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877B1 -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877B1
KR101117877B1 KR1020090037247A KR20090037247A KR101117877B1 KR 101117877 B1 KR101117877 B1 KR 101117877B1 KR 1020090037247 A KR1020090037247 A KR 1020090037247A KR 20090037247 A KR20090037247 A KR 20090037247A KR 101117877 B1 KR101117877 B1 KR 101117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ffic light
plate
liftin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412A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임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섭 filed Critical 임유섭
Priority to KR102009003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87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08G1/0955Traffic lights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등의 정비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부득이하게 차로를 점유하며 교통 흐름에 장시간 정체원인을 제공하는 기존의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한 신호등의 정비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로가 아닌 신호등이 설치 고정된 지주 쪽으로 신호등을 승강 견인시켜 차량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지상에서 작업자 일인이 간단히 신호등의 정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지주의 상단부분에 고정된 수평지지대와 신호등 사이에 신호등 승강모듈을 부가 설치하여 신호등의 상하방향 승강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과 지주 사이에 신호등 견인모듈을 선택적으로 추가 설치하여 승강 진행중인 신호등의 하강 위치를 지주측으로 간편하게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 사용중인 신호등 및 지주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상기의 신호등 승강모듈 및 신호등 견인모듈은 단일 지주에 설치된 신호등의 수량 및 설치 방향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도록 고려되었으며 동력 발생원이 개별 지주에 설치되지 않는 방식을 적용함으로 인해 설치비의 감소 및 유지보수성이 뛰어난 장점도 갖도록 하였다.
신호등, 승강, 견인, 유지보수

Description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Lifting and Dragging Apparatus for Traffic Sign Lamp}
본 발명은 차로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된 신호등의 정비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신호등의 점검 및 정비를 수행하는 기존의 방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로가 아닌 신호등이 설치 고정된 지주 쪽으로 신호등을 하강 및 견인시켜 차량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작업자 일인이 간단히 신호등의 정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존의 신호등에 승강 및 견인 기능을 부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나 교차로에 주로 설치되는 신호등은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와, 지주 상단부분에 고정되는 수평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철선과, 수평지지대의 바깥 원주면을 감싸며 조임 결함되는 “U”자형 클램프에 의해 수평지지대 하단부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의 방식으로 고정 설치 운용되는 신호등의 점검 및 정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일정 영역의 차로를 점유하는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신호등에 접근하여 수평지지대로부터 신호등을 탈거하거나 또는 직접 현장정 비를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한 신호등의 정비방식은 교통흐름을 저해하는 교통통제가 필연적으로 수반되어 교통체증으로 인한 막대한 사회적비용 지출, 다수의 작업인원 요구 및 전용 고소작업차량 및 운영 가능자를 항시 운용해야하는 비용 문제 이외에도 작업자의 감전 및 추락과 같은 치명적인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상존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호등 수평지지대의 접철식 적용, 신호등 지주의 접철식 적용 및 신호등 지주의 회전방식 등과 같은 개선책들이 제시되었으나 접철식과 회전식 모두 기존의 설치물들을 제거하고 신규 방식이 적용된 지주 및 수평지지대로의 교체가 필연적으로 수반되어 비용 및 설치시간 면에서 심각한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한 개소의 신호등을 정비하기 위해서 모든 신호등들이 일시에 운전자의 시야로부터 사라진다는 교통 통제상의 치명적인 문제점을 발생시킨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유사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옥외 등기구들의 정비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시한 2008년 09월 02일자로 출원된 특허( 출원번호 10-2008-0086128 )를 일부 응용하여 작업자 일인이 지상에서 신호등의 정비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기존 운용중인 신호등, 지주 및 수평지지대를 재활용하며, 둘째,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하지 않고도 작업자 일인이 지상에서 교통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신속히 신호등의 정비작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고, 셋째, 단일 지주에 복수개의 신호등이 일렬 설치되어 운용중인 상황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도록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신호등을 지지하는 원형튜브 형상의 수평지지대와, 한 개 이상의 신호등이 수평지지대에 결합되어 운영되는 신호등의 유지보수장치로서, 상기 신호등들의 양 측면 및 해당 신호등들이 위치하는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등의 상하방향 승강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한 개 이상의 신호등 승강모듈들과,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승강케이블 및 제어케이블과,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들의 제어정보를 전달하는 제어콘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신호등을 지지하는 원형튜브 형상의 수평지지대와, 한 개 이상의 신호등이 수평지지대에 결합되어 운영되는 신호등의 유지보수장치로서, 상기 신호등들의 양 측면 및 해당 신호등들이 위치하는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등의 상하방향 승강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한 개 이상의 신호등 승강모듈들과,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들 중 차로측 끝단 신호등 승강모듈의 일측과 상기 지주의 상단 부분에 걸쳐 설치되어 신호등의 견인경로 형성을 이루는 구성품과 개별 신호등들의 선택적인 견인을 수행하기 위해 개별 신호등들에 견인기능 관련 구성품들이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신호등 견인모듈과,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승강케이블 및 제어케이블과, 상기 신호등 견인모듈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견인케이블과,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 및 신호등 견인모듈에서 상기 점검구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 및 신호등 견인모듈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들의 제어정보를 전달하는 제어콘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구형 신호등 또는 LED형 신호등에 상관없이 기존 사용중인 신호등, 지주 및 수평지지대를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인해 초기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하지 않고도 지상에서 작업자 일인이 차도가 아닌 지주 쪽에서 신호등의 정비작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해 교통체증의 발생 없이 신호등의 정비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어 교통체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정비작업 수행인원의 감소 및 고소작업차량의 비사용으로 인해 신호등 유지관리 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다.
셋째, 개별 지주의 점검구에 승강 및 견인을 위한 동력발생원이 설치되지 않고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만 이들 구성품들이 구비된 착탈식작동기를 점검구에 부착하고 유지보수 작업이 마무리되면 탈거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단일 지주에 복수개의 신호등이 수평지지대에 일렬 설치되어 운용중인 상황에서도 신호등의 위치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여 실제 교통현장에 적합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상기의 신호등 승강모듈(100) 및 신호등 견인모듈(200)이 모두 적용된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의 일 실시예이고, 도 2는 상기 개별 신호등(60)의 승강과정 초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로트 개방구(31)에 다수의 작동로프들 및 전원공급선이 설치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걸림판 걸림쇠(121)의 작동관련 부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상기 걸림판 걸림쇠(121)에 걸림 해제되어 승강중인 신호등 승강판(150)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상기 걸림판 걸림쇠(121)의 작동관련 부위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상기 승강전극판(160) 및 하부전극(161)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상기 방수덮개(190)의 작동방식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9는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판(130)의 하단에 형성된 승강전극판 삽입홈(128)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점검구(21)가 형성된 지주(20)와,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일측면이 결합되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수평지지대(30)와, 상기 수평지지대(30) 및 지주(20)에 형성된 보강철선 원형고리(33)들을 연결하여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강철선(32)들과, 상기 수평지지대(30)에 결합된 한 개 이상의 신호등(60)으로 이루어진 신호등 체계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는 대별(大別)하여 볼 때, 개별 신호등(60)의 좌우 측면에 한 쌍이 설치되어 상하 승강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등 승강모듈(100)과, 차로측 최외각 신호등 승강모듈(100) 및 지주(20)에 걸쳐 주요 부분이 설치되고 일부 구성품들은 상기의 개별 신호등 승강모듈(100)들에 부가 설치되어 상기 신호등(60)의 지주측 수평이동을 수행하는 신호등 견인모듈(200)과,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 및 신호등 견인모듈(200)에서 상기 점검구(21)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작동로프들과,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 및 신호등 견인모듈(200)에서 상기 점검구(21)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 및 신호등 견인모듈(200)에 구비된 후술할 리미트스위치들의 제어정보를 전달하는 제어콘넥터(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신호등 승강모듈(100)은 수평지지대(30)에 고정되어 상기 신호등(60)의 선택적인 결합 및 분리를 수행하고 승강 과정 동안 승강케이블(300)을 지지하는 부분과 상기 신호등(60)의 좌우 측면에 고정되어 승강중인 신호등(60)과 함께 움직이는 부분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다.
