 걸림고정될 수 있는 케이블 제1고정홈(131)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이용해 한개 이상의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들이 상기 제1윈치(130)에 의해 권취된다.
도 9는 상기 고정부A(100A), 고정부B(100B) 및 고정부C(100C)의 상대물이며 신호등(50)의 일측에 고정되는 상기 승강부(200)의 형상 및 구성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승강부(200)는 신호등(5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승강케이블의 권취조작에 의해 신호등(50)과 함께 승하강되는 지지판 기능을 수행하는 승강판(210)과, 상기 승강판(210)에 조립 또는 일체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200)의 결합분리에 따른 상기 상부전극 하우징(180)과의 선택적인 전기적 접속을 수행하는 하부전극 하우징(220)과, 상기 승강판(210)을 관통해 돌출된 나사 끝단이 신호등(50)의 일단에 밀착되어 있고 돌출된 나사 끝단의 길이를 작업자가 조정함으로 인해 상기 승강판(210)에 고정된 신호등(50)의 지면과의 설치각도 조절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신호등 각도조절 볼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판(210)에는 신호등(50)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선 인입구(51)에 상기 승강판(210)의 일부분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승강판(210)이 상기 신호등(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판(210)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된 신호등 고정구(211)와, 상기 상부전극 하우징(180)에 인입된 전원이 신호등(50)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등 고정구(211)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2관통구(212)와, 상기 결합분리기구(170)에 상기 승강판(210)이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등 고정구(211)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승강판(210)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블록(213)이 반영되어있다.
상기 걸림블록(213)의 상단 끝부분은 상기 승강부(200)의 승강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예방하기위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블록(213)의 벽면에는 상기 결합분리기구(170)의 걸림핀(171) 끝단 부분이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핀 걸림홈(214)과, 상기 승강판(210)에 걸림 연결되는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끝단이 상기 걸림블록(213)에 용이하게 걸림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블 제2고정홈(215)과, 상기 케이블 제2고정홈(215)에 삽입 걸림된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케이블 부분이 승강 진행 과정동안 상기 걸림블록(213)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이 경유하는 상기 걸림블록(213)의 관련 부분을 일정부분 제거하여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홈(216)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도 10은 상기 결합분리기구(17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부(200)가 상기 고정부A(100A), 고정부B(100B) 또는 고정부C(100C)에 결합 및 분리됨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 도 10에 보여진 상기 결합분리기구(170)는 상기 걸림핀 섭동홈(113)에 지지되어 섭동되며 상기 승강판(210)의 상기 걸림핀 걸림홈(214)에 대한 선택적인 걸림을 수행하는 걸림핀(171)과, 상기 고정부A(100A), 고정부B(100B) 및 고정부C(100C)의 돌출 회전축에 조립되어 상기 걸림핀(171)의 일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회전하는 걸림핀 작동판(172)과, 상기 고정부A(100A), 고정부B(100B) 및 고정부C(100C)의 돌출 회전축에 조립되어 지지되며 일단이 상기 걸림핀 작동판(172)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핀(171)에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걸림핀 복귀스프링(1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핀(171)의 끝단 부분 하단에는 상기 승강부(200)의 승강시 상기 걸림블록(220) 상단 경사면과의 우선적인 접촉에 의해 상기 걸림핀(171)의 자동적인 후퇴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경사면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사면이 형성되어있지 않은 반대편 끝단에는 상기 제어케이블(193) 또는 솔레노이드가 연결 된다.
상기 걸림핀 작동판(172)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걸림핀 작동판(172)의 회전운동을 상기 걸림핀(17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줄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핀(171)의 일부분이 상기 장공에 조립되어 섭동된다.
도 12는 상기 방식B의 다른 실시예로서 별도의 전용브라케트(31)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가 교량 또는 벽면에 직접 설치되어 운용중인 일상 상태를 예시한 설치예이다.
상기 방식B의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는 상기 지지대(20)에 일단이 고정되는 통상적인 상기 고정브라케트(30)를 사용치 않고 신호등(50)이 운용될 교량 또는 벽면에 일단이 직접 고정되는 별도의 전용브라케트(31)를 이용하여 설치된다.