상기의 신호등 승강모듈(100)중에서 상기 수평지지대(30)에 고정되어 상기 신호등(60)의 선택적인 결합 및 분리를 수행하고 승강 과정 동안 승강케이블(300)을 지지하는 부분에는 신호등 고정판(110), 신호등 고정판 덮개(110a), 신호등 걸림판(120), 걸림판 걸림쇠(121), 걸림쇠 스프링(123), 걸림쇠 조절핀(124), 걸림쇠 연결고리(125), 제어케이블 연결구(126),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판(130), 신호등 걸림 상부 전극판(130a),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131), 한 개 이상의 승강케이블 롤러(170), 한 개 이상의 승강케이블 롤러 회전축(171), 한 개 이상의 승강케이블 이탈방지대(172), 한 개 이상의 제어케이블 롤러(173), 한 개 이상의 제어케이블 롤러 회전축(174), 한 개 이상의 제어케이블 이탈방지대(175), 착탈검출 리미트스위치(176), 케이블 보호튜브(350), 케이블 보호튜브 고정구(351)가 있다.
상기 신호등 고정판(110)은 상기 신호등(60)이 설치되는 영역의 좌우 양쪽에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원주면을 상기 신호등 고정판 덮개(110-a)와 한 조를 이루어 압박하며 상호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신호등(60)의 선택 적인 결합 분리를 수행하 는 구성품들 및 상기 승강케이블(300) 및 제어케이블(310)을 지지하는 구성품들이 조립된다.
상기 신호등(60)의 승강 과정 중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한 쌍의 신호등 걸림판(120)은 상기 신호등 고정판(110)의 일 측면에 각기 고정된다.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중앙 하단 영역에는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어 후술할 승강전극판(16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승강전극판 삽입홈(128)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승강전극판 삽입홈부(179)의 내측 상부면에는 상기 하부전극(161)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상기의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131)이 구비된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판(130)이 조립된다.
상기 승강전극판 삽입홈(128)의 바깥측 상부면에는 전원공급선(50)과 전기적 결합을 이루는 상기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131)의 일단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신호등 걸림 상부전극판(130a)이 조립된다.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중앙 상단 영역에는 후술할 걸림쇠 관통구(151)와 선택적인 걸림 작용을 수행하는 한 개 이상의 걸림판 걸림쇠(121)가 섭동될 수 있도록 걸림쇠 섭동구(122)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걸림판 걸림쇠(121)의 바깥측 끝단에는 상기 신호등(60)의 승강 과정 중 후술할 신호등 승강판(150)의 돌출부 상부 끝단면이 자연스럽게 상기 걸림판 걸림쇠(121)를 후퇴시키며 상승될 수 있도록 하부면이 경사지게 제거된 경사면이 형성 되어있다.
상기 걸림쇠 섭동구(122)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판 걸림쇠(121)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조립되어져 반발력을 작용시키는 걸림쇠 스프링(123)이 적용된다.
상기 걸림판 걸림쇠(121)의 일측면에는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일측 바깥면으로 일정 부분이 돌출되어있는 걸림쇠 조절핀(124)이 결합되어있다.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쇠 조절핀(124)이 바깥 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 형성된 걸림쇠 조절핀 개방구(124a)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걸림쇠 조절핀 개방구(124a) 밖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쇠 조절핀(124)들의 일단에는 상기 제어케이블(310)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제어케이블(310)의 당김력을 상기 걸림판 걸림쇠(121)들의 수평 섭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 개 이상의 걸림쇠 연결고리(125)가 조립된다.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상부면 중앙 일 측면에는 상기 제어케이블 연결구(126)의 일직선 이동 경로를 유지시켜주도록 걸림쇠 연결고리 가이드(127)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한 개 이상의 걸림쇠 연결고리(125)의 반대측 일단에는 상기 걸림쇠 연결고리 가이드(127)에 섭동가능한 상태로 일측이 삽입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제어케이블(310)의 끝단이 고정되는 제어케이블 연결구(126)가 조립된다.
상기 신호등 고정판(110)의 상부면 하단 내측 전방 부분에는 상기 승강케이블 롤러(170)를 지지하는 한 개 이상의 승강케이블 롤러 회전축(171)이 양 쪽 측벽에 양 끝단이 지지되어 고정된다.
상기 승강케이블 롤러(170)는 상기 승강케이블 롤러 회전축(171)에 외삽되어 회전하며 상기 승강케이블(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케이블 이탈방지대(172)가 함께 적용된다.
상기 신호등 고정판(110)의 상부면 하단 내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제어케이블 롤러(173)를 지지하는 한 개 이상의 상기 제어케이블 롤러 회전축(174)이 양 쪽 측벽에 양 끝단이 지지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어케이블 롤러(173)는 상기 제어케이블 롤러 회전축(174)에 외삽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어케이블(3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케이블 이탈방지대(175)가 함께 적용된다.
상기 신호등 고정판(110) 또는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에는 상기 신호등(60)의 승강 완료를 검출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착탈검출 리미트스위치(176)가 적용되어지고 승강 완료시 상기 신호등(60)과 함께 승강이 수행되는 전술한 상기의 구성품들 중 어느 한 개소와 대응하여 검출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에 설치되어 상기의 신호등 승강판(150)의 상부면과 대응하여 검출을 실행하는 예로 도시되어있다.
상기의 신호등 승강모듈(100)중에서 상기 신호등(60)의 좌우 측면에 고정되어 승강중인 신호등(60)과 함께 움직이는 부분에는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 신호등 승강판(150), 승강전극판(160), 하부전극(161), 하부전극 스프링(162), 방수덮개(190), 승강케이블 상단 고정판(180), 승강케이블 하단 고정판(181)이 있다.
상기 신호등(60)의 좌우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상기 한 쌍의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들에는 일 측면에 상기의 신호등 승강판(150)이 고정되고 상기 신호등(60)을 지지하는 상기 승강케이블(300)의 일단이 고정되는 승강케이블 상단 고정판(180)과 승강케이블 하단 고정판(181)이 결합된다.
상기 승강케이블 상단 고정판(180)은 승강 과정 중 상기 신호등(60)의 회전방지를 위하여 상기 승강케이블 하단 고정판(181)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고정된다.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에는 상기의 신호등 걸림판(120)의 일부분을 외측에서 감쌀 수 있는 돌출면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의 돌출면에는 상기의 걸림판 걸림쇠(121)와 걸림이 발생할 수 있도록 승강판 관통구(151)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승강판 관통구(151)의 하단에는 상기의 신호등(60)에 전원을 공급하기위한 한 개 이상의 하부전극(161)들이 구비되어있는 절연재질의 승강전극판(160)이 고정되어 있으며 승강 완료 단계에서 상기 승강전극판 삽입홈(128)에 삽입이 진행되는 과정 중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은 상기의 승강전극판 삽입홈(128)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승강전극판(160) 상부 면에는 스프링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지지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하부전극 스프링 좌면(1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전극(161)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전극 스프링 좌면(163) 사이에 전기적 밀착성을 향상 시키고 진동에 의한 접촉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전극 스프 링(162)이 적용된다.
상기 승강전극판(160)의 일 측면에는 우천시 상기 신호등(60)의 승강조작에 따른 빗물이 상기의 하부전극(161)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덮개(190)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수덮개(190)의 구성품을 이루는 수평 방수덮개(191)는 상기 하부전극(161)의 상단 부분과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의 좌우 돌출면 사이의 상부 개방된 부위에 위치하여 빗물이 상기 하부전극(161) 및 하부전극 스프링(162)에 낙수 되지 않고 상기 승강전극판(160)의 외곽으로 배출 되는 구조를 갖으며 일 측면에는 후술할 수직 방수덮개(192)와 결합 및 회동될 수 있는 힌지부가 형성되어있다.
수직 방수덮개(192)는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의 좌우 돌출면 사이의 개방된 수직 측면 부위와 상기 승강전극판(160)의 일측 수직면 사이에 위치하여 빗물의 수직 측면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수평 방수덮개(191)의 힌지부와 조립 체결될 수 있는 힌지부가 상부 끝단면에 형성되어 있어 방수덮개 회전축(193)을 이용해 회동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수직 방수덮개(192)의 하단 일 측면에는 승강과정 중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하단 끝부분에 접촉 저지되어 상기 수직 방수덮개(192)를 하방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방수덮개 걸림턱(194)이 형성된다.
상기 방수덮개 걸림턱(194)이 형성된 반대편에는 상기 수직 방수덮개(192)가 상기 승강전극판(160)의 수직 측면에 지지되고 상하 섭동될 수 있도록 방수덮개 가이드(195)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전극판(160)의 수직 측면에도 이에 대응하여 방수덮 개 가이드홈(164)이 상기 승강전극판(160)의 상부면 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영역 형성된다.
상기 승강케이블(300)은 상기 승강케이블 상단 고정판(180) 및 승강케이블 하단 고정판(181)에 일단이 고정 및 지지되고 상기의 승강케이블 롤러(170)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원주면에 형성되어있는 슬로트 개방구(31)를 통과한 후 상기 수평지지대(30) 및 지주(20)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점검구(21)의 하단에 일단이 배치된다.
상기 제어케이블(310)은 상기 제어케이블 연결구(126)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의 제어케이블 롤러(173)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원주면에 형성되어있는 슬로트 개방구(31)를 통과한 후 상기 수평지지대(30) 및 지주(20)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점검구(21)의 하단에 일단이 배치된다.
상기 제어콘넥터(330)는 일단이 한 개 이상의 상기 착탈검출 리미트스위치(176)에 전기적 접속되어있고 타단은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원주면에 형성되어있는 슬로트 개방구(31)를 통과한 후 상기 수평지지대(30) 및 지주(20)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점검구(21)의 하단에 배치된다.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원주면에 형성되어있는 슬로트 개방구(31)를 통과한 후 상기 수평지지대(30) 및 지주(20)의 내부를 경유하는 상기의 승강케이블(300), 제어케이블(310) 및 제어콘넥터(330)들은 설치 경로 경로확보, 모서리들과의 간섭제거 및 상기 전원공급선(50)의 피복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의 케이블 보호튜 브(350)의 내측에 수용된다.
상기 케이블 보호튜브(350)의 상기 슬로트 개방구(31) 바깥쪽 일단은 상기의 수평지지대(30)의 원주면을 압박하며 고정되어있는 상기 케이블 보호튜브 고정구(351)에 의해 고정되어 케이블들의 작동과정 중 이탈이 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수평지지대와 지주 내부의 상기 케이블 보호튜브(350) 끝단 부위에도 적절한 고정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점검구(21)의 하단에 일단이 배치된 상기의 승강케이블(300), 제어케이블(310) 및 제어콘넥터(330)들에는 각각의 기능이 명확하게 구분 인식될 수 있도록 식별표식(340)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등 견인모듈(200)은 상하 승강 진행 중인 상기 신호등(60)의 지주측 수평이동을 수행하며 차로측 최외각 신호등 승강모듈(100) 및 지주(20)에 걸쳐 주요 부분이 설치되고 일부 구성품들은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들에 개별적으로 부가 설치된다.
도 10은 신호등 견인모듈(200)이 적용되어 개별 신호등(60)의 지주측 견인이 수행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일측 방향으로만 신호등(60)들이 설치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견인직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일측 방향으로만 신호등(60)들이 설치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견인과정 중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이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와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견인케이블 방향 전환구(210)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a/b는 견인케이블 수 평이동구(220)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a/b/c는 견인케이블 지주측 고정체(230)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승강케이블 가이드(240)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a/b/c는 신호등(60)들이 전후 대향 설치된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신호등(60)들이 전후 대향 설치된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견인진행 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신호등(60)들이 전후 대향 설치된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견인진행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면 차로측 최외각 신호등 승강모듈(100) 및 지주(20)에 걸쳐 설치되는 상기 신호등 견인모듈(200)의 구성품은 기능별로 대별(大別)하여 볼 때, 견인케이블 방향전환구(210),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 견인케이블 지주측 고정체(230), 차로측 견인 리미트스위치(260), 지주측 견인 리미트스위치(261) 및 견인케이블(320)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에 개별적으로 부가 설치되는 상기 신호등 견인모듈(200)의 구성품은 기능별로 대별(大別)하여 볼 때, 승강케이블 가이드(240) 및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구(210)는 견인케이블 방향전환 브라케트(212)에 의해 차로측 최외각에 설치된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상기 신호등 고정판(110) 측면 바깥에 고정되어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방향전환 및 지지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방향전환은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 브라케트(212)에 양 쪽 끝단이 고정된 롤러 회전축에 외삽되어 회전하는 한 개 이상의 견인케이블 방향 전환 롤러(211)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 롤러(211)에 지지되고 방향 전환되는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견인케이블 이탈방지 덮개(213)가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 롤러(211)를 감싸며 롤러 회전축에 외삽되어 고정된다.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구(210)에 지지되고 있는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일단들이 차로측 최외각에 설치된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상기 신호등 고정판(110)을 간섭 없이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는 상기 신호등 고정판(110)의 해당 부분에 신호등 고정판 관통구(214)가 형성된다.
상기 신호등 고정판 관통구(214)를 통과한 두 가닥의 상기 견인케이블(320) 중에서 상기 수평지지대(30)와 일정 거리 떨어져 수평하게 현수되어있는 상단 케이블 또는 하단 케이블 중 어느 한쪽 케이블의 일정 부분을 견인케이블 압착판(222)이 감싸며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판(221)에 체결 고정되고 그 결과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는 상기 견인케이블(320)과 함께 연동되어 움직이게 된다.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판(221)의 일 측면 끝단에는 한 개 이상의 섭동핀들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는 수직 돌출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판에는 후술할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의 견인섭동핀 관통구(255)에 삽입되는 견인섭동핀(223)이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판(22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신호등 고정판 관통구(214)를 통과하고 상기 수평지지대(30)와 일정 거리 떨어져 수평하게 현수되어있는 두 가닥의 상기 견인케이블(320) 중에서 상기 견인케 이블 압착판(222)에 압착되지 않은 나머지 케이블 쪽은 롤러 회전축 및 수평이동롤러 고정덮개(225)에 의해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판(221)에 고정된 한 개 이상의 상기 수평이동롤러(224)에 의해 감싸여진다.
상기 견인케이블 지주측 고정체(230)는 견인케이블 지주 고정브라케트(231, 231a)에 의해 상기 지주(20)의 상단 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신호등 고정판 관통구(214)를 통과하여 상기 수평지지대(30)와 평행을 유지하며 상기 지주(20)의 상단 부분으로 현수되는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방향전환 및 지지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견인케이블 지주 고정브라케트(231)의 내측에는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방향전환 및 지지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의 견인케이블 지지롤러(232)가 적용되며 지지롤러 고정브라케트(233)에 의해 상기 견인케이블 지주 고정브라케트(231)의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롤러 고정브라케트(233)의 내측 상단 에는 상기 견인케이블 지지롤러(232)에 지지되고 있는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롤러 상부커버(234)가 적용된다.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일단이 상기 견인케이블 지주 고정브라케트(231)의 내측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케이블 지주 고정브라케트(231)의 차로측 수직면에는 지주측 고정체 관통구(235)가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동선에 맞추어 형성된다.