상기의 전용브라케트(31)는 신호등(50)의 좌우측에 조립될 상기 고정부A(100A), 상기 고정부B(100B) 또는 상기 고정부C(100C)가 신호등(50)과 함께 상기 지지대(20)에 간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활용되는 보조 조립구(107)를 이용해 고정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신호등 승강장치의 설치 및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는 고소에 위치한 신호등(50)을 승강시켜 지상에서 신호등(50)의 교체, 수리, 세척 등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주 및 건물 외벽, 교량하부 등 신호등이 적용되는 모든 곳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가 상기 지주에 일측면이 고정된 지지대에 상기 고정브라케트(30)을 이용해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방식B가 적용되는 설치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9 및 도 12에 예시된 것과 같이 설치 작업자는 돌출된 상기 승강부(200)의 상기 신호등 고정구(211)를 신호등(50)의 상기 전원선 인입구(51)에 삽입 및 고정시켜 상기 승강부(200)를 신호등(50)의 좌우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각각 고정시킨다.
상기 승강부(200)를 신호등(50)의 좌우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킨 이후에는 상기 승강부(200)에 조립된 상기 신호등 각도조절 볼트(23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승강부(200)에 의해 고정되는 신호등(50)의 설치각도를 설정한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신호등(50)의 설치각도 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전극 하우징(220)의 일단에 연결되어있는 하부전극 연결선(221)의 반대편 끝단이 상기 신호등 고정구(211)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상기 제2관통구(212)를 경유하여 신호등(50)안쪽으로 배치시켜 신호등(50) 안쪽에 설치되어있는 LED모듈 또는 전구소켓에 연결시킨다.
신호등(50)의 좌우측에서 상기 고정브라케트(30)에 의해 대향 설치될 한쌍의 상기 구동부C(100C)는 상기의 과정과는 별도로 상기의 보조 조립구(107)에 적용되는 별도의 설치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좌측의 상기 구동부C(100C) 및 우측의 상기 구동부C(100C) 간의 설치간격 조정 및 평행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의 설치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설치간격 조정 및 평행상태를 유지하게된 한쌍의 상기 구동부C(100C)에는 도 14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케트(30)의 설치각도 조절을 위해 반영된 다수의 상기 설치각도조절 돌기(114)들 중에서 원하는 각도의 상기 설치각도조절 돌기(114)에 상기 고정브라케트(30)의 관통구가 걸림되도록 설정한 후 상기 고정부 고정홈(111)에 상기 고정브라케트(30)의 일단을 체결시켜 고정시킨다.
상기의 설치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고정된 한쌍의 상기 구동부C(100C)에 상기 고정브라케트(30)의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좌측의 상기 구동부C(100C) 및 우측의 상기 구동부C(100C)의 상기 제1윈치(130)에 각각 권취되어 좌측의 상기 구동부C(100C) 및 우측의 상기 구동부C(100C) 밖으로 일단이 노출되어있는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일단을 손으로 잡아 신호등(50)의 좌우측에 고정되어있는 상기 승강부(200)의 상기 케이블 제2고정홈(215)에 각각 걸림 고정시킨다.
상기 승강부(200)의 상기 케이블 제2고정홈(215)에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일단이 걸림 고정된 이후에는 좌측의 상기 구동부C(100C) 및 우측의 상기 구동부C(100C)의 상기 동기화 관통구(122) 밖으로 보스 부분이 돌출되어있는 상기 동기화 기어(140)를 각각 회전시켜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이 상기 제1윈치(130)에 완전히 감김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200)의 승강이 진행되어 상기 승강부(200)의 상기 걸림핀 걸림홈(214)에 상기 결합분리기구(170)의 상기 걸림핀(171)이 걸림되어 한쌍의 상기 구동부C(100C)와 상대물인 승강부(2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한쌍의 상기 구동부C(100C)와 상대물인 승강부(200)가 결합된 상태 이후에는 상기 구동부C(100C)의 상기 동기화 관통구(122) 밖으로 보스 부분이 돌출되어있는 좌우측의 상기 동기화 기어(140)들을 상기 좌우연결봉(300)으로 연결 고정시켜 좌우측의 상기 구동부C(100C)에 각각 조립된 상기 제1윈치(130)들을 상호 동기화시킨다.