상기 견인케이블 지지롤러(232)에 지지되고 있는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일단들은 차로측 끝단 부분은 경사지며 확관 되어 있고 상기 지주(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끝부분은 지면 하방으로 굴곡되어진 형상을 이루는 견인케이블 방향유도관(236)을 경 유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점검구(110)로 향하게 한다.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유도관(236)은 방향유도관 고정브라케트(237)에 의해 지지롤러 고정브라케트(233)의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유도관(236)의 일단이 상기 지주(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20)의 상단 부분에는 방향유도관 지주 관통구(238)가 형성된다.
상기 점검구(110)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일단에도 다른 케이블들과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식별표식(340)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도면에 별도 표시 생략)
승강 진행 중인 상기 신호등(60)의 상기 지주측 평행이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상기 신호등 견인모듈(200)의 구성품들 이외에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는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들에 개별적으로 반드시 적용 되어야 하며 상기의 승강케이블 가이드(240)는 승강 및 견인 과정 중 상기 승강케이블(300)의 왜곡 현상 및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 하단 모서리와의 간섭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들에 개별적으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승강케이블 가이드(240)는 승강가이드 상부브라케트(241)와 승강가이드 하부브라케트(242)에 의해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승강가이드 상부브라케트(241)와 승강가이드 하부브라케트(242)에 양 끝단이 지지되는 한 개 이상의 승강케이블 가이드 섭동축(245)이 상기 신호등(60)의 상하 승강 방향과 동일하게 고정된다.
상기 승강케이블 가이드 섭동축(245)에는 상기 신호등(60)의 상하 승강에 연동되어 섭동될 수 있도록 승강케이블 가이드 섭동구(243)가 외삽되어 조립된다.
상기 승강케이블 가이드 섭동구(243)의 “ㄷ"자형 내측 빈 공간에는 상기 승강케이블(300)이 상기의 승강케이블 가이드(240)로 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 개 이상의 승강케이블 가이드롤러(244)가 “ㄷ"자형 빈 공간을 감싸며 조립된다.
상기 신호등(60)의 상기 지주(20)측 평행이동을 위하여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들에 개별적으로 반드시 적용 되는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는 견인판(251), 상기 견인판(251)의 보강이 필요한 경우 견인판 보강재(251a), 견인판롤러(252), 견인판롤러 하우징(253), 견인수직판(254), 견인걸림턱(256), 견인걸림턱 섭동축(257)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견인판(251)은 상기 신호등(60)의 상부면에 걸쳐 무부하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들의 구성품들이 조립되는 몸체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등(60)의 좌우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상기 승강케이블(300)들이 동시에 상기 지주측으로 견인 되도록 연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견인판(251)의 좌우 양 끝단에는 각기 한 개 이상의 견인판롤러(252)가 조립되는 견인판롤러 하우징(253)이 고정되며 상기 견인판롤러 하우징(253)은 상기 상기 견인판(251)과 일체형으로 형성 될 수도 있다.
상기 견인판롤러 하우징(253)에는 승강 및 견인 진행 중인 상기 신호등(60)의 상기 승강케이블(300)이 상기 견인판롤러 하우징(25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견 인판롤러(252)가 “ㄷ"자형 빈 공간이 형성된 개방 부분을 감싸며 고정된다.
상기 견인수직판(254)은 상기 견인판(251)의 중앙 수직 측면에 고정 설치 되거나 또는 상기 견인판(251)과 일체형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견인수직판(254)의 일 측에는 상기 견인케이블(320)에 연동되어 수평이동을 수행하는 상기 견인섭동핀(223)이 삽입 및 걸림 될 수 있도록 돌출면과 견인섭동핀 관통구(2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견인섭동핀 관통구(255)가 형성된 돌출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상기 견인수직판(254)의 일측 상단에는 견인걸림턱 섭동축 지지부(258)가 한 개소 이상 돌출 형성되어있다.
상기 견인걸림턱 섭동축 지지부(258)의 끝단을 상하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영역에는 견인걸림턱 섭동축(257)이 상하 섭동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상기 견인걸림턱 섭동축(257)에는 상기 신호등(60)의 승강 과정 중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구(210) 및 견인케이블 지주측 고정체(230)에 양 끝단이 지지되어 상기 수평지지대(30)의 하단 영역에 지면과 평행하게 현수되어 있는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상단 케이블에 걸림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가 상기 신호등(60)의 상부면으로 부터 분리되어 지상 일정 높이에 현수되어지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견인걸림턱(256)이 외삽되어 섭동된다.
상기 신호등(60)의 차로측 견인 완료를 의미하는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판(221)의 상기 신호등 고정판(110) 내측으로의 주차를 검출할 수 있도록 차로측 견인 리미트스위치(260)가 차로측 최외곽에 설치된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신호등 고정판(110) 또는 견인케이블 방향전환 브라케트(212)에 설치된다.
상기 신호등(60)의 지주측 견인 완료를 의미하는 상기 견인판(251)과 상기 견인케이블 지주 고정브라케트(231)의 접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케이블 지주 고정브라케트(231)에 지주측 견인 리미트스위치(261)가 설치된다.
상기 지주(20) 하단의 점검구(21)에 일단이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작동로프들은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에서 슬로트 개방구(31)를 통과한 후 상기 수평지지대(30) 및 지주(20)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점검구(21)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승강케이블(300) 및 제어케이블(310)과, 상기 신호등 견인모듈(200)에서 케이블의 중간 부분이 차로 최외각에 설치된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내측에 지지되어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외측 하단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상기 지주(20) 상단부분의 방향유도관 지주 관통구(238)를 양 끝단이 통과한 후 상기 지주(20)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점검구(21)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견인케이블(320)로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의 설치 및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는 고소에 위치한 신호등(60)을 승강 및 견인시켜 지상에서 신호등(60)의 교체, 수리, 세척 등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호등 전용 지주 및 신호등과 가로등의 통합지주, 건물 외벽, 교량하부 등 고소위치에 신호등이 구비되는 모든 곳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가 특히 신호등 전용 지주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그 설치 및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가 신호등 전용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설치예시도로서, 설치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설치가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신호등 걸림판(120)이 고정 결합된 신호등 고정판(110)을 신호등 고정판 상부덮개(160a)를 이용하여 수평지지대(30)의 원주면을 감싸며 신호등(60)이 설치될 위치의 수평지지대(30) 좌우 양측에 고정시킨다.
도 3은 슬로트 개방구(31)에 다수의 작동로프들 및 전원공급선이 설치됨을 보여주는 부분단면 사시도로서, 상기 신호등(60)의 승강을 수행하는 승강케이블(300), 제어케이블(310)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튜브(350)를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슬로트 개방구(31)쪽으로 삽입시켜 끝단 부분이 지주 내측으로 도달되도록 배치시킨 후 케이블 보호튜브 고정구(351)를 이용해 상기 슬로트 개방구(31) 인접 부위에 고정시킨다.
상기 상기 신호등(60)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수평지지대(30)의 슬로트 개방구(31)을 경유하여 밖으로 인출된 전원공급선(50)의 끝단 단자부분을 상기의 신호등 걸림판(120)에 조립된 신호등 걸림 상부전극판(130a) 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에 조립된 걸림판 걸림쇠(121)의 작동을 수행하는 상기 제어케이블(310)의 끝단은 제어케이블 연결구(126)에 고정 시킨 후 제어케이블 롤러(173)을 경유하여 상기 케이블 보호튜브(350)에 수용시켜 일단의 끝이 점검구(21)의 내측에 이르도록 배치시킨다.