상기 제1윈치(130)들의 상호 동기화가 완료된 후에는 신호등 하방에 위치하는 지상의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C(100C)에 조립되어있는 상기 결합분리기구(17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분리기구(170)에 일단이 연결되고 반대측 일단은 상기 구동부C(100C) 밖으로 배치된 상기 제어케이블(193)의 일단에 제어케이블 조작볼(194)을 고정시킨다.
상기의 설치 보조기구에 조립되어진 상태로 상기 제어케이블 조작볼(194)의 적용까지 완료된 후에는 고소작업차량의 바구니에 탑승한 설치 작업자가 상기의 설치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에 걸쳐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지지대에 상기의 설치 보조기구가 걸쳐진 이후에는 상기 고정브라케트(30)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케트(30)의 상단부분을 압박고정시켜 고정을 완료하고 상기의 보조 조립구(107)로부터 상기의 설치 보조기구를 분리 제거한다.
상기의 설치 보조기구가 분리 제거된 이후에는 도 9 및 도 11과 같이 상기 전원선(40)이 상기 구동부C(100C) 내측의 상기 단자블록(105)에 결선 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선(40)의 끝단을 상기 구동부C(100C)의 상기 제1관통구(112)를 경유하여 상기 단자블록(105) 인접 부위로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단자블록(105) 인접 부위로 위치된 상기 전원선(40)의 끝단을 상기 단자블록(105)에 용이하게 결선시키기 위해 상기 섭동 덮개판(102)을 개방하여 결선도구들이 상기 결선 개방구(101)를 통해 원활히 적용가능케 한다.
상기 결선 개방구(101)를 통한 상기 전원선(40)의 결선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결선 개방구(101)를 통한 빗물 및 먼지의 침투를 막기 위해 상기 섭동 덮개판(102)을 이용해 상기 결선 개방구(101)를 밀폐시키고 설치작업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는 기존 신호등 체계를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설치를 할 수 있으며, 그 설치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부담도 적어 매우 경제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식B가 적용된 신호등 승강장치를 이용한 신호등의 유지보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차로나 횡단보도 상에 설치되는 통상의 신호등(50)들은 일정 주기로 점멸을 반복하며 빨간불이 들어온 일정 시간 동안에는 신호등(50) 하방으로의 교통흐름이 순간 정지되며 일정시간 유지된다.
유지보수하고자 하는 신호등에 빨간불이 점등된 즉시 유지보수 작업자는 교통흐름이 정지된 상황을 이용하여 사전 점검을 통과하고 좌우측에 상기 승강부(200)가 고정된 신규 신호등(50)과 상기 고정부C(100C)의 상기 삽탈 개방부(103)에 삽입되어 상기 제1윈치(130)를 작동할 별도의 구동기를 휴대한 상태로 유지보수를 수행할 신호등(50) 하단으로 신속히 자리 잡는다.
유지보수를 수행할 신호등(50) 하단에 위치한 작업자는 휴대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한쌍의 상기 고정부C(100C) 밖으로 노출되어있는 좌우측의 상기 제어케이블 조작볼(194)들을 하방으로 당겨 상기 결합분리기구(170)의 상기 걸림핀(171)을 후퇴시킨다.
도 10과 같이 상기 걸림핀(171)들이 후퇴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C(100C)로부터 상대물인 상기 승강부(200)가 신호등(50)이 결합된 상태로 분리되고 신호등(5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에 지지된 상태로 지면으로 빠르게 하강된다.
도 13과 같이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보수할 신호등(50)과 함께 지면으로 분리 하강된 승강부(200)는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일단이 상기 케이블 제2고정홈(215)으로 부터 분리 제거됨으로 인해 유지보수할 신호등(50)과 함께 신속히 제거되며 이후 사전 점검을 통과한 신규 신호등(50)의 좌우측에 고정된 상기 승강부(200)의 상기 케이블 제2고정홈(215)에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의 일단을 걸림 고정시켜 승강 예비상태를 완료한다.
승강 예비상태 완료 후 작업자는 상기 제1윈치(130)를 작동할 별도의 구동기를 상기 고정부C(100C)의 상기 삽탈 개방부(103)에 삽입시킨 후 작동시킨다.