그리고 신호등 승강판(150)이 고정 결합된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을 상기 신호등(60)의 좌우 양 측면에 각기 고정 결합시킨 후 좌 우 양측의 상기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에 승강케이블(300)의 일단을 승강케이블 하단 고정판(181) 및 승강케이블 상단 고정판(180)을 이용하여 고정 연결시킨다.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에 일단이 고정 연결된 상기 승강케이블(300)의 반대측 일단은 승강케이블 롤러(192)를 경유하여 상기 케이블 보호튜브(350)에 수용시켜 일단의 끝이 점검구(21)의 내측에 이르도록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신호등(60)의 전원입력을 위하여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에 조립된 하부전극(161)에 신호등과 연결된 전원 입력선의 단자를 연결시킨 후,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이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에 걸림이 되도록 하여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개별적인 설치를 완료시키고 수평지지대(30)에 적용된 다른 신호등(60)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를 수행한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이 설치된 후에는 상기 신호등(60)의 지주측 견인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등 견인모듈(200)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설치 과정은 다음과 같다.
견인 기능을 수행하는 견인케이블(320)이 수평지지대(30)의 하단에 평행하게 현수 될 수 있도록 차로측 최외각에 설치된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신호등 고정판(110)에 견인케이블 방향전환구(210)를 고정 결합시킨다.
그리고 지주 상단 부분에 방향유도관 지주 관통구(238)를 형성한 후 해당 관통구에 견인케이블 방향유도관(236)의 끝단 부분을 삽입시키고 견인케이블 지주 고정브라케트(231, 231a)를 상호 체결 고정시켜 견인케이블 지주측 고정체(230)를 지주 상단에 고정시킨다.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구(210)에 조립된 견인케이블 방향전환 롤러(211)에 의해 방향전환된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양 끝단 부분은 상기 견인케이블 지주측 고정체(230)에 조립된 견인케이블 지지롤러(232) 및 견인케이블 방향유도관(236)을 경유하여 점검구(21) 부근에 무부하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수평지지대(30) 하단에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현수가 완료되면 견인케이블(320)을 감싸고 있는 견인케이블 압착판(222)을 견인케이블 수평이동판(221)에 압박 고정시켜 견인섭동핀(223)이 구비된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가 견인케이블(320)과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결합시킨다.
그리고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는 좌우 양 끝단의 견인판롤러(252)가 상기 승강케이블(300)을 감싸도록 조립되어진 후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이 적용된 상기 신호등(60)들의 상부면에 각각 걸쳐 놓는다.
그리고 견인과정 중 상기 승강케이블(300)과 상기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의 간섭제거 및 승강케이블(300)의 정상 궤적 유지를 위하여 승강케이블 가이드롤러(244)가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의 좌우 끝단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케 이블(300)을 감싸며 조립되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신호등 고정판(110) 내부에 승강케이블 가이드(240)를 설치하여 상기 신호등 견인모듈(2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케이블(300), 제어케이블(310) 및 견인케이블(320)은 지상에서 작업자가 작동을 시킬 수 있도록 지주의 하측에 형성된 점검구(21) 부근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 권취작동수단(도면 미도시)에 연결되어 권취됨으로써 당겨지거나 풀어지는 작동을 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케이블(300), 제어케이블(310) 및 견인케이블(320)의 권취작동수단으로는 점검구(21) 내부에 고정된 방식이나 착탈식 방식, 레버를 통한 수동방식이나 모터를 이용한 자동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권취작동수단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는 기존 신호등 체계를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설치를 할 수 있으며, 그 설치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부담도 적어 매우 경제적임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의 승강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사용 상태인 승강작동 전 단계에서는 신호등 승강판(150)이 신호등 걸림판(120)에 결합된 상태로서, 이때에는 걸림판 걸림쇠(121)가 걸림쇠 관통구(151)를 관통하여 신호등 승강판(150)의 측면 바깥쪽으로 전진되어 삽입된 상태이다.
또한 하부전극(161)이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131)에 접속된 상태(하부전극 스프링(162)은 압축상태임.)로서 전원공급선(50)을 통해 신호등(60)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임과 함께 신호등 걸림판(120)에 구비된 상기 착탈검출 리미트스위치(176)는 결합된 신호등 승강판(150)과 접촉되어 접점이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신호등(60)의 상부면에 배치된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는 신호등(60)의 상부면에 하단 부분이 지탱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 사용 상태에서 신호등(60)의 교체와 같은 정비작업이 필요할 경우 우선적으로 상기 제어케이블(310)을 권취 작동시켜 걸림을 해제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케이블(310)이 당겨지게 되면 상기 제어케이블 연결구(126)가 제어케이블(310)의 당겨지는 길이만큼 상승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케이블 연결구(126)가 상승되면 상기 제어케이블 연결구(12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한 개 이상의 상기 걸림쇠 연결고리(125)가 회전을 하게 되며, 그에 따라 걸림쇠 섭동구(122)에 삽입되어 있던 한 개 이상의 걸림판 걸림쇠(121)는 상기 걸림쇠 섭동구(122)를 따라 걸림쇠 스프링(123)을 압축시키면서 각각 후퇴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한 개 이상의 걸림판 걸림쇠(121)가 후퇴 이동하면서 상기 삽입되어 있던 걸림쇠 관통구(151)에서 완전히 이탈하게 되면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에 대한 결합력이 제거되므로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이 결합된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과 함께 상기 신호등(60)은 하향 이탈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케이블(300)을 풀어주게 되면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은 자중에 의해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에서 이탈되어 상기 승강케이블(300)에 지지되면서 지면을 향해 하강을 하게 되며, 하강을 시작함에 따라 상기 착탈검출 리미트스위치(176)는 접점이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의 이탈을 감지하게 되고, 또한 상기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131)은 하부전극(161)과 분리되면서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신호등(60)에 대한 전원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착탈검출 리미트스위치(176)의 이탈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케이블(310)의 당김 상태는 해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케이블(310)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걸림쇠 스프링(12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판 걸림쇠(121)가 전진 복원됨과 함께 상승되었던 제어케이블 연결구(126)도 걸림쇠 연결고리 가이드(127)를 따라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이 하강되어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승강케이블(300)의 풀림 작동을 중지시키고 신호등(60)의 교체, 세척 등 정비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여기서, 신호등(60)의 교체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에 상기 승강케이블(300)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있는 승강케이블 하단 고정판(181) 및 승강케이블 상단 고정판(180)을 이완 또는 분리시켜 상기 승강케이블(300)의 일단을 이탈 시킨 후 새롭게 장착된 신호등이 설치된 새로운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에 상기 승강케이블 하단 고정판(181) 및 승강케이블 상단 고정 판(180)을 이용해 일단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하강작동을 통해 정비를 완료한 후 신호등 승강판(150)을 상승시켜 다시 신호등 걸림판(120)에 결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강케이블(300)을 권취 작동시켜 당겨줌으로써 신호등 승강판(150)을 상승시킨다.
계속적으로 신호등 승강판(150)을 상승시키게 되면 먼저 상기 걸림쇠 관통구(151)가 형성되어 있는 신호등 승강판(150)의 좌우측 돌출면사이의 개방공간 사이로 상기 걸림쇠 섭동구(122)가 형성되어있는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좌우 측면이 감싸지며 삽입되기 시작한다.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의 상부면 모서리와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 하부면 모서리 사이의 삽입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승강 과정을 좀더 진행 시키면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의 좌우측 돌출면사이의 개방공간 사이 하단 부분에 고정되어있는 승강전극판(160)이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중앙 하단에 형성된 승강전극판 삽입홈(128)에 삽입되어지며 승강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상기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131)은 하부전극(161)과 접촉되면서 전기적인 접속이 구성되기 시작한다.