상기 별도 구동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윈치(130)는 상기 승강부(200)에 일단이 걸림되어 있는 상기 제1승강케이블(190)을 권취시키고 이로 인해 교체된 신규 신호등(50)이 상기 승강부(200)와 함께 승강되어 상기 고정부C(100C)에 결합 고정된다.
교체된 신규 신호등(50)의 승강완료는 상기 고정부C(100C)에 구비된 상기 접촉스위치(106)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별도 구동기에 점등된다.
상기 별도 구동기의 점등 인지로 교체된 신규 신호등(50)의 승강완료를 확인한 작업자는 즉시 상기 삽탈 개방부(103)로부터 상기 별도 구동기를 분리 제거하고 분리된 유지보수할 신호등(50)과 함께 즉시 신안전장소로 이동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의 유지보수작업은 결합분리를 위한 전용 공구를 사용치 않고 작업자의 손을 이용해 신속히 수행됨으로 인해 신호등의 파란불이 점등되어 교통흐림이 발생되기 전에 완료될 수 있다.
방식A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의 신호등(50) 유지보수과정은 상기의 별도 구동기를 사용치 않고 작업자가 지주측에서 상기 제2승강케이블(192)을 권취함으로 인해 상기 승강윈치부(150)에 적용된 상기 제2윈치(151)가 회전되며 상기 제1베벨기어(152), 상기 제2베벨기어(153), 상기 좌우연결봉(300)을 회전시킨다.
상기 좌우연결봉(300)이 회전되면 상기 고정부A(100A) 및 상기 고정부B(100B)에 조립된 상기 제1윈치(130)들이 상호 동조되며 회전되며 이로 인해 교체된 신규 신호등(50)의 승강이 진행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장치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30: 고정브라케트 31: 전용브라케트
40: 전원선 50: 신호등
51: 전원선 인입구 100A: 고정부A
100B: 고정부B 100C: 고정부C
101: 결선 개방부 102: 섭동 덮개판
103: 삽탈 개방부 104: 방수씰
105: 단자블록 106: 접촉스위치
107: 보조 조립구 110A: 고정부 외판A
110B: 고정부 외판B 110C: 고정부 외판C
111: 고정부 고정홈 112: 제1관통구
113: 걸림핀 섭동홈 114: 설치각도조절 돌기
120A: 고정부 내판A 120B: 고정부 내판B
120C: 고정부 내판C 121: 전원선 가이드홈
122: 동기화 관통구 130: 제1윈치
131: 케이블 제1고정홈 132: 윈치기어
140: 동기화 기어 150: 승강윈치부
151: 제2윈치 152: 제1베벨기어
153: 제2베벨기어 160: 구동기 연결기어
170: 결합분리기구 171: 걸림핀
172: 걸림핀 작동판 173: 걸림핀 복귀스프링
180: 상부전극 하우징 181: 상부전극 연결선
190: 제1승강케이블 191: 케이블 롤러
192: 제2승강케이블 193: 제어케이블
194: 제어케이블 조작볼 200: 승강부
210: 승강판 211: 신호등 고정구
212: 제2관통구 213: 걸림블록
214: 걸림핀 걸림홈 215: 케이블 제2고정홈
216: 케이블 가이드홈 220: 하부전극 하우징
221: 하부전극 연결선 230: 신호등 각도조절 볼트
300: 좌우연결봉

Claims (15)

  1. 신호등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에 일단이 걸림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승강케이블;
    상기 제1승강케이블을 권취하는 윈치가 조립되어 있으며 신호등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과의 선택적인 결합분리, 승하강 및 통전을 수행하는 구성품들이 구비되어 신호등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고정브라케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A;
    지주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아닌 별도의 케이블 권취조작을 통해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윈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윈치 이외에 추가적으로 별도 적용된 윈치를 갖으며 상기 고정부A에 조립된 구성품들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A와 대향되며 반대편의 상기 고정브라케트에 고정되는 고정부B;
    상기 고정부A 또는 상기 고정부B의 상대물로서 상기 고정부A 또는 상기 고정부B와의 걸림 및 선택적인 통전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승강케이블의 자유단 끝부분이 걸림된 상태로 상기 신호등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윈치의 작동에 의해 신호등과 함께 승하강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걸림 및 걸림해제를 수행하는 상기 고정부A 또는 상기 고정부B 내의 구성품에 일단이 연결되고 반대측 일단은 작업자의 조작을 위해 상기 고정부A 또는 상기 고정부B 밖으로 배치된 제어케이블;
    일정거리 떨어져 대향 설치되어있는 상기 고정부A와 상기 고정부B 내의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좌우측의 개별 윈치들을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좌측과 우측의 상기 윈치들에 각기 연결 또는 기어 물림되어 회전하는 좌우연결봉;
    지주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승하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윈치가 아닌 상기 고정부B에 추가적으로 적용된 별도의 윈치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되며 자유단 일단은 상기 지주측으로 배치된 제2승강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2. 신호등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에 일단이 걸림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승강케이블;
    상기 제1승강케이블을 권취하는 윈치가 조립되어 있으며 신호등을 고정하고 있는 구성품과의 선택적인 결합분리, 승하강 및 통전을 수행하는 구성품들이 구비되어 있고 내장된 상기 윈치의 구동을 수행하는 별도의 구동기가 용이하게 삽탈될 수 있는 공간이 반영된 상태로 고정브라케트의 일측면에 대향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부C;
    상기 고정부C의 상대물로서 상기 고정부C와의 걸림 및 선택적인 통전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승강케이블의 자유단 끝부분이 걸림된 상태로 상기 신호등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윈치의 작동에 의해 신호등과 함께 승하강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걸림 및 걸림해제를 수행하는 상기 고정부C내의 구성품에 일단이 연결되고 반대측 일단은 작업자의 조작을 위해 상기 고정부C 밖으로 배치된 제어케이블;
    일정거리 떨어져 대향 설치되어있는 상기 한쌍의 고정부C 내의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좌우측의 개별 윈치들을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좌측과 우측의 상기 윈치들에 각기 연결 또는 기어 물림되어 회전하는 좌우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A는 내부 공간에 회전 구성품들의 조립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 회전축 및 작동 공간이 반영되어있는 고정부 외판A;
    상기 고정부 외판A에 대응하며 상기 고정부 외판A의 반대편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 내판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B는 내부 공간에 회전 구성품들의 조립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 회전축 및 작동 공간이 반영되어있는 고정부 외판B;
    지주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상기 제2승강케이블의 권취조작을 통해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감겨있는 윈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B에 추가 적용된 윈치 및 관련 구성품들을 지지하기 위한 승강윈치부가 상기 고정부 내판A에 추가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 외판A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 내판B;를 포함하여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C는 내부 공간에 회전 구성품들의 조립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 회전축 및 작동 공간이 반영되어있으며 상기 별도의 구동기가 용이하게 삽탈될 수 있는 삽탈 개방부가 일부분에 형성되어있는 고정부 외판C;
    상기 고정부 외판C에 대응하며 상기 고정부 외판C의 반대편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별도의 구동기가 용이하게 삽탈될 수 있는 삽탈 개방부가 일부분에 형성되어있는 고정부 내판C;을 포함하여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A, 상기 고정부B 및 상기 고정부C는 상기 제1승강케이블의 일단이 권취된 상태로 상기 돌출 회전축에 조립되어 지지되며 유지보수를 위해 분리된 신호등의 하중지지 및 승하강을 수행하는 제1윈치;
    상기 제1윈치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윈치의 벽면에 조립 또는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윈치의 원주면 끝단에 기어부가 형성되는 윈치기어;
    신호등의 좌우측에 일정거리 떨어져 분리 적용되어있는 상기 제1윈치들이 신호등의 승하강시 상기 좌우연결봉에 의해 상호 동기화되어 회전하도록 보스부는 상기 좌우연결봉에 고정되고 반대측 기어형성부는 상기 윈치기어에 기어물림되는 동기화 기어;
    작업자에 의한 상기 제어케이블의 직접조작 또는 전동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부의 걸림 및 걸림해제를 수행하는 결합분리기구;
    상기 승강부의 걸림 및 걸림해제에 따른 신호등으로의 자동적인 전원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상부전극 하우징;
    상기 제1윈치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제1승강케이블의 경로 유지 및 상기 제1승강케이블에 전해지는 상기 신호등의 하중을 지탱하는 케이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A, 상기 고정부B 및 상기 고정부C는 내측으로 인입된 전원선의 결선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개방 형성되는 결선 개방부;
    상기 결선 개방부 내측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인입된 전원선의 결선작업에 사용되는 단자블록;
    내측으로 인입된 상기 전원선의 결선 작업후 상기 결선 개방부를 통한 빗물 및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선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섭동 덮개판;
    상기 제1윈치의 권취조작에 따른 상기 승강부의 승강완료를 감지하는 접촉스위치;를포함하여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7.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A, 상기 고정부B 및 상기 고정부C는 신호등의 좌우측에 사전 조립된 상기 고정부A, 상기 고정부B 또는 상기 고정부C가 신호등과 함께 설치 작업자 1인에 의해 지지대에 간단히 고정완료될 수 있도록 활용되는 보조 조립구가 상기 고정부A, 상기 고정부B 및 상기 고정부C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8.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신호등의 전원선 인입구에 돌출부분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 고정되어 신호등을 지지하고 돌출부분의 중앙에는 신호등으로의 전원공급을 수행하기 위한 제2관통구가 형성되어있는 신호등 고정구;