상기의 전기적 접속 과정과 거의 동시에 상기 걸림쇠 관통구(151)가 형성되어 있는 신호등 승강판(150)의 좌우측 돌출면 상부 일단이 상기 걸림판 걸림쇠(121)의 돌출부 끝단에 형성된 하단 경사면과 접촉되어 지속적으로 상승되며 그 결과 상기 걸림 쇠 관통구(151)와 걸림쇠 섭동구(122)가 일치되기 전까지는 상기 걸림판 걸림쇠(121)가 상기 걸림쇠 섭동구(122) 안쪽으로 후퇴되고 상기 걸림쇠 관통구(151)와 걸림쇠 섭동구(122)가 일치되면 걸림쇠 스프링(123)의 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쇠 관통구(151) 바깥쪽으로 전진 삽입되어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과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결합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신호등 승강판(150)이 신호등 걸림판(120)에 결합이 되면 하부전극 스프링(16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하부전극(161)이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판(130)의 저면에서 하향 노출된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131)과 접속되면서 다시 신호등(60)으로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여기서, 신호등 승강판(150)이 완전히 신호등 걸림판(1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전극(161)이 압축된 하부전극 스프링(162)의 복원력을 받으면서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131)과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하부전극(161)과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131)은 큰 밀착력을 가지게 되며, 그에 따라 신호등(60)의 유동이나 또는 계속적인 승하강 작동 후에도 용이하게 정상적인 전기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호등 승강판(150)이 신호등 걸림판(120)에 결합이 되면 착탈검출 리미트스위치(176)는 다시 접점이 온(On)상태로 전환되면서 신호등 승강판(150)의 결합완료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우천시 상기 신호등(60)의 승강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전극판(160)이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의 좌우측 돌출면사이의 개방공간 내측 하단 부분에 상부면이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중앙 하단 에 형성된 승강전극판 삽입홈(128)에 삽입되어지기 전까지의 과정동안 상기 하부전극(161)은 빗물에 전면 노출된다. 상기 신호등(6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품에 빗물의 유입은 기기의 오작동 및 감전사고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승강전극판(160)에 추가 장착 가능한 방수덮개(190)를 다음과 같이 상기 승강전극판(160)에 설치 적용시키면 자동적으로 빗물유입이 차단된다.
일측의 끝단에 힌지 구조가 형성되어있는 수평 방수덮개(191)와 수직 방수덮개(192)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시킨 후, 상기 수직 방수덮개(192)의 일측면에 형성된 방수덮개 가이드(195)를 상기 승강전극판(160)의 일측 수직벽에 형성된 방수덮개 가이드홈(164)에 섭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넣고 상기 수평 방수덮개(191)는 상기 하부전극(161)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지면과 수평하게 상기 승강전극판(160)의 상단 부분에 올려 놓는다.
지상 작업자에 의해 상기의 과정을 거쳐 상기 승강전극판(160)에 방수덮개(190)의 적용이 완료되면 승강 과정중 빗물이 상기 하부전극(161)으로 유입되지는 않으나 상기 승강전극판(160)의 상부면이 상기 승강전극판 삽입홈(128)에 삽입되어지기 직전에는 상기 하부전극(161)과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131)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수평 방수덮개(191)가 반드시 상기 하부전극(161)의 접속면 바깥 영역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상기 수평 방수덮개(191)의 이동은 상기 승강전극판(160)의 상부면이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중앙 하단에 형성된 승강전극판 삽입홈(128)에 삽입되어지기 이전 단계인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중앙 하단 모서리와 상기 수직 방수덮개(192)의 일측면에 형성된 방수덮개 걸림턱(194)이 접촉되며 시작되고 상기 승강전극판(160)의 승강이 지속됨에 따라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중앙 하단 모서리에 걸림된 상기 수직 방수덮개(192)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승강전극판(160)은 상대적으로 승강을 계속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방수덮개 가이드홈(164)에 조립되어 섭동되고는 있으나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에 의해 승강이 상대적으로 저지된 상기 수직 방수덮개(192)는 상기 수평 방수덮개(191)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 회전하며 수직으로 자세 전환됨과 동시에 수직 방수덮개(192)와 함께 하방 이동하며 접속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과의 접촉으로 인해 접속영역으로부터 이동된 상기의 방수덮개(190)는 작업자가 다시 위치를 이동시키기 전까지는 이동된 위치에 주차되어 있으며 빗물유입의 방지가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다시 이동시켜 사용하면 된다.
상기의 승강 과정은 신호등(60)이 차도가 아닌 곳에 위치하고 있어 단순한 상하 승강기능의 수행만으로도 신호등의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실제 신호등이 설치된 경우를 살펴보면 이처럼 단순히 승강기능 만을 통해서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으며 대부분 차로로부터 상기 신호등(60)을 지주측으로 견인시켜야만 교통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아래는 상기 신호등(60)을 지주측으로 견인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신호등(60)의 견인 과정은 승강 과정이 우선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행되므로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이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으로부터 분리되어 하강이 시작된 단계부터 설명한다.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이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신호등(60)의 높이 정도만큼 하강이 이루어지면 상기 신호등(60)의 상부면에 지탱되고 있던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도 양 끝단이 승강케이블(300)을 감싸며 하강 되다가 견인걸림턱(256)이 수평지지대(30) 하단에 현수되어있는 견인케이블(320)에 걸림되어 상기 신호등(60)의 상부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수평지지대(30) 하단에 현수되어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의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가 상기 견인케이블(320)에 걸림되어 현수되고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광학센서를 통해 인지한 지상의 작업자는 잠시 승강조작을 멈추고 점검구(21)에 위치한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양측 끝단에 작업전 여분의 케이블을 연결한 일측은 감김을 수행하고 반대측은 풀림을 수행하며 차로측 최외각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내부에 주차되어있던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를 상기 수평지지대(30) 하단에 현수되어있는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 쪽으로 수평이동 시킨다.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의 견인섭동핀(223)이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의 견인섭동핀 관통구(255)에 삽입 걸림되어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를 지주(20)측으로 견인시키기 시작하면 작업자는 상기 신호등(60)이 수평지지대(30)로부터 차량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일정높이를 유지하며 견인 될 수 있도록 잠시 멈추었던 승강조작을 다시 진행시킴과 동시에 견인조작도 적절히 병행해 실시한다.
상기 신호등(60)의 지주측 견인이 완료되어 상기 견인케이블 지주측 고정체(230)에 설치된 지주측 견인 리미트스위치(261)의 접점을 오픈 시키면 이를 인지한 작업자 또는 별도의 콘트롤러가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권취동작을 멈추고 승강조작만 지속시켜 상기 신호등(60)을 정비작업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정비작업을 수행한다.
정비 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상기 신호등(60)의 승강조작만을 실시하여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의 하단에 상기 신호등(60)이 위치하도록 상승시킨 후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광학센서를 통해 인지한 지상의 작업자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차량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일정높이를 유지하며 견인 될 수 있도록 잠시 멈추었던 견인조작을 다시 진행시킴과 동시에 승강조작도 적절히 병행해 실시한다. 이때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권취방향은 이전의 지주측 견인 조작과는 반대 방향으로 실시한다.
상기의 승강 및 견인 조작을 통해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이 분리 되었던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의 직하 위치에 상기 신호등(60)이 위치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한 작업자는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의 견인섭동핀 관통구(255)에 삽입 걸림되어있는 상기 견인섭동핀(223)이 이탈될 수 있도록 잠시 승강 조작을 멈추고 견인 조작만을 실시하여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와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를 분리 시킨다.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로부터 분리된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는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권취 조작에 의하여 최초 위치하고 있던 차로측 최외각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내부에 주차되며 차로측 견인 리미트스위치(260)의 접점을 오픈 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견인케이블(320)의 권취조작은 중단된다.
또한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와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의 분리를 확인한 작업자는 잠시 멈추었던 승강 조작을 진행시켜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을 상기 신호등 걸림판(120)에 결합시켜 승강 및 견인조작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들은 상기 신호등(60)들이 상기의 수평지지대(30)의 일측방향으로만 설치된 경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다. 실제 교통현장에서는 단일 수평지지대(30)에 상기 신호등(60)이 전후 대향하면서 설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중인 운전자에게 교통신호를 제공하는 설치경우도 흔히 볼 수 있으며 다음은 이와 같은 상기 신호등(60)이 전후 대향설치된 경우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상기의 일측 방향으로만 상기 신호등(60)이 적용된 경우와 달리 전후 대향설치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차로측 최외각에 설치된 상기 신호등 승강모듈(100)의 신호등 고정판(100)을 별도의 대향형 신호등 고정판(111)로 교체 적용하여야한다.