    상기 결합분리기구에 상기 승강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일정 부분 돌출 형성되어있으며 돌출 형성부의 상단 끝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있는 걸림블록;
    상기 상부전극 하우징의 상대물로서 상기 승강부의 걸림 및 걸림해제에 따른 신호등으로의 자동적인 전원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하부전극 하우징;
    상기 승강부를 관통해 나사 체결되어 있으며 신호등에 밀착되어 있는 돌출 나사 끝단의 길이를 조정함으로 인해 상기 승강부에 고정된 신호등의 지면과의 설치각도 조절을 수행하는 신호등 각도조절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9.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A, 상기 고정부B 및 상기 고정부C 밖으로 배치된 상기 제어케이블의 끝단에는 유지보수 작업자가 상기 결합분리기구의 작동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 조립된 제어케이블 조작볼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윈치부는 상기 고정부 내판C의 일부분이 연장 형성된 지지 구조형상 부위에 관련 구성품들이 조립 및 지지되며 상기 동기화 기어와 직결 또는 상기 좌우연결봉을 사용하여 상기 동기화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에 기어물림되어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
    상기 제2승강케이블의 신호등 측 일단을 권취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베벨기어의 보스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2윈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11.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외판A, 상기 고정부 외판B 및 상기 고정부 외판C에는 상기 고정브라케트 일단이 볼트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 고정홈;
    상기 고정브라케트의 고정 각도를 설치 작업자가 조절 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설치각도조절 돌기;
    상기 고정부A, 상기 고정부B 및 상기 고정부C 내측으로 상기 전원선이 인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제1관통구;
    상기 결합분리기구의 직접적인 걸림을 수행하는 구성품의 섭동 지지공간을 위해 형성된 걸림핀 섭동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12.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내판A, 상기 고정부 내판B 및 상기 고정부 내판C는 상기 하부전극 하우징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하부전극 연결선이 상기 승강부의 승하강 과정동안 상기 제2관통구를 경유하여 신호등 내측으로 안전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전극 연결선의 경유부분보다 넓게 제거되어 형성된 전원선 가이드홈;
    상기 동기화 기어의 보스부분이 상기 상기 고정부 내판A, 상기 고정부 내판B 및 상기 고정부 내판C 밖으로 돌출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동기화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분리기구는 상기 걸림핀 섭동홈에 지지되어 섭동되며 상기 걸림블록에 대한 선택적인 걸림을 수행하고 끝단 돌출부분의 하단에는 승강시 상기 걸림블록 상단 경사면과의 우선적인 접촉에 의해 자동적인 후퇴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경사면이 반영되어 있는 걸림핀;
    상기 고정부A, 상기 고정부B 및 상기 고정부C의 돌출 회전축에 조립되어 지지되며 회전운동을 상기 걸림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핀의 일부분이 상기 장공에 연결되어지는 걸림핀 작동판;
    상기 고정부A, 상기 고정부B 및 상기 고정부C의 돌출 회전축에 조립되어 지지되며 일단이 상기 걸림핀 작동판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핀에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걸림핀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윈치는 상기 제1승강케이블의 일단이 별도의 도구 사용 없이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윈치의 일측 벽면에 개방 형성된 케이블 제1고정홈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블록은 상기 걸림핀의 돌출부분이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핀 걸림홈;
    상기 제1승강케이블의 자유단 끝단이 상기 걸림블록에 용이하게 걸림 고정 또는 걸림 해제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블 제2고정홈;
    상기 케이블 제2고정홈에 삽입 고정된 상기 제1승강케이블의 자유단 끝단의 케이블 부분이 상기 걸림블록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승강케이블이 경유하는 부분을 일정부분 제거하여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장치.