상기의 대향형 신호등 고정판(111)들 중에서 신호등의 지주측 측면에 적용되는 상기 대향형 신호등 고정판(111)의 중앙 하단에는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의 작동구간 확보를 위해 “∩”형상의 수평이동판 개방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의 구성부품들 중 견인케이블 수평이동판(221)에는 상기 견인섭동핀(223)이 전후 대향되어 설치된 상기 신호등(60)의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에 동일하게 걸림될 수 있도록 동일형상이 대칭 형성되어지거나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등(60)의 전후 대향 설치에 따라 부득이하게 전후 대향적용되는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들의 견인걸림턱(256) 간섭 방지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대향 설치된 신호등(60)에 적용된 견인수직판(254)의 위치를 중심측에서 일정정도 편향 이동시킨다.
상기의 대향 설치된 신호등(60)에도 상기의 내용들을 적용하면 상기의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가 동일하게 작동되므로 작동과정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10)가 신호등 전용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설치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신호등(60)의 승강과정 초기 단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로트 개방구(31)에 다수의 작동로프들 및 전원공급선이 설치됨을 보여주는 부분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판 걸림쇠(121)의 작동관련 부위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판 걸림쇠(121)에 걸림 해제되어 승강중인 신호등 승강판(150)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판 걸림쇠(121)의 작동관련 부위 단면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발명에 따른 승강전극판(160) 및 하부전극(161)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덮개(190)의 작동방식을 보여주고 있는 부분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판(130)의 하단에 형성된 승강전극판 삽입홈(128)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견인모듈(200)이 적용되어 개별 신호등(60)의 지주 측 견인이 수행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일측 방향으로만 신호등(60)들이 설치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견인직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일측 방향으로만 신호등(60)들이 설치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견인과정 중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가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와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케이블 방향 전환구(210)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a/b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a/b/c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케이블 지주측 고정체(230)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케이블 가이드(240)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a/b/c는 신호등(60)들이 전후 대향 설치된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부분 상세도,
도 19는 신호등(60)들이 전후 대향 설치된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견인진행 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0은 신호등(60)들이 전후 대향 설치된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견인진행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Claims (20)

  1. 수평지지대에 고정 결합되며, 승강케이블 및 제어케이블을 지지하고 신호등의 위치 및 설치방향에 따라 선택 적용되는 신호등 고정판(110) 또는 대향형 신호등 고정판(111);
    상기 신호등 고정판에 고정 결합되며, 전원공급선과 연결되는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이 구비되는 신호등 걸림판(120);
    상기 신호등 걸림판의 내측에 하향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신호등 걸림 하부전극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하부전극판이 구비되는 신호등 승강판(150);
    신호등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신호등 승강판(150)과 고정 결합을 이루는 신호등 측면 결합판(140);
    상기 신호등 측면 결합판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등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케이블(300); 및
    상기 신호등 걸림판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등 승강판의 선택적인 걸림을 수행하는 견인케이블(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2. 수평지지대의 차로측 최 외곽에 설치된 신호등 고정판에 고정 결합되며, 견인케이블의 지지 및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견인케이블 방향전환구(210);
    지주 상단 부분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구와 함께 수평지지대 하단영역에 견인케이블이 평행하게 현수될 수 있도록 지지 및 방향 전환하는 견인케이블 지주측 고정체(230);
    수평지지대 하단영역에 평행하게 현수되어있는 견인케이블의 일정 부분을 압착하며 일부분이 결합 고정되고, 반대측 일부분은 견인케이블을 감싸며 이동할 수 있는 롤러가 조립되어있어 견인케이블과 연동되어 움직이는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220);
    신호등 양 측면의 승강케이블들을 각각 감싸며 신호등의 상부면에 자유로이 위치하고 승강과정 초기에 일부분이 견인케이블에 걸림되어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현수되며 견인케이블에 연동되는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에 의해 승강케이블들의 승강 궤적을 지주측으로 변경시키는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250); 및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구 및 견인케이블 지주측 고정체에 의해 수평지지대 하단에 평행하게 현수되어 있으며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가 일정 부분에 압착되어 연동되는 견인케이블(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신호등의 견인과정시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의 작동구간 확보를 위해 상기의 대향형 신호등 고정판들 중에서 차로측 최외각 신호등의 바깥측 신호등 승강모듈에 적용된 대향형 신호등 고정판을 제외한 나머지 대향형 신호등 고정판의 중앙 하단에 “∩" 형상의 수평이동판 개방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 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케이블에 의한 상기 신호등 승강판의 선택적인 걸림을 수행하는 걸림판 걸림쇠가 상기 신호등 걸림판에 한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걸림판 걸림쇠의 섭동을 위한 걸림쇠 섭동구가 상기 신호등 걸림판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 걸림쇠에 의한 상기 신호등 승강판의 선택적인 걸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신호등 승강판에 걸림쇠 관통구가 한 개소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측면 결합판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승강케이블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승강케이블 하단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걸림판에는 신호등에 전원공급을 수행하는 전극의 방수기능을 부여하 기 위하여 상기 신호등 승강판에 고정된 승강전극판이 삽입될 수 있는 승강전극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등 승강판에는 상기 승강전극판 삽입홈에 삽탈가능한 형상을 갖는 승강전극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고정판의 상부면 내측에는 상기 승강케이블의 지지 및 방향전환을 수행하는 한 개 이상의 승강케이블 롤러;
    상기 신호등 고정판의 수직벽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승강케이블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개 이상의 승강케이블 롤러 회전축;
    상기 승강케이블 롤러로부터 상기 승강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승강케이블 롤러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케이블 롤러를 일정 부분 감싸는 한 개 이상의 승강케이블 이탈방지대;
    상기 제어케이블의 지지 및 방향전환을 수행하는 한 개 이상의 제어케이블 롤러;
    상기 신호등 고정판의 수직벽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어케이블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개 이상의 제어케이블 롤러 회전축; 및
    상기 제어케이블 롤러로부터 상기 제어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케이블 롤러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어케이블 롤러를 일정 부분 감싸는 한 개 이상의 제어케이블 이탈방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케이블 및 상기 견인케이블의 이동경로 확보 및 모서리 부위들과의 간섭발생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및 지주 내부에 걸쳐 수용되는 케이블 보호튜브; 및
    상기 케이블 보호튜브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용되는 케이블 보호튜브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 걸림쇠의 끝단은 승강 과정 중 상기 신호등 승강판의 상부면이 자연스럽게 상기 걸림판 걸림쇠를 후퇴시키며 상승될 수 있도록 하부면이 경사지게 제거된 경사면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걸림쇠 섭동구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판 걸림쇠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조립되어 반발력을 작용시키는 걸림쇠 스프링이 적용되고,
    상기 걸림판 걸림쇠의 일측면에는 상기 신호등 걸림판의 일측 바깥면으로 일정 부분이 돌출되는 걸림쇠 조절핀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신호등 걸림판에는 상기 걸림쇠 조절핀이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 형성된 걸림쇠 조절핀 개방구(124a)가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걸림쇠 조절핀 개방구 밖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쇠 조절핀의 일단에는 상기 제어케이블의 권취조작을 상기 걸림판 걸림쇠의 수평 섭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걸림쇠 연결고리가 조립되며,