KR1020110039908A 2011-04-28 2011-04-28 신호등 승강장치 KR20120121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08A KR20120121976A (ko) 2011-04-28 2011-04-28 신호등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08A KR20120121976A (ko) 2011-04-28 2011-04-28 신호등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976A true KR20120121976A (ko) 2012-11-07

Family

ID=4750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908A KR20120121976A (ko) 2011-04-28 2011-04-28 신호등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197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239B1 (ko) * 2014-05-12 2015-06-11 주식회사 금광 신호등 이송장치 및 진로 표시기 이송장치
CN108458324A (zh) * 2018-05-28 2018-08-28 横店集团得邦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驱动电源高度可调节的线型工矿灯及其实现方法
CN111091726A (zh) * 2019-12-31 2020-05-01 苏州有单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交通信号指示灯
CN114141036A (zh) * 2021-11-26 2022-03-04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城市轨道交通通信信号发射器
CN116716785A (zh) * 2023-06-07 2023-09-08 江苏恒诺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园林施工用放线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239B1 (ko) * 2014-05-12 2015-06-11 주식회사 금광 신호등 이송장치 및 진로 표시기 이송장치
CN108458324A (zh) * 2018-05-28 2018-08-28 横店集团得邦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驱动电源高度可调节的线型工矿灯及其实现方法
CN108458324B (zh) * 2018-05-28 2024-04-02 横店集团得邦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驱动电源高度可调节的线型工矿灯及其实现方法
CN111091726A (zh) * 2019-12-31 2020-05-01 苏州有单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交通信号指示灯
CN114141036A (zh) * 2021-11-26 2022-03-04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城市轨道交通通信信号发射器
CN116716785A (zh) * 2023-06-07 2023-09-08 江苏恒诺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园林施工用放线装置
CN116716785B (zh) * 2023-06-07 2024-01-23 江苏恒诺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园林施工用放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644B1 (ko) 전등기구 분리 및 아암의 회동 가능한 안전 가로등
KR20120121976A (ko) 신호등 승강장치
KR20100027279A (ko)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CN110552544B (zh) 钢丝索制动装置以及包含上述钢丝索制动装置的竖杆升降系统
CA2884213C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device along a tower
KR101934361B1 (ko) 가로등
KR101117877B1 (ko)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CN111295356B (zh) 用于高位安装设备的升降装置
CN106524015A (zh) 一种带有自动升降系统的路灯装置
KR1010701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 타워
KR101578531B1 (ko) 조명타워의 리프트 장치
RU2764959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устанавливаемая на подня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0965203B1 (ko) 전등기구 분리 및 아암대의 회동 가능한 안전 가로등
KR101754361B1 (ko) 브레이크 검사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CN220793032U (zh) 一种灯杆及高架灯
CN116145516A (zh) 一种水利工程伸缩缝监测方法
CN111271692B (zh) 一种用于灯具安装的升降支架装置
KR102579322B1 (ko) 스마트 승강안전 조명탑
CN211628417U (zh) 一种交通用自行车道红灯停车led提示牌
CN219976314U (zh) 一种隧道诱导灯一体化自动升降装置及控制系统
KR102193746B1 (ko) 플랜트용 컨베이어 벨트 및 이송 설비에 관한 안전표시장치
KR200349092Y1 (ko) 착탈승강식 전등함을 가진 가로등
KR100978649B1 (ko) 안전 방범등
KR102155830B1 (ko) 정보통신 기능을 가지는 가로등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