    상기 걸림쇠 조절핀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걸림쇠 연결고리의 반대측 일단에는 상기 제어케이블의 끝단이 고정되는 제어케이블 연결구가 조립되며,
    상기 신호등 걸림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어케이블 연결구의 직선 이동 경로를 유지시켜주도록 걸림쇠 연결고리 가이드가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케이블 하단 고정판에 의해 상기 승강케이블의 일단이 고정된 상기 신호등 측면 결합판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케이블 하단 고정판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승강케이블이 섭동 가능하도록 감싸며 상기 신호등 측면 결합판에 결합 고정되는 승강케이블 상단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전극판에는 전원을 공급받는 하부전극의 하부면에 적용되어 전기적 접속 을 향상시키는 하부전극 스프링이 적용되며,
    상기 하부전극 스프링의 지지 및 이탈방지를 위하여 승강전극판의 상부면에 하부전극 스프링 좌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전극판에는 빗물의 승강전극판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전극판의 상부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승강전극판의 승강전극판 삽입홈 삽입 이전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승강전극판의 측면으로 이동되는 수평 방수덮개; 및
    상기 수평 방수덮개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승강전극판의 수직 측면에 섭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수직 방수덮개;가 구비되고,
    승강전극판의 승강전극판 삽입홈 삽입 이전 단계에서 상기 신호등 걸림판의 하단 끝부분에 접촉 저지되어 수직 방수덮개에 연결된 수직 방수덮개를 자동적으로 하방 이동되도록 수직 방수덮개에 방수덮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방수덮개가 상기 승강전극판의 수직 측면에 지지되고 상하 섭동될 수 있도록 수직 방수덮개에 방수덮개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방수덮개 가이드가 상하 섭동될 수 있도록 승강전극판의 상부면 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영역에 걸쳐 승강전극판의 수직 측면에 방수덮개 가이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구는 상기 견인케이블의 지지 및 방향전환을 수행하는 한 개 이상의 견인케이블 방향전환 롤러;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 롤러에 지지되고 방향 전환되는 상기 견인케이블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 롤러를 감싸며 롤러 회전축에 외삽되어 고정되는 견인케이블 이탈방지 덮개; 및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전환 롤러의 회전축 양 끝단을 지지하며 상기 신호등 고정판에 고정되는 견인케이블 방향 전환 브라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케이블 지주측 고정체는 상기 견인케이블의 지지 및 방향전환을 수행하는 한 개 이상의 견인케이블 지지롤러;
    상기 견인케이블 지지롤러의 회전축 양 끝단을 지지하며 상기 견인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있는 지지롤러 고정브라케트;
    상기 지지롤러 고정브라케트를 통과한 상기 견인케이블의 지주 내측으로의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견인케이블 방향유도관;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유도관을 지지하는 방향유도관 고정브라케트; 및
    상기의 견인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지지롤러 고정브라케트 및 방향유도관 고정브라케트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지주 상단 부분에 고정되는 견인케이블 지주 고정브라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는 상기 수평지지대 하단에 현수되어있는 상기 견인케이블의 일정 부분에 압착 고정되는 견인케이블 수평이동판;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판에 상기의 견인케이블을 압착 고정시키는 견인케이블 압착판;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판에 일측 방향으로 설치된 신호등의 견인 또는 전후 대향 설치된 신호등들의 견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측 방향 또는 전후 대향 돌출형성 또는 조립되는 한 개 이상의 견인섭동핀;
    상기 수평지지대 하단에 현수되어있는 상기 견인케이블의 일정 부분을 감싸며 작동되는 한 개 이상의 수평이동롤러; 및
    상기 수평이동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판에 고정 결합되는 수평이동롤러 고정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16. 삭제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케이블 수평이동구의 차로측 견인 완료를 검출하기 위하여 차로측 최외곽에 설치된 상기 신호등 고정판 또는 견인케이블 방향전환 브라케트에 설치되는 차로측 견인 리미트스위치; 및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의 지주측 견인 완료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케이블 지주 고정브라케트에 설치되는 지주측 견인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측면 결합판에 고정된 상기 승강케이블의 일단 및 상기 신호등 견인판 조립체의 하단부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어 승강케이블을 감싸며 조립되고 신호등 측면 결합판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케이블들의 승강 궤적 유지기능을 수행하는 승강케이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 고정브라케트의 관통구를 통과한 상기 견인케이블이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유도관의 중심측으로 원활히 모여질 수 있도록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유도관 의 끝단 부분이 확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견인케이블 방향유도관의 지주측 끝단 부분이 지주 내측으로 삽입 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 상단 부분에 방향유도관 지주 관통구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의 승강케이블 가이드는 상기 신호등 고정판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는 승강케이블 가이드 상부브라케트;
    상기 신호등 고정판의 내측 하단에 고정되는 승강케이블 가이드 하부브라케트;
    상기 승강케이블 가이드 상부브라케트 및 승강케이블 가이드 하부브라케트에 양 끝단이 각기 고정되어있는 한 개 이상의 승강케이블 가이드 섭동축;
    상기 승강케이블 가이드 섭동축에 외삽되어 섭동되는 승강케이블 가이드 섭동구; 및
    상기 승강케이블 가이드 섭동구에 조립되어 상기 승강케이블을 감싸며 승강 궤적 유지기능을 수행하는 한 개 이상의 승강케이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KR1020090037247A 2009-04-28 2009-04-28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KR10111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47A KR101117877B1 (ko) 2009-04-28 2009-04-28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47A KR101117877B1 (ko) 2009-04-28 2009-04-28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412A KR20100118412A (ko) 2010-11-05
KR101117877B1 true KR101117877B1 (ko) 2012-03-07

Family

ID=4340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247A KR101117877B1 (ko) 2009-04-28 2009-04-28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239B1 (ko) * 2014-05-12 2015-06-11 주식회사 금광 신호등 이송장치 및 진로 표시기 이송장치
CN112185138A (zh) * 2020-08-25 2021-01-05 江苏日月星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监控的稳定型交通灯
CN112150845A (zh) * 2020-09-23 2020-12-29 徐州工程学院 一种基于物联网的交通信号灯
CN112562369A (zh) * 2020-12-03 2021-03-26 江苏庆辉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市政用可移动升降式红绿灯
CN112634640A (zh) * 2020-12-09 2021-04-09 曲培 一种拥堵路段用具有违章车辆拍照结构的临时交通信号灯
CN113550247A (zh) * 2021-08-03 2021-10-26 重庆交通职业学院 一种限高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063B1 (ko) 2006-12-11 2007-03-14 (주) 하나계전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0867115B1 (ko) 2007-05-10 2008-11-06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063B1 (ko) 2006-12-11 2007-03-14 (주) 하나계전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0867115B1 (ko) 2007-05-10 2008-11-06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412A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877B1 (ko) 신호등 승강 및 견인장치
WO2012118273A2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00027279A (ko)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CN110552544B (zh) 钢丝索制动装置以及包含上述钢丝索制动装置的竖杆升降系统
CN103872622B (zh) 架空放缆牵引车及其专用提升工具
KR20130033628A (ko) 승강형 지주대
CN106285222B (zh) 安全开闭的锁
CA2919235C (en) Truck and installation method for wires
KR200429332Y1 (ko)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GB2503229A (en) Electric vehicle with charging support means
KR20120121976A (ko) 신호등 승강장치
CN218919493U (zh) 一种带有磁吸式电缆连接装置的高杆灯系统
KR100989152B1 (ko) 등기구 견인장치
CN113184720B (zh) 一种跨越障碍物的展放装置
KR100989456B1 (ko) 승강식 조명등기구
CN210289080U (zh) 一种气动控制的爬架翻转防护板
KR102113510B1 (ko) 비례제어 실린더를 이용한 폴 승강 안전시스템
KR101332418B1 (ko)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 진출입 장치
KR102313346B1 (ko)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단자
KR200349092Y1 (ko) 착탈승강식 전등함을 가진 가로등
KR100989154B1 (ko) 등기구 구조물 회전장치
KR200350756Y1 (ko) 승하강식 타워조명등의 전선설치장치
CN105071287A (zh) 一种用于裸导线加装绝缘套管的装置
CN210194482U (zh) 一种智能拍照的高速口关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